KR20140074786A -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786A
KR20140074786A KR1020120143298A KR20120143298A KR20140074786A KR 20140074786 A KR20140074786 A KR 20140074786A KR 1020120143298 A KR1020120143298 A KR 1020120143298A KR 20120143298 A KR20120143298 A KR 20120143298A KR 20140074786 A KR20140074786 A KR 20140074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over
cover body
opening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현
Original Assignee
정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현 filed Critical 정철현
Priority to KR102012014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786A/ko
Publication of KR2014007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2Watertight containers for use while sw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방수커버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로 스마트폰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전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전면으로는 수용된 스마트폰을 투시할 수 있는 투명체가 형성되고 후면 하측으로 스마트폰을 인입 또는 이탈시킬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커버체; 상기 개방부의 외측 부위로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하는 밀폐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이 수용되는 커버체에 스마트폰의 인입 및 이탈이 이루어지는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하는 밀폐구가 구성되기 때문에, 커버체의 방수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스마트폰이 커버체로의 인입 또는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방수커버{Waterproof cover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마트폰용 방수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을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커버체는 방수기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체에 스마트폰을 인입 또는 인입된 스마트폰을 밀폐하는 밀폐구가 구성되어 커버체의 방수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스마트폰이 커버체로의 인입 또는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스마트폰용 방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란 이동 중에 기지국을 통해 일반전화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할 수 있는 휴대폰 기능과 무선인터넷이 접속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지원기능을 통합시킨 휴대통신단말기이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현대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내부로 전자기판 및 전기회로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스마트폰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전자기판 및 전기회로가 물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며 전자기판 및 전기회로는 젖은 상태로 전류가 인가되면 과전압이 발생되어 스마트폰의 내부 부품의 손상을 야기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휴대한 상태로는 수영장이나 해수욕장 등에서 안전하게 사용되지 못하면서도 개인의 부주의로 스마트폰이 물에 침수될 때에는 스마트폰의 고장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방수할 수 있는 방수장치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방수장치는 대체로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비닐재질의 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케이스의 내부를 밀폐하는 개폐수단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스에 스마트폰을 수용하고 개폐수단을 잠금하여 스마트폰을 외부로부터 밀봉함으로써 스마트폰을 휴대한 채로 수영장이나 해수욕장을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이 침수되어도 스마트폰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상기 방수장치는 방수기능이 한정되어 휴대하기 용이하지 않아 실용성이 떨어지거나 스마트폰의 디자인을 고려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이 기피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 방수장치의 개폐수단은 방수기능에 치중되어 스마트폰이 방수장치에 인입 또는 이탈시키기가 까다로워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커버체는 방수기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체에 스마트폰을 인입 또는 인입된 스마트폰을 밀폐하는 밀폐구가 구성되어 커버체의 방수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스마트폰이 커버체로의 인입 또는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스마트폰용 방수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체의 각측 단부에는 굴곡진 형태의 굴곡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굴곡부의 두께를 두껍게 보강하여 외력에 의해 스마트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마트폰용 방수커버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방수커버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로 스마트폰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전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전면으로는 수용된 스마트폰을 투시할 수 있는 투명체가 형성되고 후면 하측으로 스마트폰을 인입 또는 이탈시킬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커버체; 상기 개방부의 외측 부위로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하는 밀폐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구는, 상기 개방부의 전면을 밀폐하되, 개방부의 외측에서 탈착가능하도록 외측부위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접착재로 구성되는 것, 상기 개방부의 상측을 제외한 외측 둘레면에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 상측 및 일측을 걸림하는 걸림턱 및 상기 개방부의 상측으로 개방부를 밀폐하되, 밀폐하는 일측이 개방부의 상측에 접지된 상태로 접힘이 가능한 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부를 밀폐할 때 걸림턱에 접지되는 부위로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접힘판으로 구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체의 각측 단부에는 굴곡진 형태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굴곡부를 제외한 커버체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되, 상기 굴곡부는 0.7 ∼ 1mm의 두께로 형성되며, 굴곡부를 제외한 커버체는 0.1 ∼ 0.3mm의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체에는 스마트폰의 이어폰단자가 형성되는 부위에 제1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형성되는 부위에 제2홈부가 형성되고, 스마트폰의 이어폰단자와 상기 제1홈부에 끼움되는 제1끼움구가 구성되고,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와 상기 제2홈부에 끼움되는 제2끼움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체의 상측으로 타원형으로 연장되어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커버체 사이로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에 일측이 고정되는 연결체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체의 타측으로 부력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수용되는 커버체에 스마트폰의 인입 및 이탈이 이루어지는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하는 밀폐구가 구성되기 때문에, 커버체의 방수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스마트폰이 커버체로의 인입 또는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체의 각측 단부에는 굴곡진 형태의 굴곡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굴곡부는 굴곡부를 제외한 커버체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수용된 커버체를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부딪쳐 마찰이 생기더라도 스마트폰에 가해지는 마찰을 굴곡부로 하여금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킴으로서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이어폰단자와 충전단자가 형성되는 부위에 제1, 2홈부를 형성하고 제1, 2홈부에 끼움되어 스마트폰의 이어폰단자와 충전단자를 보호하는 제1, 2끼움구가 구성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커버체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제1, 2홈부를 통해 이어폰의 사용 충전기능이 구현되고 수중에서는 제1, 2끼움구를 통해 방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체에는 부력기능을 가지는 부력체가 연결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커버체가 수중에 빠지면 수면으로 떠올라 외부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스마트폰을 찾을 수 있어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력체의 전면으로 야광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야간이나 어두워서 식별이 어려운 해수욕장 및 수영장에서도 부력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방수커버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t 사시도,
도 2(a), (b)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방수커버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 (b)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구의 제1형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 (b)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구의 제1형태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체에 굴곡부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체에 제1, 2끼움구가 끼움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2끼움구에 제1, 2고리가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부력체가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부력체에 야광체가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 방수커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방수커버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t 사시도이고, 도 2(a), (b)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방수커버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스마트폰 방수커버는 스마트폰을 방수재질의 방수커버에 수납시켜 스마트폰이 방수커버로 하여금 물이 스마트폰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방수커버의 형태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이 수용되는 커버체(10)와, 상기 커버체(10)에 형성된 개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구로 구성되어진다.
커버체(10)는 내부로 스마트폰(1)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어 개방된 전면으로 내부에 수용된 스마트폰(1)으로 구현되는 화면을 투시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투시가 가능한 투명체(11)가 형성되고 커버체(10)의 후면 하측으로는 스마트폰(1)을 인입 또는 이탈시킬 수 있도록 일정 넓이가 개방되는 개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투명체(11)가 커버체(10)의 개방된 전면에 형성되는 방법은 커버체(10)의 개방된 전면의 외측과 투명체(11)의 외측을 상호 봉제하거나 융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체(10)는 방수기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혼합 및 구분되어 이루어져 디자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체(10)에는 스마트폰(1)의 카메라가 형성되는 부위를 개방하는 간이개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간이개방부(14)에는 외부에서 투시가능한 간이투명체(14)가 구성되어 스마트폰(1)이 커버체(10)에 수용되더라도 카메라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폐구는 개방부(12)의 외측 부위에서 개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하여 커버체(10)로 하여금 스마트폰(1)의 인입 또는 이탈을 도모함과 동시에 스마트폰(1)이 커버체(10)에 인입될 때에는 방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제1, 2형태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구의 제1형태는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10)의 개방부(12) 전면을 밀폐하되, 개방부(12)의 외측에서 지속적으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외측부위에 접착층(21)이 형성되는 접착재(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폐구의 제2형태는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10)의 개방부(12) 상측을 제외한 외측 둘레면에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 상측 및 일측을 걸림하는 걸림턱(3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부(12)의 상측으로는 개방부(12)를 밀폐하되, 밀폐하는 일측이 개방부(12)의 상측에 접지된 상태로 접힘이 가능한 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부(12)를 밀폐할 때 걸림턱(30)에 접지되는 부위로 걸림턱(30)에 걸림되는 걸림부(41)가 형성되는 접힘판(4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구에 의해 커버체(10)의 방수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스마트폰(1)이 커버체(10)로 인입 또는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체(10)의 각측 단부에는 굴곡진 형태의 굴곡부(15)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굴곡부(15)는 굴곡부(15)를 제외한 커버체(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서 스마트폰(1)이 수용된 커버체(10)를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부딪쳐 충격이 생기더라도 스마트폰(1)에 가해지는 충격을 굴곡부(15)로 하여금 흡수하여 완화시킴으로서 스마트폰(1)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굴곡부(15)는 0.7 ∼ 1mm의 두께로 형성되며, 굴곡부(15)를 제외한 커버체(10)는 0.1 ∼ 0.3mm의 두께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커버체(10)가 방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굴곡부(15)로 하여금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최적의 두께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의 범위보다 굴곡부(15) 및 커버체(10)가 두껍게 형성되면 생산단가가 높아지고 상기의 범위보다 굴곡부(15) 및 커버체(10)가 얇게 형성되면 커버체(10)가 쉽게 찢어질 염려가 있어 커버체(10)의 방수기능이 상실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통상의 스마트폰(1)에는 이어폰단자와 충전단자가 필수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버체(10) 또한 스마트폰(1)의 이어폰단자가 형성되는 부위에 제1홈부(17)가 형성되고 스마트폰(1)의 충전단자가 형성되는 부위에 제2홈부(18)가 형성된다.
또한 스마트폰(1)의 이어폰단자와 상기 제1홈부(17)에 끼움되는 제1끼움구(50)가 구성되고 스마트폰(1)의 충전단자와 상기 제2홈부(18)에 끼움되는 제2끼움구(60)가 구성된다.
따라서 스마트폰(1)이 커버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제1, 2홈부(17, 18)를 통해 이어폰의 사용 및 스마트폰(1)의 충전기능이 구현되고 수중에서는 제1, 2끼움구(50, 60)를 통해 방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끼움구(50)의 일측과 커버체(10)를 연결하는 제1고리(70)가 구성되어 제1끼움구(50)가 커버체(10)에 항상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끼움구(60)는 양측이 커버체(10)에 접지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61)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끼움구(60)의 양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연장부(61)에 걸림공(62)이 형성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끼움구(60)의 걸림공(62)과 커버체(10)를 연결하는 제2고리(80)가 구성되어 제2끼움구(60) 또한 커버체(10)에 항상 구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체(10)의 상측으로 타원형으로 연장되어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커버체(10) 사이로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걸림구(19)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19)에 일측이 고정되는 연결체(90)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체(90)의 타측으로 부력체(100)가 구성된다.
따라서 스마트폰(1)이 수용된 커버체(10)가 수중에 빠지면 부력체(100)에 의해 스마트폰(1)이 수용된 커버체(10)가 수면으로 떠올라 외부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스마트폰(1)을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수중에 스마트폰(1)이 빠져도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부력체(100)는 캐릭터나 각종 도형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100)의 전면으로 야광체(101)가 형성하여 야간이나 어두워서 식별이 어려운 해수욕장 및 수영장에서도 부력체(100)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1 : 스마트폰 10 : 커버체
11 : 투명체 12 : 개방부
13 : 간이투명체 14 : 간이개방부
15 : 굴곡부 17 : 제1홈부
18 : 제2홈부 19 : 걸림구
20 : 접착재 21 : 접착층
30 : 걸림턱 40 : 접힘판
41 : 걸림부 50 : 제1끼움구
60 : 제2끼움구 61 : 연장부
62 : 걸림공 70 : 제1고리
80 : 제2고리 90 : 연결체
100 : 부력체 101 : 야광체

Claims (8)

  1.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로 스마트폰(1)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전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전면으로는 수용된 스마트폰을 투시할 수 있는 투명체(11)가 형성되고 후면 하측으로 스마트폰(1)을 인입 또는 이탈시킬 수 있는 개방부(12)가 형성되고 커버체(10);
    상기 개방부(12)의 외측 부위로 개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하는 밀폐구;
    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는,
    상기 개방부(12)의 전면을 밀폐하되, 개방부(12)의 외측에서 탈착가능하도록 외측부위에 접착층(21)이 형성되는 접착재(20)로 구성되는 것,
    상기 개방부(12)의 상측을 제외한 외측 둘레면에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 상측 및 일측을 걸림하는 걸림턱(30) 및 상기 개방부(12)의 상측으로 개방부(12)를 밀폐하되, 밀폐하는 일측이 개방부(12)의 상측에 접지된 상태로 접힘이 가능한 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개방부(12)를 밀폐할 때 걸림턱(30)에 접지되는 부위로 걸림턱(30)에 걸림되는 걸림부(41)가 형성되는 접힘판(40)으로 구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0)에는 스마트폰(1)의 카메라가 형성되는 부위를 개방하는 간이개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간이개방부(14)에는 외부에서 투시가능한 간이투명체(13)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0)의 각측 단부에는 굴곡진 형태의 굴곡부(15)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15)는 굴곡부(15)를 제외한 커버체(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되,
    상기 굴곡부(15)는 0.7 ∼ 1mm의 두께로 형성되며, 굴곡부(15)를 제외한 커버체(10)는 0.1 ∼ 0.3mm의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0)에는 스마트폰(1)의 이어폰단자가 형성되는 부위에 제1홈부(17)가 형성됨과 아울러 스마트폰(1)의 충전단자가 형성되는 부위에 제2홈부(18)가 형성되고,
    스마트폰(1)의 이어폰단자와 상기 제1홈부(17)에 끼움되는 제1끼움구(50)가 구성되고,
    스마트폰(1)의 충전단자와 상기 제2홈부(18)에 끼움되는 제2끼움구(6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구(50)의 일측과 커버체(10)를 연결하는 제1고리(70)가 구성되고,
    상기 제2끼움구(60)는 양측이 커버체(10)에 접지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61)가 형성됨과 동시에 어느 하나의 연장부(61)에 걸림공(6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구(60)의 걸림공(62)과 커버체(10)를 연결하는 제2고리(8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10)의 상측으로 타원형으로 연장되어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커버체(10) 사이로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걸림구(19)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19)에 일측이 고정되는 연결체(90)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체(90)의 타측으로 부력체(10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00)의 전면으로 야광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방수커버.
KR1020120143298A 2012-12-07 2012-12-07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KR20140074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298A KR20140074786A (ko) 2012-12-07 2012-12-07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298A KR20140074786A (ko) 2012-12-07 2012-12-07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786A true KR20140074786A (ko) 2014-06-18

Family

ID=5112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298A KR20140074786A (ko) 2012-12-07 2012-12-07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478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8155A (zh) * 2015-11-01 2015-12-30 陈锦萍 带万向节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08156A (zh) * 2015-11-01 2015-12-30 陈锦萍 带转轴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08161A (zh) * 2015-11-01 2015-12-30 陈锦萍 可转向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08159A (zh) * 2015-11-01 2015-12-30 毛献萍 水平式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45654A (zh) * 2015-11-01 2016-01-13 陈锦萍 带万向球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45655A (zh) * 2015-11-01 2016-01-13 陈锦萍 盒形潜水垂直式防水手机套
WO2016024664A1 (ko) * 2014-08-14 2016-02-18 고영봉 휴대기기 보호대
KR102073774B1 (ko) * 2018-08-14 2020-02-05 이승영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664A1 (ko) * 2014-08-14 2016-02-18 고영봉 휴대기기 보호대
CN105208155A (zh) * 2015-11-01 2015-12-30 陈锦萍 带万向节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08156A (zh) * 2015-11-01 2015-12-30 陈锦萍 带转轴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08161A (zh) * 2015-11-01 2015-12-30 陈锦萍 可转向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08159A (zh) * 2015-11-01 2015-12-30 毛献萍 水平式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45654A (zh) * 2015-11-01 2016-01-13 陈锦萍 带万向球潜水不倒翁防水手机套
CN105245655A (zh) * 2015-11-01 2016-01-13 陈锦萍 盒形潜水垂直式防水手机套
KR102073774B1 (ko) * 2018-08-14 2020-02-05 이승영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4786A (ko)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JP5467195B2 (ja) 携帯電話用防水カバー
US8399764B2 (en) Water resistant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469733Y1 (ko) 부레팩이 구비된 휴대용 방수팩
US20080041898A1 (en) Waterproof and portable strap for carrying small-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141401A (ko)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KR200476233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30016854A (ko) 접이식 밀봉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방수케이스
KR101781080B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101018410B1 (ko) 휴대폰 방수커버
KR101218737B1 (ko) 휴대폰 방수커버
JP3181870U (ja) 保護枠底部構造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130054665A (ko)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N204928912U (zh) 一种防水手机壳
KR200390629Y1 (ko) 핸드폰 직결 가능한 휴대용 2차전지 충전기
KR20120002633U (ko) 터치스크린 펜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
KR101366346B1 (ko)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TW201347317A (zh) 電子裝置保護套
CN209757357U (zh) 多功能车载支架
CN211834828U (zh) 一种电动牙刷的封底
KR100468629B1 (ko) 휴대폰 방수 커버구
CN207706260U (zh) 下雨天使用智能手机的辅助装置
KR20180005413A (ko)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KR20140141752A (ko)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