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080B1 -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080B1
KR101781080B1 KR1020160021497A KR20160021497A KR101781080B1 KR 101781080 B1 KR101781080 B1 KR 101781080B1 KR 1020160021497 A KR1020160021497 A KR 1020160021497A KR 20160021497 A KR20160021497 A KR 20160021497A KR 101781080 B1 KR101781080 B1 KR 10178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ound
space
forming member
spa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302A (ko
Inventor
임석연
강호성
이대석
유희주
여우람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0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내면이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접촉하여 스마트폰의 후면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스마트폰의 스피커부분에 대응하여 스피커홀이 형성된 몸체와; 일정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판재로 구성되어, 두 개의 판재가 하나의 평면을 구성하는 펼침상태에서는 상기 몸체의 외면과 접촉되고, 두 개의 판재가 일정 각도를 이루는 접힘상태에서는 상기 몸체의 외면과 함께 삼각형 단면 형상의 소리전달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형성부재와; 상기 공간형성부재와 동일폭을 가지나 길이는 더 짧은 구조로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방향을 전환하는 날개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존재하는 스피커홀을 통해 발생되는 소리가,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날개부재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부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케이스{Smartphone cas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방향을 전환시켜 음향이나 음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 무선 통신과 IT사업 발전에 힘입어 모바일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으며, 더불어 대표적인 모바일 산업분야인 휴대폰 시장도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나의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어, 휴대폰 자체뿐만 아니라, 휴대폰에 사용하는 각종 부가 장치들의 시장도 동시에 팽창하고 있다.
상기 휴대폰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부가 장치로 휴대폰 케이스를 들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감싸는 지갑 형태를 들 수 있으며, 통상 합성수지 또는 인조 가죽으로 제작되어 휴대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연성 합성수지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를 들 수 있다. 상기의 휴대폰 케이스는 주로 터치 패널이 장착된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휴대폰 후면에 장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단순히 휴대폰을 보호하는 형태 이외에 별도의 기능을 부가하는 휴대폰 케이스도 다수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040221호는 배터리와 겹치는 위치에 안테나의 패턴이 최소 면적을 점유하도록 배치하고, 겹치는 부분에 병렬패턴 및 흡수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와전류에 의한 손실을 보상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401705호에는 수영장 등의 물에서도 휴대한 휴대폰이 침수가 되지 않아 휴대폰의 휴대가 가능함은 물론, 방수 케이스에 수용된 휴대폰의 수신률도 저하되지 않는 휴대폰 방수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대부분 후면에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어 소리가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하여 발생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소리를 듣는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전면에 있는 반면에 소리는 스마트폰의 후면을 통해 발생되는 구조이어서 음향 및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음질 및 음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내면이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접촉하여 스마트폰의 후면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스마트폰의 스피커부분에 대응하여 스피커홀이 형성된 몸체와; 일정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판재로 구성되어, 두 개의 판재가 하나의 평면을 구성하는 펼침상태에서는 상기 몸체의 외면과 접촉되고, 두 개의 판재가 일정 각도를 이루는 접힘상태에서는 상기 몸체의 외면과 함께 삼각형 단면 형상의 소리전달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형성부재와; 상기 공간형성부재와 동일폭을 가지나 길이는 더 짧은 구조로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방향을 전환하는 날개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존재하는 스피커홀을 통해 발생되는 소리가,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날개부재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부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형성부재 및 상기 날개부재 각각에는 상기 스피커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접힘시에는 상기 몸체에 삽입되고 펼침시에는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스피커의 소리를 사용자 방향으로 전환시켜 주고 다른 방향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음향 및 음질저하가 최소화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거치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사용상태도들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지지대가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사용상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몸체(110), 공간형성부재(120) 및 날개부재(13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10)는 내면이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접촉하여 스마트폰의 후면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스마트폰의 스피커부분에 대응하여 스피커홀(115)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몸체(110)는 스마트폰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스마트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몸체(110)에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전잭이 연결을 위한 충전 홀(118) 및 카메라의 노출을 위한 카메라 홀(116) 등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형성부재(120)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판재가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두 개의 판재 각각은 상기 몸체(110)와 동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120)는 상기 스피커홀(115) 부분을 커버가능하도록 구비되게 되고 대응되는 홀(122)을 가지게 된다.
상기 공간형성부재(120)는 펼침상태에서는 두 개의 판재가 하나의 평면을 구성하도록 즉 서로 180도를 이루도록 펼쳐져서 상기 몸체(110)의 외면과 밀착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접힘상태에서는 두 개의 판재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몸체의 외면과 함께 삼각형 단면 형상의 소리전달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상기 스피커홀(115)은 상기 소리전달공간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 공간형성부재(120)를 형성하는 두 개의 판재는 연결부위가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며, 펼침상태에서 접힘상태로 변화하는 경우에 두 개의 판재들 모두 또는 두 개의 판재들 중 어느 하나의 판재가 상기 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을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이동하지 않는 다른 판재의 가장자리 부분인 상기 몸체(110)와의 접촉부분은 상기 몸체(110)에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소리전달공간은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홀(115)을 통해 발생된 소리는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전달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상기 날개부재(130)는 상기 공간형성부재(120)와 동일폭을 가지나 길이는 더 짧은 구조로 상기 공간형성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재(130)는 상기 공간형성부재(120)의 양단에 하나씩 두 개의 날개부재(130a,13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재(130)는 상기 공간형성부재(120)를 통해 형성된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연장하고 이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재(130)는 상기 공간형성부재(120)와 동일구조를 가지며, 일반상태에서는 상기 공간형성부재(120)에 중첩되는 구조를 가지며 펼침상태에서는 상기 공간형성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펼쳐짐에 따라 상기 공간형성부재(120)가 연장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소리전달공간이 연장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몸체(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날개부재(130)만이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소리전달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가, 스마트폰의 전면부 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는 소리전달공간 내에서 길이방향으로만 전달되었던 소리의 전달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또한 스피커홀(115)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후면부 방향으로 발생된 소리가 스마트폰의 길이방향 및 전면부 방향으로 전달방향이 전환되는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즉 상기 스피커홀(115)에서 발생된 소리는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전달되고, 상기 날개부재(130)에 다다르게 되면, 스마트폰의 전면부 방향으로도 전달되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음질 및 음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날개부재(130)의 경우에는 일반상태에서는 상기 스피커 홀(115)의 소리가 스마트 폰의 후면부 방향으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일반상태에서 상기 스피커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32)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즉 일측에 위치한 날개부재(130b)의 경우에는 관통홀(132)이 구비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지지대가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에는 접힘시에는 상기 몸체(110)에 삽입되고 펼침시에는 상기 몸체(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13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지지부재(113a)의 접힘시에 상기 지지부재(113a)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1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3a)는 힌지구조로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스피커의 소리를 사용자 방향으로 전환시켜 주고 다른 방향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음향 및 음질저하가 최소화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거치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몸체 120 : 공간형성부재
130 : 날개부재

Claims (3)

  1.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내면이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접촉하여 스마트폰의 후면부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스마트폰의 스피커부분에 대응하여 스피커홀이 형성된 몸체와;
    일정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판재로 구성되어, 두 개의 판재가 하나의 평면을 구성하는 펼침상태에서는 상기 몸체의 외면과 접촉되고, 두 개의 판재가 일정 각도를 이루는 접힘상태에서는 상기 몸체의 외면과 함께 삼각형 단면 형상의 소리전달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형성부재와;
    상기 공간형성부재와 동일폭을 가지나 길이는 더 짧은 구조로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방향을 전환하는 날개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존재하는 스피커홀을 통해 발생되는 소리가, 상기 소리전달공간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날개부재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부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 및 상기 날개부재 각각에는 상기 스피커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접힘시에는 상기 몸체에 삽입되고 펼침시에는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160021497A 2016-02-23 2016-02-23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8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97A KR101781080B1 (ko) 2016-02-23 2016-02-23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97A KR101781080B1 (ko) 2016-02-23 2016-02-23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02A KR20170099302A (ko) 2017-08-31
KR101781080B1 true KR101781080B1 (ko) 2017-09-22

Family

ID=5976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497A KR101781080B1 (ko) 2016-02-23 2016-02-23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038B1 (ko) * 2021-11-30 2023-1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음원 위치 추정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케이스
CN114143390B (zh) * 2021-12-20 2023-05-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668B1 (ko) 2013-02-07 2013-05-15 이충원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7317Y1 (ko) 2013-02-27 2013-06-05 강세원 휴대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US20140069736A1 (en) 2012-09-11 2014-03-13 Matthew Freshman Amplifying cover for a portable audio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9736A1 (en) 2012-09-11 2014-03-13 Matthew Freshman Amplifying cover for a portable audio device
KR101264668B1 (ko) 2013-02-07 2013-05-15 이충원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7317Y1 (ko) 2013-02-27 2013-06-05 강세원 휴대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02A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5875T3 (es) Aparato y método para acceder a componentes en un dispositivo plegado
US8086285B2 (en) Carrying cases having sound enhancing capability,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2034737B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81080B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05008215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170000784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20140074786A (ko)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KR20120012607A (ko) 착탈 가능한 블루투스 헤드셋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9229491B2 (en) Tablet computer
KR20150003818U (ko) 휴대폰 케이스
KR2017014259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CN212163393U (zh) 一种电子设备
KR200477277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0862844B1 (ko) 소정의 각도로 개폐되는 슬라이드식 이동통신 단말기
WO2017122220A1 (en) Mobile phone casing
CN218162540U (zh) 一种耳机插座防水套和手机
KR200349627Y1 (ko) 휴대전화용 하향식 굴절 안테나
CN210431821U (zh) 一种新型防水蓝牙耳机
CN219087127U (zh) 一种耐磨手机卡槽结构
KR101366346B1 (ko)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
KR10058573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205775Y1 (ko) 전자파 감소 구조의 휴대폰
KR200389405Y1 (ko)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딩파트
KR200172582Y1 (ko) 이동전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