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401A -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401A
KR20140141401A KR1020130073025A KR20130073025A KR20140141401A KR 20140141401 A KR20140141401 A KR 20140141401A KR 1020130073025 A KR1020130073025 A KR 1020130073025A KR 20130073025 A KR20130073025 A KR 20130073025A KR 20140141401 A KR20140141401 A KR 20140141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proof case
electronic device
door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원 킴 저스틴
Original Assignee
치원 킴 저스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원 킴 저스틴 filed Critical 치원 킴 저스틴
Publication of KR2014014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8Details; Accessories for making water- or air-t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2Watertight containers for use while sw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기술된 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방수 케이스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 기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도어부를 이중으로 락킹시키는 도어 이중 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WATERPROOFING CASE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방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수 케이스로부터 전자 기기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한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기기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책 등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는 필수적으로 표시부, 안테나 장치,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기술 및 디스플레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의 표시부의 해상도가 향상되었고, 이에 따라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표시부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터치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는 거의 모든 사용자가 휴대하는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바다, 계곡 또는 수영장등과 같이 물과 관련된 레저 활동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레저 활동시에도 항상 휴대용 전자 기기를 소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는 물에 취약하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수 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방수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비닐재질의 방수 케이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방수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수납하는 비닐 케이스와 상기 비닐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를 상기 케이스내에 수납한 후 양면 테이프이나 지퍼 락으로 입구를 밀봉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방수 케이스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수납 후 입구를 밀봉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방수 케이스내에 수납된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할 경우, 상기 방수 케이스의 밀봉을 분리시킨 후 상기 방수 케이스로부터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를 직접 꺼낸 다음 통화를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상기 방수 케이스가 파손되는 특징이 있었다.
즉,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는 사용시 상기 방수 케이스 내부에서 사용자가 직접 수시로 인입/인출시켜야함으로, 방수 케이스가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방수 케이스로부터 꺼낼 경우, 자동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인입/인출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방수 케이스의 파손도 방지하고, 방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방수 케이스로부터 인출시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수 케이스로부터 전자 기기의 인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을 할뿐만 아니라,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 케이스에 이중의 락킹기능을 하는 도어 이중 락킹부를 구성함으로써, 방수 케이스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개폐되는 것을 방지함을 물론, 전자 기기가 방수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방수 케이스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 기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도어부를 이중으로 락킹시키는 도어 이중 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 케이스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를 상기 본체부들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인출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도어부를 이중으로 락킹시키는 도어 이중 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방수 케이스로부터 인출시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방수 케이스로부터 전자 기기의 인출을 간편하게 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의 인입/인출시 발생되던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 케이스에 도어부를 이중으로 락킹시키는 도어 이중 락킹부를 구성하여 방수 케이스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전자 기기가 방수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도어 이중 락킹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도어 이중 락킹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도어 이중 락킹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도어 이중 락킹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탄성 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케이스에서 전자 기기를 인출시킨 상태를 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탄성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탄성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설명은 청구범위 및 이에 동등한 것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이는 그러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기기의 적용예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게임기, 노트북, 넷북, 광고판, 티브이(TV),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케이스(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의 방수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수 케이스(10)는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와, 도어부(30)와, 탄성 부재(40) 및 도어 이중 락킹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는 후술하는 도어부(30)와 상기 탄성 부재(40) 및 도어 이중 락킹부(50)들과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어부(30)는 후술하는 힌지부(31)에 의해 회전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2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40)는 상기 도어부(30)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1)를 상기 본체부(20)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 이중 락킹부(50)는 도어부(30)를 이중으로 락킹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도어부(30)가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 이중 락킹부(50)는 1차적으로 도어부(30)를 락킹시키고, 2차적으로 도어부(30)를 락킹함으로써, 방수 케이스가 낙하 및 외부 충격으로 도어부(30)가 쉽게 열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도어 이중 락킹부(5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도어 이중 락킹부(5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도어 이중 락킹부(5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도어 이중 락킹부(5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도어 이중 락킹부(50)는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형성되는 락커홈(51)과, 제 1 락커부(52)와, 상기 본체부(20)에 형성되는 이동 락커홈(53) 및 제 2 락커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락커부(52)는 상기 도어부(30)를 힌지부(31)에 의해 회전시 1차적으로 상기 락커홈(51)으로부터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30)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락커부(54)는 상기 이동 락커홈(53)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 락커홈(53)내에서 이동함에 따라서 2차적으로 상기 제 1 락커부(52)의 걸림을 지지하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제 2 락커부(54)에는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돌기(25)(26)와 착탈에 따라서 상기 제 2 락커부(54)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부(7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70)는 제 1, 2 스토퍼홈(71)(7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스토퍼홈(71)은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형성된 제 1 스토퍼 돌기(25)와 착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 스토퍼홈(72)은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형성된 제 2 스토퍼 돌기(26)와 착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언급한 도 1과 같이,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는 프론트 커버부(21)와, 윈도우부(22) 및 리어 커버부(23)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부(21)는 전면에 개구(21a)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21a)에 후술하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부(22)를 부착한다. 상기 윈도우부(22)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부(21)의 전면에 부착됨은 물론 상기 프론트 커버부(21)내에 구비된 전자 기기(1)의 표시부(미도시 됨)를 외부에 표시한다. 상기 리어 커버부(23)는 상기 프론트 커버부(21)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부(21)의 후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커버부(21)와 상기 리어 커버부(23)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특히, 상기 프론트 커버부(21)의 외측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은 러버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프론트 커버부(21)의 내측은 전자 기기(1)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도어부(30)에는 상기 본체부(20)에 형성된 사이드 힌지암(미도시 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센터 힌지암(미도시 됨)을 형성한 힌지부(31)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부(30)에는 상기 도어부(30)에 형성된 이어잭홀(30c)과 인터페이스홀(30d)을 방수하기 위해서 이어잭 커버부(32) 및 인터페이스 커버부(33)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부(30)에는 마이크홀(30a)과 스피커홀(30b)이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홀(30a)과 상기 스피커홀(30b)을 방수하기 위해 방수 부재(34)가 부착된다. 상기 방수 부재(34)는 피티에프이(PTFE)나 테미시(TEMISH)와 같은 방수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 부재(34)는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를 물속에 넣을 경우 전자 기기(1)의 마이크(미도시 됨)와 스피커(미도시 됨)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수 부재(34)는 앞서 언급한 피티에프이(PTFE)나 테미시(TEMISH)와 같은 방수 부재(34)이외에 다른 종류의 방수 부재(34)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40)는 러버 재질의 탄성 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밴드의 양일단에는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형성된 돌기(24)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 밴드를 상기 본체부(20)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장착부(4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40)는 러버 재질의 탄성 밴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내에서 전자 기기(1)를 탄성력에 의해 인출시킬 수 있는 다른 구성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40)의 다른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탄성 부재(4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9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40)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에는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20a)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판 스프링을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51)이 구비된다.
즉,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 기기(1)를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인입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의 일단이 상기 판 스프링과 접촉됨과 동시에 눌려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 이중 락킹부(50)의 걸림을 해제시키면, 도어부(30)가 열리고, 압축된 판 스프링이 인장됨과 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내에 구비된 상기 전자 기기(1)를 자동으로 인출시킨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의 방수 케이스의 구성 중 탄성 부재(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0과 같이, 상기 탄성 부재(4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60a)은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형성된 고정부(201)에 결합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일단(60b)은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형성된 이동부(202)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 기기(1)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부(202)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을 인장 및 압축시킨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 내의 양측에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자 기기(1)를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 내로 인입시 상기 전자 기기(1)의 양측면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일단(60b)에 구비된 이동부(202)와 접촉되고, 이때 상기 전자 기기(1)를 좀 더 밀어서 인입시키면, 상기 전자 기기(1)와 이동부(202)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 이중 락킹부(50)의 걸림을 해제시키면, 도어부(30)가 열리고, 압축된 코일 스프링이 인장됨과 동시에 탄성력이 발생되고, 상기 이동부(202)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 이동함은 물론, 상기 전자 기기(1)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자 기기(1)는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로부터 자동으로 인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상기 방수 케이스의 조립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언급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는 프론트 커버부(21) 및 리어 커버부(23)로 이루어지고,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부(22)를 상기 프론트 커버부(21)의 전면 개구(21a)에 부착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부(21)내에 형성된 돌기(24)에 상기 탄성 밴드의 양일단에 형성된 장착부(41)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부(21)의 후면에 상기 리어 커버부(23)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한다. 상기 커버부들에 형성된 사이드 힌지암(미도시 됨)에 도어부(30)의 센터 힌지암(미도시 됨)을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도어부(30)에는 이어잭 커버부(32) 및 인터페이스 커버부(33)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부(30)에 형성된 마이크홀(30a) 및 스피커홀(30b)은 방수를 위해 방수 부재(34)가 부착된다. 상기 도어부(30)에는 방수를 위해 실리콘 부재(30e)가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의 하부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의 하부에 형성된 인입/인출홀(20b; 도 6에 도시됨)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1)가 인입되고, 상기 전자 기기(1)는 어느 정도 인입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내에 구비된 탄성 부재(40)와 접촉되고, 이때, 상기 전자 기기(1)를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내로 완전히 인입하면, 상기 탄성 부재(40)의 휨을 발생시킨다. 이로인해 상기 전자 기기(1)가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에서 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0)를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함은 물론, 상기 도어부(30)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락커부(52)를 상기 본체부(20)에 형성된 락커홈(51)에 삽입함과 동시에 1차적으로 걸려 고정시킨다. 상기 제 2 락커부(54)를 상기 이동 락커홈(53)에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락커부(54)는 상기 제 1 락커부(52)의 후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2차적으로 상기 제 1 락커부(52)의 걸림을 지지한다.
상기 제 2 락커부(54)를 이동시 상기 제 2 락커부(54)에 형성된 제 1 스토퍼홈(71)은 상기 본체부(20)의 제 1 스토퍼 돌기(25)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2 락커부(54)의 제 2 스토퍼홈(72)은 상기 본체부(20)의 제 2 스토퍼 돌기(26)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제 2 락커부(54)가 이동하면, 상기 제 2 락커부(54)의 제 1, 2 스토퍼홈(71)(72)이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 2 스토퍼홈(72)은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2 스토퍼 돌기(26)에 결합됨은 물론, 상기 제 2 락커부(54)의 이동을 제안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2 락커부(54)는 상기 제 1 락커부(52)의 후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락커부(52)의 걸림을 지지함은 물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 1 락커부(52)가 상기 락커홈(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락커부(52)는 이중으로 걸림으로 인해 도어부(30)의 락킹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 기기(1)가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 인입됨과 동시에 방수가 가능하여 상기 전자 기기(1)내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에서 상기 전자 기기(1)를 인출시킬 경우, 먼저, 상기 이동 락커홈(53)에서 상기 제 2 락커부(54)를 밀어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락커부(54)의 제 1, 2 스토퍼홈(71)(72)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 2 스토퍼홈(72)은 상기 제 2 스토퍼 돌기(26)로부터 분리됨은 물론 상기 제 1 스토퍼홈(71)은 상기 제 1 스토퍼 돌기(2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 2 락커부(54)의 이동을 제안한다.
상기 제 2 락커부(54)는 상기 제 1 락커부(52)와 분리됨을 물론 상기 제 1 락커부(52)의 걸림 지지를 해제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락커부(52)를 누르면, 상기 제 1 락커부(52)는 휨이 발생됨과 동시에 상기 락커홈(51)에서 이탈된다.
상기 도어부(30)의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 기기(1)는 탄성 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도어부(30)를 밀면서 상기 본체부(20)에서 인출됨은 물론, 상기 도어부(30)는 상기 본체부(20)의 인입/인출홀(20e)을 개방시킨다.
즉, 인출되는 상기 전자 기기(1)는 상기 도어부(30)를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를 개방시킨다.
상기 도어부(30)는 1차적으로 상기 제 1 락커부(52)에 의해 락킹되어, 상기 전자 기기(1)를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이때, 상기 제 1 락커부(52)는 상기 제 2 락커부(54)에 의해 2차적으로 락킹되고, 상기 제 1 락커부(52)는 외부 충격이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으로 인해서 상기 도어부(3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20)내에 구비된 전자 기기(1)는 제 1, 2 락커부(52)(54)에 의해 어떠한 충격에서도 도어부(30)가 열리지 않아 이탈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수 케이스(미도시 됨)는 상기 방수 케이스(미도시 됨)내에 구비된 전자 기기(미도시 됨)를 사용시 밀봉된 상기 방수 케이스를 직접 열고 상기 전자 기기(미도시 됨)를 상기 방수 케이스(미도시 됨)로부터 인입/인출시켜야함으로, 방수 케이스로부터 전자 기기(미도시 됨)의 인입/인출이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존의 방수 케이스(미도시 됨)가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수 케이스 본체부(20; 도 1에 도시됨)의 도어부(30; 도8에 도시됨)를 개폐시 전자 기기(1; 도8에 도시됨)가 상기 방수 케이스로부터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40; 도1에 도시됨)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기를 방수 케이스로부터 간편하게 인출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방수 케이스 본체부에 도어부를 이중으로 락킹시키는 도어 이중 락킹부(50)를 구성함으로써, 방수 케이스가 외부 및 낙하에 따른 충격에도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방수 케이스 본체부 : 20 도어부 : 30
탄성 부재 : 40 도어 이중 락킹부 : 50
프론트 커버부 : 21 윈도우부 : 22
리어 커버부 : 23 힌지부 : 31
이어잭 커버부 : 32 인터 페이스 커버부 : 33
방수 부재 : 34 장착부 : 41
고정홀 : 51 고정부 : 201
이동부 : 202 락커홈 : 51
제 1 락커부 : 52 이동 락커홈 : 53
제 2 락커부 : 54 스토퍼부 : 70
제 1, 2 스토퍼홈 : 71, 72 전자 기기 : 1

Claims (14)

  1.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 기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도어부를 이중으로 락킹시키는 도어 이중 락킹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러버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밴드, 판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3.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를 상기 본체부들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인출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도어부를 이중으로 락킹시키는 도어 이중 락킹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케이스 본체부는, 프론트 커버부;
    상기 프론트 커버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윈도우부; 및
    상기 프론트 커버부의 후면에 구비되는 리어 커버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커버부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부에는 이어잭 커버부 및 인터페이스 커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도어부에 형성된 마이크홀 및 스피커홀을 방수하기 위해 방수 부재가 더 구비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탄성 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밴드의 양일단에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장착시키는 장착부가 더 구비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는 러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판 스프링을 상기 본체부에 장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더 구비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결합되고, 타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자 기기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을 인장 및 압축시키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중 락킹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락커홈;
    상기 도어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락커홈으로부터 걸리거가 걸림을 해제시키는 제 1 락커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이동 락커홈; 및
    상기 이동 락커홈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이동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락커부의 걸림 및 걸림 해제를 지지하는 제 2 락커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락커부에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돌기와 착탈에 따라서 상기 제 2 락커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부가 더 형성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제 1 스토퍼 돌기와 착탈되는 제 1 스토퍼홈; 및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제 2 스토퍼 돌기와 착탈되는 제 2 스토퍼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KR1020130073025A 2013-05-29 2013-06-25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KR201401414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04,352 2013-05-29
US13/904,352 US20140353178A1 (en) 2013-05-29 2013-05-29 Waterproof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401A true KR20140141401A (ko) 2014-12-10

Family

ID=4900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025A KR20140141401A (ko) 2013-05-29 2013-06-25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353178A1 (ko)
EP (1) EP2807944A3 (ko)
KR (1) KR20140141401A (ko)
TW (1) TW2014447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967A1 (ko) * 2015-09-18 2017-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기능 제어 방법
KR200483755Y1 (ko) * 2016-07-22 2017-06-20 홍석준 휴대폰 보호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1597B2 (en) * 2013-09-12 2015-10-2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internal suspension system
JP1522939S (ko) * 2014-09-10 2015-05-11
US9864257B1 (en) * 2016-09-19 2018-01-09 Gopro, Inc. Camera frame with side door
USD860181S1 (en) 2017-01-20 2019-09-17 Steven Wang Mobile device case
US10413028B2 (en) * 2017-01-20 2019-09-17 Steven Wang Mobile device case for wet environments
KR102472235B1 (ko) * 2018-07-19 2022-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E202019107267U1 (de) 2018-08-07 2020-02-27 Gopro, Inc. Kamera und Kamerahalterung
USD905786S1 (en) 2018-08-31 2020-12-22 Gopro, Inc. Camera mount
USD894256S1 (en) 2018-08-31 2020-08-25 Gopro, Inc. Camera mount
US10694083B1 (en) * 2019-01-04 2020-06-23 Gopro, Inc. Camera expansion frames and modules
US11696004B2 (en) 2019-09-13 2023-07-04 Gopro, Inc. Image capture device
USD920419S1 (en) 2019-09-17 2021-05-25 Gopro, Inc. Camera
CN111258379B (zh) * 2020-01-17 2021-06-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组件及保护壳
USD946074S1 (en) 2020-08-14 2022-03-15 Gopro, Inc.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5705A1 (de) * 1993-02-25 1994-09-01 Erich Mekyska Kg Behälter zur Aufbewahrung blatt-, platten- oder kartenförmiger Gegenstände
JP4432202B2 (ja) * 2000-04-21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ド型記録媒体の収納ケースと収納ケースホルダと電子機器
DE102008013524A1 (de) * 2007-03-08 2008-10-30 Freie Universität Berlin Hartschalenbehälter für ein Notebook oder dergleichen
US8550714B2 (en) * 2009-10-19 2013-10-08 Alexander Danch Sealable enclos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967A1 (ko) * 2015-09-18 2017-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기능 제어 방법
KR200483755Y1 (ko) * 2016-07-22 2017-06-20 홍석준 휴대폰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44746A (zh) 2014-12-01
EP2807944A2 (en) 2014-12-03
US20140353178A1 (en) 2014-12-04
EP2807944A3 (en)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1401A (ko)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US8051980B2 (en) Protective sleev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2640042A1 (en) Waterproof case for portable terminal
TWI580333B (zh) 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保護殼體結構
US8958857B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20305422A1 (en)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US20140066144A1 (en) Waterproof Phone Case
US20140353179A1 (en) Waterproof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20050287853A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KR20080047255A (ko) 휴대 단말 장치
JP2009111720A (ja) 携帯機器
KR200465497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CN103427224A (zh) 移动终端
US922333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etachable protection cover
TW201428448A (zh) 電子裝置保護殼
US8238969B2 (en) Mobile device
KR20120073053A (ko)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TWM563722U (zh) 用於電子裝置連接埠之可快速開啟閉合防水防塵掀蓋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CN102821569A (zh) 内置伸缩耳机的终端设备
KR200419350Y1 (ko)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KR200381961Y1 (ko) 반개방형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KR102626226B1 (ko) 폴더블 휴대기기용 부착형 자동 힌지 보호 커버
CN216387926U (zh) 一种电子设备
KR100800828B1 (ko) 배터리 커버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