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053A -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053A
KR20120073053A KR1020100135034A KR20100135034A KR20120073053A KR 20120073053 A KR20120073053 A KR 20120073053A KR 1020100135034 A KR1020100135034 A KR 1020100135034A KR 20100135034 A KR20100135034 A KR 20100135034A KR 20120073053 A KR20120073053 A KR 2012007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ver
main body
terminal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3053A/ko
Priority to US13/326,867 priority patent/US8419451B2/en
Publication of KR2012007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본체에 노출되게 위치하는 연결 단자의 커버를 반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개폐장치는 본체 외부에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 상기 연결 단자 입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연결 단자와 근접한 본체 소정 영역의 누름 동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닫히는 단자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단자 커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단자 커버의 자동으로 닫히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CONNECTING TERMINAL CLOSING DEVICE FOR POR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IF 단자 등을 반자동으로 닫을 수 있는 연결 단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피디에이, 노트북, 태블릿 피씨, 웹하드, 휴대 저장기기, 외장 하드 등의 기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외부 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본체 소정 위치에 각종 연결 단자가 배치되고, 별도의 범용 콘넥터 등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외부 기기로는 컴퓨터나 저장 기기 등이 될 수 있고, 각종 보조 장치, 예를 들어 이어폰이나 헤드폰, 마우스, 키보드 등이 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본체를 포함하는데, 본체는 상면에 데이터 입출력부, 송수화부 등을 배치하고, 하면에 배터리 팩 등을 배치하며, 둘레 측면에 각종 연결 단자, 이어폰 연결 단자 등이 배치되며, 이러한 연결 단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들이 구성되어 왔다.
아이에프 단자와 같은 각종 연결 단자를 개폐하는 종래의 커버는 단순한 슬라이딩 이동으로 개폐하는 구조였다. 이러한 커버 개폐구조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열린 상태로 놓게 되면, 외부환경으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본체 내부 또는 연결 단자로 침입하게 되어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커버는 러버 재질의 연결 고리가 달려서, 손으로 닫힌 상태의 단자 커버를 뜯어내는 방식으로 개폐하는 구조가 있다. 이러한 커버 개폐구조는 사용자가 단자 커버를 단자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열린 상태로 놓을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 휴대가 불편하고, 러버 재질의 고리에 손상이 가해져서 커버가 이탈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외부에 노출된 단자 커버가 열려진 상태에서, 외부의 잔 충격이나 단순한 누름 동작으로 단자 커버를 닫을 수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본체 내로의 외부 이물질 침입을 최소화한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외부에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 상기 본체에 구비된 외장 커버; 상기 연결 단자 입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장 커버 소정 영역 누름 동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닫히는 단자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외장 커버 사이에 상기 단자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단자 커버의 자동으로 닫히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외부에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 상기 연결 단자 입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연결 단자와 근접한 본체 소정 영역의 누름 동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닫히는 단자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단자 커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단자 커버의 자동으로 닫히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잔 충격이나 단순한 누름 동작으로 단자 커버를 닫을 수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연결 단자 또는 연결 단자를 통한 본체 내로의 외부 이물질 침입을 최소화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단자 커버가 열렸다고 하더라고, 부주의한 눌림 동작으로 열린 단자 커버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어서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 개폐장치가 채용된 휴대 단말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 개폐장치에 채용된 단자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 개폐장치에 채용된 단자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 개폐장치에 채용된 단자 커버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 개폐장치에 채용된 더미 커버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커버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커버와 더미 커버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가 단자 커버에 고정되는 상태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 소정 영역 내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이하 '개폐장치'라 한다)는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대략 화살표 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본체(10)에서 외부로 노출된 연결 단자(단자 커버에 의해 가려져서 미도시됨), 예를 들어 아이에프 단자가 단자 커버(30)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된다. 즉, 상기 단자 커버(30)가 본체(10) 하면에서 착탈되는 외장 커버(20)의 소정 영역이 사용자의 강제적인 힘에 의한 눌러짐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눌러짐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본체(10)에 외장 커버(20)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본체 하면에서 외장 커버(20)가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장 커버(20) 소정 영역이 눌러져서 단자 커버(30)가 연결 단자를 폐쇄시키는 구성이나,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본체(10) 소정 영역이 눌려져, 연결 단자가 단자 커버(3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 장치는 아이에프 단자가 본체(10) 하단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본체(10) 하부 저면, 구체적으로 상기 외장 커버(20) 하부면에 장착되는 구조이지만, 상기 연결 단자가 본체(10) 상면이나 측면에 배치된다면, 상기 개폐장치도 상기 연결 단자가 위치한 곳에 배치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장 커버(20)는 본체(10) 외부면에 구비되는 각종 커버에 채용되는데, 상기 본체(10) 외부면에 구비되는 배터리 커버, 특히 상기 본체(10) 저면에서 착탈되는 배터리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외장 커버(20)를 배터리 커버(20)로 지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연결 단자가 본체(10) 하단면에 구비되고, 연결 단자 입구(11)가 본체(10) 하단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개폐장치가 본체(10) 하단면에 배치되고, 상기 눌러지는 영역은 배터리 커버(20) 하부면(200)에 위치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 커버(20) 소정 영역은 상기 배터리 커버(20) 하부 영역쪽에서 상기 단자 커버(30)와 근접한 평탄한 면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소정 영역은 별도의 누르기 편한 볼록한 형상으로 별도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배터리 커버(20) 하부 영역을 전부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배터리 커버(20)에 구비된 돌기(21;도 8에 도시됨)와 근접한 곳일수록 누름 동작이 정확하겠지만, 상기 배터리 커버(20) 하부 영역을 잔 충격이나, 사용자가 의도적인 약간의 힘을 제공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후술하는 돌기의 누름 동작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배터리 커버(20)가 경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장치는 단자 커버(30)와, 탄성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커버(30)는 상기 연결 단자 입구(11),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 하단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20) 소정 영역의 누름 동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상기 연결 단자 입구(11)를 폐쇄한다.
상기 탄성부(50)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배터리 커버(20) 사이에서 상기 단자 커버(30)와 단자 커버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된 후 연결되어서, 상기 단자 커버(30)의 자동으로 닫히는 힘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탄성부(50)는 상기 본체(10)와 단자 커버(30) 사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데, 상기 단자 커버(30)가 상기 연결 단자 입구(11)에서 열린 상태일 경우, 상기 탄성부(50)는 탄성력(상기 단자 커를 당기는 힘)을 유지한 채로 팽팽하게 연결된 상태로 되고, 상기 소정 영역의 누름에 의해 상기 단자 커버(30)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50)에 의해 상기 단자 커버(30)는 연결 단자 입구(11)를 폐쇄한다.
상기 탄성부(50)는 고 탄성 재질의 러버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50)의 연결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와 함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 커버(30)는 상기 연결 단자 입구(11)에 배치되는데, 상기 연결 단자 입구(11)는 연결 단자가 배치되는 본체 어느 곳이나 구성가능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아이에프 단자가 주로 배치되는 본체(10) 하단면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 커버(30)는 수직 연장부(31)와, 개폐용 돌기(33)와, 수평 연장부(32)와, 텐션부(34)와, 고정 돌기(35)와, 슬라이딩 돌기(36)와, 걸림 돌기(37)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연장부(31)는 상기 연결 단자 입구(11)에 배치되어서 상기 단자 커버(30)의 이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연결 단자 입구(11)를 개폐한다. 상기 개폐용 돌기(33)는 상기 수직 연장부(31) 외면에 형성되는 일종의 손잡이로서, 상기 수직 연장부(31) 외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다. 상기 수평 연장부(33)는 상기 수직 연장부(31)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대략 90도 정도 절곡되어 상기 더미 커버(40) 내로 배치된다. 상기 텐션부와 고정 돌기 및 슬라이딩 돌기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더미 커버(40)는 상기 본체(10) 내에 장착되어 상기 단자 커버(30)와 연동된다. 상기 더미 커버(40)는 평탄부(41)와 가이드 개구(42)와, 로킹용 개구(43) 및 체결부(45)를 포함한다. 상기 평탄부(41)는 상기 상기 체결부(45)에 의해 본체(10)에 결합되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개구(42)는 상기 평탄부(41)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 커버(30)가 수용된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개구(42)의 형성방향은 상기 단자 커버(30)의 이동방향인데, 상기 본체(10) 가로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된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단자 커버(30)의 로킹 및 로킹 해제를 위한 로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커버(3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유지를 도와주는 위치 유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단자 커버(30)의 로킹 상태(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20; 도 1에 도시됨)의 누름 동작에 따라서 로킹이 해제되는 메카니즘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평탄부(41) 소정 위치에 구비된 로킹용 개구(43)와, 상기 수평 연장부에 캔틸레버식으로 구비된 텐션부(34)와, 상기 텐센부(34)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킹용 개구(43)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단자 커버(30)의 로킹 또는 로킹 해제하는 로킹용 돌기(35)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용 개구(43)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킹용 돌기(35)는 반구형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로킹용 개구(43)에서 상기 로킹용 돌기(35)의 결합 또는 이탈이 원할하다. 이 때, 상기 로킹용 돌기(35)와 상기 로킹용 개구(43) 간의 로킹력은 상기 탄성부(50;도 2에 도시됨)의 탄성력보다 강하다. 따라서, 상기 로킹용 돌기(35)가 상기 로킹용 개구(34)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단자 커버(30)는 열린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킹용 개구(43)에서 상기 로킹용 돌기(35)가 점차적으로 이탈하게 되면, 상기 단자 커버(30)는 상기 탄성부의 힘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위치 유지부는 상기 단자 커버(3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담당하거나 도와주는 메카니즘으로서, 상기 위치 유지부는 상기 수평 연장부에서 본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36)와, 상기 본체(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36)와의 연동으로 상기 단자 커버(3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각각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101,102)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01,102)는 두 개로 구성되는 데, 한 개의 스토퍼(101)는 상기 본체 일측쪽으로, 다른 한 개의 스토퍼(102)는 상기 본체 타측쪽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01,102)는 연결 단자 입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킹용 돌기(36)와의 원할한 슬라이딩 면접촉을 위해서 산 형상으로 곡형으로 본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 커버(3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로킹용 돌기(36)는 상기 스토퍼(101,102)와 슬라이딩 면접촉 이동을 하는데, 상기 단자 커버(3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는 일차적으로 상기 로킹부가 각각 담당하고, 이차적으로 상기 단자 커버(3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이차적으로 각각 잡아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50)는 선형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일단과 타단을 구비한다. 상기 일단(52)은 상기 단자 커버(30)의 고정 돌기(37)와 연결되고, 상기 타단(51)은 상기 본체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조에 따라서, 상기 단자커버가 연결 단자 입구에서 열린 상태이면, 상기 탄성부(50)는 최대의 탄성력을 유지한 채로 팽창되어서 상기 단자 커버(30)를 닫히려는 방향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탄성부(50)는 상기 단자 커버(30)가 열리면, 당기는 힘을 항시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커버(20) 소정 영역 내부면(202)에는 수직 하방으로 볼록한 돌기(21)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21)는 누름 동작에 따라서 상기 단자 커버(30;도 1에 도시됨)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 때, 상기 단자 커버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돌기(21)가 위치한 곳이나, 근처를 누르면, 상기 돌기(21)는 눌려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Claims (17)

  1.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에 있어서,
    본체 외부에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
    상기 본체에 제공된 외장 커버;
    상기 연결 단자 입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장 커버 소정 영역 누름 동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닫히는 단자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외장 커버 사이에 상기 단자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단자 커버의 자동으로 닫히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 소정 영역은 상기 외장 커버 하부쪽에서 상기 단자 커버와 근접한 평탄한 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 소정 영역 내부면에는 수직 하방으로 볼록한 돌기가 더 구비되어서, 상기 누름 동작에 따라서 상기 단자 커버의 로킹 상태를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단자 커버와 연동되는 더미 커버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는
    상기 단자 입구에 배치되어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단자 입구를 개폐하는 수직 연장부;
    상기 수직 연장부 외부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된 개폐용 돌기;
    상기 수직 연장부에서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더미 커버 내로 배치되는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수평 연장부 하면에 상기 탄성부 일단이 연결된 고정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커버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 커버가 수용된 채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개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커버와 상기 단자 커버 사이에는 상기 단자 커버의 열린 상태를 고정하는 로킹부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평탄부 소정 위치에 구비된 로킹용 개구;
    상기 수평 연장부에 캔틸레버식으로 구비된 텐션부; 및
    상기 텐센부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킹용 개구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단자 커버의 로킹 또는 로킹 해제하는 로킹용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단자 커버 사이에는 위치 유지부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유지부는
    상기 수직 연장부에서 상기 본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본체에 상기 단자 커버 입구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대면하게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연동으로 상기 단자 커버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각각 유지하는데 도와주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고탄성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고, 일단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단자 커버에 고정되어서 상기 단자 커버를 닫히려는 방향쪽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는 배터리 커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13. 휴대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에 있어서,
    본체 외부에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
    상기 연결 단자 입구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연결 단자와 근접한 본체 소정 영역의 누름 동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닫히는 단자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단자 커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단자 커버의 자동으로 닫히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단자 커버 사이에 상기 단자 커버의 슬라이딩에 따라서 연동되는 더미 커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커버와 더미 커버 사이에 상기 단자 커버의 닫힌 상태를 고정하는 로킹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단자 커버 사이에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를 도와주는 위치 유지부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와 근접한 본체 소정 영역은 상기 본체 하부 하면이고, 상기 본체 하부 하면은 평탄면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KR1020100135034A 2010-12-24 2010-12-24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KR20120073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34A KR20120073053A (ko) 2010-12-24 2010-12-24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US13/326,867 US8419451B2 (en) 2010-12-24 2011-12-15 Cover for a connection terminal of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034A KR20120073053A (ko) 2010-12-24 2010-12-24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053A true KR20120073053A (ko) 2012-07-04

Family

ID=4631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034A KR20120073053A (ko) 2010-12-24 2010-12-24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19451B2 (ko)
KR (1) KR201200730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053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TWI462025B (zh) * 2011-11-30 2014-11-21 Wistron Corp 具有可動式插卡結構之卡讀取器及電子裝置
TWI475762B (zh) * 2013-04-12 2015-03-01 Giga Byte Tech Co Ltd 門蓋機構
KR102123814B1 (ko) * 2013-05-08 2020-06-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362A (en) * 1993-10-29 1997-01-0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system having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external expansion unit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TWM304154U (en) * 2006-06-15 2007-01-01 Quanta Comp Inc Closing mechanism
CN101568233B (zh) * 2008-04-22 2011-06-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1049347B1 (ko) * 2009-02-27 2011-07-13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 및 이의 가이드유닛
KR101660531B1 (ko) * 2009-12-30 201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커버 개폐 장치
KR20120073053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4858A1 (en) 2012-06-28
US8419451B2 (en)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2372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223356B2 (en) Electronic device
US20070218961A1 (en) Battery cover assembly
US8481202B2 (en) Battery cover assembly
US8248812B2 (en) Cover latch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9004247B2 (en) Mobile power pack with built-in retractable cable
KR20140141401A (ko)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US20100035136A1 (en) Battery fix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062782B2 (en) Battery latch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081189A (ko)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KR20120073053A (ko) 휴대 단말기의 연결 단자 개폐장치
KR20150081752A (ko)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CN202095209U (zh) 连接端子开闭装置
KR200473245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7775812B2 (en) Connection device to which electric device is connected and having dust-proof function
US9040818B2 (en) Dust-proof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1621118A (zh) 电池盖卡锁结构
JP5717170B2 (ja) 電子機器、及びケース
US20100188805A1 (en) Cover releasing mechanisms
CN213461197U (zh) 充电设备及充电系统
US8779289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1107060B1 (ko) 휴대 단말기
KR200474127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JP2009246454A (ja) 接続機器
JP2003333145A (ja) 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