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350Y1 -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350Y1
KR200419350Y1 KR2020060008342U KR20060008342U KR200419350Y1 KR 200419350 Y1 KR200419350 Y1 KR 200419350Y1 KR 2020060008342 U KR2020060008342 U KR 2020060008342U KR 20060008342 U KR20060008342 U KR 20060008342U KR 200419350 Y1 KR200419350 Y1 KR 200419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bile phone
keypad
terminal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준
Original Assignee
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준 filed Critical 정영준
Priority to KR2020060008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더방식의 개폐동작과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에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개별적으로 삽입/연결하여 그 외장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케이스에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의 연결부위에 삽입/연결되는 연결편을 돌출/형성시킴으로써, 그 연결부위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케이스에 키패드부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보호케이스는 키패드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하부케이스의 일측 상부에 상기 제1 힌지구의 양측을 감싸며, 상기 키패드부와 하부케이스가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힌지구의 돌출부가 삽입/연결되는 수용홈을 갖는 연결편이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단부에 상기 키패드부를 감싸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상부케이스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가 디스플레이부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걸림턱이 돌출/형성된다.
휴대폰, 단말기, 키패드부, 디스플레이부, 케이스

Description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 보호케이스{A terminal protection case of a folder and flip type cellular phone}
도 1은 종래 휴대폰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가 휴대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가 휴대폰에 적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 및
도 5a 및 5b는 본 고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가 휴대폰에 적용된 상태에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폰의 단말기 보호케이스 110 : 하부케이스
116 : 연결편 117 : 수용홈
120 : 상부케이스 H : 휴대폰
본 고안은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방식의 개폐동작과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에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개별적으로 삽입/연결하여 그 외장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케이스에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의 연결부위에 삽입/연결되는 연결편을 돌출/형성시킴으로써, 그 연결부위를 보호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 키패드부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생활의 편의성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휴대폰용 단말기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폰용 단말기는 때와 장소 및 거리에 국한되지 않고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장점과, DMB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 Casting)의 서비스 개시로 이동하며 전화통화는 물론 TV를 시청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더욱 많은 수요가 예상되는 생활필수품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용 단말기는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 간의 개폐방식에 따라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으로 크게 구분되며, 근래에는 이중 2가지의 결합형태를 함께 채택하여 사용하는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폰용 단말기는 주로 외부에서 사용하거나 이동중에 사용하기 때문에 자칫 사용자의 실수로 바닥에 떨어트릴 경우, 본체 및 그 내부기능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휴대폰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휴대폰용 단말기를 케이스 내에 삽입하여 휴대 가능하도록 한 단말기 케이스에 대해 개시하기로 한다.
이에 종래의 단말기 케이스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케이스(10)는 휴대폰(H)의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상부커버(11a)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부를 수용하는 하부커버(11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11a)와 하부케이스(11b)는 그 내측에 휴대용 단말기(H)의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12)가 각각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다수개의 걸림편(13)이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1a)와 하부케이스(11b)의 공간부(12)에 휴대용 단말기(H)의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를 삽입하면, 상기 걸림편(13)이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를 감싸 상/하부케이스(11a,11b)로 하여금 외부충격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파손을 방지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휴대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휴대폰 단말기와 케이스의 연결관계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얇은 걸림편 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말기에 작은 충격이 가해져도 케이스가 단말기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휴대폰케이스에 대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구비된 제1, 2 힌지구를 통해 폴더방식의 개폐동작과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를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통해 그 외장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기 제1 힌지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연결편을 돌출/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키패드부와 하부케이스가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는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편을 통해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구를 보호함으로써,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외장뿐만 아니라 그 연결부위까지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구비된 제1, 2 힌지구을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선택적으로 플립방식의 개폐동작과 폴더방식의 개폐동작이 가능한 단말기의 외장을 보호하기 위한 단말기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보호케이스는
상기 키패드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하부케이스의 일측 상부에 상기 제1 힌지구의 양측을 감싸며, 상기 키패드부와 하부케이스가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힌지구의 돌출부가 삽입/연결되는 수용홈을 갖는 연결편이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단부에 상기 키패드부를 감싸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상부케이스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가 디스플레이부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걸림턱이 돌출/형성된다.
먼저, 본 고안의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를 설명함에 앞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와 밀접하게 접목되는 휴대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폰 단말기(H)는 키패드부(20)와 디스플레이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패드부(20)와 디스플레이부(30) 사이에는 제1 힌지구(41)와 제2 힌지구(5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플레이부(30)를 통해 폴더방식의 개폐동작과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선택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 힌지구(41)는 제1 중심축(43)을 통해 힌지/연결되어, 상기 휴대폰 단말기(H)가 폴더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힌지구(41)의 양측에는 각각 돌출부(4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힌지구(51)는 상기 제2 중심축(53)이 상기 제1 힌지구(51)의 일측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휴대폰 단말기(H)가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적용되는 휴대폰 단말기(H)는 폴더방식의 개폐동작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선택적으로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부(20)는 그 하부에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키패드부(20)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 및 다양한 아이콘들을 볼 수 있도록 액정패널(31)이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휴대폰 단말기(H)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듀얼창(미도시)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휴대폰의 구성 및 그 설명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가 휴대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가 휴대폰에 적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100)는 휴대폰 단말기(H)의 키패드부(20)를 수용하여 그 외장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케이스(110)와 휴대폰 단말기(H)의 디스플레이부(30)를 수용하여 그 외장을 보호하기 위한 상부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그 테두리부에 상기 키패드부(20)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는 제1 절곡편(112)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키패드 부(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공간부(114)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절곡편(112)의 타측에는 상기 키패드부(20)에 하부케이스(110)를 결합한 상태에서 휴대폰 단말기(H)를 충전하기 위한 24핀 커넥터(미도시)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공(1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절곡편(112)은 그 일측 상부에 서로 대칭관계를 갖는 한 쌍의 연결편(116)이 각각 돌출/형성되고, 그 타측 단부에 복수개의 제1 걸림턱(118)이 돌출/형성되며, 전/후방 측면에는 상기 키패드부(20)에 하부케이스(110)을 결합한 상태에서 휴대폰 단말기(H)를 충전용 거치대(미도시)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거치홈(1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편(116)은 그 내측에 상기 휴대폰 단말기(H)의 돌출부(45) 외형과 동일한 내주면 형상을 갖는 수용홈(117)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키패드부(20)를 하부케이스(110)의 제1 공간부(114)에 삽입하면, 상기 제1 절곡편(112)의 내면이 키패드부(20)의 외주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제1 걸림턱(118)이 상기 키패드부(20)의 상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16)의 수용홈(117)에는 상기 제1 힌지구(41)의 양측 돌출부(45)가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1 힌지구(41)를 감싸/보호한다.
이때, 상기 제1 걸림턱(118)은 상기 하부케이스(110)에서 키패드부(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키패드부(20)의 버튼을 자유롭게 누를 수 있을 정도의 소정부위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1 걸림턱(118) 및 한 쌍의 연결편(116)을 통해 키패드부(20)가 하부케이스(110)와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연결편(116)이 상기 키패드부(20)와 디스플레이부(30)의 연결부위를 보호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20)는 그 테두리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는 제2 절곡편(122)이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2 공간부(124)가 마련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상부케이스(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액정패널(31)의 반대편에 설치된 듀얼창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창(126)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창(126)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듀얼창을 함께 보호하고자 하면, 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20)에 개방창(126)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절곡편(122)은 그 단부에 다수개의 제2 걸림턱(128)이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상부케이스(120)의 제2 공간부(124)에 삽입하면, 상기 제2 절곡편(122)의 내주면이 디스플레이부(30)의 외주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제2 걸림턱(128)이 디스플레이부(30)의 일측을 감싸 상기 상부케이스(120)가 디스플레이부(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제2 걸림턱(128)은 상기 상부케이스(120)에서 디스플레이부(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30)의 액정패널(31)이 외부에서 잘 보일 수 있을 정도의 소정부위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 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는 폴더방식의 개폐동작과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는 휴대폰 단말기를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통해 그 외장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케이스에 연결편을 돌출/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연결부위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케이스가 키패드부에 더욱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의 동작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5b는 본 고안에 따른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가 휴대폰에 적용된 상태에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폴더방식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20)가 삽입/연결된 디스플레이부(30)를 상기 제1 힌지구(41)를 중심으로 힌지회동시키면, 상기 휴대폰 단말기(H)는 기존의 폴더방식의 개폐동작과 동일한 방식의 개폐동작을 한다. 이와 같은 폴더방식의 개폐동작은 일반적으로 휴대폰 단말기(H)를 통한 송/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사용한다.
도 5b는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20)가 삽입/연결된 디스플레이부(30)를 상기 제2 힌지구(51)를 중심으로 힌지회동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키패드부(20)의 일측 단부에서 플립방식의 힌지회동 동작을 한다. 이와 같은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은 DMB 서비스를 통해 휴대폰 단말기(H)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할 경우 사용한다.
이때, 상기 연결편(116)이 디스플레이부(30)와 키패드부(20)를 연결하기 위 한 제1 힌지구(41)의 양측을 감싸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편(116)의 수용홈(117)에 제1 힌지구(41)의 돌출부(45)가 삽입/연결됨으로써, 상기 키패드부(20)와 하부케이스(110)가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구비된 제1, 2 힌지구를 통해 폴더방식의 개폐동작과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를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통해 그 외장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기 제1 힌지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연결편을 돌출/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키패드부와 하부케이스가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편을 통해 상기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구를 보호함으로써,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외장뿐만 아니라 그 연결부위까지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구비된 제1, 2 힌지구을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선택적으로 플립방식의 개폐동작과 폴더방식의 개폐동작이 가능한 단말기의 외장을 보호하기 위한 단말기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보호케이스(100)는
    키패드부(20)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하부케이스(110)의 일측 상부에 상기 제1 힌지구(41)의 양측을 감싸며, 상기 키패드부(20)와 하부케이스(110)가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힌지구(41)의 돌출부(45)가 삽입/연결되는 수용홈(117)을 갖는 연결편(116)이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단부에 상기 키패드부(20)를 감싸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걸림턱(118)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상부케이스(120)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20)가 디스플레이부(30)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 걸림턱(128)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상부케이스(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액정패널(31)의 반대편에 설치된 듀얼창을 용이하게 확 인할 수 있도록 개방창(1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 보호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타측에는 상기 키패드부(20)에 하부케이스(110)를 결합한 상태에서 휴대폰 단말기(H)를 충전하기 위한 24핀 커넥터를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공(11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 보호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전/후방 측면에는 상기 키패드부(20)에 하부케이스(110)를 결합한 상태에서 휴대폰 단말기(H)를 충전용 거치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거치홈(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20060008342U 2006-03-29 2006-03-29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KR200419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42U KR200419350Y1 (ko) 2006-03-29 2006-03-29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42U KR200419350Y1 (ko) 2006-03-29 2006-03-29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350Y1 true KR200419350Y1 (ko) 2006-06-20

Family

ID=4176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342U KR200419350Y1 (ko) 2006-03-29 2006-03-29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3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33B1 (ko) 2006-03-10 2008-03-07 이학래 휴대용 통신 장치용 케이스
KR200481544Y1 (ko) 2016-04-26 2016-10-12 김지선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33B1 (ko) 2006-03-10 2008-03-07 이학래 휴대용 통신 장치용 케이스
KR200481544Y1 (ko) 2016-04-26 2016-10-12 김지선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145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JP3718137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用いるスライドタイプ携帯電話
KR1011622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4975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KR10057599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450968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e portion
IL132457A (en)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0419350Y1 (ko)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US8715845B2 (en) Battery cov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399014Y1 (ko)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100747458B1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JP4974079B2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
KR100298355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힌지 장치
KR20020078373A (ko) 삼중 폴더형 단말기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KR20021495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분리형 힌지암
KR20020078381A (ko)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055370B1 (ko)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음 누설 방지 장치
KR1010497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JP2006115163A (ja) 折畳式情報端末の筐体傷付き防止構造、保護部品及び折畳式情報端末
KR100677304B1 (ko) 휴대폰
KR200241098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5416A (ko) 힌지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