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014Y1 -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014Y1
KR200399014Y1 KR20-2005-0022382U KR20050022382U KR200399014Y1 KR 200399014 Y1 KR200399014 Y1 KR 200399014Y1 KR 20050022382 U KR20050022382 U KR 20050022382U KR 200399014 Y1 KR200399014 Y1 KR 200399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lower case
hinge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준
Original Assignee
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준 filed Critical 정영준
Priority to KR20-2005-0022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를 휴대폰의 홈부에 삽입/연결하여 휴대폰을 하부케이스에 고정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부케이스를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와 휴대폰 간에 별도의 결합관계 없이도 휴대폰 상부를 선택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케이스에 휴대폰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대폰 긁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힌지연결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즉, 휴대폰 충전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휴대폰의 양측에 홈부가 형성된 휴대폰의 외장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휴대폰의 키패드부가 수용되는 하부케이스의 일측 양단에 연결홈이 형성된 제1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면 양측에 상기 휴대폰의 홈부에 삽입되어 휴대폰을 하부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가 수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에 힌지결합되는 상부케이스의 일측 양단에는 제2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편의 각 내면에 상기 연결홈에 삽입/연결되는 힌지핀이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Handphone case of the have a hinge brace structure}
본 고안은 휴대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케이스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를 휴대폰의 홈부에 삽입/연결하여 휴대폰을 하부케이스에 고정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부케이스를 힌지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와 휴대폰간에 별도의 결합관계 없이도 휴대폰 상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케이스에 휴대폰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대폰 긁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힌지연결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리성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의 수요가 폭발적인 증가추세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때와 장소 및 거리에 국한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다는 장점과, DMB 서비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개시로 이동하며 TV를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대부분의 사람이 이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주로 외부에서 사용하거나 이동중에 사용하기 때문에 자칫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바닥에 떨어트림으로써, 본체 및 그 내부기능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중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케이스 내에 삽입하여 휴대 가능하도록 한 단말기 케이스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 케이스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케이스(10)는 휴대폰(H)의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상부커버(11a)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부를 수용하는 하부커버(11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11a)와 하부케이스(11b)는 그 내측에 휴대용 단말기(H)의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12)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1a)와 하부케이스(11b)의 공간부(12)에 휴대용 단말기(H)의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를 삽입함으로써, 외부충격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휴대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에 각각 억지끼워맞춤 형태로 밀어 넣거나, 상/하부커버의 단부에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에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가 걸림을 이루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방식은 휴대폰케이스에서 휴대폰을 착/탈하는 과정에 무리한 힘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휴대폰 외장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부케이스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를 휴대폰을 휴대폰충전기에 거치할 수 있도록 휴대폰의 양측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연결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단에 상부케이스를 힌지결합함으로써, 휴대폰케이스에 휴대폰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케이스가 휴대폰에 별도의 결합관계 없이도 힌지회동을 통해 휴대폰 상부를 선택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케이스에 휴대폰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대폰 긁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힌지연결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에 휴대폰케이스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상부케이스의 힌지회동을 통해 휴대폰의 상부 즉, 디스플레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힌지연결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휴대폰의 양측에 홈부가 형성된 휴대폰의 외장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휴대폰의 키패드부가 수용되는 하부케이스의 일측 양단에 연결홈이 형성된 제1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면 양측에 상기 휴대폰의 홈부에 삽입되어 휴대폰을 하부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가 수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에 힌지결합되는 상부케이스의 일측 양단에는 제2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편의 각 내면에 상기 연결홈에 삽입/연결되는 힌지핀이 일체로 형성된다.
먼저, 본 고안의 힌지연결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를 설명함에 앞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와 접목되는 휴대폰의 주요부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폰(H)은 키패드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힌지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키패드부는 그 하부에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양측면에 홈부(2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홈부(20)를 통해 휴대폰을 휴대폰충전기에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키패드부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 및 다양한 아이콘들을 볼 수 있도록 액정패널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휴대폰(H)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창(2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휴대폰 구성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연결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힌지연결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100)는 상기 휴대폰(H)의 키패드부 외형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케이스(110)와, 디스플레이부 외형을 보호하기 위한 상부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그 일측 양단에 제1 연결편(1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편(111)의 내측에는 연결홈(113)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내면 양측에는 체결돌기(115)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20)는 그 일측 양단에 제2 연결편(122)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편(122)의 각 내면에는 힌지핀(1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20)는 그 양측에 작동편(126)이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개구부(128)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폰(H)에 휴대폰케이스(100)를 체결한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128)를 통해 휴대폰(H)의 외부창(22)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힌지연결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휴대폰(H)을 휴대폰케이스(10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부케이스(110)의 상방측으로 휴대폰(H)을 밀어넣는다. 이와 같이 휴대폰(H)을 하부케이스(110)에 넣으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체결돌기(115)가 휴대폰(H)의 홈부(20)에 삽입/연결됨으로써, 상기 휴대폰(H)이 하부케이스(110)에 고정된다. 이후,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연결홈(113)에 상부케이스(120)의 힌지핀(124)이 삽입/연결하면, 상기 상부케이스(120)가 하부케이스(110)에 대해 힌지회동 가능한 결합관계를 갖는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힌지연결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는 휴대폰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휴대폰을 휴대폰케이스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대폰의 긁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도 5c는 본 고안의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H)이 휴대폰케이스(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20)만을 열어 휴대폰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작동편(126)을 잡고 상부케이스(120)를 위로 올리면 상기 상부케이스(120)가 하부케이스(110)에 대해 힌지회동하여 상부케이스(120)만이 열림으로써, 휴대폰(H)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서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H)의 디스플레이부를 위로 올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상부케이스(120)가 힌지회동하여 디스플레이부와 상부케이스(120)가 동시에 열림으로써,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폰케이스(100)는 하부케이스(110)에 휴대폰을 고정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상부케이스(120)를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그 연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휴대폰과 휴대폰케이스 간의 착탈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휴대폰의 외장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부케이스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를 휴대폰의 홈부에 삽입/연결하여 휴대폰을 하부케이스에 고정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부케이스를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와 휴대폰간에 별도의 결합관계 없이도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 힌지회동하여 휴대폰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케이스에 휴대폰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대폰 긁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에 휴대폰케이스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상부케이스의 힌지회동을 통해 휴대폰의 상부 즉, 디스플레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도 5c는 본 고안의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폰케이스 110 : 하부케이스
111 : 제1 연결편 113 : 연결홈
120 : 상부케이스 122 : 제2 연결편
124 : 힌지핀 H : 휴대폰

Claims (3)

  1. 휴대폰 충전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휴대폰(H)의 양측에 홈부(20)가 형성된 휴대폰(H)의 외장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케이스(100)는
    상기 휴대폰(H)의 키패드부가 수용되는 하부케이스(110)의 일측 양단에 연결홈(113)이 형성된 제1 연결편(11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내면 양측에 상기 휴대폰(H)의 홈부(20)에 삽입되어 휴대폰(H)을 하부케이스(11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돌기(115)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휴대폰(H)의 디스플레이부가 수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힌지결합되는 상부케이스(120)의 일측 양단에는 제2 연결편(122)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편(122)의 각 내면에 상기 연결홈(113)에 삽입/연결되는 힌지핀(12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양측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20)를 힌지회동시키기 위한 작동편(126)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20)의 상부에는 휴대폰(H)의 외부창(22)이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1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05-0022382U 2005-08-02 2005-08-02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399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382U KR200399014Y1 (ko) 2005-08-02 2005-08-02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382U KR200399014Y1 (ko) 2005-08-02 2005-08-02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014Y1 true KR200399014Y1 (ko) 2005-10-18

Family

ID=4370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382U KR200399014Y1 (ko) 2005-08-02 2005-08-02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0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43B1 (ko) 2007-03-21 2009-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체결장치
KR200451999Y1 (ko) 2008-12-08 2011-01-25 (주)중앙티앤씨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43B1 (ko) 2007-03-21 2009-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체결장치
KR200451999Y1 (ko) 2008-12-08 2011-01-25 (주)중앙티앤씨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8137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用いるスライドタイプ携帯電話
US7197345B2 (en) Replaceable sliding cover unit for folder in folder-type portable phone
US7450968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e portion
US20080100262A1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399014Y1 (ko)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US20090267845A1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419350Y1 (ko) 폴더 및 플립방식의 개폐동작을 이루는 휴대폰의 단말기보호케이스
KR10044867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US8715845B2 (en) Battery cov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979249B1 (ko)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조립의 편리성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JP2006126832A (ja) ディスプレ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電話機
KR100747458B1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JP4974079B2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KR20070075416A (ko) 힌지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0298355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힌지 장치
KR100754600B1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용 결합장치
KR100800828B1 (ko) 배터리 커버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JP4545101B2 (ja) 折畳み式携帯電子機器
KR100810295B1 (ko) 휴대 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KR1010497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KR200362335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41098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