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999Y1 -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999Y1
KR200451999Y1 KR2020080016346U KR20080016346U KR200451999Y1 KR 200451999 Y1 KR200451999 Y1 KR 200451999Y1 KR 2020080016346 U KR2020080016346 U KR 2020080016346U KR 20080016346 U KR20080016346 U KR 20080016346U KR 200451999 Y1 KR200451999 Y1 KR 200451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bile phone
plate
protective cas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166U (ko
Inventor
서정기
Original Assignee
(주)중앙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티앤씨 filed Critical (주)중앙티앤씨
Priority to KR2020080016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99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9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이 탈장착된 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착된 휴대폰이 바닥면에 놓여진 채 다양한 각도로 고정 유지될 수 있는 거치대로서의 기능적 구조도 포함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가 내삽되어 긴밀하게 장착 고정되도록 복수의 탄력 그립퍼가 형성된 경질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하단으로는 전/후면을 향해 자유롭게 접철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용 마찰식 힌지로 결합된 경질의 접이식 커버를 구비하여 이 커버를 전면에서 절첩할 때에는 상기 플레이트 전면을 덮고, 후면으로 절첩할 때에는 여러 각도로 플레이트가 입설될 수 있게 받침대를 갖는 거치대로 기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Figure R2020080016346
휴대폰 보호케이스, 거치대, 마칠식 힌지

Description

휴대폰용 보호케이스{a protection case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휴대폰이 탈장착된 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착된 휴대폰이 바닥면에 놓여진 채 다양한 각도로 고정 유지될 수 있는 거치대로서의 기능적 구조도 포함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는 가죽 혹은 경질의 PC재질로 제작되며, 휴대폰의 외관을 감싸줌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투명 혹은 컬러화를 시도하여 각종 디자인과 문양을 부가시키므로 최근에는 휴대폰의 필수적인 악세사리로 기능하고 있을 정도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 보호케이스는 휴대폰의 전/후면에 각각 긴밀하게 일체로 장착탈되어 사용되는 관계로 외관상 휴대폰의 형상이 항상 그대로 노출된다는 점과 함께 잦은 장착탈작업으로 인해 휴대폰의 외관에 흠집이 발생할 개연성이 많았고, 보호케이스와 휴대폰 외관사이의 미세공간으로 먼지가 유입되어 주기적인 청소 또한 요망될 뿐만 아니라 휴대폰 하우징이 갖는 자체의 질감과 디자인 및 문양 등이 감추어진다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오직 휴대폰 보호케이스라는 제한적인 구조에 따라 보호케이스의 용도를 다양화시킬 그 어떠한 방안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음도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휴대폰 하우징 자체의 외관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보호케이스로서의 기능을 부여하고 동시에 휴대폰 거치대로도 활용될 수 있는 절첩식의 휴대폰 보호케이스가 마련될 수 있음에 착안되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가 안전하게 장착된 채 보관되면서도 보호케이스로 인한 흠이나 먼지 끼임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휴대폰 사용시 보호케이스의 커버를 개방시켜 주면 휴대폰의 외관이 자연스럽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장착된 휴대폰이 다양한 각도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DMB 수신이나 음악 등을 청취할 수 있도록 거치대로서의 기능도 다양하게 수행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가 내삽되어 긴밀하게 장착 고정되도록 복수의 탄력 그립퍼가 형성된 경질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하단으로는 전/후면을 향해 자유롭게 접철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용 마찰식 힌지로 결합된 경질의 접이식 커버를 구비하여 이 커버를 전면에서 절첩할 때에는 상기 플레이트 전면을 덮고, 후면으로 절첩할 때에는 여러 각도로 플레이트가 입설될 수 있게 받침대를 갖는 거치대로 기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의 전면 접철시에 커버 상단과 플레이트 상단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착수단이 커버와 플레이트 각 상단에 더 구비됨도 특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와 커버의 배면으로는 미려한 질감의 가죽이 일체로 더 덧 붙여질 수 있고, 마찰식 힌지 구성은 플레이트 하단 중앙을 돌출시킨 원통형 삽입부재를 마련하되, 그 내주면의 일측과 타측에 복수개의 요철부와 단일의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부재가 끼워져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커버의 양 하단에 원통형의 고정부재를 마련하되, 그 내주면 일측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을 따라 외주면 일단에 걸림돌기를 갖는 원형 회전축이 끼워져 삽입부재의 내주면까지 삽입되도록 함으로 커버가 삽입부재를 축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음도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 된다.
특히 전면 접철된 커버의 개방시 탄력적인 작동을 통해 플레이트에서 커버가 자동적으로 이탈될 수 있게 플레이트 전면부에 돌출된 판 스프링을 내장시킬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커버와 플레이트에 마련된 한 쌍의 결착수단으로 탄력작동에 의한 암/수 슬라이드형 후크방식이 마련될 수 있고, 커버 개방용 판 스프링을 대신하여 커버 좌/우 하단의 표면을 ⊃자 형태로 절개한 후 그 절개된 중앙부 탄력편을 내측 상단을 향해 돌출시키므로 커버 닫힘시에는 돌출된 탄력편이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탄력적으로 눌려지고 결착수단의 해정시에는 눌려진 탄력편의 복원력으로 커버가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도 특징이 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평소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접철된 커버에 의해 보호받는 휴대폰은 커버의 개방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어 장착된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흠집 발생없는 보호적인 기능과 함께 휴대폰 고유의 외관적 특성에 따른 장점을 충분하게 누릴 수 있고, 커버를 뒤로 젖혀줄 경우 마찰식 힌지의 요철부와 걸림돌기에 의해 커버가 단계별 각도로 젖혀질 수 있음으로 바닥면 어느 곳이나 이 젖혀진 커버를 안정적인 받침대로 삼아 거치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다른 일을 하면서도 음악을 듣거나 DMB 화면을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유용성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각각 주요 부분에 대한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휴대폰 거치대로 사용됨을 보인 예시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인바, 도 5는 전체적인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7과 도 8은 각각 일 부분에 대한 단면도와 분리 사시도며, 도 9는 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용 보호케이스(100)는 펼쳐 놓을 경우 일체로 접철 가능한 일자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크게 휴대폰이 장착되는 플레이트(10)와 전/후로의 접철이 가능한 커버(30)로 분리 구성될 것이며, 플레이트(10)와 커버(30)의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시키면서 커버(30)가 뒤로 접철될 경우 그 각도를 유지시켜주는 마찰식 힌지(20)가 일체로 제공되어 하나의 단일된 물품을 형성하고 있다.
플레이트(10)와 마찰식 힌지(20) 그리고 커버(30)는 각각 경질의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공됨이 제품의 내구성과 용도적 특성을 고려해볼 때 바람직하나 경질의 가죽 또는 합성수지와 가죽의 이원화된 소재 채택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찰식 힌지(20)를 제외한 경질의 플레이트(10)와 커버(30)의 배면으로는 미려한 질감과 색상을 갖는 가죽을 일체로 덧 붙여줌이 외관의 향상과 사용자의 촉감 향상 등을 위해 필요할 것이고, 경우에 따라 덧 붙여진 가죽의 테두리를 따라 임의의 봉재선을 형성시킬 경우 수제품이라는 따뜻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함께 합성수지가 갖는 다소 차가운 이미지를 회피할 수 도 있다.
플레이트(10)는 장착되려는 휴대폰의 기종과 모델에 따라 그 외형적인 형태가 맞춤 형태로 달라지거나 혹은 어떤 기종의 모델이라도 장착가능한 프리(free) 형태로 제작될 것인데, 휴대폰이 내장되어 안착될 수 있게 전면부가 다소 요입진 수용부(11)를 갖는 형태로 제공되고, 이와 같은 수용부(11)의 테두리 전/후 또는 좌/우 부분을 선택하여 장착된 휴대폰을 긴밀하게 탄력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복수의 탄력 그립퍼(12)가 일체로 사출 형성된다.
마찰식 힌지(20)는 상기 플레이트(10) 하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기 보다는 플레이트(10)와 커버(30)와의 연결 결합 부분을 통칭하는 것이며 개선된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플레이트(10)의 하단 중앙을 선택하여 돌출된 원통형의 삽입부재(21)를 일체로 마련하는데, 통공된 삽입부재(21)의 내주면으로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면에 복수개의 요철부(22)와 걸림턱(23)을 형성한다.
플레이트(10)의 하단과 커버(30)의 하단이 다소 이격된 거리 폭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와 같이 돌출된 삽입부재(21)가 충분히 끼워져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10)에 대응하는 커버(30)의 양 하단은 원통형으로 돌출된 고정부재(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4)의 통공된 내주면을 따라 그 일측에는 가이드 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부재(24)의 통공부를 향해 외주면 일단에 걸림돌기(27)를 갖는 원형 회전축(26)을 좌/우 고정부재(24)의 양단에서 강제로 압입하여 끼워주면 고정부재(24)의 가이드 홈(25)에 맞추어진 걸림돌기(27)와 함께 원형 회전축(26)이 삽지되면서 플레이트(10)의 삽입부재(21) 내주면 일단까지 도달되고 이렇게 삽지됨과 동시에 걸림돌기(27)가 삽입부재(21)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22)나 걸림턱(23) 혹은 그 사이 공간부분에 자유롭게 위치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24)의 배면부에는 후술하는 커버(30)가 최대로 젖혀질 경우 삽입부재(21)를 제외한 플레이트(10) 하단이 안정적으로 걸려지게되어 더 이상의 젖혀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걸림홈(2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마찰식 힌지(20) 방식에 따라 플레이트(10)와 일체로 연결된 커버(30)는 플레이트(10)와 동일한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제공되는데, 접철시에는 그 내면이 장착된 휴대폰의 전면과 마주닿는 관계로 부드럽게 표면처리 되거나 혹은 별도의 소재가 덧 붙여질 필요성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30)와 플레이트(10)의 각 상단에는 서로 작용하는 한 쌍의 결착수단(40)을 일체로 마련하여 커버(30)의 전면 접철시에 안정적으로 접철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도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구체적인 결착수단(40)으로는 자석과 금속판 또는 압압식 암/수 단추 또는 매직테이프 등이 제안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결착수단(40)으로는 본 고안이 사출물임을 감안하여 상기 커버(30)의 상단에 ㄱ자 형태로 탄력작동되는 돌출형 후크를 마련하고, 이와 대응하는 플레이트(10)에는 상기 후크가 슬라이드되면서 자연스럽게 걸려질 수 있는 단턱을 그립퍼(12)의 배면에 마련함으로 커버(30)의 닫힘동작시에 전술한 바와 같은 암/수 슬라이드형 후크방식이 상호 작동되게 함이 요망되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전면 접철되어 닫혀진 평소의 상기 커버(30)를 개방시킬 경우 상기 결착수단을 해정함과 동시에 탄력적인 작동을 통해 플레이트(10)에서 사출물 커버(30)가 충분히 이탈될 수 있도록, 즉 개방이 즉각적이고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레이트(10)의 전면부 일측이나 혹은 양측을 선택하여 판 스프링(50)을 돌출되게 내장시켜 커버(30)의 전면 접철시 다소 긴장감있게 닫혀지거나 개방될 수 있게도 배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려적인 구성에 있어서, 판 스프링(50)의 돌출 크기가 문제될 경우에는 이를 대신하여 커버(30)의 좌/우 하단 표면을 ⊃자 형태로 절개한 후 그 절개된 중앙부 탄력편(51)을 내측 상단을 향해 돌출시켜 줌으로써 커버(30) 닫힘시에 이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된 탄력편(51)이 플레이트(10)의 좌/우 테두리에 탄력적으로 눌려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결착된 커버(30)의 후크를 그립퍼(12)의 단턱에서 이탈시키는 해정작업을 수행하면 눌려진 탄력편(51)의 복원력으로 커버(30)가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는 역시 첨부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먼저 휴대폰을 플레이트(10)의 수용부(11)에 안착시켜주면 확개되어졌던 복수의 탄력 그립퍼(12)가 원 상태로 복귀하면서 안착된 휴대폰을 긴밀하게 협지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케 한다.
이후 커버(30)을 닫고 결착수단(40)을 이용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단턱에 후크가 걸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보관 및 휴대되다가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단턱 하단으로 연장된 후크를 당겨주는 동작 등으로 결착수단(40)을 해정시키면 그간 몰입된 상태에 있던 판 스프링(50)이나 또는 탄력편(51)의 탄발력에 의해 커버(30)가 자동적으로 뒤로 밀려나 자연스럽게 개방상태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는 편리하게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후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이나 야외에서 휴대폰을 세워둔 채 다른 일을 하면서도 음악을 듣거나 DMB 화면을 수신할 경우 개방된 커버(30)를 이용하여 후면을 향해 뒤로 충분하게 젖혀주게 되면 플레이트(10)와 커버(30)의 연결 결합 부분인 마찰식 힌지(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커버(30)가 젖혀지게 되는데, 삽입부재(21)를 축으로 고정부재(24)가 회전할 때에 양 부재사이에 끼워진 원형 회전축(26)의 걸림돌기(27)에 의해서 고정부재(24)는 원형 회전축(26)과 함께 회전되고 동시에 삽입부재(21)의 내주면에 위치된 원형 회전축(26)의 걸림돌기(27)가 요철부(22)에 걸려 억지된 상태에서 커버(30)를 인위적으로(강제적으로) 젖혀주게 되면 걸림돌기(27)가 요철부(22)의 억지력을 극복하고 원형 회전축(26)이 단계별로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커버(30)의 젖혀짐 각도를 달성하게 되고, 최대로 젖혀졌을 경우에는 플레이트(10) 하단이 걸림홈(28)에 걸려져 더 이상의 젖혀짐이 방지됨으로 안정적으로 플레이트(10)가 입설되어 휴대폰의 거치대 기능이 가능해 진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젖혀진 커버(30)를 받침대로 삼아 가장 편안한 각도로 장착되어 거치된 휴대폰의 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걸림턱(23)은 커버(30)의 전면 접철시에(닫힘) 상태 유지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필요 이상으로 커버(30)가 전면을 향해 접철되지 않도록 걸림돌기(27)에 대해 억지력이 발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보이기 위해 펼쳐진 상태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주요 부분을 분리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결합된 상태에서 절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휴대폰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음을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주요 부분을 분리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력편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결착수단을 도시해 보인 분리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 11 : 수용부
12 : 탄력 그립퍼 20 : 마찰식 힌지
21 : 삽입부재 22 : 요철부
23 : 걸림턱 24 : 고정부재
25 : 가이드 홈 26 : 원형 회전축
27 : 걸림돌기 28 : 걸림홈
30 : 커버 40 : 결착수단
50 : 판 스프링 51 : 탄력편
100 : 보호케이스

Claims (7)

  1. 휴대폰 본체가 내삽되어 긴밀하게 장착 고정되도록 복수의 탄력 그립퍼가 형성된 경질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하단으로는 전/후면을 향해 자유롭게 접철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용 마찰식 힌지로 결합된 경질의 접이식 커버를 구비하여 이 커버를 전면에서 절첩할 때에는 상기 플레이트 전면을 덮고, 후면으로 절첩할 때에는 여러 각도로 플레이트가 입설될 수 있게 받침대를 갖는 거치대로 기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면 접철시에 커버 상단과 플레이트 상단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착수단이 커버와 플레이트 각 상단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커버의 배면으로 미려한 질감의 가죽이 일체로 덧 붙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접철된 커버의 개방시 탄력적인 작동을 통해 플레이트에서 커버가 자동적으로 이탈될 수 있게 플레이트 전면부에 돌출된 판 스프링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좌/우 하단의 표면을 ⊃자 형태로 절개한 후 그 절개된 중앙부 탄력편을 내측 상단을 향해 돌출시켜 커버 닫힘시에는 돌출된 탄력편이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탄력적으로 눌려지고 결착수단의 해정시에는 눌려진 탄력편의 복원력으로 커버가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착수단으로는 탄력작동에 의한 암/수 슬라이드형 후크방식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7. 휴대폰 본체가 장착되는 플레이트의 하단 중앙을 돌출시킨 원통형 삽입부재를 마련하되, 그 내주면의 일측과 타측에 복수개의 요철부와 단일의 걸림턱을 형성함과;
    상기 삽입부재가 끼워져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커버의 양 하단에 원통형의 고정부재를 마련하되, 그 내주면 일측에 가이드 홈을 형성함과;
    이 가이드 홈을 따라 외주면 일단에 걸림돌기를 갖는 원형 회전축이 끼워져 삽입부재의 내주면까지 삽입되도록 함으로 커버가 삽입부재를 축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는 마찰식 힌지 구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2020080016346U 2008-12-08 2008-12-08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200451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46U KR200451999Y1 (ko) 2008-12-08 2008-12-08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46U KR200451999Y1 (ko) 2008-12-08 2008-12-08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66U KR20100006166U (ko) 2010-06-17
KR200451999Y1 true KR200451999Y1 (ko) 2011-01-25

Family

ID=4424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346U KR200451999Y1 (ko) 2008-12-08 2008-12-08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9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735Y1 (ko) * 2012-01-31 2014-01-10 주식회사 뉴빛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443115B1 (ko) * 2013-05-02 2014-09-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친환경 발전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의류
WO2023139490A1 (fr) * 2022-01-24 2023-07-27 Lepetit Karine Dispositif de type charnière à axe amovible destiné à la fixation de pièces interchangeables d'articles de maroquineri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157B1 (ko) * 2010-11-08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단말기 커버장치
KR101331993B1 (ko) * 2011-04-12 2013-11-25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기능성 힌지를 가진 모바일 전자기기 케이스
KR101385242B1 (ko) * 2012-08-10 2014-04-18 김정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76284Y1 (ko) * 2014-11-07 2015-02-13 이한표 회전 케이스
KR101702813B1 (ko) * 2016-07-19 2017-02-03 이종건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102085325B1 (ko) * 2019-09-16 2020-03-05 (주)해찬이엔씨 태양광 모듈 지지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686A (ko) * 2003-05-10 2004-11-17 팅크웨어(주) 휴대폰 거치대
KR200399014Y1 (ko) 2005-08-02 2005-10-18 정영준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686A (ko) * 2003-05-10 2004-11-17 팅크웨어(주) 휴대폰 거치대
KR200399014Y1 (ko) 2005-08-02 2005-10-18 정영준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735Y1 (ko) * 2012-01-31 2014-01-10 주식회사 뉴빛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443115B1 (ko) * 2013-05-02 2014-09-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친환경 발전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의류
WO2023139490A1 (fr) * 2022-01-24 2023-07-27 Lepetit Karine Dispositif de type charnière à axe amovible destiné à la fixation de pièces interchangeables d'articles de maroquinerie
FR3132012A1 (fr) * 2022-01-24 2023-07-28 Karine Lepetit Dispositif de type charnière à axe amovible destiné à la fixation de pièces interchangeables d’articles de maroquiner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66U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999Y1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101066162B1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WO2004066596A1 (en) Headband having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attachments for holding a cellular phone to the headband
WO2007142382A1 (en) The belt clip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KR101497241B1 (ko) 스마트폰 케이스
JP2007190091A (ja) 携帯電子機器
JP2012070766A5 (ko)
KR20100013440A (ko) 액세서리용 수납 케이스
AU2007320166A1 (en) Closable watertight case
US6341163B1 (en) Unique phone accessory system
KR200447278Y1 (ko) 이동기기용 고리
KR20130007162U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70735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US10772404B1 (en) Interchangeable covers for a mobile device accessory
TWM376185U (en) Improved structure of protection jacket for handheld device
USD533342S1 (en) Mobile phone holder
JP3113819U (ja) 携帯電話ホルダー
JP2007208837A (ja) 折畳み式携帯電子機器
JP3204327U (ja) ポーチ
KR200475710Y1 (ko) 절첩이 가능한 이동식 통신장치의 보호 케이스
JP3205586U (ja) 携帯情報端末用ホルダ及びバッグ
KR200422858Y1 (ko) 휴대폰 장식줄
KR200453081Y1 (ko) 호환 사용이 가능한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200469634Y1 (ko) 탈착 가능 받침 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3046528U (ja) 携帯電話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