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241B1 -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241B1
KR101497241B1 KR20130138373A KR20130138373A KR101497241B1 KR 101497241 B1 KR101497241 B1 KR 101497241B1 KR 20130138373 A KR20130138373 A KR 20130138373A KR 20130138373 A KR20130138373 A KR 20130138373A KR 101497241 B1 KR101497241 B1 KR 101497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smartphone
protrusion
flap po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095A (ko
Inventor
한광열
황덕기
Original Assignee
한광열
황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광열, 황덕기 filed Critical 한광열
Publication of KR2014006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8Combinations of purses and wallets
    • A45C2001/083Combinations of purses and wallets combined with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8Combinations of purses and wallets
    • A45C2001/086Combinations of purses and wallets with additional compartments for storing other kinds of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45C2013/303Straps; Bands with strap loop for carrying an object by passing the hand through the loop, the loop resting partially around the wr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플랩부와 제2플랩부; 상기 제1플랩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마트폰이 수납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제1플랩부 및 제2플랩부의 단부 일측면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며,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를 서로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플랩부의 내측면에는, 카드, 명함, 메모지, 신분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포켓에 의해 사용자가 외출 시 지갑과 스마트폰을 각각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케이스{Smartphon cas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케이스 기능과 동시에, 카드 및 명함 등을 함께 보관하여 소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케이스는 가죽이나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스마트폰의 후면 및 둘레면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8708호에는, 스마트폰의 테두리 외주면을 따라 탄력적으로 씌워지되, 스마트폰의 전면과 배면의 외주면 둘레가 일부 포함되어 감싸지도록 전면과 배면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ㄷ자형 단면구조의 프레임을 갖는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가 안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스마트폰의 외부에 별도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결합한 만큼 스마트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도중에 명함이나 카드를 꺼내 보면서 명함에 적힌 사람들의 전화번호나 카드의 등록번호 등을 불러주는 일이 자주 발생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명함이나 카드와 같은 얇은 시트형체의 물건은 주로 지갑 등에 넣어 보관하므로, 한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통화를 하면서 지갑에서 명함이나 카드를 꺼내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 절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스마트폰이 수납되고, 타측은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절첩형태의 스마트폰 케이스도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절첩가능한 스마트폰의 케이스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케이스를 떨어뜨리는 경우 스마트폰의 전면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커버가 회동한 상태로 떨어져 스마트폰의 액정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의 전면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적 디자인도 뛰어난 스마트폰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의 수납이 가능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신용카드 또는 명함 등의 수납포켓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용 편의성 및 호환성을 극대화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플랩부와 제2플랩부; 상기 제1플랩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마트폰이 수납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제1플랩부 및 제2플랩부의 단부 일측면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며,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를 서로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플랩부의 내측면에는, 카드, 명함, 메모지, 신분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플랩부와 상기 제2플랩부 사이에 결합되고, 내부에 사용자의 손목이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핸드 스트랩(Hand strap) 또는 양단이 제1플랩부와 상기 제2플랩부 사이에 각각 이격되어 결합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숄더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랩부 및 상기 제2플랩부의 일측면은, 격자무늬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플랩부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랩부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각 내부에 형성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를 서로 고정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단부면과 상기 제2돌출부의 단부면은 면 접촉되도록 서로 대응되어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플랩부의 단부 사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연결부와; 상기 제2돌출부와 상기 제2플랩부의 단부 사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돌출부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2돌출부의 가장자리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돌출부의 가장자리부와 결합되는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잠금편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돌출부의 가장자리부를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의 가장자리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돌출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편과; 상기 제2돌출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상대회동에 따라 상기 제1결합편과 선택적으로 걸림결합되는 제2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플랩부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납공간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후크와, 상기 잠금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2플랩부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편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후크와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플랩부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측면잠금편과, 상기 제2플랩부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잠금편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측면잠금편과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측면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호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플랩부; 상기 제2플랩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스마트폰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제1플랩부 및 상기 제2플랩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플랩부의 내측면에는, 카드, 명함, 메모지, 신분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되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2플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의 각 테두리 단부가 서로 내향되게 절곡되며 지퍼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경우 보다 스마트폰을 보다 안전하게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포켓에 의해 사용자가 외출 시 지갑과 스마트폰을 각각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에 의하면, 제1플랩부와 제2플랩부 사이에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제1플랩부와 제2플랩부가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마트폰 케이스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나타낸 스마트폰 케이스에 다양한 스트랩이 각각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마트폰 케이스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나타낸 스마트폰 케이스에 다양한 스트랩이 각각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스마트폰(10)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호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플랩부(110)와 제2플랩부(120) 및 케이스 본체(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110)(120)는, 서로 대응하여 형성되며 후술할 케이스 본체(130)에 수납되는 스마트폰(1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플랩부(110)(120)는, 고무 또는 가죽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마트폰(1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면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등이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110)(120) 사이의 절첩부위(101)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제1 및 제2플랩부(110)(120)는 상기 절첩부위(101) 비해 경질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마트폰(1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110)(12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은 격자무늬 모양으로 돌출되고 비닐시트 등으로 마감되어 미감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을 보호하도록 쿠션의 기능을 가져, 외부충격에 대하여 스마트폰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플랩부(120)는, 포켓(12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켓(121)은 상기 제2플랩부(120)의 내측면에 별도 시트를 추가로 고정하여 형성된 것으로 명함이나 카드, 지폐, 신분증, 메모지 등과 같은 얇은 카드형태의 물체를 꽂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30)는, 상기 제1플랩부(110)의 내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본체(130)는, 상기 스마트폰(10)이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스마트폰(10)이 수납되도록 수납공간(1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 본체(130)는 상기 스마트폰(1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10)의 후면이 안착되는 것은 물론, 측면 및 전면 일부를 감싸도록 둘레를 지지하는 테두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랩부 및 제2플랩부의 일측 단부에는 바(bar) 형상의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를 선택적으로 고정결합시키는 고정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140)은,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110)(12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를 서로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가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하여 스마트폰이 직접 지면에 의하여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는 납작한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 케이스의 단부의 두께를 얇게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면접촉을 하여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2돌출부(141)(142)는,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110)(120)의 단부에서 서로 내향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2절곡연결부(110a)(120a)를 개재하여 상기 제1,2플랩부(110)(120)와 결합되고, 서로 접촉하는 내측면이 서로 면접촉되도록 각각 평평하게 돌출된다. 상기 제1,2절곡연결부 및 바 형상의 상기 제1,2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2플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스마트폰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가 슬림하게 구현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디자인 미감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2돌출부(141)(142)의 내부에는 자석이 형성된다. 상기 자석(141a)(142a)은, 상기 제1돌출부(141) 및 제2돌출부(142)가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상기 돌출부(141)(142)가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110)(120)의 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평평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41)(142)가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110)(120)의 각 단부가 만곡된 상태에서 각 단부 면이 서로 면 접촉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부의 내부에는 자석(141a')(142a')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140)은, 상기 돌출부(141)(142)가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크로 또는 똑닥단추, 후크 등의 기계적인 결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플랩부의 내측가장자리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랩부의 내측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돌기(141b)가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랩부와 상기 제2플랩부가 맞닿으며 상기 스마트폰케이스가 닫혀지는 경우 상기 자석에 의하여 상기 제1,2플랩부는 서로 고정결합되나, 측면으로 상기 제1플랩부와 상기 제2플랩부가 어긋나게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 제1플랩부(110)의 상기 고정돌기(141b)는, 상기 제2플랩부(120)의 고정홈(142b)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어 상기 제1플랩부(110)와 상기 제2플랩부(120)가 어긋나게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 및 고정홈은 상하로 한 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랩부(110) 및 상기 제2플랩부(120)의 외측면은 격자무늬로 돌출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케이스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제1플랩부(110) 및 제2플랩부(120)는 충격을 완화시켜 스마트폰케이스 내부의 스마트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는,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일측에 스트랩(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랩(15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스트랩(Hand strap: 151)일 수 있다. 상기 핸드 스트랩(151)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일측 즉,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110)(120) 사이의 상기 절첩부위(101)에 고정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절첩부위(101)의 상단에는 체결공(153)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공(153)에 상기 핸드 스트랩(151)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드 스트랩(151)은,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를 가지고 이동시, 사용자의 손목에 걸어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다.
다시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랩(150)은 숄더 스트랩(Shoulder strap: 152)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숄더 스트랩(152)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제1 및 제2플랩부(110)(120) 사이의, 상기 절첩부위(101) 상단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체결공(15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숄더 스트랩(Shoulder strap: 152)은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를 가지고 이동시 상기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트랩(150)들은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와 별도로 구성되어 파손 시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더욱이 상기 스트랩(150)이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100) 내부의 부품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스트랩(150)의 다양한 형상과, 재질 및 색상 등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어, 상기 스마트폰(10)의 외관품질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0)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폰(1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포켓(121)에 의해 사용자가 외출 시 지갑과 스마트폰(10)을 각각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200)는, 스마트폰(10)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호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플랩부(210)와 제2플랩부(220) 및 홀더(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플랩부(210)(220)는, 서로 대응 형성되며 후술할 홀더(230)에 삽입되는 스마트폰(1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플랩부(210)는, 내부에 개방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211)는 후술할 홀더(23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231)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홀더(230)는, 상기 제1플랩부(21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홀더(230)는 상기 스마트폰(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에 인입구(232)가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홀더(230)는 상기 스마트폰(10)의 형태에 대응되는 두께가 얇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가죽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210)(220)에 비해 견고하게 제작되어, 상기 제1플랩부(210)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230)의 일측면에는 인입구(232)가 형성되며 이러한 인입구(232)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230)의 전면 중앙부에 개구부(231)가 형성되어 전면의 형상이 상기 스마트폰(10)의 전면 둘레를 지지하는 테두리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을 상기 홀더(230)에 삽입고정하면 상기 스마트폰(10)의 전면 대부분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홀더(230)의 전면 둘레를 지지하는 상기 제1플랩부(210)의 내부에는, 상기 스마트폰(1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개방부(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211)는 상기 홀더(230)의 개구부(231)에 대응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플랩부(220)의 내측면에는, 포켓(22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켓(221)은 상기 제1플랩부(210)의 내측면에 별도 시트를 추가로 고정하여 형성된 것으로, 명함이나 카드, 신분증, 지폐, 메모지 등과 같은 얇은 카드형태의 물체를 꽂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200)는 고정수단(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240)은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210)(220)의 테두리 단부를 서로 고정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상기 고정수단(240)은,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210)(220)의 각 테두리 단부에서 서로 내향되게 절곡되는 절곡부(241)(242)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241)(242)는 상기 제1플랩부(210)의 테두리 단부와, 상기 제2플랩부(220)의 테두리의 단부의 결속 매체로 한 쌍의 지퍼(Zipper: 24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퍼(243)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210)(220)의 각 테두리 단부를 서로 결속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1플랩부(310) 및 제2플랩부(3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플랩부(310)와 제2플랩부(3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결합블럭(341) 및 잠금편(3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블럭(341)은, 일단이 상기 제1플랩부(310)의 가장자리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플랩부(310)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2플랩부(320)의 가장자리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진다.
상기 잠금편(342)은 상기 결합블럭(34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잠금편(342)은, 상기 제1플랩부(310)와 상기 제2플랩부(320)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2플랩부(320)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플랩부(310)와 상기 제2플랩부(3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1플랩부(410)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1플랩부(410)를 관통하는 고정홀(44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플랩부(42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편(442)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442)은, 상기 제1플랩부(410)와 상기 제2플랩부(420)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홀(441)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홀(441)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편(442)은 회동하여 상기 제1플랩부(410)와 상기 제2플랩부(420)를 고정시킨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고정수단은, 제1걸림편(541) 및 제2걸림편(5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림편(541)은 상기 제1플랩부(510)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편(542)은 상기 제2플랩부(520)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편(542)은, 상기 제2플랩부(5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플랩부(510)와 상기 제2플랩부(520)가 맞닿게 되면 상기 제1걸림편(541)과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1플랩부(510)와 상기 제2플랩부(520)를 고정결합시킨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고정수단은, 잠금후크(641), 탄성스프링(642) 및 걸림부(6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후크(641)는, 상기 제1플랩부(610)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며, 상기 수납공간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플랩부(610)와 결합된다.
상기 탄성스프링(642)은, 일단이 상기 잠금후크(641)의 일측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1플랩부(610)에 지지된다. 상기 걸림부(643)는, 상기 제2플랩부(620)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후크(64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잠금후크(641)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후크(641)와 선택적으로 걸림된다. 즉, 상기 제1플랩부(610)를 상기 제2플랩부(620) 측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잠금후크(641)를 수납공간측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잠금후크(641)는 상기 걸림부(643)에 걸리게 되고, 이 때 상기 탄성스프링(642)은 상기 잠금후크(641)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잠금후크(641)가 상기 걸림부(643)와 안정되게 걸림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플랩부(610)와 상기 제2플랩부(620)는 서로 고정결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고정수단은, 측면잠금편(741) 및 측면고정편(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잠금편은, 상기 제1플랩부(71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측면고정편은 제2플랩부(720)와 결합되며 상기 측면잠금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잠금편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측면고정편과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측면잠금편이 상기 측면고정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측면고정편과 결합되면, 제1플랩부와 제2플랩부는 고정결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고정수단은, 제1걸림편(841) 및 제2걸림편(8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림편(841)은 상기 제1플랩부(8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측단부가 "ㄱ"자 형상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편(842)은 상기 제2플랩부(820)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1걸림편(841)에 형성된 단턱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편은, 상기 제2플랩부(8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플랩부(810)와 상기 제2플랩부(820)가 맞닿게 되면 상기 제1걸림편(841)과 대응되어 맞닿게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편(841) 및 상기 제2걸림편(842)은 영구자석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플랩부(810)와 상기 제2플랩부(820)가 고정결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스마트폰 케이스 101: 절첩부위
110,210: 제1플랩부 121,221: 포켓
120,220: 제2플랩부 130: 케이스 본체
131: 수납공간 140,240: 고정수단
141,141',142,142': 돌출부
141a,141a',142a,142a': 자석
150: 스트랩 151: 핸드 스트랩
152: 숄더 스트랩 153: 체결공
211: 개방부 230: 홀더
231: 개구부 232: 인입구
241,242: 절곡부 243: 지퍼
10: 스마트 폰

Claims (17)

  1. 서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플랩부와 제2플랩부;
    상기 제1플랩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마트폰이 수납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제1플랩부 및 제2플랩부의 단부 일측면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며,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를 서로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플랩부의 내측면에는, 카드, 명함, 메모지, 신분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랩부와 상기 제2플랩부 사이에 결합되고, 내부에 사용자의 손목이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핸드 스트랩(Hand strap)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양단이 제1플랩부와 상기 제2플랩부 사이에 각각 이격되어 결합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숄더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랩부 및 상기 제2플랩부의 일측면은, 격자무늬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스마트폰 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랩부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랩부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각 내부에 형성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를 서로 고정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단부면과 상기 제2돌출부의 단부면은 면 접촉되도록 서로 대응되어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플랩부의 단부 사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연결부와;
    상기 제2돌출부와 상기 제2플랩부의 단부 사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돌출부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2돌출부의 가장자리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돌출부의 가장자리부와 결합되는 결합블럭과, 상기 결합블럭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잠금편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돌출부의 가장자리부를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의 가장자리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돌출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편과;
    상기 제2돌출부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상대회동에 따라 상기 제1결합편과 선택적으로 걸림결합되는 제2걸림편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플랩부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납공간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후크와, 상기 잠금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제2플랩부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편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후크와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케이스.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플랩부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측면잠금편과, 상기 제2플랩부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잠금편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측면잠금편과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측면고정편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케이스.
  15. 상호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플랩부;
    상기 제2플랩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스마트폰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되는 홀더; 및
    상기 제1플랩부 및 상기 제2플랩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플랩부의 내측면에는,
    카드, 명함, 메모지, 신분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이 구비되는 스마트폰 케이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플랩부의 각 테두리 단부가 서로 내향되게 절곡되며 지퍼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130138373A 2012-11-16 2013-11-14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97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341 2012-11-16
KR20120130341 2012-11-16
KR1020130077211A KR20140066079A (ko) 2012-11-16 2013-07-02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130077211 2013-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095A KR20140066095A (ko) 2014-05-30
KR101497241B1 true KR101497241B1 (ko) 2015-02-27

Family

ID=508927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211A KR20140066079A (ko) 2012-11-16 2013-07-02 스마트폰 케이스
KR20130138373A KR101497241B1 (ko) 2012-11-16 2013-11-14 스마트폰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211A KR20140066079A (ko) 2012-11-16 2013-07-02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0660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438Y1 (ko) 2015-03-06 2016-05-25 안성철 지갑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WO2017069594A1 (ko) * 2015-10-23 2017-04-27 윤남운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1352B2 (ja) * 2016-04-21 2020-05-27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電話カードを取り付けるためのカードホルダー装置及びモバイルデバイ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787Y1 (ko) 2004-10-26 2005-01-27 주식회사 엔모바일 개인휴대 단말기 케이스
JP3177914U (ja) * 2011-07-11 2012-08-23 福義 許 保護ケー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787Y1 (ko) 2004-10-26 2005-01-27 주식회사 엔모바일 개인휴대 단말기 케이스
JP3177914U (ja) * 2011-07-11 2012-08-23 福義 許 保護ケ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438Y1 (ko) 2015-03-06 2016-05-25 안성철 지갑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WO2017069594A1 (ko) * 2015-10-23 2017-04-27 윤남운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095A (ko) 2014-05-30
KR20140066079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68007Y1 (ko) 회전 및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KR101450311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10210018A1 (en) Combination Cell Phone and Eyeglass Dedicated Case
KR200451999Y1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102423199B1 (ko)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KR101497241B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83146B1 (ko)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KR200488737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8639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79106Y1 (ko)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
KR200479865Y1 (ko) 카드수납공간부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3216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480872B1 (ko) 접이식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95316Y1 (ko) 휴대 전자기기 경사 거치 기능을 갖는 카드포켓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8908Y1 (ko) 다기능 핸드폰 케이스
KR20150083709A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200477958Y1 (ko) 외부에 현금보관부가 형성된 스마트폰 다이어리케이스
WO2016001359A1 (en) Protective case for storing and protecting glasses
KR200487743Y1 (ko) 다용도 수납 케이스
KR200410988Y1 (ko) 휴대폰용 케이스
US20050190542A1 (en) Case for handheld device
KR200373787Y1 (ko) 개인휴대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