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988Y1 - 휴대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988Y1
KR200410988Y1 KR2020050036124U KR20050036124U KR200410988Y1 KR 200410988 Y1 KR200410988 Y1 KR 200410988Y1 KR 2020050036124 U KR2020050036124 U KR 2020050036124U KR 20050036124 U KR20050036124 U KR 20050036124U KR 200410988 Y1 KR200410988 Y1 KR 200410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ocket
case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2020050036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9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방에 휴대폰 수납용 포켓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의 상방에 상기 포켓부와 연결되어 절곡시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포켓부의 내측 좌우측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좌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휴대폰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포켓부에 수납되는 가동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의 접철시 접철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 사이에 한 쌍의 걸림돌기 및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의 펼침시 휴대폰의 마이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포켓부에 통화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덮개부를 열었을 때, 휴대폰의 일부가 손으로 쉽게 뺄 수 있도록 자동 인출되어 휴대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관이 수려한 동시에 휴대폰을 외부로 꺼내지 않고도 버튼이나 통화가 가능하고, 내부의 프레임에 의해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여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포켓부, 덮개부, 고정 프레임, 가동 프레임, 통화창, 투명창, 개방부

Description

휴대폰용 케이스{Case for mobile phon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케이스의 휴대폰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폰 삽입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폰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보관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폰을 인출시켜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폰 인출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폰용 케이스의 후면을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케이스의 휴대폰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폰 삽입 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 휴대폰 2: 마이크
3: 버튼 10: 케이스 본체
11: 포켓부 12: 덮개부
20: 고정 프레임 30: 가동 프레임
40: 힌지축 51: 걸림돌기
52: 걸림홈 60: 통화창
70: 개방구 80: 투명창
91: 벨트 클립 92: 연결판
93: 목걸이용 고리판 100: 슬라이딩홈
110: 걸림판
본 고안은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부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는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에 의해 수납된 휴대폰이 자동으로 인출되게 하여 휴대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보관시 미관이 수려하고, 휴대폰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용 케이스는 휴대폰을 수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주머니 형상의 천이나 가죽 케이스 또는 투명 사출물 등 매우 다양한 종류의 케이스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용 케이스 중 가장 일반적인 구성은, 휴대폰이 수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갖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를 갖는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일반적인 수납 형태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휴대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 반드시 상기 덮개부를 열고, 상기 포켓부에 내장된 휴대폰을 외부로 인출시켜야 하는 것이다. 특히, 휴대폰은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상기 덮개부를 열었을 때, 상기 포켓부 내부에 휴대폰이 깊숙하게 수납되어 있어서 공간 절약을 위해 휴대폰 형상에 맞추어 제작된 포켓부로부터 휴대폰과 포켓부 틈새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 휴대폰을 파지하고, 이를 외부로 꺼내는 동작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웠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단지 휴대폰을 수납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기능이 없어서 사용자의 흥미를 자극하지 못하고,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을 외부로 꺼내지 않고도 버튼이나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작된 연질의 투명 케이스나, 경질의 케이스인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휴대폰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었고,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여 미관이 수려하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덮개부를 열었을 때, 상기 포켓부 내부에서 휴대폰의 일부가 손으로 쉽게 뺄 수 있도록 자동 인출되어 통화시 휴대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흥미를 주어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관시 깔끔한 외관으로 미관이 수려한 동시에 휴대폰을 외부로 꺼내지 않고도 버튼이나 통화가 가능하고, 내부의 프레임에 의해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여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휴대폰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방에 휴대폰 수납용 포켓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의 상방에 상기 포켓부와 연결되어 절곡시 상기 포켓부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포켓부의 내측 좌우측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포켓부의 절곡시 상기 포켓부의 움직임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되고, 상기 포켓부의 펼침시 상기 포켓부의 움직임을 따라 슬라이딩 상승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좌우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휴대폰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포켓부에 수납되는 가동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의 접철시 접철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 사이에 한 쌍의 걸림돌기 및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의 펼침시 휴대폰의 마이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포켓부에 통화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포켓부의 전면에 휴대폰의 버튼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포켓부의 전면에 휴대폰의 버튼 작동이 용이하도록 연질의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포켓부의 후면에 벨트 클립 연결판 및 목걸이용 고리판의 교환 착탈이 가능하도록 "ㄷ"형상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의 입구에 탄성 걸림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즉,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케이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케이스는, 크게 케이스 본체(10)와 고정 프레임(20) 및 가동 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포켓부(11)와 덮개부(1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포켓부(11)는 휴대폰(1)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방에 휴대폰(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휴대폰 수납용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12)는 상기 포켓부(11)의 상방에 상기 포켓부(11)와 연결되어 플랙시블하게 절곡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절곡시 상기 포켓부(11)의 개구를 덮는 형상이고, 펼침시 상기 포켓부(11)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이다.
역기서, 이러한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직물 재질이나 가죽 및 인조 가죽 등 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적당히 절곡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고정 프레임(20)은, 상기 덮개부(12)의 내측 좌우측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12)에 접착되거나 봉제되어 상기 덮개부(12)에 고정 및 종속되어 함께 움직이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상기 가동 프레임(30)은, 상기 덮개부(12)의 절곡시 상기 포켓부(11)를 기준으로 상기 덮개부(12)의 움직임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되고, 상기 덮개부(12)의 펼침시 상기 덮개부(12)의 움직임을 따라 슬라이딩 상승되도록 상단 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좌우 힌지축(40)에 힌지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동 프레임(30)은 그 하단부가 "U"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휴대폰(1)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포켓부(11)에 수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폰용 케이스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덮개부(12)를 펼쳐서 상기 포켓부(11)의 개구를 열고, 상기 휴대폰(1)을 상기 포켓부(11)에 수납시킨다.
이때, 상기 포켓부(11)에 수납된 휴대폰(1)은 그 밑면이 상기 가동 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부(12)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상기 덮개부(12)를 따라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2)를 절곡시키면 상기 덮개부(12)의 절곡으로 인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상기 덮개부(12)를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휴대폰(1)이 상기 포켓부(11)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덮개부(12)는 상기 포켓부(11)의 개구를 덮어 휴대폰(1)을 안전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을 사용하고자 할 때나, 수신음에 의해 휴대폰(1)을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덮개부(12)를 펼치는 동작만으로 상기 가동 프레임(30)이 상기 고정 프레임(11)에 의해 이끌려서 휴대폰(1)의 밑면을 지지하여 상승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휴대폰(1)의 상단이 자동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20)과 가동 프레임(30) 사이에 한 쌍의 걸림돌기(51) 및 걸림홈(5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돌기(51) 및 걸림홈(52)은 상하로 길쭉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20)과 가동 프레임(30)의 접철시 소정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그 접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부(11)의 전면에 휴대폰(1)의 버튼(3) 작동이 용이하도록 연질의 투명창(80)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의 펼침시 휴대폰(1)의 마이크(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포켓부(11)에 통화창(6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휴대폰(1)을 외부로 완전히 인출시키지 않더라도 통화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상기 투명창(80) 대신 상기 포켓부(11)의 전면에 휴대폰(1)의 버튼(3)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7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부(11)의 후면에 벨트 클립(91) 연결판(92) 및 목걸이용 고리판(93)의 교환 착탈이 가능하도록 "ㄷ"형상의 슬라이딩홈(100) 및 상기 슬라이딩홈(100)의 입구에 탄성 걸림판(11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벨트 클립(91) 연결판(92)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휴 대폰용 케이스를 허리띠에 차거나 상기 목걸이용 고리판(93)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휴대폰용 케이스를 목에 걸어 휴대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의 포켓부(11)나 덮개부(12)나 고정 프레임(20), 가동 프레임(30)의 형상이나 디자인 등은 휴대폰(1)의 형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통화창(60)이나 개방부(70)나 투명창(80)이나 걸림돌기(51) 및 걸림홈(52)의 형상 및 위치 역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수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용 케이스에 의하면, 덮개부를 열었을 때, 휴대폰의 일부가 손으로 쉽게 뺄 수 있도록 자동 인출되어 휴대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관이 수려한 동시에 휴대폰을 외부로 꺼내지 않고도 버튼이나 통화가 가능하고, 내부의 프레임에 의해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여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휴대폰(1)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방에 휴대폰 수납용 포켓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11)의 상방에 상기 포켓부(11)와 연결되어 절곡시 상기 포켓부(11)의 개구를 덮는 덮개부(12)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10);
    상기 덮개부(12)의 내측 좌우측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0); 및
    상기 덮개부(12)의 절곡시 상기 포켓부(11)를 기준으로 상기 덮개부(12)의 움직임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되고, 상기 덮개부(12)의 펼침시 상기 덮개부(12)의 움직임을 따라 슬라이딩 상승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좌우 힌지축(40)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휴대폰(1)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포켓부(11)에 수납되는 가동 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20)과 가동 프레임(30)의 접철시 접철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20)과 가동 프레임(30) 사이에 한 쌍의 걸림돌기(51) 및 걸림홈(52)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2)의 펼침시 휴대폰(1)의 마이크(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포켓부(11)에 통화창(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11)의 전면에 휴대폰(1)의 버튼(3)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 (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11)의 전면에 휴대폰(1)의 버튼(3) 작동이 용이하도록 연질의 투명창(8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11)의 후면에 벨트 클립(91) 연결판(92) 및 목걸이용 고리판(93)의 교환 착탈이 가능하도록 "ㄷ"형상의 슬라이딩홈(100) 및 상기 슬라이딩홈(100)의 입구에 탄성 걸림판(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케이스.
KR2020050036124U 2005-12-23 2005-12-23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10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24U KR200410988Y1 (ko) 2005-12-23 2005-12-23 휴대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24U KR200410988Y1 (ko) 2005-12-23 2005-12-23 휴대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988Y1 true KR200410988Y1 (ko) 2006-03-09

Family

ID=4176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124U KR200410988Y1 (ko) 2005-12-23 2005-12-23 휴대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9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39Y1 (ko) * 2011-01-26 201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US11027191B2 (en) 2018-09-07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39Y1 (ko) * 2011-01-26 201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US11027191B2 (en) 2018-09-07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885Y1 (ko)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51999Y1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US20110210018A1 (en) Combination Cell Phone and Eyeglass Dedicated Case
KR200468007Y1 (ko) 회전 및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KR101400260B1 (ko) 배터리 교체 도어가 부착된 배터리커버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US10511342B1 (en) Cell phone case with card storage capability
KR200410988Y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97241B1 (ko) 스마트폰 케이스
JP3204169U (ja) 携帯情報端末用ケース
KR200479106Y1 (ko)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
KR200467895Y1 (ko) 표시창 보호 부재를 구비한 수첩형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382006Y1 (ko) 슬라이드형 핸드폰 케이스
KR200488623Y1 (ko) 카드 수납용 범퍼 케이스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33625Y1 (ko) 휴대폰 케이스
JP2000201210A (ja) 携帯電話器用の容器及び保持具
JP2007190091A (ja) 携帯電子機器
KR200381961Y1 (ko) 반개방형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JP3113819U (ja) 携帯電話ホルダー
KR101303345B1 (ko) 휴대기기용 수납 케이스
JP3061342U (ja) 携帯電話器用ポケット付手提袋
KR200219222Y1 (ko) 핸드폰케이스
KR20170001693U (ko)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KR200314769Y1 (ko) 듀얼 폴더 핸드폰용 봉제인형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