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39Y1 -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39Y1
KR200477439Y1 KR2020110000755U KR20110000755U KR200477439Y1 KR 200477439 Y1 KR200477439 Y1 KR 200477439Y1 KR 2020110000755 U KR2020110000755 U KR 2020110000755U KR 20110000755 U KR20110000755 U KR 20110000755U KR 200477439 Y1 KR200477439 Y1 KR 200477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moving
locker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587U (ko
Inventor
이승현
정상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0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3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번의 누르는 동작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통신 장치를 소정의 거리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 본체와, 상기 파우치 본체에 구비되고, 버튼부의 누름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파우치 본체로부터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파우치로부터 통신 장치의 착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별도로 파우치 입구를 벌리는 동작 없이 인출된 통신 장치에 의해 파우치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파우치 입구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POUCH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번의 누르는 동작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통신 장치를 소정의 거리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과 플립이 힌지 장치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동-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동-형 단말기는 두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 이동으로 대면한 상태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휴대용 통신 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는 터치 스크린를 이용하여 화성통신, 전자수첩기능, 각종 정보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터치 스크린 방식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부 충격에 쉽게 노출된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들은 사용 중 외부 충격과 흠집 발생으로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를 씌우는 파우치, 보호 커버 및 보호 케이스등을 마련하게 된다.
상기 파우치는 일측이 개방되어 휴대용 통신 장치를 끼워서 수용될 수 있도록 직물, 투명 및 불투명 합성수지 또는 펄프 등을 소재로 사용하여 재봉, 고주파 접합 또는 본드 등으로 접착시켜 대략 주머니 형태 또는 박스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한 후 개방된 부분에 형성되는 덮개 또는 고정띠 등에 훅 단추, 테이프 또는 지퍼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는 사용자가 상기 파우치에 수용된 휴대용 통신 장치를 뺄 경우 사용자의 한손으로 상기 파우치를 잡고, 사용자의 다른 한손으로 상기 파우치의 입구를 벌림과 아울러 넣은 다음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를 잡고 꺼내야 하는 수동 동작이 필요함으로, 상기 파우치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를 분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반복으로 파우치의 입구를 벌릴 경우 벌어진 파우치의 입구로 인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쉽게 이탈되어 상기 파우치의 기능 및 수명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기 출원된 특허공개번호 제 2009-124875호에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보호 케이스의 구성이 상세히 개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보호 케이스(1)는 보호 케이스의 본체(2)에 형성된 걸림홈(3)과, 절개된 탄성편(5)을 일체로 형성한 클립(4)으로 구성되고, 이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 기기(6)를 상기 본체(2)로부터 분리시 손가락을 걸림홈(3)으로 넣어 상기 클립(4)의 탄성편(5)을 누름과 아울러 밀면 상기 걸림홈(3)의 턱으로부터 상기 클립(4)의 탄성편(5) 선단이 벗어남과 아울러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6)가 낙하하여 상기 보호 케이스의 본체(2)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6)를 분리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보호 케이스는 사용자의 손으로 클립의 탄성편을 누름과 아울러 이탈방향으로 밀어서 걸림홈에서 분리해야하는 이중의 수동 동작이 필요함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와 상기 보호 케이스의 분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를 상기 파우치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전자의 수동 동작 또는 상기 후자의 이중의 수동 동작이 없이 한번의 누름 동작으로 반자동으로 인출시켜 분리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버튼부의 누르는 한번의 동작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통신 장치를 소정의 거리로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구성함으로써, 파우치로부터 통신 장치의 착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버튼부의 누르는 한번의 동작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통신 장치를 소정의 거리로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파우치 입구를 벌리는 동작이 필요없이 인출된 통신 장치에 의해 파우치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파우치 입구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 본체; 및
상기 파우치 본체에 구비되고, 버튼부의 누름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파우치 본체로부터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에 의하면,
한번의 누르는 동작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통신 장치를 소정의 거리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우치로부터 통신 장치의 착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별도로 파우치 입구를 벌리는 동작 없이 인출된 통신 장치에 의해 파우치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파우치 입구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에 휴대용 통신 장치를 인입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에 휴대용 통신 장치를 인입시킨 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구성 중 이동 모듈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구성 중 이동 모듈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구성 중 이동 모듈부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인출 전 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인출 후 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인출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10)는, 파우치 본체(20)와, 인출부(3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파우치 본체(20)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를 인출가능하도록 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부(30)는 후술하는 버튼부(31)를 한번 누름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파우치 본체(2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 본체(20)내에 구비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 본체(20)에는 상기 버튼부(31)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노출홀(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30)는 버튼부(31)와, 락커부(32)와, 가이드 이동부(33)와, 이동부(34)와, 이동 지지부(3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3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부(31)는 사용자의 손(미도시 됨)으로 눌려지도록 상기 버튼부(3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락커부(3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32a)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31)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버튼부(3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이동부(33)는 상기 락커부(32)와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락커부(32)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파우치 본체(20)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3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34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32a)들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후크(34a)들과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출방향으로 반자동으로 이동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를 상기 파우치 본체(20)로부터 인출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파우치 본체(20)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 지지부(35)는 이동부(34)와 결합됨과 아울러 이동을 지지하도록 상기 파우치 본체(20)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36)는 상기 이동부(34)와 상기 이동 지지부(35)를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와 상기 이동 지지부(35)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6,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커부(32)들에는 상기 버튼부(31)를 누르거나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를 상기 파우치 본체(20)로 인입시 상기 걸림 돌기(32a)들을 이동시켜 상기 후크(34a)들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시킬 수 있게 힘을 제공하도록 이동 모듈부(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 모듈부(40)는 락커 이동부(41)와, 탄성부(4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커 이동부(41)는 상기 버튼부(31)를 누르거나 상기 후크(34a)들과 접촉시 상기 걸림 돌기(32a)를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락커부(3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42)는 상기 락커 이동부(41)를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락커 이동부(41)에 결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에는 상기 걸림 돌기(32a)들을 관통시킴과 아울러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커 관통홀(3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5,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4)에는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에 형성된 걸림홈(33b)에 걸려 상기 락커부(32)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부(34c)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4)에는 상기 탄성 부재(36)들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36)들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지지돌기(3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32a)에는 상기 후크(34a)들의 가이드 경사면(60)과 대면되도록 경사면(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34a)들은 상기 경사면(50)과 접촉됨과 아울러 걸림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경사면(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커부(32)와 상기 이동부(34)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 PC)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락커부(32)와 상기 이동부(34)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 PC) 재질 이외에 다른 재질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이동부(33) 및 상기 이동 지지부(35)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 SUS)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이드 이동부(33) 및 상기 이동 지지부(35)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 SUS)의 재질 이외에 다른 재질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10)는, 파우치 본체(20)와, 인출부(30)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30)는 버튼부(3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32a)를 형성한 락커부(32)와, 가이드 이동부(3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34a)를 형성한 이동부(34)와, 이동 지지부(3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36)로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커부(32)는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락커부(3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32a)는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에 형성된 락커 관통홀(33a)에 관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4)에 이동 지지부(35)를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와 상기 이동 지지부(35)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36)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 부재(36)들은 상기 이동부(34)에 형성된 탄성 지지돌기(34b)들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 본체(20)내에 상기 인출부(30)를 장착하고, 이때, 상기 버튼부(31)는 상기 파우치 본체(20)에 형성된 노출홀(21)에 삽입하여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때,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30)의 하부에 이동 모듈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모듈부(40)는 락커 이동부(41)와, 탄성부(42)로 구성된다. 상기 락커부(32)에 형성된 락커 이동부(41)에 탄성부(42)를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 본체(20)에 구비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를 상기 파우치 본체(20)의 입구(22)를 통해 인입할 경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는 상기 이동부(34)와 접촉되고, 이때,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를 상기 파우치 본체(20)로 좀 더 인입시키면, 상기 이동부(34)와 함께 후크(34a)들도 함께 이동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34a)들은 상기 락커부(32)에 형성된 걸림 돌기(32a)들의 경사면(42)과 접촉됨과 아울러 이동한다. 상기 후크(34a)들의 가이드 경사면(60)과 상기 걸림 돌기(32a)들의 경사면(50)이 서로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 돌기(32a)들은 상기 버튼부(31)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32a)들이 이동할 경우 상기 락커부(32)와 함께 상기 락커 이동부(41)도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부(42)를 압축시킨다. 상기 후크(34a)들의 가이드 경사면(60)이 상기 걸림 돌기(32a)들의 경사면(50)을 타고 넘어가면. 상기 락커 이동부(41)는 상기 탄성부(42)의 인장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락커 이동부(41)가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 돌기(32a)들도 이동하여 상기 후크(34a)들에 걸리게 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커부(32)도 이동하고, 상기 락커부(32)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버튼부(31)도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노출홀(2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34a)들이 상기 걸림 돌기(32a)들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36)들을 압축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상기 버튼부(31)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31)와 함께 상기 락커부(32)는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락커부(32)와 함께 상기 걸림 돌기(32a)들도 함께 이동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32a)들은 상기 후크(34a)들로부터 걸림이 해제된다. 상기 후크(34a)들은 걸림이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36)들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34)와 상기 지지 이동부(36)를 이동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4)와 상기 지지 이동부(36)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와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파우치 본체(20)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를 소정의 거리로 인출시킨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부(34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34)와 상기 지지 이동부(35)가 이동시 상기 이탈 방지부(34c)들은 상기 가이드 이동부(33)에 형성된 걸림홈(33b)에 걸려 상기 이동부(34)와 상기 지지 이동부(35)를 상기 락커부(32)로부터 이탈을 방지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는 상기 파우치 본체(20)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돌출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돌출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를 잡고 당겨서 간편하게 상기 파우치 본체(20)로부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를 분리한다.
이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버튼부(31)를 한번의 누르는 동작에 의해 반자동으로 파우치 본체(20)로부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를 소정의 거리로 돌출시킴으로써, 파우치로부터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7)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장치는 대표적인 적용예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반드시 휴대용 통신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예컨대, 바형 단말기, 폴더형 단말기 및 슬라이딩형 단말기등)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게임기, 노트북, 광고판, 티브이(TV),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 전자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 본체 : 20 인출부 : 30
버튼부 : 31 락커부 : 32
가이드 이동부 : 33 이동부 : 34
이동 지지부 : 35 탄성 부재 : 36
이동 모듈부 : 40

Claims (8)

  1.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에 있어서,
    파우치 본체; 및
    상기 파우치 본체에 구비되고, 버튼부의 누름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파우치 본체로부터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를 형성한 락커부;
    상기 파우치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락커부와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락커부의 이동을 가이드 이동부;,
    상기 파우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 돌기들의 이동에 따라서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를 형성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이동을 지지하는 이동 지지부; 및
    상기 가이드 이동부와 상기 이동 지지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와 상기 이동 지지부를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본체에는 상기 버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에는 상기 버튼부를 누르거나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파우치 본체로 인입시 상기 걸림 돌기들을 이동시켜 상기 후크들에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게 힘을 제공하는 이동 모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부는, 상기 락커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를 누르거나 상기 후크들과 접촉시 상기 걸림 돌기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락커 이동부와,
    상기 락커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락커 이동부를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동부에는 상기 걸림 돌기들을 관통시킴과 아울러 이동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커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가이드 이동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상기 락커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들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지지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들에는 상기 걸림 돌기들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걸림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KR2020110000755U 2011-01-26 2011-01-26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KR200477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55U KR200477439Y1 (ko) 2011-01-26 2011-01-26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55U KR200477439Y1 (ko) 2011-01-26 2011-01-26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87U KR20120005587U (ko) 2012-08-03
KR200477439Y1 true KR200477439Y1 (ko) 2015-06-17

Family

ID=4687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755U KR200477439Y1 (ko) 2011-01-26 2011-01-26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3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359Y1 (ko) * 1997-12-10 2001-10-25 유철진 포켓형컵홀더
KR20040089789A (ko) * 2003-04-15 2004-10-22 변영광 화장용구의 자동인출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KR200410988Y1 (ko) * 2005-12-23 2006-03-09 김동주 휴대폰용 케이스
KR20080036428A (ko) * 2006-10-23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입/인출 장치
KR20090004125A (ko) * 2007-07-06 2009-01-12 배명학 자동 개폐가 가능한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359Y1 (ko) * 1997-12-10 2001-10-25 유철진 포켓형컵홀더
KR20040089789A (ko) * 2003-04-15 2004-10-22 변영광 화장용구의 자동인출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KR200410988Y1 (ko) * 2005-12-23 2006-03-09 김동주 휴대폰용 케이스
KR20080036428A (ko) * 2006-10-23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입/인출 장치
KR20090004125A (ko) * 2007-07-06 2009-01-12 배명학 자동 개폐가 가능한 콤팩트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87U (ko) 201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8233B1 (en) Battery cover lock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850150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4235897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US20110026199A1 (en) Butt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256071B2 (en) Main body holder for portable apparatus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main body holder
KR10081076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20110019211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US8958205B2 (en) Cov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73245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7439Y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우치 장치
KR20070119253A (ko) 슬라이딩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EP1929640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20120103854A (ko) 바형 휴대기기용 케이스 및 바형 휴대기기와의 조립방법
KR2008003642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입/인출 장치
KR100539882B1 (ko) 전자 기기의 단자 커버 장치
KR100865673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1144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62617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CN102121497A (zh) 电子装置及其铰链结构
KR101604687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CN110989331B (zh) 一种智能腕戴设备
KR100681353B1 (ko) 슬라이딩이동식 휴대용 단말기
KR100617740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 그 락킹 장치
KR101009934B1 (ko) 그립 돌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