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211A -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211A
KR20110019211A KR1020090076829A KR20090076829A KR20110019211A KR 20110019211 A KR20110019211 A KR 20110019211A KR 1020090076829 A KR1020090076829 A KR 1020090076829A KR 20090076829 A KR20090076829 A KR 20090076829A KR 20110019211 A KR20110019211 A KR 20110019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p
hinge
lock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205B1 (ko
Inventor
안성호
이승훈
김종우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제이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제이알테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205B1/ko
Priority to US12/847,032 priority patent/US8634882B2/en
Priority to CN2010202955781U priority patent/CN201781707U/zh
Publication of KR2011001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에 따라서 통신 장치의 부품들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고, 그의 일면을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내에서 인입/인출되는 팝업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팝업 하우징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사용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부품들의 외관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체 하우징, 팝업 하우징, 팝업 힌지부.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POP UP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누름에 따라서 통신 장치의 부품들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테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통신 장치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현재 휴대용 통신 장치는 스피커 모듈, 마이크 장치, 키패드 및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의 부품들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함으로서,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카메라 렌즈 모듈은 항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짐으로써, 외부 환경으 로부터 별도의 보호 장치 없이는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 장치를 채용한다면,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말기에 내장되는 내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단말기의 형상에 맞게 디자인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원통형의 카메라 렌즈 모듈로 인해 단말기의 두께가 커져 소형화에 역행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원통형의 렌즈 모듈을 상, 하방향으로 단순히 회전만 시킬뿐 사용에 따른 별다른 즐거움을 주지 못하여 유희적 측면에서도 즐거움을 충족시키기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바타입 터치 단말기에서도 단순히 스피커 모듈 및 카메라 렌즈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단말기에 맞게 다자인이 미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피커 모듈, 마이크 장치 및 카메라 렌즈등의 부품들을 누름에 따라서통신 장치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하여 통신 장치의 사용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주고 부품들의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통신 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누름에 따라서 통신 장치의 부품들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통신 장치의 부품들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사용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고, 그의 일면을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내에서 인입/인출되는 팝업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팝업 하우징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부를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내에서 인입/인출되는 팝업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팝업 하우징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을 누르면 상기 본체 하우징내에 인입된 상태로 구속시키고, 상기 버튼부를 누르면 구속을 해제시킴과 아울러 상기 팝업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에 의하면,
누름에 따라서 통신 장치의 부품들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사용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부품들의 외관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 1, 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 1, 2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 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10)는 본체 하우징(20)과, 팝업 하우징(3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지부(4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하우징(20)은 누름에 따라서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으로부터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팝업 하우징(30)은 그의 일면을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20)내에서 인입/인출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팝업 힌지부(40)들은 상기 팝업 하우징(30)의 일면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20)으로부터 인입/인출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과 상기 팝업 하우징(30)내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은 제 1, 2 하우징(21)(2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일단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인입/인출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장착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홈(23)내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3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하도록 제 1 가이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하우징(30)은 제 1, 2 하우징(21)(2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팝업 하우징(30)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부(23a)와 결합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3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하도록 제 2 가이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에는 상기 팝업 힌지부(4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 1 안착부(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팝업 하우징(30)에는 상기 팝업 힌지부(4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 2 안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힌지부(40)는 힌지 하우징(41)과, 샤프트(42)와, 락킹부(43)와, 가이드 스토퍼 캠(44)과, 탄성 부재(45)와, 힌지 커버(4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하우징(41)은 후술하는 상기 샤프트(42)와, 상기 락킹부(43)와, 상기 가이드 스토퍼 캠(44)과, 상기 탄성 부재(45) 및 힌지 커버(46)를 구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42)는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누름에 따라서 인입/인출할 수 있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41)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락킹부(43)는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샤프트(42)도 함께 눌리고 후술하는 가이드 스토퍼 캠(44)에서 걸려 구속되거나 걸림을 해제되도록 상기 샤프트(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스토퍼 캠(44)은 상기 샤프트(42)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락킹부(43)를 회전시켜 걸려 구속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샤프트(42)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41)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45)는 상기 샤프트(42)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샤프트(42)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커버(46)는 상기 힌지 하우징(41)을 보호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41)의 외곽에 결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하우징(41)은 상기 탄성 부재(45)와 결합되도록 탄성 공간(41a)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힌지 하우징(41)내에는 상기 샤프트(42)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4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하우징(41)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20)과 체결되도록 체결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2)는 샤프트 헤드부(42a)와, 회전 공간(42b)과, 회전홀(42c)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 헤드부(42a)는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누름에 따라서 함께 눌려지도록 상기 팝업 하우징(30)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공간(42b)은 상기 락킹부(43)를 회전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샤프트(42)의 헤드부(42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홀(42c)은 상기 락킹부(4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 공간(42b)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43)는 와이어 락킹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락킹부(43)의 일단은 상기 회전홀(42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락킹부(43)의 타일단은 상기 가이드 스토퍼 캠(44)에 결합되어 가이드 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스토퍼 캠(44)은 스토퍼부(44a)와, 제 1, 2 가이드 캠(44b)(44c)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부(44a)는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샤프트(42)와 함께 상기 락킹 부(43)도 이동시켜 상기 락킹부(43)의 걸림을 해제시키거나 구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가이드 캠(44b)은 상기 락킹부(43)를 상기 스토퍼부(44a)에서 걸림을 해제시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인출시킬 수 있게 상기 락킹부(43)를 가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부(44a)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가이드 캠(44c)은 상기 락킹부(43)를 상기 스토퍼부(44a)에 걸려 구속시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인입시킬 수 있게 상기 락킹부(43)를 가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부(44a)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팝업 하우징(30)에는 스피커 모듈, 마이크 장치 및 카메라 렌즈 모듈(미도시 됨)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부품들외에 다른 부품들도 구성가능하다.
아울러,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 타입, 폴더 타입, 바 타입 및 슬라이딩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를 대표적인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 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10)는 제 1, 2 하우징(21)(22)으로 이루어진 본체 하우징(20)과, 제 1, 2 하우징(21)(22)으로 이루어진 팝업 하우징(3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지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팝업 힌지부(40)는 힌지 하우징(41)과, 샤프트(42)와, 락킹부(43)와, 가이드 스토퍼 캠(44)과, 탄성 부재(45) 및 힌지 커버(46)로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41)에 제공된 탄성 공간(41a)에 상기 탄성 부재(45)를 제공하고, 상기 샤프트(42)는 상기 탄성 부재(45)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41)에 형성된 관통홀(41b)에 관통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42)에 형성된 회전홀(42c)에 상기 락킹부(43)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락킹부(43)의 타일단은 상기 가이드 스토퍼 캠(44)에 결합한다.
상기 락킹부(43)는 상기 샤프트(42)에 형성된 회전 공간(42b)에 회전가능하 게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41)의 외곽에 힌지 커버(46)를 결합한다.
상기 힌지 하우징(41)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부(41c)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20)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 헤드부(42a)는 상기 팝업 하우징(30)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본체 하우징(20)에 형성된 장착홈(23)에 내장된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인출할 경우 상기 팝업 하우징(30)의 일면을 누른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하우징(30)은 눌린 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장착홈(23)내에서 인출됨과 아울러 상기 장착홈(23)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부(23a)에 의해 가이드 된다.
또한, 상기 팝업 하우징(30)은 상기 팝업 하우징(30)에 형성된 제 2 가이드부(33)에 의해 가이드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하우징(30)은 누름과 아울러 상기 샤프트 헤드부(42a)도 함께 눌리고, 상기 샤프트 헤드부(42a)와 함께 샤프트(42)도 함께 눌린다. 또한, 상기 샤프트(42)와 함께 상기 락킹부(43)도 함께 눌리고, 상기 락킹부(43)의 일단은 상기 회전홀(42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락킹부(43)의 일단이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락킹부(43)의 타일단은 상기 스토퍼부(44a)에서 걸림이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가이드 캠(44b)을 따라서 가이드 이동된다.
이때,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43)가 상기 스토퍼부(44a)에서 걸림이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샤프트(42)에 결합된 탄성 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42)를 이동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43)는 상기 탄성 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가이드 캠(44b)을 따라서 가이드 이동하고, 상기 샤프트 헤드부(42a)와 상기 샤프트(42)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장착홈(23)내에서 인출시킨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다시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장착홈(23)내로 인입시킬 경우 상기 팝업 하우징(30)의 일면을 누르면, 상기 장착홈(23)내로 인입되고, 상기 샤프트 헤드부(42a)와 상기 샤프트(42)도 함께 인입되고, 상기 샤프트(42)와 함께 상기 락킹부(43)도 함께 인입된다.
이때,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43)의 타일단은 상기 제 2 가이드 캠(44c)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팝업 하우징(30)의 인입 종료 위치에 위치시 상기 락킹부(43)의 타일단은 상기 스토퍼부(44a)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려 구속된다. 상기 락킹부(43)의 일단은 상기 락킹부(43)의 타일단을 상기 스토퍼부(44a)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회전홀(42c)에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팝업 하우징(30)은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장착홈(23)내에 인입됨과 아울러 이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상기 팝업 하우징(30)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20)내에서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 지부(40)를 구성함으로서, 제품의 사용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100)는 제 1, 2 하우징(201)(202)으로 이루어진 본체 하우징(200)과, 상기 제 1, 2 하우징(301)(302)으로 이루어진 팝업 하우징(3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지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양측에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버튼부(500)들이 구비된다. 상기 팝업 하우징(300)은 상기 버튼부(50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200)내에서 인입/인출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0)에 내장된다.상기 팝업 힌지부(400)들은 상기 팝업 하우징(300)을 누르면 상기 본체 하우징(200)내에 인입된 상태로 구속시키고, 상기 버튼부(500)를 누르면 구속을 해제시킴과 아울러 상기 팝업 하우징(30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00) 및 상기 팝업 하우징(300)내의 사이에 구비된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일단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300)을 인입/인출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홈(203)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양측면에는 상기 버튼부(500)를 구비할 수 있도록 버튼홀(204)이 형성된다,
도 10,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제 1 하우징(201)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300)을 인입/인출시 상기 팝업 하우징(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홈(201a)이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제 2 하우징(202)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30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팝업 힌지부(400)와 결합되도록 제 1 가이드부(202a)가 형성된다. 상기 팝업 하우징(300)은 상기 제 1 가이드부(202a)와 결합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30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팝업 힌지부(400)와 결합되도록 제 2 가이드부(303)가 형성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하우징(300)의 제 1 하우징(301)에는 상기 이탈 방지홈에 결합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돌기(301a)가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힌지부(400)는 힌지 하우징(401)과, 샤프트(402)와, 락킹부(403)와, 탄성 부재(404)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401)은 상기 샤프트(402)와, 상기 락킹부(403)와, 상기 탄성 부재(404)를 구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402)는 상기 팝업 하우징(300) 및 상기 버튼부(500)를 누름에 따라서 인입/인출할 수 있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401)내에 구비된다. 상기 락킹부(403)는 상기 샤프트(402)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팝업 하우징(300)의 인입 종료 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 걸려 구속되고, 상기 버튼부(500)를 누름에 따라서 탄성력에 의해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402)에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404)는 상기 샤프트(402)와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402)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힌지 하우징(401)내에 구비된다.
도 10, 도 11,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하우징(401)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200)과 체결되는 체결부(401a)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401)의 양일측면에는 상기 락킹부(403)를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홀(401b)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401b)의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락킹부(403)를 걸려 구속시키거나 이탈에 의해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걸림홈(401c)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401)내에는 상기 탄성 부재(404)를 지지하도록 지지돌기(401d)가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02)는 샤프트 체결부(401a)와, 안착홈(402b)과, 탄성홈(402c)으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401a)는 상기 버튼부(500)를 누름에 따라서 함께 인출되도록 상기 팝업 하우징(300)과 체결된다. 상기 안착홈은 상기 락킹부(403)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402)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홈(402c)은 상기 탄성 부재(404)를 지지할 수 있게 결합되도록 상기 샤프트(402)내에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403)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락킹부(403)의 일단에는 상기 샤프트(402)의 안착홈(402b)에 안착되고, 상기 락킹부(403)의 타일단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401)의 걸림홈(401c)에서 착탈되도록 한쌍의 걸림돌기(403a)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03a)는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403a)는 반구형의 형상이외에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예컨대, 구형 및 마름모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버튼부(500)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돌기(403a)와 접촉되도록 접촉 돌 기(501)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팝업 하우징(30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0)내로 인입시킬 경우 상기 팝업 하우징(300)의 일면을 누르면, 상기 팝업 하우징(300)은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장착홈(203)내로 인입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02)와 상기 락킹부(403)도 함께 눌려짐과 아울러 이동하고, 상기 락킹부(403)의 걸림돌기(403a)는 상기 힌지 하우징(401)에 형성된 가이드 홀(401b)을 따라서 가이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팝업 하우징(300)은 상기 팝업 하우징(300)의 인입 종료 위치에 도달시 상기 락킹부(403)의 걸림돌기(403a)가 상기 힌지 하우징(401)의 걸림홈(401c)에 탄성력에 의해 삽입됨과 아울러 걸려 구속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하우징(300)은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장착홈(203)내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403)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락킹부(403)의 한쌍의 걸림돌기(403a)가 상기 가이드 홀(401b)을 따라서 이동하고, 이때, 상기 걸림홈(401c)의 이웃한 위치에 도달시 상기 한쌍의 걸림돌기(403a)가 서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401c)에 삽입되어 걸려 구속된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 하우징(30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장착홈(203)내에서 인출시킬 경우 상기 버튼부(500)들을 누르면, 상기 버튼부(500)의 후면에 형성된 접촉 돌기(501)가 상기 걸림 돌기(403a)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403a)를 상기 힌지 하우징(401)의 내측으로 밀고, 이때, 상기 걸림돌기(403a)는 상기 걸림홈(401c)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02)는 상기 샤프트(402)내에 구비된 탄성 부재(404)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팝업 하우징(300)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200)의 장착홈(203)내에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버튼부(50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200)내에서 상기 팝업 하우징(300)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지부(400)를 구성함으로서, 제품의 사용에 따른 유희적 즐거움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 절단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C부 확대 절단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D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 동 전 상태를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사시도.
도 1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평면도.

Claims (19)

  1.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고, 그의 일면을 누름에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내에서 인입/인출되는 팝업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팝업 하우징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제 1,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을 인입/인출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내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팝업 하우징은 제 1,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팝업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 치의 팝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상기 팝업 힌지부를 안착시키는 제 1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팝업 하우징에는 상기 팝업 힌지부를 안착시키는 제 2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힌지부는,
    힌지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을 누름에 따라서 인입/인출할 수 있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락킹부와,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락킹부를 회전시켜 걸려 구속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샤프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이드 스토퍼 캠과,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곽에 결합되는 힌지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되는 탄성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는 상기 샤프트를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팝업 하우징과 결합되는 샤프트 헤드부와,
    상기 샤프트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공간과
    상기 회전 공간내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와이어 락킹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락킹부의 일단은 상기 회전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일단은 상기 가이드 스토퍼 캠 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 캠은, 상기 팝업 하우징을 누름에 따라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락킹부를 이동시켜 상기 락킹부의 걸림을 해제시키거나 구속시키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를 상기 스토퍼부에서 걸림을 해제시 상기 팝업 하우징을 인출시킬 수 있게 상기 락킹부를 가이드 이동시키는 제 1 가이드 캠과,
    상기 스토퍼부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를 상기 스토퍼부에 구속시 상기 팝업 하우징을 인입시킬 수 있게 상기 락킹부를 가이드 이동시키는 제 2 가이드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하우징에는 스피커 모듈, 마이크 장치 및 카메라 렌즈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0.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부를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내에서 인입/인출되는 팝업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및 상기 팝업 하우징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을 누르면 상기 본체 하우징내에 인입된 상태로 구속시키고, 상기 버튼부를 누르면 구속을 해제시킴과 아울러 상기 팝업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 힌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을 인입/인출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버튼부를 구비할 수 있도록 버튼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은 제 1,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을 인입/인출시 상기 팝업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팝업 하우징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상기 팝업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하우징은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팝업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팝업 하우징은 제 1,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합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힌지부는,
    힌지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 구비되어 상기 팝업 하우징 및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인입/인출할 수 있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팝업 하우징의 인입 종료 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 걸려 구속되고,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탄성력에 의해 걸림을 해제시키는 락킹부와,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과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양일측면에는 상기 락킹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락킹부를 걸려 구속시키거나 이탈에 의해 걸림을 해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는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팝업 하우징과 체결되는 샤프트 체결부와,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를 안착시키는 안착홈과,
    상기 샤프트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결합되는 탄성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락킹부의 일단에는 상기 샤프트의 안착홈에 안착되고, 타일단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의 걸림홈에서 착탈되는 한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되는 접촉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하우징을 누르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장착홈내로 인입되고, 상기 샤프트도 함께 눌려짐과 아울러 이동하며, 상기 락킹부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서 가이드 이동하고, 상기 팝업 하우징의 인입 종료위치에서 상기 락킹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힌지 하우징의 걸림홈에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어 걸려 구속되며,
    상기 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 형성된 접촉 돌기가 상기 걸림 돌기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측으로 밀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되며, 상기 샤프트내에 구비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팝업 하우징을 상기 본체 하우징의 장착홈내에서 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KR1020090076829A 2009-08-19 2009-08-19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KR101635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829A KR101635205B1 (ko) 2009-08-19 2009-08-19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US12/847,032 US8634882B2 (en) 2009-08-19 2010-07-30 Pop-up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2010202955781U CN201781707U (zh) 2009-08-19 2010-08-17 便携式通信装置的弹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829A KR101635205B1 (ko) 2009-08-19 2009-08-19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211A true KR20110019211A (ko) 2011-02-25
KR101635205B1 KR101635205B1 (ko) 2016-06-30

Family

ID=4360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829A KR101635205B1 (ko) 2009-08-19 2009-08-19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34882B2 (ko)
KR (1) KR101635205B1 (ko)
CN (1) CN2017817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436A (ko) * 2019-05-22 202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팝업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0038S1 (en) * 2013-09-26 2016-02-23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N105430120A (zh) * 2014-09-16 2016-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塞子弹出系统、手机及手机塞子弹出方法
US11523034B2 (en) 2016-02-10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US10165162B2 (en) 2016-06-27 2018-1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magnetic camera device
US10317779B2 (en) 2016-08-16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CN108600439B (zh) * 2018-04-11 2020-04-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KR20210073134A (ko) * 2019-12-10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팝업 모듈 구동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팝업 모듈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8092A1 (en) * 2003-04-30 2004-11-04 Lg Electronics Inc. Camera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103348A (ko) * 2004-04-26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20080036428A (ko) * 2006-10-23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입/인출 장치
KR100866944B1 (ko) * 2007-08-17 2008-11-0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2958B1 (en) * 1998-09-10 2004-11-02 Intel Corporation Storable digital camera associated with a computer system
US7046287B2 (en) *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JP2002281142A (ja) * 2001-03-19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JP3982760B2 (ja) * 2003-09-19 2007-09-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ヒンジ装置
KR100606003B1 (ko) * 2004-05-0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1114210B1 (ko) * 2004-07-29 2012-03-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팝업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US7184803B2 (en) * 2005-01-21 2007-02-27 Inventec Corpo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jecting or retracting lens in response to the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apparatus being opened or closed
US7636591B2 (en) * 2006-04-28 2009-1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wo-way sliding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8092A1 (en) * 2003-04-30 2004-11-04 Lg Electronics Inc. Camera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103348A (ko) * 2004-04-26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20080036428A (ko) * 2006-10-23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인입/인출 장치
KR100866944B1 (ko) * 2007-08-17 2008-11-0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436A (ko) * 2019-05-22 202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팝업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99996B2 (en) 2019-05-22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pop-up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34882B2 (en) 2014-01-21
US20110045877A1 (en) 2011-02-24
CN201781707U (zh) 2011-03-30
KR101635205B1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9211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KR100575947B1 (ko)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790088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71347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스윙 거치 장치
EP1513323A1 (en) Portable sliding-typ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100689386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JP2004235897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KR100630102B1 (ko) 슬라이딩 팝 업 타입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KR100506261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130008946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824358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101371033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07506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회전 힌지 장치
KR100810329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팝업 장치
KR20090028952A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17740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 그 락킹 장치
KR20050103348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20090125624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277958B1 (ko) 홀더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62617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60010333A (ko)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3080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105531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810220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