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952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952A
KR20090028952A KR1020070094115A KR20070094115A KR20090028952A KR 20090028952 A KR20090028952 A KR 20090028952A KR 1020070094115 A KR1020070094115 A KR 1020070094115A KR 20070094115 A KR20070094115 A KR 20070094115A KR 20090028952 A KR20090028952 A KR 20090028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rtable terminal
guide groove
support protrus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952A/ko
Priority to US12/210,649 priority patent/US20090075707A1/en
Publication of KR2009002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일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연결 부재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에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슬라이딩형 단말기의 형태와 바형 단말기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하나의 단말기로 두 가지 형태의 단말기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해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단말기, 슬라이딩, 잠금 장치, 연결 부재, 바형 단말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 전화기, 전자 수첩, 팜 피씨(palm PC), 휴대용 게임기 등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통신, 정보 저장,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 중 가장 보편화된 것으로는 이동 전화기가 있으며, 소형, 집적화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 전화기에는 음성 통화 등의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전자 수첩, 게임, 음악 / 동영상의 저장 및 재생, 사진 및 동영상 촬영 등의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바형,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한 쌍의 하우징들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형태의 폴더형 단말기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한 쌍의 하우징들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슬라이딩형, 한 쌍의 하우징들을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스윙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고 있다.
이동 전화기를 중심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시장에서는 입출력 장치를 한 쌍의 하우징들에 각각 분산 배치하고, 휴대 시에는 하우징들을 서로 겹쳐진 상태로 휴대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겹쳐진 하우징들을 펼쳐 사용할 수 있는 폴더형 단말기와 슬라이딩형 단말기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폴더형 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들의 소형화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폴더형 단말기보다 늦게 상용화되었으나, 폴더형 단말기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그 개폐동작이 더 편리하여 폴더형 단말기보다 더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에 대한 사용자들의 취향은 다양하게 드러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보호함과 동시에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를 구매하여 사용하거나, 자신의 취향에 따라 단말기의 외장을 도색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미 제작된 단말기의 외관을 장식하는데에 소요되는 비용은 사용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보편화에 따른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종래의 단말기의 형태만으로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형에 대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형을 다양화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단말기의 외관 장식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서는 바형 단말기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형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일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연결 부재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에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 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는 알파벳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실제 제품에 적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 각각에 가이드 홈들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홈들을 통해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제1, 제2 하우징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들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제2 하우징 각각에 적어도 한 쌍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때 서로 맞물림으로써 안정적인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지지 돌기와 지지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로부터 다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자 하는 때 지지 돌기를 지지홀로부터 이탈시키는 해제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슬라이딩형 단말기의 형태와 바형 단말기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휴대하고 다니는 동안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바형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단말기로 두 가지 형태의 단말기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사 용자들의 다양해진 욕구를 충족시키고, 단말기의 외관 장식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바형 단말기보다 휴대가 편리하면서, 단말기의 하우징들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간이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는 하우징들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개폐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개폐되는 영역이 확장된 만큼 키 입력 장치 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다양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이 서로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100)는 대략 알파벳 'U'자 형상의 연결 부재(103)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연결 부재(103)는 구체적으로 제1, 제2 하우징(101, 102)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속되는 슬라이드부(131)들이 연결부(133)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직선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133) 또한 직선형태로 연장된다. 즉, 상기 연결 부재(103)는 알파벳 'U'자 형상과 유사하지만 곡선 형상보다는 상기 연결부(133)로부터 상기 슬라이드부(131)들이 각각 90도로 절곡된 형상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103)의 형상은 실제 제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통신 회로, 저장 회로 등 상기 단말기(100)의 동작에 관련된 주요 회로 장치들을 내장하며,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팩이 장착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키패드, 송화부와 같은 입력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1), 수화부(123)와 같은 출력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부 기능성 키(125)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상기 입력 장치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기능성 키(125)들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들을 검색하거나 수신된 문자 메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103)는 그 일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다른 일부분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103)에는 한 쌍의 상기 슬라이드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상기 슬라이드부(13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다른 하나의 상기 슬라이드부(131)는 상기 제2 하우징(102)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속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에는 각각 상기 연결 부재(103),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드부(131)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홈들이 형 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이드 홈들 중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형성된 가이드 홈들은 '제1 가이드 홈(141)'이라 칭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에 형성된 가이드 홈들은 '제2 가이드 홈(143)'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홈(14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단면으로부터 일면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 홈(143)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단면으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 마주보는 면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41, 143)은 각각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한 쌍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41, 143)은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 부재(103)의 슬라이드부(131)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41)에,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43)에 각각 구속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연결 부재(103)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면, 그 일면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바형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잠금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설치되는 지지 돌기(151)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상기 지지 돌기(151)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지지홀(157;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돌기(15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출몰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돌기(151)를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55)가 상기 제1 하우징(10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5)로는 좁은 공간에서도 탄성력을 충분하게 제공할 수 있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돌기(151)가 상기 지지홀(157)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 돌기(151)를 상기 지지홀(157)로부터 이탈시켜야 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양측면에는 각각 해제 버튼(15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해제 버튼(153)과 상기 지지 돌기(151) 각각에는 상기 제1 하우징(101) 내에서 마주보는 경사면(152, 154)들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해제 버튼(153)을 누르면 상기 경사면(152, 154)들에 의해 상기 지지 돌기(151)는 상기 제1 하우징(101) 내측으로 잠입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지지 돌기(151)와 지지홀(157)에 의한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사용자는 다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 돌기(151)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상기 지지홀(157)을 상기 제2 하우징(102)에 각각 배치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지지 돌기(151)를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상기 지지홀(157)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배치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4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로 중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41, 143)들과 연결 부재(103)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로 중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 부재(103)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상에서 상기 제1 가이드 홈(141)의 일단부 내벽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가이드 홈(143)의 일단부 내벽에 접촉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위치에서는 하향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이고, 상향 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위치로부터 상향 이동하면, 상기 연결 부재(103)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41)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는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102)에 대해서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43)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연결 부재(103)가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41, 143) 각각의 일단부 내벽에 접촉된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103)가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41, 143)의 절곡된 부분(145, 147)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상향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141)은 그 절곡된 부분(145)으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단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143)은 그 절곡된 부분(147)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단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103)가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41, 143)의 절곡된 부분(145, 147)에 각각 접촉된 위치로부터 더 상향 이동하면, 상기 연결 부재(103)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41, 143) 각각의 경사진 부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면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103)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41, 143)의 타단부 내벽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상향 이동할 수 없고, 하향 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때, 상기 지지 돌기(151)를 상기 지지홀(157)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 돌기(15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단면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지홀(157)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단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때 상기 지지 돌기(151)가 상기 지지홀(157)에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상기 단 말기(100)를 바형 단말기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다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사용자가 상기 해제 버튼(153)을 누르면, 상기 해제 버튼(153)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 돌기(151)에 근접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해제 버튼(153)과 지지 돌기(151)에 형성된 경사면(152, 154)이 서로 간섭되면서 상기 지지 돌기(151)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측으로 잠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돌기(151)는 상기 지지홀(157)로부터 이탈하고, 사용자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103)의 슬라이드부(131)가 상기 연결부(133)로부터 90도로 절곡된 형상이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33)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103)의 형상은 알파벳 'U'자 형상인 것이다.
또한, 상기 잠금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해제 버튼(153)을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양측면에 배치한 예가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타면에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해제 버튼(153)의 변경된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 돌 기(151)와 해제 버튼(153)에 형성된 경사면(152, 154)의 위치도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면에 기능성 키들을 배치한 예가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기능성 키들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배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확장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 홈(14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상단으로부터 중앙부까지, 상기 제2 가이드 홈(143)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타면 하단으로부터 중앙부까지 연장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가이드 홈(141)의 길이를 더 줄이고, 상기 제2 가이드 홈(143)의 길이를 더 늘여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 부재(103)가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41, 143) 각각의 일단부 내벽에 접촉되어야 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일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연결 부재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에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알파벳 'U'자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제2 가이드 홈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면으로부터 일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단면으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마주보는 면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의 일단부 벽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의 타단부 벽에 각각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단면 중 어느 한 쪽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돌기;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단면 중 다른 한 쪽에 형성되는 지지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지지홀에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돌기를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는 해제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상기 해제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 내로 잠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094115A 2007-09-17 2007-09-17 휴대용 단말기 KR20090028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115A KR20090028952A (ko) 2007-09-17 2007-09-17 휴대용 단말기
US12/210,649 US20090075707A1 (en) 2007-09-17 2008-09-15 Portable slide terminal opened in a bar sh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115A KR20090028952A (ko) 2007-09-17 2007-09-17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952A true KR20090028952A (ko) 2009-03-20

Family

ID=4045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115A KR20090028952A (ko) 2007-09-17 2007-09-17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75707A1 (ko)
KR (1) KR200900289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2014B2 (ja) * 2007-08-30 2011-09-14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情報端末
KR101027096B1 (ko) * 2009-06-01 2011-04-05 주식회사 팬택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N104619111B (zh) * 2013-11-01 2018-06-05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移动设备后盖释放机构、后盖以及相应的移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3027A (en) * 1996-08-29 2000-06-06 Bellsouth Corporation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sliding cover and automatic antenna extension
US6542721B2 (en) * 1999-10-11 2003-04-01 Peter V. Boesen Cellular tele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ager unit
KR100617673B1 (ko) * 2004-12-0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JP4963949B2 (ja) * 2005-12-12 2012-06-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スライド型移動通信端末機
KR100708607B1 (ko) * 2006-01-0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쪽 키패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7580726B2 (en) * 2006-04-18 2009-08-25 Nokia Corporation Dual level slide mechanism for extendible device housings
US20080132303A1 (en) * 2006-12-04 2008-06-05 Samu Naukkarinen Extendible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75707A1 (en)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7599487B2 (en) Sliding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EP2134065B1 (en) Portable terminal
JP2005210649A (ja)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KR100800843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KR10103038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40379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KR10081076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941953B1 (ko) 폴더형 원터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폴더형휴대 단말기
KR100879513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183354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회전 힌지 장치
KR20090028952A (ko) 휴대용 단말기
CN100525328C (zh) 具有便于数据输入的滑动键盘的便携式终端
KR10064864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6192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KR200338310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26469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1137836B1 (ko) 다목적 사이드키를 갖는 이동단말기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716758B1 (ko) 스윙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90125624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100056862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60031097A (ko)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11616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89343B1 (ko)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