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343B1 -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 Google Patents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343B1
KR100989343B1 KR1020080087104A KR20080087104A KR100989343B1 KR 100989343 B1 KR100989343 B1 KR 100989343B1 KR 1020080087104 A KR1020080087104 A KR 1020080087104A KR 20080087104 A KR20080087104 A KR 20080087104A KR 100989343 B1 KR100989343 B1 KR 100989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slide
portable terminal
hinge module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188A (ko
Inventor
강성덕
최현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08008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343B1/ko
Priority to PCT/KR2009/004698 priority patent/WO2010027152A2/ko
Publication of KR2010002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개폐될 수 있는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휴대단말기의 이동체가 결합되는 제3바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상하좌우 개폐,

Description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 SLIDE TYPE HING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개폐될 수 있는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들은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단말기의 통화를 위한 서브 바디의 개폐 동작에 따라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서 시작하여,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단말기, 팝업 타입(pop type) 단말기, 슬라이드 앤 로테이션 타입(slide and rotation type)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상술한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점점 경박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화음의 멜로디를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수백만 화소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되고 있다.
또한,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의 MP3 플레이어를 통한 음악 청취기능이 단말기에 구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콘텐츠뿐만 아니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 등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서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서브바디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제1바디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폐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개폐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밀거나 당겨 직접 슬라이딩시키는 수동타입의 슬라이딩구조와, 스프링이 장착되어 반자동으로 슬라이딩되는 반자동타입의 슬라이딩구조로 분류된다.
도 1은 종래의 반자동타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작동과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힌지모듈은,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상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20); 상기 메인 플레이트(2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10)를 상호 연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 또는 메인 플레이트(20)에 제공되는 공간상에서 유동하되,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상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20)상에 고정되어,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선재 스프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는 메인 플레이트(20)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1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고, (b)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가 메인 플레이트(20)에서 변곡점에 위치한 상태이며, (c)는 메인 플레이트(20)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1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에 일단이 고정된 선재스프링(30)은 완전히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이며, 이러한 경우 타단에 고정된 메인 플레이트(20)를 상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려는 상태를 유지한다.
(b)의 경우에는 메인 플레이트(2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10)의 거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 상태로써 상기 선재 스프링(30)은 최대한 굽혀진 상태가 되며, 이 경우 최대한의 가압력(복원력)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c)의 경우에 있어서, 메인 플레이트(20)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선재 스프링(30)은 상기 (b)의 최대한 굽혀진 상태에서 선형으로 펴지려는 가압력 때문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20)를 하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보면, 메인 플레이트(20)가 유동하여, 선재 스프링(30)을 굽혔다가 복원력에 의해 펼치는 상태에 따라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메인 바디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의 힌지모듈은 상하방향으로만 개폐되기 때문에 다양 한 기능키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개폐될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개폐되어 다양한 기능키를 활용할 수 있는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휴대단말기의 이동체가 결합되는 제3바디와; 상기 제2바디 및 제3바디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제3바디는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바디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제1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바디에는 제2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공은, 상기 제1가이드공과 평행하게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가이드공과, 상기 좌우가이드공과 수직으로 연통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가이드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가이드공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바디와 제3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바디 및 제3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반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제3바디가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대해 반자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바디에 대해 제2바디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고, 제3바디가 제2바디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즉 상기 제1바디, 제2바디, 제3바디가 적층됨으로써,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슬라이딩하여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는 좌우방향으로만 이동하고, 제3바디는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이동 후 제2바디가 상하방향 및 제3바디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는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닫혀 있을 때의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좌우방향으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제1바디(130)와, 제2바디(140)와, 제3바디(150)와, 가이드돌기(135)와, 제1탄성부재(161)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바디(130)는 키패드 등이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바디(140)는 상기 제1바디(13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바디(140)는 상기 제1바디(1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는 이동이 구속되고, 좌우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바디(13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절곡되어 상기 제2바 디(14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감싸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바디(130)와 제2바디(140)는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나, 상하방향으로는 슬라이딩이 되지 않는다.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제2바디(14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는 액정부 등이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가 결합된다.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제2바디(14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바디(140)의 좌측과 우측은 각각 절곡되어 상기 제3바디(150)의 좌측과 우측을 감싸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바디(140)와 제3바디(150)는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나, 좌우방향으로는 슬라이딩이 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바디(140)는 상기 제1바디(13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제2바디(14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130)에는 가이드돌기(13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140)에는 제1가이드공(145)이 형성되며, 상기 제3바디(150)에는 제2가이드공(1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공(145)은 상기 제2바디(140)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공(155)은 상기 제1가이드공(145)과 평행하게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가이드공(156)과, 상기 좌우가이드공(156)과 수직으로 연통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가이드공(157)으로 이루어져, '┓' 또는 '┏' 과 같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가이드공(156)의 길이는 상기 제1가이드공(145)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35)는 상기 제1가이드공(145)을 관통하여 상기 제2가이드공(155)에 삽입 배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135)는 제1가이드공(145)을 관통하여 상기 좌우가이드공(156) 또는 상하가이드공(15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161)는 상기 제2바디(140)와 제3바디(150)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가이드돌기(135)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바디(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바디(150)에 결합되는 상기 제1탄성부재(161)의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공(155)의 절곡된 안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161)는 상기 제2바디(140) 및/또는 제3바디(150)에 탄성력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제2바디(140) 및/또는 제3바디(150)가 반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135)는 상기 제1가이드공(145)을 관통하여 상기 좌우가이드공(156)과 상하가이드공(157)이 연결되는 절곡부위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161)는 상기 가이드돌기(135)을 사선방향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돌기(135)는 상기 좌우가이드공(156)이 형성되지 않는 방향 및 상기 상하가이드공(157)이 형성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따라서, 상기 제2바디(140) 및 제3바디(150)는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이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상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상하가이드공(157)이 상기 가이드돌기(135)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됨으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바디(150) 및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161)는 일단과 타단이 최근접하게 되는 지점까지 압축되었다가, 최근접 지점을 지나면 압축된 상기 제1탄성부재(1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바디(150)는 자동으로 나머지 구간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디(140)는 상기 제1바디(1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바디(130)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제3바디(150)의 상하이동시 상기 제3바디(150)는 좌우방향 을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2바디(14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좌우방향으로 민다.
본 실시예에서는 '┓'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가이드공(155)의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켰다.
그러면, 상기 제3바디(150)의 좌우가이드공(156)과 상기 제2바디(140)의 제1가이드공(145)은 상기 가이드돌기(135)를 따라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됨으로써,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디(140), 제3바디(150) 및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는 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161)는 일단과 타단이 최근접하게 되는 지점까지 압축되었다가, 최근접 지점을 지나면 압축된 상기 제1탄성부재(1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바디(150)는 자동으로 나머지 구간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제2바디(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바디(140) 및 제3바디(150)는 좌우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바디(150)는 좌우이동시 상기 가이드돌기(135)가 상기 좌우가이드공(156)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돌기(135)에 걸려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바디(140) 및 제3바디(150)의 좌우이동시 상기 제2바디 (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3바디(15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닫혀 있을 때의 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좌우방향으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제1바디(130)와, 제2바디(140)와, 제3바디(150)와, 가이드돌기(135)와, 제2탄성부재(162), 제3탄성부재(16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바디(130)는 키패드 등이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바디(140)는 상기 제1바디(13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바디(140)는 상기 제1바디(1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는 이동이 구속되고, 좌우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바디(13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2바디(140)에는 상기 제1바디(130)의 상부와 하부가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드공(14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바디(13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상기 제2바디(140)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47)에 삽입되어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바디(13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바디(130)와 제2바디(140)는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나, 상하방향으로는 슬라이딩이 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바디(130)를 상기 제2바디(140)의 상하방향으로 2개 장착하였고, 상기 슬라이드공(147)은 좌우방향으로 4개 형성하였다.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제2바디(14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는 액정부 등이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가 결합된다.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제2바디(14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바디(140)의 좌측과 우측은 각각 절곡되어 상기 제3바 디(150)의 좌측과 우측을 감싸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바디(140)와 제3바디(150)는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나, 좌우방향으로는 슬라이딩이 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바디(140)는 상기 제1바디(13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제2바디(14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제1바디(130)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13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140)에는 제1가이드공(145)이 형성되며, 상기 제3바디(150)에는 제2가이드공(1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공(145)은 상기 제2바디(140)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공(155)은 상기 제1가이드공(145)과 평행하게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가이드공(156)과, 상기 좌우가이드공(156)과 수직으로 연통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가이드공(157)으로 이루어져, '┓' 또는 '┏' 과 같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가이드공(156)의 길이는 상기 제1가이드공(145)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35)는 상기 제1가이드공(145)을 관통하여 상기 제2가이드공(155)에 삽입 배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135)는 제1가이드공(145)을 관통하여 상기 좌우가이드 공(156) 또는 상하가이드공(15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62)는 상기 제1바디(130)와 제2바디(140)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1바디(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바디(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탄성부재(163)는 상기 제2바디(140)와 제3바디(150) 사이에서 일단이 상기 제2바디(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바디(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62)는 상기 제2바디(140)에, 상기 제3탄성부재(163)는 상기 제3바디(150)에 각각 탄성력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제2바디(140) 및/또는 제3바디(150)가 반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1(b), 도 12(b), 도 13(b)에서는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탄성부재(162) 및 제3탄성부재(163)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135)는 상기 제1가이드공(145)을 관통하여 상기 좌우가이드공(156)과 상하가이드공(157)이 연결되는 절곡부위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162)는 상기 제2부재를 한쪽방향 즉 상기 제2부재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는 방향으로 밀고 있고, 상기 제3탄성부재(163)는 상기 제3부재를 한쪽방향 즉 상기 제3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는 방향으 로 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바디(140) 및 제3바디(150)는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이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상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상하가이드공(157)이 상기 가이드돌기(135)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됨으로써,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바디(150) 및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탄성부재(163)는 일단과 타단이 최근접하게 되는 지점까지 압축되었다가, 최근접 지점을 지나면 압축된 상기 제3탄성부재(16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바디(150)는 자동으로 나머지 구간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바디(140)는 상기 제1바디(1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바디(130)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제3바디(150)의 상하이동시 상기 제3바디(15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2바디(14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좌우방향으로 민다.
본 실시예에서는 '┓'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가이드공(155)의 의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켰다.
그러면, 상기 제3바디(150)의 좌우가이드공(156)과 상기 제2바디(140)의 제1가이드공(145)은 상기 가이드돌기(135)를 따라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됨으로써,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디(140), 제3바디(150) 및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는 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162)는 일단과 타단이 최근접하게 되는 지점까지 압축되었다가, 최근접 지점을 지나면 압축된 상기 제2탄성부재(16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바디(150)는 자동으로 나머지 구간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바디(150)는 상기 제2바디(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바디(140) 및 제3바디(150)는 좌우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바디(150)는 좌우이동시 상기 가이드돌기(135)가 상기 좌우가이드공(156)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돌기(135)에 걸려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바디(140) 및 제3바디(150)의 좌우이동시 상기 제2바디(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3바디(15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동체(120)를 보다 쉽고 안정 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자동타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작동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닫혀 있을 때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좌우방향으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닫혀 있을 때의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이 좌우방향으로 개방되었을 때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휴대단밀기의 본체, 120 : 휴대단말기의 이동체, 130 : 제1바디, 135 : 가이드돌기, 140 : 제2바디, 145 : 제1가이드공, 147 : 슬라이드공, 150 : 제3바디, 155 : 제2가이드공, 156 : 좌우가이드공, 157 : 상하가이드공, 161 : 제1탄성부재, 162 : 제2탄성부재, 163 : 제3탄성부재,

Claims (6)

  1. 휴대단말기의 본체에 결합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휴대단말기의 이동체가 결합되는 제3바디와;
    상기 제2바디 및 제3바디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제3바디는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바디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제1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바디에는 제2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공은, 상기 제1가이드공과 평행하게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가이드공과, 상기 좌우가이드공과 수직으로 연통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가이드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가이드공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2바디와 제3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가이드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바디 및 제3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반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제3바디가 제1바디 및 제2바디에 대해 반자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87104A 2008-09-04 2008-09-04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989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104A KR100989343B1 (ko) 2008-09-04 2008-09-04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PCT/KR2009/004698 WO2010027152A2 (ko) 2008-09-04 2009-08-24 2방향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104A KR100989343B1 (ko) 2008-09-04 2008-09-04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188A KR20100028188A (ko) 2010-03-12
KR100989343B1 true KR100989343B1 (ko) 2010-10-26

Family

ID=4179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104A KR100989343B1 (ko) 2008-09-04 2008-09-04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9343B1 (ko)
WO (1) WO2010027152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654Y1 (ko) 2006-05-02 2006-07-18 (주)나노텍 게임폰 단말기용 양방향 슬라이드
KR20080033010A (ko) * 2006-10-12 200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2축 슬라이드 검출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2축슬라이드 검출장치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647B1 (ko) * 2006-09-2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반자동 슬라이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654Y1 (ko) 2006-05-02 2006-07-18 (주)나노텍 게임폰 단말기용 양방향 슬라이드
KR20080033010A (ko) * 2006-10-12 200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2축 슬라이드 검출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2축슬라이드 검출장치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7152A2 (ko) 2010-03-11
WO2010027152A3 (ko) 2010-06-24
KR20100028188A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3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616197B1 (ko)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10068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KR100788995B1 (ko) 추가 키패드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CN1953470A (zh) 滑动模块和具有该滑动模块的移动终端
KR10103038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81076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778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989343B1 (ko) 상하좌우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101038930B1 (ko) 슬라이드타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20090028952A (ko) 휴대용 단말기
KR10096655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21342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KR100794301B1 (ko) 네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45514A (ko)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
KR100984340B1 (ko)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8663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0721178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90013365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3767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898197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1089336B1 (ko) 핸드폰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모듈
KR200357158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딩 구동구조
KR100918869B1 (ko) 스프링부재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