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222Y1 - 핸드폰케이스 - Google Patents

핸드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222Y1
KR200219222Y1 KR2020000029709U KR20000029709U KR200219222Y1 KR 200219222 Y1 KR200219222 Y1 KR 200219222Y1 KR 2020000029709 U KR2020000029709 U KR 2020000029709U KR 20000029709 U KR20000029709 U KR 20000029709U KR 200219222 Y1 KR200219222 Y1 KR 200219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late
phone case
cover plate
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계
Original Assignee
여운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운계 filed Critical 여운계
Priority to KR2020000029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222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핸드폰을 내부에 수장하여 핸드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핸드폰이 내장되어진 핸드폰케이스를 여성들의 가방이나 핸드백등과 같은 개인 휴대물품이나 허리띠등 적정위치에 간편하게 매달아 전화가 걸려왔을 때 서둘러 핸드백안을 뒤지지 않고도 신속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부에 덮개판(140)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핸드폰(200)의 안테나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진 후면판(120)과; 상기 후면판(120)의 저면으로 부터 상향 절곡되면서 그 양측으로는 측면판(130)이 봉재/결합되어진 상태로 전면에 배치되어진 전면판(110)과; 이들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사이에 마련된 수납부(150)의 공간내에 각종 핸드폰(200)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40)의 선단 및 전면판(110)의 상부에는 그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벨크로테잎(142)이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덮개판(140)의 양측면에는 소정길이의 연결줄(160)이 장착되면서 이 연결줄(160)의 일단에 착탈핸들(172)에 의해 개폐되는 체결고리(170)가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폰케이스{Cellular-phone case}
본 고안은 핸드폰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핸드폰을 내부에 수장하여 핸드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핸드폰케이스에 있어서, 핸드폰이 내장되어진 핸드폰케이스를 여성들의 가방이나 핸드백등과 같은 개인 휴대물품이나 허리띠등의 적정위치에 간편하게 매달아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핸드폰을 통화하는 경우 핸드폰케이스의 덮개판을 간편하게 개방하여 보다 용이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그 사용상의 편리성 및 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통화품질이 향상되어 핸드폰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핸드폰은 때와 장소에 거의 국한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휴대하고 다니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 핸드폰을 보다 간편하게 휴대하기 위한 방편으로 목걸이줄을 이용하여 핸드폰을 목에 걸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나 이는 타인에게 그리 친근감이나 정숙감을 주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애용되지 못하고 주로 젊은 계층만이 선호하고 있는 방법이다.
특히, 나이가 지긋한 중년여성이나 가정주부등과 같은 계층에서는 주로 외출할 때 핸드폰을 가방이나 핸드백등과 같은 개인휴대물품속에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방이나 핸드백등과 같은 개인휴대물품속에 휴대폰을 보관하게 되는 경우 휴대폰의 사용 및 외부로 부터 결려온 전화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방이나 핸드백을 개방시켜야 한다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외부로 부터 걸려온 전화벨소리를 간혹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각종 핸드폰을 내부에 수장하여 핸드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핸드폰케이스에 있어서, 핸드폰이 내장되어진 핸드폰케이스를 여성들의 가방이나 핸드백등과 같은 개인 휴대물품이나 허리띠등의 적정위치에 간편하게 매달아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핸드폰을 통화하는 경우 핸드폰케이스의 덮개판을 간편하게 개방하여 보다 용이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는, 상부에 덮개판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핸드폰의 안테나를 외부로 노출시킬수 있도록 형성되어진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저면으로 부터 상향 절곡되면서 그 양측으로는 측면판이 봉재/결합되어진 상태로 전면에 배치되어진 전면판과; 이들 전면판과 후면판사이에 마련된 수납부의 공간내에 각종 핸드폰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선단 및 전면판의 상부에는 그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벨크로테잎이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덮개판의 양측면에는 소정길이의 연결줄이 장착되면서 이 연결줄의 일단에 착탈핸들에 의해 개폐되는 체결고리가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핸드폰 110: 전면판
112: 벨크로테잎 120: 후면판
130: 측면판 140: 덮개판
142: 벨크로테잎
150: 수납부 160: 연결줄
170: 체결고리 200: 핸드폰
202: 핸드폰안테나 210: 가방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는, 상부에 덮개판(140)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핸드폰(200)의 안테나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진 후면판(120)과; 상기 후면판(120)의 저면으로 부터 상향 절곡되면서 그 양측으로는 측면판(130)이 봉재/결합되어진 상태로 전면에 배치되어진 전면판(110)과; 이들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사이에 마련된 수납부(150)의 공간내에 각종 핸드폰(200)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종래 일반적인 핸드폰케이스의 구조를 취한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덮개판(140)의 선단 및 전면판(110)의 상부에는 그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덮개판(140)이 보다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벨크로테잎(142)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덮개판(140)의 양측면에는 소정길이의 연결줄(160)이 장착되고 이 연결줄(160)의 일단에는 착탈핸들(172)에 의해 원터치형태로 개폐/작동되는 체결고리(170)가 연결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케이스는, 여성들이 외출하는 경우 핸드폰이 내장되어진 핸드폰케이스(100)를 여성들의 가방(210)이나 핸드백등과 같은 개인 휴대물품의 적정위치에 간편하게 매달아 가지고 다닐 수 있으면서, 핸드폰을 통화하는 경우 핸드폰 케이스를 분리시키지 않고 핸드폰케이스의 덮개판을 간편하게 개방하여 보다 용이하게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는 첨부된 도면의 도 2 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같다.
우선, 내부의 수납부(150)내에 핸드폰(200)이 수납되어진 핸드폰케이스(100)는 연결줄(160)의 일단에 장착되어진 체결고리(170)를 통하여 가방(210)등과 같은 개인 휴대물품의 손잡이등과 같은 부분에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방(210)의 가방손잡이(220) 부분에 별도의 연결고리등을 걸어두게 되면 체결고리(170)와의 착탈이 용이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가방(210)의 가방손잡이(220) 부분에 핸드폰케이스(100)의 후면판(120)에 장착된 연결줄(160) 및 이 연결줄(160)에 마련된 체결고리(170)를 통하여 가방(210)의 일측에 걸어맬 수 있게 됨으로서 휴대가 매우 간편해지게 된다.
또한, 핸드폰(200)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거나 혹은 외부로 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게 되는 경우 상기 핸드폰케이스(100)를 가방(210)으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곧바로 핸드폰케이스(100)의 덮개판(140)을 개방시켜 이 핸드폰케이스(100)내에 수납된 핸드폰(200)을 꺼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어진 연결줄(160) 및 체결고리(170)는 그 재질 및 형태등을 본 고안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고안은 핸드폰케이스를 구성하는 덮개판의 양측면에 소정길이의 연결줄이 장착되면서 이 연결줄의 일단에 착탈핸들에 의해 개폐되는 체결고리가 장착되도록 구성하여, 여성들이 외출하는 경우 핸드폰이 내장되어진 핸드폰케이스를 여성들의 가방이나 핸드백등과 같은 개인 휴대물품의 적정위치에 상기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매달아 가지고 다닐 수 있어 전화벨이 울렸을 때 핸드백안을 다 뒤지는 번거로움을 없에고 바로 쉽게 받을수 있도록 했으며, 또한 상기 핸드폰을 통화하는 경우 핸드폰 케이스를 분리시키지 않고 핸드폰케이스의 덮개판을 간편하게 개방하여 보다 용이하게 통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상부에 덮개판(140)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핸드폰(200)의 안테나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진 후면판(120)과; 상기 후면판(120)의 저면으로 부터 상향 절곡되면서 그 양측으로는 측면판(130)이 봉재/결합되어진 상태로 전면에 배치되어진 전면판(110)과; 이들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사이에 마련된 수납부(150)의 공간내에 각종 핸드폰(200)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40)의 선단 및 전면판(110)의 상부에는 그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벨크로테잎(142)이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덮개판(140)의 양측면에는 소정길이의 연결줄(160)이 장착되면서 이 연결줄(160)의 일단에 착탈핸들(172)에 의해 개폐되는 체결고리(170)가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케이스.
KR2020000029709U 2000-10-25 2000-10-25 핸드폰케이스 KR200219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09U KR200219222Y1 (ko) 2000-10-25 2000-10-25 핸드폰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09U KR200219222Y1 (ko) 2000-10-25 2000-10-25 핸드폰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222Y1 true KR200219222Y1 (ko) 2001-04-02

Family

ID=7305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709U KR200219222Y1 (ko) 2000-10-25 2000-10-25 핸드폰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2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852B1 (ko) * 2002-11-22 2004-03-22 상 국 서 비상탈출용 완강장치의 커버
KR101148754B1 (ko) 2009-09-24 2012-05-24 홍성준 체인에 연결하는 파우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852B1 (ko) * 2002-11-22 2004-03-22 상 국 서 비상탈출용 완강장치의 커버
KR101148754B1 (ko) 2009-09-24 2012-05-24 홍성준 체인에 연결하는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51285A1 (en) Wrist-mounted storage box assembly
US20070007077A1 (en) Carabiner Communication Device
US6357646B1 (en) Holder for mobile device
KR200219222Y1 (ko) 핸드폰케이스
US20080075275A1 (en) Carabiner Communication Device
US4960233A (en) Carrying bag assembly
KR200328402Y1 (ko) 보조가방을 가지는 가방
KR200370393Y1 (ko) 핸드폰 케이스가 구비된 가방
JP3076755U (ja) 携帯電話用ポケット付き衣服
JP3168531U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ポーチ
KR200248632Y1 (ko) 하의 주머니의 휴대전화기 포켓
KR200210692Y1 (ko) 단말기용 목걸이 장치
KR19990037903U (ko) 휴대폰 케이스
JP2001340136A (ja) リュックサック
KR200303647Y1 (ko) 걸쇠가 구비된 휴대폰
KR200285136Y1 (ko) 덮개 개량형 가방
JP3043640U (ja) 携帯電話機の収納構造
JP3461787B2 (ja) 携帯電話着信報知機能付バッグ
KR200367092Y1 (ko) 걸이용 스트랩
KR100400844B1 (ko) 휴대폰 착신 감지수단을 갖는 가방
KR200208436Y1 (ko) 내장형 핸드폰 케이스
JPH08331222A (ja) 携帯電話の収納ケース
JP3104360U (ja) 携帯電話の携帯用ケース
JP2003230423A (ja) 小物入れポケット並びに同ポケットを有するかばん類及び衣類
JP3030662U (ja) 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