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709A - 모바일 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709A
KR20150083709A KR1020140003571A KR20140003571A KR20150083709A KR 20150083709 A KR20150083709 A KR 20150083709A KR 1020140003571 A KR1020140003571 A KR 1020140003571A KR 20140003571 A KR20140003571 A KR 20140003571A KR 20150083709 A KR20150083709 A KR 20150083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obile device
cover
rear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주)아이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투지 filed Critical (주)아이투지
Priority to KR102014000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709A/ko
Publication of KR2015008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1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2Connecting hydraulic components
    • F24H9/144Valve seats, piping and heat exchanger connections integrated into a one-piece hydrauli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의 휴대 및 보호를 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와 신용 카드와 지폐 등의 휴대를 위한 카드 지갑을 겸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가 개시된다. 모바일 기기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가 수용되고, 전면이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기기 수납부, 상기 기기 수납부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전면 커버, 상기 기기 수납부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된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면 커버가 상기 기기 수납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전면 커버에 고정되는 홀더부 및 상기 기기 수납부의 후면 또는 상기 후면 커버의 후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카드가 수납 가능하도록 복수의 카드 포켓이 형성되고, 탈착 가능한 형태를 갖는 카드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는 서로 연결되어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기 수납부는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케이스{CELLULAR PHONE CAS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보호하고 휴대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신용카드 등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카드지갑 기능을 겸비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휴대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는 전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된 바 타입(bar type)으로 형성되는데, 터치 스크린의 전면에 일정 두께의 강화유리가 구비된다. 그런데, 모바일 기기의 휴대 및 사용 시 긁힘이나, 흠집,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모바일 기기를 수납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보호뿐만 아니라 개인의 취향에 따른 액세서리의 기능을 겸한다.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 케이스는, 크게 모바일 기기를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주머니 형상의 파우치(Pouch)형과, 지갑형,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를 모바일 기기에 끼우는 형태의 하우징 케이스(Housing case)형으로 크게 구별된다. 그러나 파우치형과 지갑형의 경우, 모바일 기기가 케이스 내부에 수납 공간에 완전히 수납하기 때문에, 사용 시 케이스에서 꺼내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하우징 케이스형의 경우에는 전면이 보호되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보호가 취약하고, 특히 전면의 터치 스크린의 보호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현대인은 대중교통 등을 이용하기 위한 교통카드나,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신용카드, 할인이나 포인트 적립 등을 위한 멤버쉽 카드 등을 포함하여 적어도 1장 이상의 카드를 가지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카드의 사용빈도가 빈번하기 때문에, 카드의 사용을 위해서 지갑을 휴대하고 모바일 기기도 같이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모바일 기기와 지갑을 한 번에 휴대하기 위해서는 부피가 커서 한번에 휴대하는 것이 어렵고, 별도의 가방을 이용하게 되므로,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한 두장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품들이 실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드의 휴대가 용이하고 모바일 기기의 휴대 역시 용이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가 수용되고, 전면이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기기 수납부, 상기 기기 수납부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전면 커버, 상기 기기 수납부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된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면 커버가 상기 기기 수납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전면 커버에 고정되는 홀더부 및 상기 기기 수납부의 후면 또는 상기 후면 커버의 후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카드가 수납 가능하도록 복수의 카드 포켓이 형성되고, 탈착 가능한 형태를 갖는 카드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는 서로 연결되어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기 수납부는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카드 수납부는, 반으로 접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상기 카드 수납부가 접힌 상태에서 수납되는 카드 수납부 포켓이 구비되고, 상기 카드 수납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는 복수의 카드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마찰이 큰 재질로 형성된 마찰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 수납부는, 상기 카드 수납부의 단부가 상기 마찰 지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카드 수납부를 세우면, 상기 세워진 카드 수납부가 상기 기기 수납부에 결합된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카드 수납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의 일측에는 USB의 수납이 가능한 USB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 수납부는, 소정의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으로 접히는 안쪽에 지폐가 고정되는 클립이 구비되는 머니 클립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기기 수납부는 전면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이 노출되도록 개방되거나, 터치 스크린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기기 수납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납되는 형태를 갖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측면 슬라이드 결합 방식,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시키는 상하 슬라이드 결합 방식,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커버 대신 탈착되는 배터리 커버 탈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사용자가 목에 걸거나 몸에 휴대할 수 있는 끈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 커버 또는 상기 후면 커버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상기 끈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끈의 양 단부에는 상기 끈을 상기 전면 커버 또는 상기 후면 커버에 결합시키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사용자의 팔 또는 허리에 부착할 수 있는 신축성 재질의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밴드형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밴드형 수납부는, 후면에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납되는 기기 수납 포켓과 상기 카드 수납부가 수납되는 카드 수납부 포켓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1장 이상의 카드를 수납하는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어서 모바일 기기와 카드를 휴대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카드 수납부가 모바일 기기의 후면에 장착되므로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카드 수납부가 모바일 기기를 소정 각도로 세운 상태로 지지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부의 도면으로, (a)는 카드 수납부의 후면 사시도이고, (b)는 카드 수납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에서 카드 수납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수납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밴드형 수납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10)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수납부(15)의 도면으로, (a)는 카드 수납부(15)의 후면 사시도이고, (b)는 카드 수납부(15)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10)에서 카드 수납부(15)에 의해 모바일 기기(1)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10)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 케이스(10)에서 모바일 기기(1)라 함은 휴대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 케이스(10)는, 모바일 기기(1)가 수용되는 기기 수납부(14)와 기기 수납부(14)의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11), 기기 수납부(14)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12),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를 고정시키는 홀더부(13) 및 복수의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 수납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기 수납부(14)는 모바일 기기(1)의 수용이 가능한 형태를 갖고, 전면에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윈도우(141)는 터치 스크린을 작동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커버(11)에도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을 확인 가능하고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윈도우(111)가 형성될 수 있고, 윈도우(111)는 터치 스크린을 작동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기 수납부(1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이 개방되어서 측면에서 모바일 기기(1)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측면 슬라이드 결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기기 수납부(2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서 상하 방향으로 모바일 기기(1)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상하 슬라이드 결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 수납부(34)는 모바일 기기(1)의 배터리 커버 대신 탈착되는 배터리 커버 탈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형태들 이외에도 모바일 기기(1)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모바일 기기 케이스(10)는 기기 수납부(14)를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기기 수납부(14)의 후면에 카드 수납부(1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는 서로 연결되어서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 커버(11) 및 후면 커버(12)에 기기 수납부(14)의 측면이 연결되어서 형성된다.
홀더부(13)는 후면 커버(12)에서 연장되어서 기기 수납부(14)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홀더부(13)에는 전면 커버(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31)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31)는 자석이거나 스냅 단추 등의 수단일 수 있다.
카드 수납부(15)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10)와 분리 및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카드 수납부(15)는 복수의 카드가 수납 가능하도록 복수의 카드 포켓(151)이 형성되고, 반으로 접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카드 수납부(15)는 내측면 및 외측면에 다수의 카드 포켓(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수납부(15)의 일측에는 신분증 등을 수납하였을 때, 수납된 카드가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드 수납부(15)는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이나 똑딱 단추 등의 고정부재(15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52)는 카드 수납부(15)가 접혔을 때 안쪽면에서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드 수납부(15)는 소정의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으로 접히는 안쪽에 지폐가 고정되는 클립이 구비되는 머니 클립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카드 수납부(15)는 후면 커버(1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커버(12) 내측에는 카드 수납부(15)가 삽입 가능하도록 카드 수납부 포켓(121)이 구비되고, 카드 수납부가 접힌 상태에서 절반이 수납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수납부(15)가 후면 커버(12)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서 도면부호 123은 카드 수납부(15)의 장착을 위한 카드 수납부 포켓(123)이다.
한편, 모바일 기기(1)를 사용 시, 동영상을 보거나 할 때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를 소정 각도로 세워서 사용하면 편리하다. 이를 위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 케이스(10)는 카드 수납부(15)가 소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로 모바일 기기(1)의 후면을 지지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수납부(15)가 미끄러지지 않고 모바일 기기(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후면 커버(12)의 적어도 일부는 마찰이 큰 재질로 형성된 마찰 지지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카드 수납부(15)를 소정 각도로 펼친 상태로 마찰 지지부(132) 상에 카드 수납부(15)의 단부를 접촉시키면, 마찰 지지부(132)와 카드 수납부(1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카드 수납부(15)의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면서 세워진다. 그리고 세워진 카드 수납부(15)에 모바일 기기(1)를 기대게 하면, 카드 수납부(15)에 의해서 모바일 기기(1)를 소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카드 수납부(15)의 벌어진 정도를 조정하면 모바일 기기(1)의 세워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수납부(15)가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마찰 지지부(132)에 소정의 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 홈(133)은 마찰 지지부(132)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 요입 형성되고, 카드 수납부(15)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드 수납부(15)의 단부를 홈(133)에 삽입하면 카드 수납부(15)가 소정 각도 벌어진 상태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모바일 기기(1)를 거치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마찰 지지부(132)뿐만 아니라, 후면 커버(12)에서 카드 수납부 포켓(121)으로 인해 형성된 단차에 의해서도 카드 수납부(15)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기기 수납부(14)의 후면에 신분증이나 사진을 넣을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서브 포켓(1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USB 등을 휴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USB 수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수납부(122)는 후면 커버(12)에서 카드 수납부 포켓(121)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USB 수납부(122)의 형태 및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 케이스(10)는 사용자가 몸에 걸거나 휴대하기가 용이하도록 소정 길이의 끈(16)이 구비될 수 있다. 끈(16)은 전면 커버(11) 또는 후면 커버(12)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면 커버(11) 또는 후면 커버(12)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끈(16)이 결합되는 끈 결합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끈(16)의 양 단부에는 끈(16)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결합부(161)가 형성되고, 예를 들어, 걸림 결합부(161)는 훅이나 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끈 결합부(162)는 걸림 결합부(161)가 걸림 결합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케이스(10)는 가죽 또는 PU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가 동일 재질로 형성되거나, 여러 가지 재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휴대용 끈(16) 역시 가죽 또는 PU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 케이스(10)와 동일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모바일 기기(1)를 사용자의 팔이나 허리 등에 장착할 수 있는 밴드형 수납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밴드형 수납부(17)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참고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수납부(17)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밴드형 수납부(17)의 후면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밴드형 수납부(17)는 모바일 기기(1)를 수납할 수 있는 기기 수납 포켓(174)이 형성된다. 여기서, 기기 수납 포켓(174)은 모바일 기기(1)를 삽입할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1)의 상하에 대응되는 위치에 신축성 밴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밴드형 수납부(17)의 후면에 모바일 기기(1)를 수납할 수 있는 기기 수납 포켓(174)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밴드형 수납부(17)는 모바일 기기(1)가 수용되었을 때, 전면의 터치 스크린의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터치 스크린의 동작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윈도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형 수납부(17)의 후면에 상술한 카드 수납부(15)를 수납할 수 있는 카드 수납부 포켓(175)가 형성될 수 있다.
밴드형 수납부(17)의 양측에는 체결을 위한 신축성 재질의 체결부재(173)가 체결되는 체결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173)는 사용자의 팔이나 허리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 착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길이를 갖는 체결부재(173)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73)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신체 부위의 사이즈가 다르거나 착용하고 있는 옷의 두께로 인해 사이즈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체결부재(173)는 착용의 편리함 및 길이 조절의 용이함을 위해서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73)는 일측에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고 타측은 체결부(172)의 홀에 걸림 결합이 가능한 걸림쇠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 이외에도 체결부재(173)의 단부에 고리나 훅 등의 걸림 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체결부(172)는 밴드형 수납부(17)의 양측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홀 또는 슬릿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밴드형 수납부(17)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팔이나 허리 등에 밴드형 수납부(17)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의 휴대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을 자유롭게 유지할 수 있어서 활동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밴드형 수납부(17)의 후면에 카드 수납부(15)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1)뿐만 아니라 카드들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모바일 기기
10: 모바일 기기 케이스
11: 전면 커버
111: 윈도우
12: 후면 커버
121, 123: 카드 수납부 포켓
122: USB 수납부
13: 홀더부
131: 고정부재
132: 마찰 지지부
133: 지지홈
14: 기기 수납부
141: 윈도우
142: 서브 포켓
15: 카드 수납부
151: 카드 포켓
152: 고정부재
16: 끈
161: 걸림 결합부
162: 끈 결합부
17: 밴드형 수납부
172: 체결부
173: 체결부재
174: 기기 수납 포켓
175: 카드 수납부 포켓

Claims (10)

  1. 모바일 기기가 수용되고, 전면이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기기 수납부;
    상기 기기 수납부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전면 커버;
    상기 기기 수납부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된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면 커버가 상기 기기 수납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전면 커버에 고정되는 홀더부; 및
    상기 기기 수납부의 후면 또는 상기 후면 커버의 후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카드가 수납 가능하도록 복수의 카드 포켓이 형성되고, 탈착 가능한 형태를 갖는 카드 수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는 서로 연결되어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기 수납부는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납부는, 반으로 접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상기 카드 수납부가 접힌 상태에서 수납되는 카드 수납부 포켓이 구비되고,
    상기 카드 수납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는 복수의 카드 포켓이 형성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마찰이 큰 재질로 형성된 마찰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 수납부는, 상기 카드 수납부의 단부가 상기 마찰 지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카드 수납부를 세우면, 상기 세워진 카드 수납부가 상기 기기 수납부에 결합된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거치대 역할을 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카드 수납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의 일측에는 USB의 수납이 가능한 USB 수납부가 형성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납부는,
    소정의 지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으로 접히는 안쪽에 지폐가 고정되는 클립이 구비되는 머니 클립 형태를 갖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수납부는 전면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이 노출되도록 개방되거나, 터치 스크린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수납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납되는 형태를 갖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측면 슬라이드 결합 방식,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시키는 상하 슬라이드 결합 방식,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커버 대신 탈착되는 배터리 커버 탈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목에 걸거나 몸에 휴대할 수 있는 끈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 커버 또는 상기 후면 커버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상기 끈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끈의 양 단부에는 상기 끈을 상기 전면 커버 또는 상기 후면 커버에 결합시키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팔 또는 허리에 부착할 수 있는 신축성 재질의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밴드형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밴드형 수납부는, 후면에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납되는 기기 수납 포켓과 상기 카드 수납부가 수납되는 카드 수납부 포켓이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1020140003571A 2014-01-10 2014-01-10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20150083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571A KR20150083709A (ko) 2014-01-10 2014-01-10 모바일 기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571A KR20150083709A (ko) 2014-01-10 2014-01-10 모바일 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709A true KR20150083709A (ko) 2015-07-20

Family

ID=5387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571A KR20150083709A (ko) 2014-01-10 2014-01-10 모바일 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37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9783A (zh) * 2018-12-19 2019-04-16 韩圣利 一种具有防盗刷功能的装饰包
KR102203220B1 (ko) * 2020-07-22 2021-01-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휴대 기기의 웨어러블 운용을 위한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
KR102253375B1 (ko) * 2019-12-18 2021-05-17 이상현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9783A (zh) * 2018-12-19 2019-04-16 韩圣利 一种具有防盗刷功能的装饰包
KR102253375B1 (ko) * 2019-12-18 2021-05-17 이상현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102203220B1 (ko) * 2020-07-22 2021-01-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휴대 기기의 웨어러블 운용을 위한 접속 장치 및 접속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661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9277804B1 (en) Handheld carrier for cellphone and accesories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50102073A1 (en)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KR200469708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탈부착 가능한 휴대품 보관장치
US20130043144A1 (en) Multi-functional case for holding a digital device such as a cell phone
US20110002094A1 (en) Intelligent personal carrier
US7370781B2 (en) Versatile cellular telephone holder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US20150139469A1 (en)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KR20150083709A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CA2646188C (en) Holder for personal items
JP6119764B2 (ja) 改良型キーホルダ
US9060579B2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479106Y1 (ko)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
US20140252054A1 (en) Cell Phone Holster
US9369554B2 (en) Key holder—cell phone holder combination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150122536A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200472661Y1 (ko) 카드수납을 겸비한 스마트폰케이스
JP3054437U (ja) 携帯端末キャリングケース
KR101695098B1 (ko)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