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375B1 -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375B1
KR102253375B1 KR1020190169526A KR20190169526A KR102253375B1 KR 102253375 B1 KR102253375 B1 KR 102253375B1 KR 1020190169526 A KR1020190169526 A KR 1020190169526A KR 20190169526 A KR20190169526 A KR 20190169526A KR 102253375 B1 KR102253375 B1 KR 10225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ounting
base member
mounting memb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19016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친환경적인 나무재질을 매개로 특정 구조로 스마트폰 거치대를 형성하여 책상이나 테이블 상에서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독특한 심미감을 통해 인테리어 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중앙에 결합홀이 천공된 일정 두께를 갖는 패널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재 및; 일정 폭을 갖는 평판이 세워진 상태에서 측면이 "┛" 형상을 이루도록 가공되어, 그 하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결합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 상면에 고정 설치되되, 그 전단의 상측으로는 스마트폰의 하단이 일정 기울기로 거치되도록 측면이 "┗┛" 형상을 갖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그 상단의 앞쪽으로는 스마트폰의 후면이 지지되도록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MULTI-FUNTION HOLDER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인 나무재질을 매개로 특정 구조로 스마트폰 거치대를 형성하여 책상이나 테이블 상에 안착시켜 편리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독특한 심미감을 통해 인테리어 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현재, 스마트폰은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또한 스마트폰과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들이 빠르게 개발되면서 그 활용도도 크게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 중, 영화나 TV 시청, 유튜브를 비롯한 각종 동영상의 재생 시, 사용자는 장시간에 걸쳐 해당 스마트폰의 화면을 시청하게 되는데, 이때 장시간에 걸쳐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상면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그 기능이 스마트폰의 거치에만 한정되어 활용성이 떨어짐과 아울러, 거치된 스마트폰의 충전을 위해 충전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정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거치만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심미감이 떨어지고 주변의 인테리어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 스마트폰 거치대의 설계 시 미적요소를 고려하다 보면,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홈의 깊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면서 스마트폰 거치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9567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3-000144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친환경적인 나무재질을 매개로 특정 구조로 스마트폰 거치대를 형성하여 책상이나 테이블 상에서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독특한 심미감을 통해 인테리어 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중앙에 결합홀이 천공된 일정 두께를 갖는 패널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재 및; 일정 폭을 갖는 평판이 세워진 상태에서 측면이 "┛" 형상을 이루도록 가공되어, 그 하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결합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 상면에 고정 설치되되, 그 전단의 상측으로는 스마트폰의 하단이 일정 기울기로 거치되도록 측면이 "┗┛" 형상을 갖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그 상단의 앞쪽으로는 스마트폰의 후면이 지지되도록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재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부재가 결합된 지점과 대응되는 하면의 전단에서 후단으로는 케이블 가이드홈이 직선형태로 요입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이나 상기 거치부재의 몸체에는 USB 저장장치를 끼워 보관하기 위한 끼움홈이 적어도 한 개 이상 요입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부재는 물개나 코뿔소를 비롯한 동물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그 몸체의 양측면에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측면부재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거치홈 및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홈 저부에는 케이블 단자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장공형태로 천공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나무재질을 매개로 특정 구조를 갖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형성하여 제공함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 거치대를 책상이나 테이블 상에 놓고 일정 각도로 스마트폰 거치한 후 편리하게 영화나 TV 등을 비롯한 각종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 거치대에 구비된 케이블 가이드홈 및 케이블 관통홀을 매개로 충전케이블을 깔끔하게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스마트폰 거치대에 구비된 끼움홈을 매개로 USB 저장장치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을 가로나 세로로 거치하는 것과 상관없이 거치홈의 깊이가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거치를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스마트폰 거치대가 나무재질을 매개로 다양한 동물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친환경적이면서도 독특한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친환경적인 나무재질을 매개로 특정 구조로 스마트폰 거치대를 형성하여 책상이나 테이블 상에서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원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일정 두께를 갖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10) 및,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어 소정 스마트폰(100)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거치되는 거치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대략 1 내지 2센티미터[c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져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며, 그 중앙에는 상기 거치부재(20)의 결합돌기(30)가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홀(12)이 천공되어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하면에는 그 상면에 결합되는 거치부재(20)의 결합 지점과 대응되도록 케이블 가이드홈(16)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직선형태로 요입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를 매개로 스마트폰(100)과 연결되는 충전케이블(200) 등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는 대략 타원형태를 이루도록 다수 개의 끼움홈(14)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 상면의 각 끼움홈(14)을 매개로 다수 개의 USB 저장장치(3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재(20)는 일정 폭을 갖는 평판이 다양한 동물형상 등으로 가공된 상태에서 그 하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30)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재(20)는 동물형상 등으로 가공되되, 그 측면이 대략 "┛"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그 전단의 상측으로는 스마트폰(100)의 하단이 일정 기울기로 거치되도록 측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거치홈(22)이 형성되고, 그 상단의 앞쪽으로는 스마트폰(100)의 후면이 지지되도록 지지부(24)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재(20)의 거치홈(22)은 거치되는 스마트폰이 대략 40 내지 60° 정도의 기울기로 거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재(20)는 대략 물개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부재(20)는 중앙 몸체의 양측면에 얇은 판재가 대략 반원형상을 갖도록 가공되어 구성된 측면부재(26)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측면부재(26)를 통해 소정 스마트폰(100)이 거치되는 거치홈(22) 및 지지부(2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재(20) 중앙의 몸체 및 측면부재(26)는 상호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된 다수 개의 장착홀(28a) 및 장착돌기(28b)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거나, 소정 접착물질을 통해 부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20) 중앙의 몸체 양측에 상기 측면부재(26)를 결합하여 측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거치홈(22)을 형성함에 따라, 소정 스마트폰의 거치를 위한 거치홈(22)의 깊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각종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3a와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부재(20)는 대략 물개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물개의 꼬리부분에 상기 거치홈(22)이 형성되고, 물개의 입부분에 상기 지지부(24)가 형성된 일체형 구조물로 구성된다.
상기 물개형상을 갖는 거치부재(20)의 후방에는 USB 저장장치(300)의 보관을 위한 다수 개의 끼움홈(34)이 요입 형성됨과 아울러, 그 상측으로는 각종 필기구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홈(32)이 수직방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부재(20)가 대략 코뿔소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코뿔소의 뿔부분을 통해 상기 거치홈(22)이 요입 형성되고, 코뿔소의 귀부분을 통해 상기 지지부(24)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홈(22) 저부에는 충전케이블(200)의 충전단자(210)가 관통되도록 대략 장공형상을 갖는 관통홀(36)이 천공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거치대에 스마트폰(100)을 세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바닥면 측으로 공급되는 충전케이블(200)의 충전단자(210)를 용이하게 스마트폰(100)의 충전포트에 장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부재(20)를 물개 및 코뿔소 등의 형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거치부재(20)는 그 이외의 다양한 동물이나 사물 등의 형상으로 가공하고, 특정 지점에 상기 거치홈(22) 및 지지부(24)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대략 평판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베이스부재(10)를 매개로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20)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100)을 편리하게 거치시킬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부재(10)를 매개로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상면에 설치된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거치부재(20)에 스마트폰(100)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거치시킴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100)은 상기 거치홈(22)을 통해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시청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거치부재(20)의 거치홈(22)에 그 하단 부분이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4)에 그 후면이 지지되면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하면에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홈(16)을 통해서는 일단이 소정 전원장치에 연결된 충전케이블(200)이 깔끔하게 유도되면서 충전케이블 타단에 형성된 충전단자(210)가 해당 스마트폰(100)의 충전포트 측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거치부재(20)를 통해 세로형태로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저면을 통해 유도되는 충전케이블(200)의 충전단자(210)가 상기 거치부재(20)의 거치홈(22) 저면에 형성된 관통홀(36)을 통해 해당 스마트폰(100)의 충전포트 측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도 9 참조).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 및 거치부재(20)의 후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끼움홈(14,34)에는 USB 저장장치(300)를 선택적으로 끼워 보관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상기 거치부재(20)의 일정 지점에 요입 형성된 보관홈(32)을 통해서는 각종 필기구나 사무용품 등을 편리하게 넣어 보관할 수도 있게 된다(도 7 내지 도 9 참조).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베이스부재, 12: 결합홀,
14,34: 끼움홈, 16: 케이블 가이드홈,
20: 거치부재, 22: 거치홈,
24: 지지부, 26: 측면부재,
28a: 장착홀, 28b: 장착돌기,
30: 결합돌기, 32: 보관홈,
36: 관통홀, 100: 스마트폰,
200: 충전케이블, 210: 충전단자,
300: USB 저장장치.

Claims (5)

  1. 중앙에 결합홀이 천공된 일정 두께를 갖는 패널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재 및, 일정 폭을 갖는 평판이 세워진 상태에서 측면이 "┛" 형상을 이루도록 가공되어 그 하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결합홀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 상면에 고정 설치되되 그 전단의 상측으로는 스마트폰의 하단이 일정 기울기로 거치되도록 측면이 "┗┛" 형상을 갖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그 상단의 앞쪽으로는 스마트폰의 후면이 지지되도록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거치부재가 결합된 지점과 대응되는 하면의 전단에서 후단으로는 케이블 가이드홈이 직선형태로 요입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홈 저부에는 케이블 단자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장공형태로 천공되어 구성된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물개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부재는 중앙 몸체 양측면에 각각 얇은 판재가 반원형상으로 가공되어 구성된 측면부재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재를 통해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홈 및 지지부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재 중앙의 몸체 및 측면부재는 상호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된 다수 개의 장착홀 및 장착돌기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이나 상기 거치부재의 몸체에는 USB 저장장치를 끼워 보관하기 위한 다수 개의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거치부재의 몸체에는 각종 필기구의 보관을 위한 보관홈이 수직방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69526A 2019-12-18 2019-12-18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10225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26A KR102253375B1 (ko) 2019-12-18 2019-12-18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26A KR102253375B1 (ko) 2019-12-18 2019-12-18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375B1 true KR102253375B1 (ko) 2021-05-17

Family

ID=7615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526A KR102253375B1 (ko) 2019-12-18 2019-12-18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3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355B1 (ko) * 2011-05-13 2012-08-30 동우상 거치대
KR20140001286U (ko) * 2012-08-24 2014-03-05 김종안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20150083709A (ko) * 2014-01-10 2015-07-20 (주)아이투지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20170069567A (ko) 2015-12-11 2017-06-21 노재성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105736A (ko) * 2016-03-10 2017-09-20 한지희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355B1 (ko) * 2011-05-13 2012-08-30 동우상 거치대
KR20140001286U (ko) * 2012-08-24 2014-03-05 김종안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20150083709A (ko) * 2014-01-10 2015-07-20 (주)아이투지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20170069567A (ko) 2015-12-11 2017-06-21 노재성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105736A (ko) * 2016-03-10 2017-09-20 한지희 단말기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물림 방식의 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11265A1 (en) Suppor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0454217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140089754A (ko)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4315402A (zh) 多功能台灯
KR102253375B1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73528B1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US20070124895A1 (en) Cord management systems
JP3176840U (ja) 多機能型携帯電話機用スタンド
US20150208810A1 (en) Foldable chair having portable telephone holder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US20110280431A1 (en) Keychain speaker
KR20130002875U (ko) 핸드폰 케이스
CN204114791U (zh) 多功能台灯
KR200479083Y1 (ko) 카드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N204042575U (zh) 一种带手机支撑架的多功能led台灯
KR200488893Y1 (ko) 태블릿 내장형 거치대
CN209911865U (zh) 一种电子产品支撑显示、理线及连接总成
US20180041059A1 (en) Multi-purpose storage container having cover for charging stand
KR200467316Y1 (ko)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CN210008658U (zh) 一种桌面屏风线盒及办公桌
KR200489857Y1 (ko) 핸드폰 거치대
KR101359677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170136394A (ko) 핸드폰 무선충전기 기능 및 서랍 및 스피커가 내장된 책상
KR20140005390U (ko) 화면 거치가 편리한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