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316Y1 -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Google Patents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7316Y1 KR200467316Y1 KR2020130001133U KR20130001133U KR200467316Y1 KR 200467316 Y1 KR200467316 Y1 KR 200467316Y1 KR 2020130001133 U KR2020130001133 U KR 2020130001133U KR 20130001133 U KR20130001133 U KR 20130001133U KR 200467316 Y1 KR200467316 Y1 KR 2004673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mounting portion
- mounting
- bent
- bending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용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휴대용 단말기가 기대어지는 거치부; 일단이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절곡 또는 만곡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 일단이 상기 거치부의 하단에 절곡 또는 만곡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부가 전개되었을 때 하나의 평판형 카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를 이용하면, 미사용 시 하나의 카드 형태를 이루도록 전개될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각 부위를 벤딩 및 끼워 맞추는 작업으로 제작이 완료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별도의 우퍼를 이용하지 아니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 중 낮은 음역대의 음향 출력을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를 이용하면, 미사용 시 하나의 카드 형태를 이루도록 전개될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각 부위를 벤딩 및 끼워 맞추는 작업으로 제작이 완료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별도의 우퍼를 이용하지 아니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 중 낮은 음역대의 음향 출력을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낮은 음역대의 음향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우퍼(woofer:저음용 스피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제품군을 뜻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DMB, 스마트폰, MP3-Player, 태블릿PC 등이 이에 속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해 작고 얇게 제작되고 있으며 통신기능에서부터 멀티미디어 기능까지 다양한 콘텐츠(Contents)의 개발과 제공으로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주요 소지품으로 대두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 멀티통신서비스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 접속, 화상통화, 음악청취는 물론, 휴대폰을 통하여 동영상이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시청할 수 있는 다양한 휴대폰이 제작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폰의 기능성에 맞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다양한 액세서리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가령 주로 차량에 설치하는 휴대폰 거치대 등을 말할 수 있다. 이들 중 가장 많은 형태가 차량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휴대폰을 연결하는 핸즈프리(handsfree) 기능으로, 직접 손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자의 안전을 위하여 휴대폰과 연결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해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 들어서는 휴대폰 기능의 향상으로 휴대하면서 동영상이나 음악, TV, 등의 시청을 많이 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동작 및 웹서핑까지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때, 휴대폰을 들고 계속해서 화면을 보기란 장시간 피곤함 때문에 여러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바 책상이나 바닥에 휴대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서는 휴대폰을 올려놓을 수 있는 몇몇 거치대 등이 출시되고는 있으나 집, 사무실 등 한정된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부피가 있어 휴대하지 못하였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는 없었다.
한편, 휴대폰과 같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스피커는 고음출력에는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일 수 있으나, 저음출력에는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로 음악이나 영화를 감상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포터블 스피커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이 별도의 포터블 스피커를 가지고 다니기 위해서는 많은 불편함이 수반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하고,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 중 낮은 음역대의 음향 출력을 보조함으로써 우퍼를 사용할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음출력 보강용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용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휴대용 단말기가 기대어지는 거치부; 일단이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절곡 또는 만곡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 일단이 상기 거치부의 하단에 절곡 또는 만곡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부가 전개되었을 때 하나의 평판형 카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향해 절곡될 수 있는 후향절곡편이 마련되도록 거치부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후향절곡편은 상기 지지부를 향해 절곡되었을 때 지면에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 절개선은, 상기 거치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평절개선 및 제2 수평절개선과, 상기 제1 수평절개선의 중단과 상기 제2 수평절개선의 중단을 연결하는 수직절개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폭방향 좌우측에는 상기 후향절곡편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한 쌍의 후향절곡편 끝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에는 상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상향절곡편이 마련되도록 안착부 절개선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와 지지부와 안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되어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제작된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를 이용하면, 미사용 시 하나의 카드 형태를 이루도록 전개될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각 부위를 벤딩 및 끼워 맞추는 작업으로 제작이 완료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별도의 우퍼를 이용하지 아니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 중 낮은 음역대의 음향 출력을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조립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조립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조립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스마트폰이나 DMB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세워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로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본 실시예에서는 전방면)에 휴대용 단말기가 기대어지는 방식으로 거치되는 거치부(100)와,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이 상기 거치부(10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본 실시예에서는 하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거치부(100)가 후방으로 넘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거치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와,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측단)이 상기 거치부(100)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측단)이 지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부(100)는 지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세워질 수도 있으나, 상기 거치부(100)가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거치부(100)의 전방면에 기대어지는 휴대용 단말기가 앞쪽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거치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세워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치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역시 지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세워질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지지부(200)가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거치부(100)가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 거치부(100)와 함께 후방으로 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20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세워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가 거치부(100)와 지지부(200)만으로 구성되면 거치부(100)에 기대어진 휴대용 단말기의 하측단은 지면과 직접 접촉되므로, 지면의 마찰계수가 작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하측단이 전방으로 밀려나도록 미끄러질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가 세워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지면상에 눕혀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안착부(30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하측단이 상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3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거치부(100)와 지지부(200)의 연결부위 및 거치부(100)와 안착부(300)의 연결부위가 절곡 또는 만곡 가능하도록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각 부가 전개되었을 때 즉, 하나의 평면으로 펴질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카드 형상을 이루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와 지지부(200) 간의 연결부위가 접히고 거치부(100)와 안착부(300) 간의 연결부위가 접혔을 때에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카드 모양으로 전개되어 사용자의 지갑 등에 보관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매우 우수하고, 휴대용 단말기 거치가 요구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와 지지부(200)가 세워지고 후향절곡편(120)과 상향절곡편(320)이 절곡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거치대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와 같이 각 부위가 얇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진동이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로 전달되어 거치부(100)를 포함한 각 부위가 진동되어 낮은 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게 되므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전체가 하나의 저음 스피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는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소형 스피커이므로 고음 출력에는 어느 정도의 성능을 발휘하나 저음 출력에서는 성능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하나의 저음 스피커 역할을 하게 되면 고음과 저음이 모두 조화롭게 출력될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에 우퍼를 장착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가 저음 스피커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의 스펙에 맞춰 크기 및 두께, 재질이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거치부(100)와 지지부(200)와 안착부(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되어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기준치 이하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변 물체에 진동을 인가하여 주변 물체가 하나의 진동판 역할을 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은,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진동 스피커에서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사용자가 거치부(100)와 지지부(200) 간의 연결부위 및 거치부(100)와 안착부(300) 간의 연결부위를 손으로 접을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는 경우 접었다 펴는 과정이 수차례에 걸쳐 반복되면 접히는 부위가 가공경화되어 해당 부위가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거치부(100)와 지지부(200) 간의 연결부위 및 거치부(100)와 안착부(300) 간의 연결부위가 수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접혔다 펴지더라도 가공경화에 의한 절단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부(100)가 단순히 지지부(200)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구성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이 큰 경우 거치부(100)와 지지부(200) 간의 연결부위가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펴짐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100)에는 지지부(200)를 향해 절곡되되, 지지부(200)를 향해 절곡되었을 때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후향절곡편(1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100)에 후향절곡편(120)이 마련되면, 거치부(1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이 후향절곡편(120)에 수직방향으로 인가되는바, 후향절곡편(120)의 절첩부(접혀진 부위)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거치부(100)는 후방으로 넘어지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향절곡편(120)이 거치부(100)에 추가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각 부위를 하나의 평면으로 전개하였을 때 후향절곡편(120)의 두께만큼 제품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상기 후향절곡편(120)은 거치부(100) 일부를 절개하여 거치부 절개선(110)을 형성한 후, 상기 거치부 절개선(110)으로 둘러싸인 부위를 절곡시키는 과정을 통해 마련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거치부(100)가 후향절곡편(12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지지부(200)의 하측 끝단은 지면과 이격되고 후향절곡편(120)의 끝단만이 지면에 안착되어 후향절곡편(120)만으로 거치부(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향절곡편(120)과 지지부(200)가 모두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부(100)를 후향절곡편(120)과 지지부(200)가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상기 거치부(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향절곡편(120)이 거치부(100)로부터 단순히 절곡되도록 구성되면, 거치부(100)에 인가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중이 후향절곡편(120)으로 전달되어 상기 후향절곡편(120)의 절곡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즉, 상기 거치부(100)와 후향절곡편(120) 간의 각도가 90도를 벗어나는 경우, 후향절곡편(120)은 안쪽으로 오므려지거나 바깥쪽으로 벌려지게 되어 상기 거치부(100) 및 이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는 바닥에 쓰러지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상기와 같이 후향절곡편(120)의 절곡 각도가 변경되지 아니하도록 즉, 거치부(100)와 후향절곡편(120) 간의 각도가 90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200)에는 후향절곡편(120)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슬롯(21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후향절곡편(120)의 끝단이 지지부(200)의 삽입슬롯(2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후향절곡편(120)에 측방향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후향절곡편(120)은 안쪽으로 오므려지거나 바깥쪽으로 벌려지지 아니하고 항상 거치부(100)와 직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거치부(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0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후향절곡편(12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거치부(100)에 마련되는 거치부 절개선(110)은, 거치부(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평절개선(112) 및 제2 수평절개선(114)과, 상기 제1 수평절개선(112)의 중단과 제2 수평절개선(114)의 중단을 연결하는 수직절개선(116)으로 구성되어, 수직절개선(116)의 좌우측 부위가 각각 제1 후향절곡편(122)과 제2 후향절곡편(124)이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 지지부(200)에는 제1 후향절곡편(122)이 삽입되는 제1 삽입슬롯(212)과 제2 후향절곡편(124)이 삽입되는 제2 삽입슬롯(214)이 각각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절개선(116)의 좌우측 부위를 밀었을 때 제1 후향절곡편(122)과 제2 후향절곡편(124)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면 거치부(100)의 가운데 부위에는 하나의 개구부(130)가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거치부(100)에 개구부(1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개구부(130)의 형상 및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거치부(100)가 진동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음향의 특성 즉, 음색을 보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 휴대용 단말기(10)가 거치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는 후면이 거치부(100)의 전면에 기대어지도록 거치되며, 하측단이 안착부(300) 상면에 안착된다. 휴대용 단말기(10)에서 음향이 출력될 때에는 휴대용 단말기(10)의 몸체에 진동이 인가되는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가 거치부(100)에 접촉되도록 거치되면 휴대용 단말기(10)의 몸체 진동이 거치부(100)로 전달되어 음향이 출력된다. 이때 거치부(100)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은 휴대용 단말기(10)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보다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음향 즉, 저음이 발생되는 바, 우퍼를 사용할 때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부(100)에 단순히 기대어지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하측단이 전방으로 미끄러져 휴대용 단말기(10)가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안착부(300)에는 상향으로 절곡되는 상향절곡편(3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향절곡편(320)과 거치부(100) 간의 거리나, 상향절곡편(320)의 높이 등은 휴대용 단말기(1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향절곡편(320)은 후향절곡편(120)과 마찬가지로 안착부(300)에 'ㄷ'자 형상의 안착부 절개선(310)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 절개선(310)으로 둘러싸인 부위를 밀어 절곡시키는 과정을 통해 마련됨으로써, 제품의 슬림화 및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의 길이방향이 세로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질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의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질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휴대용 단말기(10)가 방향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다양한 패턴으로 거치될 수 있는바, 사용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에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는 휴대폰, DMB, MP3-Player, 태블릿PC 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휴대용 단말기 100 : 거치부
110 : 거치부 절개선 112 : 제1 수평절개선
114 : 제2 수평절개선 116 : 수직절개선
120 : 후향절곡편 122 : 제1 후향절곡편
124 : 제2 후향절곡편 130 : 개구부
200 : 지지부 210 : 삽입슬롯
212 : 제1 삽입슬롯 214 : 제2 삽입슬롯
300 : 안착부 310 : 안착부 절개선
320 : 상향절곡편
110 : 거치부 절개선 112 : 제1 수평절개선
114 : 제2 수평절개선 116 : 수직절개선
120 : 후향절곡편 122 : 제1 후향절곡편
124 : 제2 후향절곡편 130 : 개구부
200 : 지지부 210 : 삽입슬롯
212 : 제1 삽입슬롯 214 : 제2 삽입슬롯
300 : 안착부 310 : 안착부 절개선
320 : 상향절곡편
Claims (5)
-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휴대용 단말기가 기대어지는 거치부(100);
일단이 상기 거치부(100)의 상단에 절곡 또는 만곡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200);
일단이 상기 거치부(100)의 하단에 절곡 또는 만곡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부가 전개되었을 때 하나의 평판형 카드 형상을 이루고,
상기 거치부(100)에는 상기 지지부(200)를 향해 절곡될 수 있는 후향절곡편(120)이 마련되도록 거치부 절개선(110)이 형성되고,
상기 후향절곡편(120)은 상기 지지부(200)를 향해 절곡되었을 때 지면에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절개선(110)은, 상기 거치부(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평절개선(112) 및 제2 수평절개선(114)과, 상기 제1 수평절개선(112)의 중단과 상기 제2 수평절개선(114)의 중단을 연결하는 수직절개선(116)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100)의 폭방향 좌우측에는 상기 후향절곡편(120)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200)에는 상기 한 쌍의 후향절곡편(120) 끝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슬롯(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300)에는 상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상향절곡편(320)이 마련되도록 안착부 절개선(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와 지지부(200)와 안착부(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되어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133U KR200467316Y1 (ko) | 2013-02-14 | 2013-02-14 |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133U KR200467316Y1 (ko) | 2013-02-14 | 2013-02-14 |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7316Y1 true KR200467316Y1 (ko) | 2013-06-05 |
Family
ID=5138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1133U KR200467316Y1 (ko) | 2013-02-14 | 2013-02-14 |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731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228Y1 (ko) * | 2016-11-17 | 2018-04-17 | 노진석 | 키보드용 멀티기기 거치대 |
WO2018183163A1 (en) * | 2017-03-28 | 2018-10-04 | Coleridge Design Associates Llc | Haptic feedback and interface system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3084Y1 (ko) * | 2002-07-25 | 2002-10-25 | 김병채 | 탁상용 달력 |
KR20100009162U (ko) * | 2009-03-10 | 2010-09-20 | 주식회사 뉴빛 | 휴대용 단말기의 스탠드 |
KR20120092956A (ko) * | 2011-02-14 | 2012-08-22 | 한국철도공사 |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
-
2013
- 2013-02-14 KR KR2020130001133U patent/KR20046731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3084Y1 (ko) * | 2002-07-25 | 2002-10-25 | 김병채 | 탁상용 달력 |
KR20100009162U (ko) * | 2009-03-10 | 2010-09-20 | 주식회사 뉴빛 | 휴대용 단말기의 스탠드 |
KR20120092956A (ko) * | 2011-02-14 | 2012-08-22 | 한국철도공사 | 일회용 모바일 장치 거치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228Y1 (ko) * | 2016-11-17 | 2018-04-17 | 노진석 | 키보드용 멀티기기 거치대 |
WO2018183163A1 (en) * | 2017-03-28 | 2018-10-04 | Coleridge Design Associates Llc | Haptic feedback and interface system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084315B (zh) |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 |
US9226055B2 (en) | Bracket with sound boxes for a tablet electronic device | |
US20130170686A1 (en) | Mobile media device case/attachment for providing passive acoustic boosting | |
US9062812B2 (en) |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1844379B1 (ko) | 핸드폰 거치 스피커 | |
KR102121989B1 (ko) |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 |
KR200470742Y1 (ko) |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 |
US20150208810A1 (en) | Foldable chair having portable telephone holder | |
KR200467316Y1 (ko) | 저음출력 보강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구 | |
CA2720145A1 (en) | Shelf | |
CN203057253U (zh) | 一种声学式手机无源扩音底座 | |
CN204465663U (zh) | 一种多功能手机支撑座 | |
JP3176840U (ja) | 多機能型携帯電話機用スタンド | |
KR200479083Y1 (ko) | 카드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 |
GB2448234A (en) | Support device with cable access | |
KR200458168Y1 (ko) |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 |
US20130175307A1 (en) | Mobile device holder | |
KR20140146466A (ko) | 시트형 휴대폰 거치대 | |
KR200467481Y1 (ko) |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 |
KR100834640B1 (ko) | 공명 공간을 제공하는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 |
CN211184013U (zh) | 一种电子设备支架 | |
CN218497418U (zh) | 移动智能终端保护套 | |
KR102253375B1 (ko) |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 |
JP3178937U (ja) | 携帯電話機用ケース | |
KR101602320B1 (ko) | 휴대폰 거치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