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68Y1 -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68Y1
KR200458168Y1 KR2020100004265U KR20100004265U KR200458168Y1 KR 200458168 Y1 KR200458168 Y1 KR 200458168Y1 KR 2020100004265 U KR2020100004265 U KR 2020100004265U KR 20100004265 U KR20100004265 U KR 20100004265U KR 200458168 Y1 KR200458168 Y1 KR 200458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obile phone
split
board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218U (ko
Inventor
엄세영
Original Assignee
엄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세영 filed Critical 엄세영
Priority to KR2020100004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68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펼쳐서 핸드폰 등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는 접거나 펼쳐지는 하나의 전체 보드인 몸체와; 상기 몸체를 접거나 펼쳐지도록 분할시키는 제1,2 접이부과;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2 접이부을 기준으로 상호 접이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분할보드와; 상기 분할보드 중 하나의 제1 분할보드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결합부와; 상기 돌출결합부가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분할보드 중 또 하나의 제3 분할보드에 절개된 절개홈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Handsfree for Portable Telephone}
본 고안은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펼쳐서 핸드폰 등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로서, 휴대성을 위해 작고 얇게 제작되고 있으며 통신기능에서부터 멀티미디어 기능까지 다양한 콘텐츠(Contents)의 개발과 제공으로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주요 소지품이다.
또한, 근래에 들어 멀티통신서비스의 발달로 핸드폰을 가지고 인터넷 접속, 화상통화, 음악청취는 물론, 핸드폰을 통하여 동영상이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시청할 수 있는 다양한 핸드폰 등이 제작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핸드폰의 기능성에 맞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다양한 액세서리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가령 주로 차량에 설치하는 핸드폰 거치대 등을 말할 수 있다. 이들 중 가장 많은 형태가 차량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핸드폰을 연결하는 핸즈프리(handsfree) 기능으로, 직접 손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자의 안전을 위하여 핸드폰과 연결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해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핸드폰 기능의 향상으로 휴대하면서 동영상이나 음악, TV, 등을 시청들을 많이 하고 있으며, 특히 다양한 핸드폰의 제공으로 가장 최근에는 터치 스크린 동작을 할 수 있는 고기능성 핸드폰들까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핸드폰을 들고 계속해서 화면을 보기란 장시간 피곤함 때문에 여러 불편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책상 등, 바닥에 핸드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를 필요로 하였다.
그래서 최근 핸드폰을 올려놓을 수 있는 몇몇 거치대 등이 출시되고는 있으나 집, 사무실 등 한정된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부피가 있어 휴대하지 못하였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휴대하면서 사용시에 접어서 핸드폰을 올려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핸드폰 거치대를 접어서 사용시에 신속하게 거치대로 변형시킬 수 있는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한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는 접거나 펼쳐지는 하나의 전체 보드인 몸체와; 상기 몸체를 접거나 펼쳐지도록 분할시키는 제1,2 접이부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2 접이부를 기준으로 상호 접이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분할보드와; 상기 분할보드 중 하나의 제1 분할보드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결합부와; 상기 돌출결합부가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분할보드 중 또 하나의 제3 분할보드에 절개된 절개홈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분할보드는 상기 몸체의 제1,2 접이부를 기준으로 상호 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분할보드와, 제2 분할보드 및 제3 분할보드로 구비되며, 상기 돌출결합부가 형성된 제1 분할보드가 제1 접이부를 기준으로 접어져서 제2 분할보드에 밀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제3 분할보드가 상기 제2 접이부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접어짐과 동시에 상기 돌출결합부가 절개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하나의 접이식 거치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사용함으로써 휴대하면서 사용시 바로 접어서 핸드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바로 접거나 펼쳐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몸체에 형성된 분할보드를 바로 접어서 사용시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보인 전체 전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의 사용시 접었을 때 보습을 보인 전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접었을 때 측면에서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보인 전체 전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의 사용시 접었을 때 보습을 보인 전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를 접었을 때 측면에서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는 하나의 전체 보드인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를 분할시키는 제1, 2 접이부(112)(113)와, 상기 몸체(111)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분할보드(120)(130)(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1)는 접거나 펼쳐지는 하나의 전체 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11)를 접거나 펼쳐지도록 분할시키는 제1 접이부(112)와 제2 접이부(113)가 몸체(111)에 형성된다.
상기 제1,2 접이부(112)(113)는 몸체(111)를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몸체(111)의 일면에 3개 정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보드(120)(130)(140)는 상기 몸체(1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2 접이부(112)(113)를 기준으로 상호 접이 가능하게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분할보드(120)(130)(140)는 상기 몸체(111)의 제1,2 접이부(112)(113)를 기준으로 상호 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분할보드(120)와, 제2 분할보드(130) 및 제3 분할보드(140)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할보드(120)(130)(140) 중 하나의 제1 분할보드(120)에는 일측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결합부(1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결합부(115)가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분할보드(120)(130)(140) 중 또 하나의 제3 분할보드(140)에는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절개홈(117)이 형성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는 3개의 분할보드(120)(130)(140)가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 분할보드(120)(130)(140)는 그 폭의 중간에 2개의 제1 접이부(112)와 제2 접이부(113)가 형성되어 3개의 분할보드(120)(130)(140)로 접거나 펼쳐짐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하나의 몸체(111)가 전체 보드이지만, 2개의 제1,2 접이부(112)(113)가 상기 전체 몸체(111) 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3개의 분할보드(120)(130)(140)로 구분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몸체(111)는 총 3개의 제1, 제2, 제3 분할보드(120)(130)(140)로 이루어져 접이 됨으로써 접었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작은 2개의 제1,2 분할보드(120)(130)가 폭이 큰 한 개의 제3 분할보드(140)를 받쳐주는 형태로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접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보드(120)(130)(140)에 형성되는 돌출결합부(115)와 절개홈(117)은 전개된 몸체(111)와 같이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돌출결합부(115)가 형성된 제1 분할보드(120)를 상기 제1 접이부(112)를 기준으로 접어서 제2 분할보드(130)에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절개홈(117)이 형성된 제3 분할보드(140)를 상기 제2 접이부(113)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접음과 동시에 상기 돌출결합부(115)가 절개홈(117)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1)가 하나의 접이식 거치대(100)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접이식 거치대(100)에 핸드폰(P)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돌출결합부(115)의 상부면에 올려놓는 핸드폰의 하면이 올려지는 것이고, 수직으로 접혀지는 상기 제3 분할보드(140)의 일면으로 핸드폰(P)의 후면이 기대는 형태로서 위치하여 접이식 거치대(100) 상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접이식 거치대 111 : 몸체
112, 113 : 제1,2 접이부 115 : 돌출결합부
117 : 절개홈 120 : 제1 분할보드
130 : 제2 분할보드 140 : 제3 분할보드

Claims (2)

  1. 접거나 펼쳐지는 하나의 전체 보드인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를 접거나 펼쳐지도록 분할시키는 제1,2 접이부(112)(113)와;
    상기 몸체(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2 접이부(112)(113)를 기준으로 상호 접이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 분할보드(120), 제2 분할보드(130) 및 제3 분할보드(140)와;
    상기 분할보드(120)(130)(140) 중 하나의 제1 분할보드(120)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결합부(115)와;
    상기 돌출결합부(115)가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분할보드(120)(130)(140) 중 또 하나의 제3 분할보드(140)에 절개된 절개홈(117)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2 분할보드(130)의 양측에서 상기 제1 접이부(1120(113)을 기준으로 제1 분할보드(120)와 제3 분할보드(140)를 접음과 아울러, 상기 제1 분할보드(120)의 돌출결합부(115)를 제3 분할보드(140)의 절개홈(117)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상기 돌출결합부(115)에 핸드폰의 하면이 올려지고 상기 제3 분할보드(140)에 핸드폰의 후면이 기댈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2. 삭제
KR2020100004265U 2010-04-22 2010-04-22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KR200458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65U KR200458168Y1 (ko) 2010-04-22 2010-04-22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65U KR200458168Y1 (ko) 2010-04-22 2010-04-22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18U KR20110010218U (ko) 2011-10-28
KR200458168Y1 true KR200458168Y1 (ko) 2012-01-25

Family

ID=4584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65U KR200458168Y1 (ko) 2010-04-22 2010-04-22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4536B2 (en) 2013-07-31 201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foldable cradle
JP2018113634A (ja) * 2017-01-13 2018-07-19 株式会社一九堂印刷所 スマートデバイス用スタンド
KR20230099947A (ko) 2021-12-28 2023-07-05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다기능 휴대폰 거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930A (ja) * 1989-08-15 1991-03-29 Sony Corp 位相制御型発振装置
JPH03136375A (ja) * 1989-10-23 1991-06-11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サージ防護デバイス
KR19990034823U (ko) * 1999-04-29 1999-09-06 한경순 접이형물품거치대
JP3074930U (ja) 2000-07-18 2001-01-30 株式会社ビジョンメガネ 眼鏡ホルダー
JP3136375U (ja) 2007-08-06 2007-10-25 A.B.L.株式会社 スタンドホル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930A (ja) * 1989-08-15 1991-03-29 Sony Corp 位相制御型発振装置
JPH03136375A (ja) * 1989-10-23 1991-06-11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サージ防護デバイス
KR19990034823U (ko) * 1999-04-29 1999-09-06 한경순 접이형물품거치대
JP3074930U (ja) 2000-07-18 2001-01-30 株式会社ビジョンメガネ 眼鏡ホルダー
JP3136375U (ja) 2007-08-06 2007-10-25 A.B.L.株式会社 スタンドホル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VIMEO.COM/6559478*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4536B2 (en) 2013-07-31 201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foldable cradle
JP2018113634A (ja) * 2017-01-13 2018-07-19 株式会社一九堂印刷所 スマートデバイス用スタンド
KR20230099947A (ko) 2021-12-28 2023-07-05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다기능 휴대폰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18U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411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US8867770B2 (en) Speaker-connector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478818Y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
WO2003079169A3 (en) Flexible foldable keyboard
US20120057289A1 (en) Dual-Use Portable Display Device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0458168Y1 (ko) 접이식 핸드폰 거치대
CN204465663U (zh) 一种多功能手机支撑座
KR200472787Y1 (ko) 휴대전자기기의 휴대용 거치대
AU201231755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radle and desktop telephone
KR101343908B1 (ko) 음향 공명기능을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
KR200415040Y1 (ko) 안테나 겸용 받침대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공중파방송 수신단말기
US20150208810A1 (en) Foldable chair having portable telephone holder
KR100378120B1 (ko) 폴더형 휴대폰
KR200452288Y1 (ko) 핸드폰 거치대
JP5291141B2 (ja) 携帯電話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KR101328501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JP2003309631A (ja) スライド伸縮式携帯電話
KR2005005671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KR20140104732A (ko) 우산용 휴대폰 거치대
KR200477484Y1 (ko) 휴대폰 거치대가 설치된 접이식 의자
CN218497418U (zh) 移动智能终端保护套
KR101563257B1 (ko) 스마트폰용 손받침 겸용 홀 폐쇄장치
JP3169290U (ja) 携帯情報端末機器用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