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286U -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1286U KR20140001286U KR2020120007511U KR20120007511U KR20140001286U KR 20140001286 U KR20140001286 U KR 20140001286U KR 2020120007511 U KR2020120007511 U KR 2020120007511U KR 20120007511 U KR20120007511 U KR 20120007511U KR 20140001286 U KR20140001286 U KR 2014000128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device
- recess
- support
- connector
- charging c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충전케이블의 커넥터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 중앙에 하방 요입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의 외곽 일측이 안착되는 리세스; 상기 바디의 수용부와 상기 리세스가 연결되도록 리세스 바닥에 관통 형성된 커넥터 출입부; 상기 리세스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슬롯; 및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리세스에 안착된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는 백레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출입부를 거쳐 상기 바디 외부로 노출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는 모바일 기기의 거치 시 모바일 기기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평소에 바디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충전케이블의 커넥터가 모바일 기기의 거치 시 모바일 기기에 접속된 상태로 바디의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디에 다양한 종류의 충전케이블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구성은, 충전케이블의 커넥터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 중앙에 하방 요입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의 외곽 일측이 안착되는 리세스; 상기 바디의 수용부와 상기 리세스가 연결되도록 리세스 바닥에 관통 형성된 커넥터 출입부; 상기 리세스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슬롯; 및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리세스에 안착된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는 백레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출입부를 거쳐 상기 바디 외부로 노출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는 모바일 기기의 거치 시 모바일 기기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평소에 바디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충전케이블의 커넥터가 모바일 기기의 거치 시 모바일 기기에 접속된 상태로 바디의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디에 다양한 종류의 충전케이블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655호(2006년 02월 10일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거치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기존의 220V 휴대폰 충전기의 24핀 커넥터를 꽂을 수 있는 연결 잭과, 컴퓨터 통신 케이블의 24핀 커넥터를 꽂을 수 있는 연결 잭, 그리고 휴대폰의 24핀 연결 잭에 꽂을 수 있는 휴대폰 24핀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폰 24핀 충전기와 24핀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동시에 연결하여 충전 및 컴퓨터 데이터 통신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24핀 연결 커넥터와, 이 24핀 연결 커넥터 후방에 형성된 휴대폰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휴대폰을 거치하여 충전 및 데이터 통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24핀 연결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PC(tablet PC) 등의 모바일 기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대중화된 스마트폰(smart phone)의 경우 제조사마다 다른 구조의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폰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거치대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충전케이블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는,
충전케이블의 커넥터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 중앙에 하방 요입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의 외곽 일측이 안착되는 리세스;
상기 바디의 수용부와 상기 리세스가 연결되도록 리세스 바닥에 관통 형성된 커넥터 출입부;
상기 리세스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슬롯; 및
상기 슬롯에 끼워져 상기 리세스에 안착된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는 백레스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출입부를 거쳐 상기 바디 외부로 노출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는 모바일 기기의 거치 시 모바일 기기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하부수용부를 갖는 하부서포트; 그리고
하방 개방된 상부수용부와, 상기 리세스와, 상기 출입부와, 상기 슬롯을 갖고, 상기 하부서포트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서포트 상면에는 상기 출입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수용부를 연결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슬롯을 통해 진입한 상기 백레스트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는 받침돌기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서포트에는 이의 상면이 하방 요입되어 형성된 환형(環形)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인접 배치되도록 상면에 관통 형성된 둘 이상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서포트에는 이의 하면 내측에 하방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 내주면에 끼워지게 되는 환형 대응결합부와, 상기 각 걸림부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둘 이상의 후크형 대응걸림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에는 충전케이블의 커넥터가 바디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충전케이블의 와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부와 연결되는 홀딩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는,
평소에 바디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충전케이블의 커넥터가 모바일 기기의 거치 시 모바일 기기에 접속된 상태로 바디의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디에 다양한 종류의 충전케이블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치대에 모바일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치대에 모바일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이하, '거치대'라고 함)는 크게 바디(100), 리세스(200), 출입부(300), 슬롯(400) 및 백레스트(500)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바디(100)는
충전케이블(10)의 커넥터(11)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부(110)를 갖는 것으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원형 케이스 형태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케이블(10)은 모바일 기기(20)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11)와,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11)에 연결된 와이어(12)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와이어(12)의 타단부에는 가정용 콘센트와의 접속을 위한 플러그 또는 컴퓨터와의 접속을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 등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기기(2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등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200)는
상기 바디(100)의 상부 중앙에 하방 요입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 리세스(200)에 모바일 기기(20)의 외곽 일측이 안착된다.
상기 리세스(200)는 모바일 기기(20)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의 상부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출입부(300)는
상기 리세스(200) 바닥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100)의 수용부(110)와 상기 리세스(200)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에 의해 충전케이블(10)의 커넥터(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에서 상기 출입부(300)를 거쳐 상기 바디(10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에 노출된 커넥터(11)를 잡고 모바일 기기(20)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에 접속된 커넥터(11)는 상기 출입부(300)를 통해 상기 수용부(110)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접속된 커넥터(11)가 상기 리세스(200)의 바닥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모바일 기기(20)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10) 및 상기 출입부(300)에 의하여 상기 바디(100)에 다양한 종류의 충전케이블(10) 커넥터(11)가 선택적으로 수용되거나, 바디(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케이블(10)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슬롯(400)은
상기 리세스(200)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10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리세스(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죽하게 형성된다.
상기 백레스트(500)는
상기 슬롯(400)에 끼워져 상기 리세스(200)에 안착된 모바일 기기(2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백레스트(500)는 사각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거치하고자하는 모바일 기기(20)의 크기 및 거치각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바디(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는 하부서포트(120) 및 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세스(200)와, 상기 출입부(300)와, 상기 슬롯(400)은 상기 상부서포트(130)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10)는 상기 하부서포트(120) 및 상부서포트(130)에 의해 하부수용부(111) 및 상부수용부(112)로 나누어진다.
즉, 상기 수용부(110)는 하부수용부(111) 및 상부수용부(112)로 나뉘어 각각 상기 하부서포트(120) 및 상부서포트(130)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수용부(111) 및 상부수용부(112)는 각각 상기 하부서포트(120) 및 상부서포트(130)에 후방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서포트(130) 내측에는 상기 슬롯(400)을 하방 연장케 하는 가이드(1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133)는 상기 슬롯(400)에 끼워진 상기 백레스트(500)의 하단부를 감싸게 됨으로써 백레스트(5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400)은 상기 가이드(133)에 의해 상측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백레스트(500)는 상측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장착되어 모바일 기기(20)를 비스듬히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서포트(120) 상면에는 상기 하부 및 상부 수용부(111, 112)를 연결하는 개구부(121)와, 상기 개구부(121) 후방에 배치되어 상방 돌출된 받침돌기(12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21)는 상기 바디(100)의 수용부(110)에 배치된 충전케이블(10)의 커넥터(11)가 상기 출입부(300)를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도록 상기 출입부(300)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받침돌기(122)는 상기 슬롯(400)과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슬롯(400)을 통해 진입한 상기 백레스트(50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돌기(122)의 상면은 상기 슬롯(400)의 경사각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받침돌기(122)는 상기 백레스트(500) 하단부와 면밀하게 접촉하여 백레스트(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서포트(120)의 후단부 하면에는 충전케이블(10)의 와이어(12)가 드나들 수 있는 출입홈(125)이 형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서포트(120)에는 이의 상면이 하방 요입되어 형성된 환형(環形) 결합부(123)와, 상기 결합부(123)와 인접 배치되도록 상면에 관통 형성된 둘 이상의 걸림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서포트(130)에는 이의 하면 내측에 하방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123) 내주면에 끼워지게 되는 환형 대응결합부(131)와, 상기 각 걸림부(124)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둘 이상의 후크형 대응걸림부(1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서포트(120)와 상부서포트(130)는 상기 대응걸림부(132)가 상기 걸림부(124)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호 결합되되, 이때 상기 대응결합부(131)가 상기 결합부(123)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는
상기 출입부(300)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홀딩부(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부(600)는 충전케이블(10)에서 와이어(12)의 둘레보다는 크되, 커넥터(11)의 둘레보다는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커넥터(11)가 상기 바디(100)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2)가 상기 홀딩부(600)로 진입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모바일 기기(20)의 미거치 시 상기 커넥터(11)를 상기 홀딩부(600)에 걸어 용이하게 정리 및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딩부(600)와 상기 출입부(300)의 연결부에는 홀딩부(600)로 진입한 와이어(12)가 출입부(300) 측으로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12)의 진입 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네크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
110 ; 수용부
111 ; 하부수용부
112 ; 상부수용부
120 ; 하부서포트
121 ; 개구부
122 ; 받침돌기
123 ; 결합부
124 ; 걸림부
125 ; 출입홈
130 ; 상부서포트
131 ; 대응결합부
132 ; 대응걸림부
133 ; 가이드
200 ; 리세스
300 ; 출입부
400 ; 슬롯
500 ; 백레스트
600 ; 홀딩부
610 ; 네크부
110 ; 수용부
111 ; 하부수용부
112 ; 상부수용부
120 ; 하부서포트
121 ; 개구부
122 ; 받침돌기
123 ; 결합부
124 ; 걸림부
125 ; 출입홈
130 ; 상부서포트
131 ; 대응결합부
132 ; 대응걸림부
133 ; 가이드
200 ; 리세스
300 ; 출입부
400 ; 슬롯
500 ; 백레스트
600 ; 홀딩부
610 ; 네크부
Claims (4)
- 충전케이블(10)의 커넥터(11)가 배치되는 내부 수용부(110)를 갖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상부 중앙에 하방 요입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20)의 외곽 일측이 안착되는 리세스(200);
상기 바디(100)의 수용부(110)와 상기 리세스(200)가 연결되도록 리세스(200) 바닥에 관통 형성된 커넥터(11) 출입부(300);
상기 리세스(200)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슬롯(400); 및
상기 슬롯(400)에 끼워져 상기 리세스(200)에 안착된 모바일 기기(2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는 백레스트(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110)에서 상기 출입부(300)를 거쳐 상기 바디(100) 외부로 노출된 충전케이블(10)의 커넥터(11)는 모바일 기기(20)의 거치 시 모바일 기기(20)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110)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는
하부수용부(111)를 갖는 하부서포트(120); 그리고
하방 개방된 상부수용부(112)와, 상기 리세스(200)와, 상기 출입부(300)와, 상기 슬롯(400)을 갖고, 상기 하부서포트(12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서포트(120) 상면에는 상기 출입부(30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수용부(111, 112)를 연결하는 개구부(121)와, 상기 개구부(121)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슬롯(400)을 통해 진입한 상기 백레스트(50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는 받침돌기(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서포트(120)에는 이의 상면이 하방 요입되어 형성된 환형(環形) 결합부(123)와, 상기 결합부(123)와 인접 배치되도록 상면에 관통 형성된 둘 이상의 걸림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서포트(130)에는 이의 하면 내측에 하방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123) 내주면에 끼워지게 되는 환형 대응결합부(131)와, 상기 각 걸림부(124)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둘 이상의 후크형 대응걸림부(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에는 충전케이블(10)의 커넥터(11)가 바디(100)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충전케이블(10)의 와이어(12)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부(300)와 연결되는 홀딩부(6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7511U KR20140001286U (ko) | 2012-08-24 | 2012-08-24 |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7511U KR20140001286U (ko) | 2012-08-24 | 2012-08-24 |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1286U true KR20140001286U (ko) | 2014-03-05 |
Family
ID=5244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7511U KR20140001286U (ko) | 2012-08-24 | 2012-08-24 |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128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3375B1 (ko) * | 2019-12-18 | 2021-05-17 | 이상현 |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
KR20220166171A (ko) * | 2021-06-09 | 2022-12-16 | (주)에스피에스 |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
-
2012
- 2012-08-24 KR KR2020120007511U patent/KR20140001286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3375B1 (ko) * | 2019-12-18 | 2021-05-17 | 이상현 |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
KR20220166171A (ko) * | 2021-06-09 | 2022-12-16 | (주)에스피에스 | 스마트 디바이스 거치용 크래들 및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01905B2 (en) | Slide dock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 |
AU2012202915B2 (en) |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s | |
US7868589B2 (en) | Portable media player cordless charger | |
KR20140004290U (ko) |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 |
US10637265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charging module | |
KR20140001286U (ko) |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 |
KR200462350Y1 (ko) | 가정용 충전기를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 |
CN202103291U (zh) | 转接结构 | |
CN210897900U (zh) | 一种分流式数据充电线 | |
CN210111111U (zh) | 移动终端的外露充电结构 | |
CN203850862U (zh) | 可携式充电器 | |
KR101555177B1 (ko) | 휴대폰 거치장치 | |
CN107658659A (zh) | 一种两用连接器 | |
CN210517260U (zh) | 一种充电头 | |
KR20140005695A (ko) | 충전기용 플러그 | |
US8647145B2 (en) | Communication connector having a cover movable along an incline relative to a case | |
CN209088804U (zh) | 一种电源转换装置 | |
CN213212609U (zh) | 滑动式充电头 | |
CN204349102U (zh) | 插座连接器 | |
US11641218B2 (en) | Fixing support bracket for charging connector | |
CN217642799U (zh) | 一种无线充电设备 | |
CN221467397U (zh) | 一种充电座及其移动电源 | |
CN104201493B (zh) | 用户识别卡连接器 | |
CN203800653U (zh) | 移动电源 | |
KR101432744B1 (ko) | 충전기 세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