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744B1 - 충전기 세트 - Google Patents

충전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744B1
KR101432744B1 KR1020120144873A KR20120144873A KR101432744B1 KR 101432744 B1 KR101432744 B1 KR 101432744B1 KR 1020120144873 A KR1020120144873 A KR 1020120144873A KR 20120144873 A KR20120144873 A KR 20120144873A KR 101432744 B1 KR101432744 B1 KR 101432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ne
charger
groov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394A (ko
Inventor
박지현
양주영
Original Assignee
박지현
양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양주영 filed Critical 박지현
Priority to KR102012014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74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핸드폰과 같은 충전을 필요로 하는 물품을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는 원기둥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플러그의 후방으로는 단차진 홈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진 홈의 후방으로 상기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에 감겨지는 선을 고정하기 위한 선 고정구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충전기 세트 {CHARGING DEVICE SE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핸드폰과 같은 충전을 필요로 하는 물품을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핸드폰 충전기는 긴 줄 끝에 핸드폰을 꽂게 되어 있어 줄이 크게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오히려 불편하다.
핸드폰을 직접 꼽아 충전하는 제품도 시판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충전을 하면서 핸드폰으로 통화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핸드폰 충전기는 자체의 표면이 매끄러워 충전기를 콘센트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 단점도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6741호 (2003.09.03 등록, 고안의 명칭 "휴대폰 충전기"). 이 등록실용신안에서는 충전기의 삽입홈과 휴대폰의 배터리가 충전함을 매개로 하여 결합됨으로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휴대폰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기의 본체에는 충전상태에 따라 식별창이 이를 알려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충전상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85295호 (2007.12.06 등록, 발명의 명칭 "휴대폰 충전기"). 이 등록특허문헌에는, 내부에 충전용 변압장치를 구비하고, 상부에 충전단자가 마련된 휴대폰 삽입홈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을 갖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과 상기 연결부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충전을 위해 상기 휴대폰 삽입홈에 삽입되는 휴대폰을 지지하는 휴대폰 지지부재; 및 전선을 통해 상기 충전용 변압장치와 연결되고,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220호 (2007.11.26 공개, 고안의 명칭 "케이블 정리가 용이한 핸드폰 충전기"). 이 공개실용신안문헌에는, 핸드폰 충전기 본체와 핸드폰 충전접속구, 상기 충전기 본체와 핸드폰 충전접속구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진 핸드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케이블을 충전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되,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부착된 원버튼 터치로 케이블이 본체의 내부에 한번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필요한 길이만큼 빼내어 사용가능하도록 하고 정리정돈이 용이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리가 용이한 핸드폰 충전기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핸드폰의 거치가 용이하며, 다양한 핸드폰 제조사의 충전 규격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콘센트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형태의 충전기 세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가 원기둥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플러그의 후방으로 단차진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진 홈의 후방으로 상기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에 감겨지는 선을 고정하기 위한 선 고정구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충전기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단차진 홈에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안치되며, 상기 단차진 홈의 바닥에는 상기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원기둥 본체의 둘레면에 상기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상기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단차진 홈의 후방으로 홈에 의해 형성된 손잡이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 고정구는 상기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기 세트의 본체에 선을 감을 수 있고, 선의 끝 부분을 고정할 수 있어 선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기 세트의 상부에 홈이 있어 핸드폰의 고정이 용이하며, 상기 홈에 제조사에 맞는 포트를 설치하여 선이 필요 없는 경우에 그 부분에 밑에서부터 잭을 꽂아 넣어 핸드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가 장착되는 후방에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홈 형태의 손잡이가 있어 콘센트로부터 충전기 세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기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기 세트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기 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기 세트에 휴대폰이 안치되어 있고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에 선이 감겨져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기 세트를 나타낸다. 특히,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기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기 세트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기 세트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기 세트에 휴대폰이 안치되어 있고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에 선이 감겨져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충전기 세트에서는,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20)가 원기둥 본체(10)에 장착된다.
상기 플러그(10)의 후방으로는 단차진 홈(30)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진 홈(30)의 후방으로 상기 원기둥 본체(10)의 원주면에 감겨지는 선을 고정하기 위한 선 고정구(4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한 단차진 홈(30)에는 상기 단차진 홈(30)에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안치된다. 상기 단차진 홈(30)의 바닥에는 상기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42)(44)(46)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가령, 사이즈가 큰 전기 접속부(46)에는 애플사 전용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은 접속부(42)에는 안드로이드폰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원기둥 본체(10)의 둘레면에는 특히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상기 접속부(42)(44)(4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이 감겨진다. 이때, 상기 선 고정구(40)는 상기 원기둥 본체(10)의 원주면(12)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선의 길이를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차진 홈(30)의 후방으로 홈에 의해 형성된 손잡이 부분(50)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형성된 홈 부분에 손을 넣어 파지한 후 콘센트로부터 쉽게 플러그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원기둥 본체
12 : 원주면
20 : 플러그
30 : 단차진 홈
40 : 선 고정구
42, 44, 46 : 전기 접속부
L : 선 또는 줄

Claims (5)

  1.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20)가 원기둥 본체(10)에 장착되고,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안치하기 위한 단차진 홈(30)이 상기 플러그(20)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진 홈(30)의 후방으로 상기 원기둥 본체(10)의 원주면에 감겨지는 선을 고정하기 위한 선 고정구(4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진 홈(30)은,
    바닥면에, 상기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접속부(42)(44)(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 본체(10)의 둘레면에 상기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그 대상물을 충전하기 위한 접속부(42)(44)(4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진 홈(30)의 후방으로 홈에 의해 형성된 손잡이 부분(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충전기 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 고정구(40)는 상기 원기둥 본체(10)의 원주면(12)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세트.
KR1020120144873A 2012-12-12 2012-12-12 충전기 세트 KR101432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873A KR101432744B1 (ko) 2012-12-12 2012-12-12 충전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873A KR101432744B1 (ko) 2012-12-12 2012-12-12 충전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94A KR20140076394A (ko) 2014-06-20
KR101432744B1 true KR101432744B1 (ko) 2014-08-20

Family

ID=5112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873A KR101432744B1 (ko) 2012-12-12 2012-12-12 충전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833B1 (ko) 2015-03-10 2016-06-07 김동호 휴대기기 충전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312Y1 (ko) 2000-10-19 2001-03-15 구재림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JP2002246103A (ja) 2001-02-06 2002-08-30 Jeong In Seo 回転式プラグを有するアダプタ
KR20090009149U (ko) * 2008-03-07 2009-09-10 한경조 멀티 전원 어댑터
KR20120119769A (ko) * 2011-04-22 2012-10-31 김남철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312Y1 (ko) 2000-10-19 2001-03-15 구재림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JP2002246103A (ja) 2001-02-06 2002-08-30 Jeong In Seo 回転式プラグを有するアダプタ
KR20090009149U (ko) * 2008-03-07 2009-09-10 한경조 멀티 전원 어댑터
KR20120119769A (ko) * 2011-04-22 2012-10-31 김남철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833B1 (ko) 2015-03-10 2016-06-07 김동호 휴대기기 충전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94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6683B2 (en) Charge clip
US10277042B2 (en) Multi-functional charger
CN107637094B (zh) 音频设备
US9520729B2 (en) Charging connector of mobile power pack
CN107124021A (zh) 一种车载无线充电装置
KR101521867B1 (ko) 젠더보관홈을 구비한 휴대용 충전기
CN204696742U (zh) 一种绕线收纳方式移动电源
KR101432744B1 (ko) 충전기 세트
US20180175654A1 (en) Portable Speaker Charging Structure
CN107565647B (zh) 便携式移动电源
CN204144987U (zh) 一种便携式感应充电器
CN207021714U (zh) 一种车载无线充电装置
KR101555177B1 (ko) 휴대폰 거치장치
WO2017020325A1 (zh) 手机充电座
CN105790391A (zh) 一种手机无线充电器
CN204258370U (zh) 新型充电宝
CN205141779U (zh) 一种便携式外接无线充电器装置
CN102882088A (zh) 一种多功能电源插接头
KR20140095683A (ko) 정리가 용이한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KR101483780B1 (ko)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CN204577773U (zh) 一种带卷线功能的插座
CN203660219U (zh) 手机转接线
KR101697125B1 (ko) Usb 충전기
GB2524142A (en) A device for housing an electric plug and cable
CN210225000U (zh) 带多口充电的超薄结构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