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769A -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769A
KR20120119769A KR1020110037945A KR20110037945A KR20120119769A KR 20120119769 A KR20120119769 A KR 20120119769A KR 1020110037945 A KR1020110037945 A KR 1020110037945A KR 20110037945 A KR20110037945 A KR 20110037945A KR 20120119769 A KR20120119769 A KR 20120119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bile phone
plug
p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573B1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김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철 filed Critical 김남철
Priority to KR102011003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57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휴대중인 휴대폰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손쉽고 간편하게 휴대폰배터리를 재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300)에 형성된 풀러그잭에 분리 및 결합되는 충전플러그(110)와, 상기 충전플러그(110)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선(120)과, 상기 전원선(120)의 타측단부가 연결된 충전회로부가 내장되어 있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에 힌지(17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140)와, 상기 덮개(140)가 설치되어있는 케이스(130)의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플러그(150)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면에는 충전플러그(110)의 외측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돌기(13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31)에 의해 안착이 충전플러그(110)가 안착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30)의 상부면 일측부에는 덮개(140)에 형성된 결합돌기(141)가 외력에 의해 인출 및 인입되는 걸림홈(132a)을 갖는 지지돌기(13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132)가 상부에 형성된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전원플러그(15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인입되는 인입출홈(134)이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입출홈(134)을 개폐시키면서 케이스(130)의 내외부로 전원플러그(150)가 인입출이 이루어진 상태가 유지하도록 하는 록킹부재(160)가 케이스(130)의 하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A portable handphone charger}
본 발명은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휴대중인 휴대폰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손쉽고 간편하게 휴대폰배터리를 재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원 콘센트(50)에 접속하는 플러그(10)가 일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는 충전기본체(20)와, 상기 충전기본체(20)의 일측에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코드(30)와, 상기 코드(30)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는 잭(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는 충전기본체(20)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는 플러그(10)를 전원 콘센트(50)에 접속하고, 상기 충전기본체(20)의 일측에 일측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코드(30)의 타측단부에 연결된 잭(40)을 휴대폰(60)에 접속시켜, 상기 휴대폰(60)에 결합되어있는 휴대폰배터리가 전원을 공급받으며 충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는 충전기본체(20)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플러그(10)가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휴대폰배터리의 방전 시 바로 충전시켜 휴대폰(60)을 사용하기 위해 충전기본체(20)를 휴대하는 경우 많은 휴대공간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됨은 물론, 상기 충전기본체(20) 일측에 일측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코드(30)에 상호 꼬임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휴대중인 휴대용 충전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호 꼬여있는 코드(30)를 풀어준 후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휴대폰에 결합된 상태로 손쉽게 휴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중인 휴대폰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손쉽고 간편하게 휴대폰배터리를 재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는 휴대폰(300)에 형성된 풀러그잭에 분리 및 결합되는 충전플러그(110)와, 상기 충전플러그(110)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선(120)과, 상기 전원선(120)의 타측단부가 연결된 충전회로부가 내장되어 있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에 힌지(17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140)와, 상기 덮개(140)가 설치되어있는 케이스(130)의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플러그(150)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면에는 충전플러그(110)의 외측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돌기(13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31)에 의해 충전플러그(110)가 안착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30)의 상부면 일측부에는 덮개(140)에 형성된 결합돌기(141)가 외력에 의해 인출 및 인입되는 걸림홈(132a)을 갖는 지지돌기(13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132)가 상부에 형성된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전원플러그(15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인입되는 인입출홈(134)이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입출홈(134)을 개폐시키면서 케이스(130)의 내외부로 전원플러그(150)가 인입출이 이루어진 상태가 유지하도록 하는 록킹부재(160)가 케이스(130)의 하부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부재(160)는 케이스(130)의 하부 중앙에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164)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전원플러그(150)가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인입출공(16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입출공(161)에 연통되어 전원플러그(150)에 록킹력을 제공하는 가이드공(16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62)이 연통되게 인입출공(161)이 형성되어있는 좌우 양측 외측부에는 각각 손잡이(16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록킹부재(160)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전원플러그(150)를 케이스(130)의 내부로 인입시켜 보관하거나 상기 케이스(130)의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에는 전원선(120)이 엉키지 않도록 감기어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감김부(133)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선(120)이 엉키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100)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덮개(140)의 상부면에는 연결고리(180)를 결합시켜, 상기 덮개(140)가 결합되어있는 케이스(130)를 가방이나 휴대폰에 결합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는 충전플러그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를 휴대 시에도 많은 휴대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선이 꼬이지 않은 상태로 휴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휴대폰배터리의 방전시 바로 충전시켜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 휴대폰 충전기를 휴대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충전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의 케이스에 전원플러그가 인입된 상태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의 케이스 외부로 전원플러그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의 요부를 절개한 일부절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의 케이스에 전원플러그가 인입된 상태를 보인 저면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의 케이스 외부로 전원플러그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저면사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의 요부를 절개한 일부절개도 이다.
본 발명인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는 도 2와 도 3 및 도 4와 도 5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휴대폰(300)에 형성된 풀러그잭(미도시)에 분리 및 결합되는 충전플러그(110)와, 상기 충전플러그(110)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충전회로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선(120)과, 상기 전원선(120)의 타측단부가 연결된 충전회로부가 내장되어 있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에 힌지(17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140)와, 상기 덮개(140)가 설치되어있는 케이스(130)의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플러그(15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면에는 충전플러그(110)의 외측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돌기(13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31)에 의해 안착이 충전플러그(110)가 안착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30)의 상부면 일측부에는 덮개(140)에 형성된 결합돌기(141)가 외력에 의해 인출 및 인입되는 걸림홈(132a)을 갖는 지지돌기(13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132)가 상부에 형성된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전원플러그(15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인입되는 인입출홈(134)이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인입출홈(134)을 개폐시키면서 케이스(130)의 내외부로 전원플러그(150)가 인입출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록킹부재(160)가 케이스(130)의 하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160)는 케이스(130)의 하부 중앙에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164)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전원플러그(150)가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인입출공(16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입출공(161)에 연통되게 전원플러그(150)에 록킹력을 제공하는 가이드공(16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62)이 연통되게 인입출공(161)이 형성되어있는 좌우 양측 외측부에는 각각 손잡이(16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록킹부재(160)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전원플러그(150)를 케이스(130)의 내부로 인입시켜 보관하거나 상기 케이스(130)의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에는 전원선(120)이 엉키지 않도록 감기어져 보관될수 있도록 하는 감김부(133)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선이 엉키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140)의 상부면에는 연결고리(180)를 결합시켜, 상기 덮개(140)가 결합되어있는 케이스(130)를 가방이나 휴대폰(300)에 결합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덮개(140)의 상부면에 결합된 연결고리(180)를 가방이나 휴대폰(300) 및 열쇠에 결합시켜 휴대 중 휴대중인 휴대폰(300)의 휴대폰배터리가 방전되어 충전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하고 바와 같이 덮개(140)의 결합돌기(141)에 외력을 가해주게 되면 지지돌기(132)의 걸림홈(132a)으로부터 결합돌기(141)가 인출되면서 구속력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덮개(140)의 구속력을 해제시킨 후에는 힌지(170)를 중심으로 덮개(140)를 회전시키면 충전플러그(110)가 고정돌기(131)에 의해 안착되어 있는 케이스(130)의 상부가 개방된다.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를 개방시킨 후에는 충전플러그(1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케이스(130)의 감김부(133)에 감겨져 있는 전원선(120)을 풀면서 휴대폰(300)에 접속시킨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300)에 충전플러그(110)를 접속시킨 후에는 록킹부재(160)의 손잡이(163)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부재(160)는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케이스(130)의 내부에 형성된 인입출홈(134)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인입출홈(134)에 내삽되어있던 전원플러그(150)가 케이스(130)의 하부로 인출되도록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플러그(150)가 인출된 후에는 계속해서 손잡이(163)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록킹부재(160)에 외력을 가해주게 되면, 상기 인입출공(161)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공(162)이 전원플러그(150)의 상부에 끼이면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구속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공(162)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전원플러그(150)를 구속시킨 후에는 전원콘센트(200)에 접속시킨다.
이로인해 휴대중인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원플러그(150)를 케이스(130)의 외부로 인출시켜 휴대중인 휴대폰배터리를 충진시킨 후에는 전원플러그(150)를 전원콘센트(200)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전원콘센트(200)와 분리시킨 후에는 전원플러그(150)의 구속력이 해제되도록 록킹부재(160)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은상태에서 타측방향으로 회전 시킨다.
이때, 상기 록킹부재(160)는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케이스(130)의 내부에 형성된 인입출홈(134)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입출홈(134)과 인입출공(161)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회전시킨 후에는 전원플러그(150)를 인입출홈(134)으로 내부로 인입시킨 후 상기 인입출홈(134)의 하부가 폐쇄되도록 록킹부재(160)를 타측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전원플러그(150)가 케이스(13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플러그(150)를 케이스(130)의 내부에 인입시킨 후에는 충전플러그(110)를 휴대폰(300)과 분리시킨다.
상기 휴대폰(300)과 분리된 충전플러그(110)를 케이스(130)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31)에 외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안착시킨 후에는 덮개(140)를 결합돌기(141)가 지지돌기(132)의 걸림홈(132a)에 걸리도록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충전플러그(11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덮개(140)를 케이스(13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전원선(120)은 케이스(130)에 형성된 감김부(133)에 순차적으로 감긴 상태에서 충전플러그(110)가 케이스(13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30)에 덮개(140)를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덮개(14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고리(180)를 가방이나 휴대폰(300)에 결합시켜 휴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휴대폰 충전기를 휴대시에도 별도의 휴대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됨은 물론, 휴대폰배터리를 충전시에도 편리하게 충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핸드폰 충전기 110 : 충전플러그
120 : 전원선 130 : 케이스
131 : 고정돌기 132 : 지지돌기
132a: 걸림홈 133 : 감김부
132 : 인입출홈 140 : 덮개
141 : 결합돌기 150 : 전원플러그
160 : 록킹부재 161 : 인입출공
162 : 가이드공 163 : 손잡이
164 : 결합공 170 : 힌지
180 : 연결고리 300 : 휴대폰

Claims (4)

  1. 휴대폰(300)에 형성된 풀러그잭에 분리 및 결합되는 충전플러그(110)와, 상기 충전플러그(110)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선(120)과, 상기 전원선(120)의 타측단부가 연결된 충전회로부가 내장되어 있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에 힌지(17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140)와, 상기 덮개(140)가 설치되어있는 케이스(130)의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플러그(150)로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면에는 충전플러그(110)의 외측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돌기(13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31)에 의해 충전플러그(110)가 안착이 이루어지는 케이스(130)의 상부면 일측부에는 덮개(140)에 형성된 결합돌기(141)가 외력에 의해 인출 및 인입되는 걸림홈(132a)을 갖는 지지돌기(13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132)가 상부에 형성된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전원플러그(15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인입되는 인입출홈(134)이 하부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입출홈(134)을 개폐시키면서 케이스(130)의 내외부로 전원플러그(150)가 인입출이 이루어진 상태가 유지하도록 하는 록킹부재(160)가 케이스(130)의 하부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60)는 케이스(130)의 하부 중앙에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164)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전원플러그(150)가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인입출공(16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입출공(161)에 연통되게 전원플러그(150)에 록킹력을 제공하는 가이드공(16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62)이 연통되게 인입출공(161)이 형성되어있는 좌우 양측 외측부에는 각각 손잡이(163)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30)의 상부에는 전원선(120)이 엉키지 않도록 감기어져 보관될수 있도록 하는 감김부(1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140)의 상부면에는 연결고리(18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KR1020110037945A 2011-04-22 2011-04-22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KR101247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945A KR101247573B1 (ko) 2011-04-22 2011-04-22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945A KR101247573B1 (ko) 2011-04-22 2011-04-22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769A true KR20120119769A (ko) 2012-10-31
KR101247573B1 KR101247573B1 (ko) 2013-03-26

Family

ID=4728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945A KR101247573B1 (ko) 2011-04-22 2011-04-22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44B1 (ko) * 2012-12-12 2014-08-20 박지현 충전기 세트
KR200475275Y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충전기
KR20160018038A (ko) 2014-08-07 2016-02-17 한승관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013A (ko) * 2005-09-14 2007-03-19 주식회사 팬택 충전기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14606Y1 (ko) 2006-01-20 200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기
KR20100005689U (ko) * 2008-11-26 2010-06-04 신승회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44B1 (ko) * 2012-12-12 2014-08-20 박지현 충전기 세트
KR200475275Y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충전기
KR20160018038A (ko) 2014-08-07 2016-02-17 한승관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573B1 (ko)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3146A (en) Battery charging unit incorporated in a power cord reel housing
JP2019068552A (ja) 可搬型充電給電装置
US8802991B1 (en) Travel power adapter
TWM471087U (zh) 捲線器行動電源
CN204130835U (zh) 一种多功能插座
KR101163705B1 (ko)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KR200476233Y1 (ko) 휴대폰 케이스
CN210517843U (zh) 一种可折叠式袖珍充电器
KR101247573B1 (ko)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KR101794164B1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US20160365742A1 (en) Portable back-up battery pack
JP3128013U (ja) 充電器
KR20180072608A (ko) 릴타입 케이블 보조배터리 케이스
JP3093370U (ja) 携帯用充電装置
CN210246368U (zh) 一种手臂佩戴或腿上捆扎的便携式手机充电装置
KR200207411Y1 (ko) 이동 전화기용 밧데리 충전장치
JP3166091U (ja) 充電器
KR20060105063A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
CN109378880A (zh) 一种带开关快速充电电源
KR1018303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구조체
KR20150110061A (ko) 휴대전화 다이어리 케이스 체결부에 설치되는 유에스비 메모리
CN216794670U (zh) 一种便于对充电线体进行收纳的移动电源
CN217522607U (zh) 一种多功能充电宝
CN211046539U (zh) 可伸缩手机充电器
CN210074834U (zh) 一种便携式旅行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