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149U - 멀티 전원 어댑터 - Google Patents

멀티 전원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149U
KR20090009149U KR2020090001643U KR20090001643U KR20090009149U KR 20090009149 U KR20090009149 U KR 20090009149U KR 2020090001643 U KR2020090001643 U KR 2020090001643U KR 20090001643 U KR20090001643 U KR 20090001643U KR 20090009149 U KR20090009149 U KR 200900091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rd
spool
electronic devic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975Y1 (ko
Inventor
한경조
Original Assignee
한경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조 filed Critical 한경조
Priority to KR2020090001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97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1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9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 전원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1)에 끼워져 전원이 인가되는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켜주는 트랜스(20)와, 상기 트랜스(20)에서 변환된 전압이 출력되는 코드(30)와, 상기 코드(30)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40)를 포함하는 전원 어댑터에 있어서, 일측에 플러그(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트랜스(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150)가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지지축(112)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지지축(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코드(30)를 감아 권선하도록 회전력을 갖는 스풀(120)과, 상기 스풀(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몸체(110)에 설치된 스토퍼(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 어댑터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필요한 길이 만큼 코드(30)를 몸체(110)로부터 인출시키거나 인입시켜 정리할 수 있고 다수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와 전원 어댑터의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어댑터, 충전, 커넥터, 트랜스, 스풀, 코드정리

Description

멀티 전원 어댑터{Multi Power Adaptor}
본 고안은 멀티 전원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각종 전자기기와 연결되고 전원을 공급 또는 충전시킬 때 권선된 코드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 전자기기와의 접속을 편리하게 하고, 필요에 따라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는 전원 스위치가 설치된 멀티 전원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AC/DC 전원 어댑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AC/DC 전원 어댑터는 교류/직류 변환 및 변압 회로가 내장된 본체에 전원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콘센트를 통해 입력된 고전압의 교류 전원을 적정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전자기기로 공급한다.
특히, 휴대형 기기 예를 들면, 노트북, 이동무선전화기, PMP, MP3 플레이어 등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주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형 기기는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한 레벨 이하로 방전되면 외부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어댑터(power adapter)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하지 않으면 배터리로 휴대형 기기를 작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일정 한 주기로 충전해야만 한다.
이러한 전원 어댑터는, 전원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켜주는 트랜스(trans)와 상기 트랜스에서 변환된 전원을 전자기기에 설치된 배터리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 어댑터는, 트랜스와 커넥터를 연결하는 부분이 절연처리가 되어 있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코드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코드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트랜스와 커넥터를 연결하게 된다.
한편, 전자기기에 설치된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전자기기와 최종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는 각각의 전자기기의 전원 연결방식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고 전자기기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는 예를 들어, 휴대폰의 경우 충전단자가 20핀 또는 24핀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의 형상을 갖거나 또는 노트북, PMP의 경우 원기둥 형상을 갖는 충전단자가 형성된 커넥터에 의해 전원 어댑터가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배터리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 어댑터는, 트랜스와 커넥터를 연결하는 코드가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콘센트에 전원 어댑터의 플러그를 꼽고 커넥터와 전자기기를 연결하게 될 때 코드가 길게 늘어져 거추장스러워 콘센트 주위를 어지럽게 한다.
또한, 전자기기마다 서로 다른 형상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전자기기마다 서로 다른 커넥터와 출력 전압을 갖는 전원 어댑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즉,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그에 맞는 전원 어댑터가 제품 구매 시 함께 제공되는데, 만약 전원 어댑터를 분실하게 되는 경우 다른 전자기기의 전원 어댑터와 호환되지 않으므로써 전원 어댑터를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 전압으로 변화시키는 트랜스와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코드를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켜 정리할 수 있어 전자기기와 전원 어댑터의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멀티 전원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가 마련되고 플러그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전원 어댑터를 통합 또는 호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전원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1)에 끼워져 전원이 인가되는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켜주는 트랜스(20)와, 상기 트랜스(20)에서 변환된 전압이 출력되는 코드(30)와, 상기 코드(30)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40)를 포함하는 전원 어댑터에 있어서,
일측에 플러그(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트랜스(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150)가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지지축(112)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지지축(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커넥터(40)와 연결되는 코드(30)를 감아 권선하도록 회전력을 갖는 스풀(120)과,
상기 스풀(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몸체(110)에 설치된 스토퍼(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 어댑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스풀(120)의 외경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마찰패드(142)와, 상기 마찰패드(142)를 스풀(120)의 외경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마찰패드(142)와 일단이 힌지 결합된 지렛대(144)와, 상기 지렛대(144)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고 일부가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노출된 누름버튼(146)과, 상기 지렛대(144)와 몸체(110)의 내측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패드(142)측의 지렛대(144)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4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풀(120)에 회전 탄성력을 발휘하여 코드(30)를 감아 권선하도록 상기 스풀(120)과 지지축(112)에 각각 일단(132)과 타단(134)이 고정되는 스파이얼 스프링(1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드(30)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해당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형상을 갖는 커넥터로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코드(30)의 끝단에 잭(160)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전자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트랜스(2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가변 스위치(170)가 몸체(110)에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플로그(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각각의 해당 전자기기에 맞 는 출력으로 변환시켜주는 트랜스가 각각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각각의 트랜스에서 변환된 전압이 출력되는 코드(30a)(30b)(30c)가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해당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형상을 갖는 커넥터(40a)(40b)(40c)와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코드(30a)(30b)(30c)를 감아 권선하도록 회전력을 갖는 스풀(120a)(120b)(120c)이 지지축(11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풀(120a)(120b)(120c)의 회전을 각각 정지시키도록 몸체(110)에 설치된 스토퍼(140a)(140b)(140c)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전원 어댑터는, 몸체에 설치된 스풀에 권선된 코드를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켜 정리할 수 있어 전자기기와의 전원 어댑터의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전자기기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호환 되거나 몸체에 통합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다양한 형상의 커넥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100)는, 대략 중공된 원통의 형상을 갖는 몸체(110)의 일측에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끼워져 전원이 인가되는 플러그(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켜주는 트랜스(20)가 몸체(110) 내부에 설치되고, 몸체(110)의 타측으로는 트랜스(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내부 일측에는 중공된 지지축(112)이 타측을 향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축(112)에는 트랜스(20)에서 변환된 전압이 출력되는 코드(30)를 권선하는 스풀(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스풀(120)은 대략 원통의 형상을 갖고 그 중심에는 지지축(112)에 관통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고, 외경으로는 코드(30)가 권선될 때 상기 코드(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외경을 따라 함몰된 수납부(12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풀(120)은, 코드(30)의 수납부(128)와 같은 권선 공간을 구비하여 몸체(110)에 형성된 지지축(112)을 중심으로 스풀(120)이 회전함에 따라 코드(30)를 감거나 풀기 때문에 코드(30)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스풀(120)은 코드(30)를 감아 권선하도록 회전력을 갖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지지축(112)과 스풀(120) 사이에는 회전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파이얼 스프링(130)이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스풀(120)의 일측면에는 지지축(112)의 둘레를 감싸는 휠(124)이 스풀(120)의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휠(120)의 내경과 지지축(112)의 외경 사이에 스파이얼 스프링(130)이 위치된다.
상기 스파이얼 스프링(130)은 얇은 띠모양의 금속판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긴 것으로, 상기 스파이얼 스프링(130)의 외측으로 감긴 일단(132)이 휠(124)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홈(126)에 고정되고, 스파이얼 스프링(130)의 내측으로 감긴 타단(134)이 지지축(112)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축(112)과 스풀(120) 사이에 설치된 스파이얼 스프링(130)에서 발휘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풀(120)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려는 회전 모멘트를 갖게 되어 스풀(120)에 코드(30)를 자동으로 권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풀(120)과 지지축(112) 사이에 설치된 스파이얼 스프링(130)이 휠(124)의 내경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트랜스(20)와 스풀(120)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트랜스(20)와 스풀(120) 사이에는 지지축(112)으로부터 연장되는 격벽(1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격벽(114)은 스파이얼 스프링(130)을 휠(124)의 내경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휠(124)의 측면과 가깝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격벽(114)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114)은 트랜스(2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장을 차단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진 스파이얼 스프링(130)과 기타 다른 부분이 자화되거나 트랜스(20)에서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된 전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자기장 차폐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이와 동등한 물질이 격벽(114)에 도포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트랜스(20)를 에워 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축(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풀(120)에 권선된 코드(30)는 그 끝단이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인출홀(116)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홀(116)을 통해 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코드(30)는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40)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110)의 타단에는 커버(118)가 결합된다.
상기 몸체(110)의 타단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커버(118)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와 커버(118)가 나사산 체결된다. 이때, 상기 커버(118)에는 앞서 설명한 트랜스(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5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풀(120)에 권선된 코드(30)를 필요한 길이 만큼 인출시킨 후에 스풀(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몸체(110)에 스토퍼(14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140)는, 스파이얼 스프링(130)에 의해 코드(30)를 감으려고 하는 스풀의 회전을 마찰력에 의해 정지시킨다.
이러한 스토퍼(140)는 스풀(120)의 외경 일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갖는 마찰패드(142)와, 상기 마찰패드(142)를 스풀(120)의 외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렛대(144)와, 상기 지렛대(144)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146)과, 상기 누름버튼(146)에 의해 작동된 지렛대(144)를 원래의 상태로 위치시키는 코일 스프링(148)으로 이 루어진다.
상기 마찰패드(142)는, 고무와 같은 마찰계수가 비교적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형상이 스풀(120)의 외경 일부와 부합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패드(142)는 스풀(120)에 형성된 휠(124)의 외경 일부와 부합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휠(124)의 외경과 마찰패드(142)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146)은 대략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누름버튼(146)과 마찰패드(142)는 지렛대(144)의 타단과 일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렛대(144)는 몸체(110)와 힌지핀(145)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지렛대(144)는 누름버튼(146)과 마찰패드(142)를 상대 운동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누름버튼(146)이 가압되면 상기 누름버튼(146)과 힌지 결합된 지렛대(144)의 타단이 누름버튼(146)의 가압방향으로 이동하고, 힌지핀(145)을 중심으로 지렛대(144)의 일단은 이와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힌지 결합된 마찰패드(142)를 휠(124)의 외경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지렛대(144)와 몸체(110)의 내측 벽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148)이 설치되어 상기 마찰패드(142)측의 지렛대(144)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48)이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146)에 의해 작동된 지렛대(144)를 원래의 상태로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플러그(10)에서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40)까지의 전기적 연결은 당업자라면 다연하게 실시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플러그(10)를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1)에 끼워 전원을 인가시키면 트랜스(20)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키고, 이를 스풀(120)에 권선된 코드(30)를 통해 전자기기와 접속된 커넥터(40)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150)를 통해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을 연결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이렇게, 콘센트(1)에서 인가된 전원을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멀티 전원 어댑터(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커넥터(40)에 해당 전자기기를 접속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는 커넥터(40)를 전자기기에 연결시키기 위한 필요한 길이 만큼 코드(30)를 잡아 당겨 몸체(110)로부터 코드(30)를 인출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코드(30)를 잡아 당김에 따라 코드(30)를 권선한 스풀(12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풀(120)의 회전 방향은 스파이얼 스프링(130)에 의해 스풀(120)에 코드(30)를 감기위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필요 한 길이 만큼 인출된 코드(30)와 연결된 커넥터(40)를 해당 전자기기에 접속시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충전이 끝난 전자기기를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1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커넥터(40)와 전자기기의 접속을 해제시킨 뒤 몸체(110)에 설치된 누름버튼(146)을 가압하여 인출되었던 코드(30)를 몸체(110)에 인입시키게 된다.
즉,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해 필요한 길이 만큼 인출시켰던 코드(30)를 스풀(120)에 감아 정리하기 위해 몸체(110)의 측면에 돌출된 누름버튼(146)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146)과 연결된 지렛대(144)가 작동하여 스풀(120)의 휠(124)에 밀착되었던 마찰패드(142)를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스파이얼 스프링(130)이 스풀(120)을 코드(3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드(30)를 감아 권선하게 되어 인출되었던 코드(30)를 몸체(110)에 인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압하고 있던 누름버튼(146)에서 손을 때면, 지렛대(144)와 몸체(110)의 내측 벽면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48)이 지렛대(144)를 원래의 상태로 위치시켜 이격되었던 마찰패드(142)를 휠(124)의 외경에 밀착시켜 스파이얼 스프링(130)에 의한 스풀(12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100)는 필요한 길이 만큼 코드(30)를 몸체(110)로부터 인출시키거나 인입시켜 정리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와 전원 어댑터의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는 다양한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로써, 각종 전자기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커넥터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코드(30)를 스풀(120)에 권선하여 필요에 따라 코드(30)를 몸체(11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100)는 각종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갖는다.
부연하자면,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는 플러그(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켜주는 트랜스(2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가변 스위치(170)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인출된 코드(30)의 끝단에 잭(160)이 설치되고, 상기 잭(160)에는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해당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40a)(40b)(40c)가 연결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인출홀(116)을 통해 몸체(110)의 외부로 인출된 코드(30)의 끝단에는 플러그형 잭(160)이 설치되고, 해당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40a)(40b)(40c)에는 상기 코드(30)에 형성된 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소켓형 잭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코드(30)와 커넥터(40a)(40b)(40c)가 잭(160)에 의해 연결되면 해당 전자기기에 접속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커넥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어, 액정모니터와 같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는 40a와 같은 형상이 대부분이고, 휴대폰과 접속되는 커넥터는 40b와 같은 형상이 대부분이다. 또한, 게임기와 접속되는 커넥터는 40c와 같은 형상이 대분이다.
따라서,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해당 전자기기에 맞추어 커넥터를 교체하여 몸체(110)로부터 인출된 코드(30)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커넥터(40a)(40b)(40c)가 코드(30)에 연결되면, 몸체(110)에 설치된 가변 스위치(170)를 조절하여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변 스위치(17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각 구간마다 상이한 출력값을 갖고 상기 구간을 레버가 이동하여 출력을 조절하도록 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이얼과 같은 회전식의 가변 스위치가 몸체(110)에 설치되어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는 다수의 전자기기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종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가 몸체에 통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각종 전자기기에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가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종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커넥 터(40a)(40b)(40c)가 각각의 코드(30a)(30b)(30c)와 연결되고, 상기 코드(30a)(30b)(30c)는 몸체(110)에 설치된 각각의 스풀(120a)(120b)(120c)에 권선된다.
이렇게, 각각의 스풀(120a)(120b)(120c)에 권선된 코드(30a)(30b)(30c)는 몸체(110) 내에 설치된 각각의 트랜스(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스풀(120a)(120b)(130c)은 몸체(110)에 설치된 각각의 스토퍼(140a)(140b)(140c)에 의해 회전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당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40a)(40b)(40c)와 상기 커넥터(40a)(40b)(40c)에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 전압을 변환시켜 공급하는 트랜스와 코드(30a)(30b)(30c) 및 상기 코드를 권선한 각각의 스풀(120a)(120b)(120c)이 몸체(110)에 설치됨으로써, 동시에 다양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한 커넥터(40a)(40b)(40c)와 연결된 코드(30a)(30b)(30c)를 몸체(110)에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커넥터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몸체(110)로부터 코드(30a)(30b)(30c)를 인출시키거나 또는 인입시켜 정리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와 전원 어댑터의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트랜스(20)와 코드(30)를 권선하는 스풀(120)이 설치되는 몸체(110)를 앞선 설명에서는 중공된 원통의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부연하자면, 상기 몸체(110)의 형상은 소비자의 호감을 얻을 수 있도록 미적 디자인이 반영되거나 사용자의 편리성을 강조한 인체 공학적 디자인 내지 안전성을 고려한 기계/전기 역학적인 디자인 구조를 갖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로써, 각종 전자기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커넥터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전원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각종 전자기기에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가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 어댑터 110 : 몸체
112 : 지지축 114 : 격벽
116 : 인출홀 120 : 스풀
122 : 관통홀 124 : 휠
126 : 고정홈 130 : 스파이얼 스프링
140 : 스토퍼 142 : 마찰패드
144 : 지렛대 146 : 누름버튼
148 : 코일 스프링 150 : 전원 스위치
160 : 잭 170 : 가변 스위치

Claims (6)

  1.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1)에 끼워져 전원이 인가되는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켜주는 트랜스(20)와, 상기 트랜스(20)에서 변환된 전압이 출력되는 코드(30)와, 상기 코드(30)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40)를 포함하는 전원 어댑터에 있어서,
    일측에 플러그(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트랜스(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150)가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지지축(112)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지지축(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코드(30)를 감아 권선하도록 회전력을 갖는 스풀(120)과,
    상기 스풀(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몸체(110)에 설치된 스토퍼(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 어댑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스풀(120)의 외경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마찰패드(142)와,
    상기 마찰패드(142)를 스풀(120)의 외경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마찰패드(142)와 일단이 힌지 결합된 지렛대(144)와,
    상기 지렛대(144)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고 일부가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 하여 노출된 누름버튼(146)과,
    상기 지렛대(144)와 몸체(110)의 내측 벽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패드(142)측의 지렛대(144)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 어댑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풀(120)에 회전 탄성력을 발휘하여 코드(30)를 감아 권선하도록 상기 스풀(120)과 지지축(112)에 각각 일단(132)과 타단(134)이 고정되는 스파이얼 스프링(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 어댑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코드(30)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해당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형상을 갖는 커넥터로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코드(30)의 끝단에 잭(160)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 어댑터.
  5. 청구항 1 에 있어서,
    해당 전자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트랜스(2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가변 스위치(170)가 몸체(110)에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 어댑터.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플로그(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각각의 해당 전자기기에 맞는 출력으로 변환시켜주는 트랜스가 각각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각각의 트랜스에서 변환된 전압이 출력되는 코드(30a)(30b)(30c)가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해당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형상을 갖는 커넥터(40a)(40b)(40c)와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코드(30a)(30b)(30c)를 감아 권선하도록 회전력을 갖는 스풀(120a)(120b)(120c)이 지지축(11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풀(120a)(120b)(120c)의 회전을 각각 정지시키도록 몸체(110)에 설치된 스토퍼(140a)(140b)(14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전원 어댑터.
KR2020090001643U 2008-03-07 2009-02-13 멀티 전원 어댑터 KR200451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43U KR200451975Y1 (ko) 2008-03-07 2009-02-13 멀티 전원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011 2008-03-07
KR2020090001643U KR200451975Y1 (ko) 2008-03-07 2009-02-13 멀티 전원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149U true KR20090009149U (ko) 2009-09-10
KR200451975Y1 KR200451975Y1 (ko) 2011-01-27

Family

ID=4129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643U KR200451975Y1 (ko) 2008-03-07 2009-02-13 멀티 전원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9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44B1 (ko) * 2012-12-12 2014-08-20 박지현 충전기 세트
KR200475275Y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009B1 (ko) * 2016-04-11 2016-11-28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유에스비 멀티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95A (ko) * 1999-10-20 2000-02-07 박인오 휴대폰 충전기용 과충전 방지장치
KR100536754B1 (ko) * 2003-04-25 2005-12-20 김선배 조립식 분전반
KR200343839Y1 (ko) * 2003-11-29 2004-03-06 한지숙 가정 및 차량 겸용 이동기기 충전기
US7273384B1 (en) * 2006-04-11 2007-09-25 Modern Sense Limited Universal battery charger and/or power adap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44B1 (ko) * 2012-12-12 2014-08-20 박지현 충전기 세트
KR200475275Y1 (ko) *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975Y1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294B2 (en) Adapter with manually retractable cable assembly and electrical plug assembly
US6402546B1 (en) Adapter with retractable cable assembly and electrical plug assembly
EP2413437B1 (en) Rotatable plug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uch rotatable plug
US20190140463A1 (en) Mechanism for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a Retractable Cord Reel
US11804702B2 (en) Cable-winding charger
US7109594B2 (en) Cord reel box with recharging unit
US7909281B2 (en) Wire-winding device having a circuit unit
CN105874669B (zh) 对电子设备充电的可收回线缆卷盘
KR20190094411A (ko) 플렉서블 디바이스
US20120320546A1 (en) Single-Pull Multi-Function Device for Conveying Signal and/or Supplying Power
KR200451975Y1 (ko) 멀티 전원 어댑터
US20030045163A1 (en) Power supply apparatus with power cord securing device
US20060046576A1 (en) Universal charging apparatus
US8215974B2 (en) Power plug and power plug assembly
KR102322638B1 (ko) 모바일 멀티 연결 디바이스
KR101063416B1 (ko) 슬립링 장치
CN209072104U (zh) 无线充电设备
CN208461486U (zh) 背夹电池
KR20200002373U (ko) 전자기기용 충전기
KR200247944Y1 (ko) 어댑터의 전원선 권선장치
CN218472476U (zh) 一种插线板
KR200285301Y1 (ko) 연장선이 부착된 벽 고정용 콘센트
KR200284465Y1 (ko) 릴형 케이블 콘센트
CN206236001U (zh) 笔记本电脑的电源适配器
CN200941190Y (zh) 具有卷线器的无线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