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312Y1 -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312Y1
KR200217312Y1 KR2020000029183U KR20000029183U KR200217312Y1 KR 200217312 Y1 KR200217312 Y1 KR 200217312Y1 KR 2020000029183 U KR2020000029183 U KR 2020000029183U KR 20000029183 U KR20000029183 U KR 20000029183U KR 200217312 Y1 KR200217312 Y1 KR 200217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adapter
phone charger
support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재림
Original Assignee
구재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재림 filed Critical 구재림
Priority to KR2020000029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312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 충전부 및 어댑터로 구성된 휴대폰충전기로서, 본체에서 어댑터의 수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소형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소형 휴대용 휴대폰충전기는 어댑터 표면상에 돌출형성되어 양측 끝단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플러그로부터 인출된 도선이 어댑터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지지대를 구비하고, 이 지지대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플러그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대의 장착홈에 끼워지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내측 양쪽면에 상기 지지대의 장착홈에 회동가능하게 걸림장착되도록 회전축이 상호 대응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재의 일측 양단에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축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양단에는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의 관통구에 삽입걸림되도록 양측 끝단이 걸림구조로 된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소형 핸드폰 충전기는 종래의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와는 달리 플러그가 어댑터 표면에 중첩 수납되는 구조로 되어, 어댑터 면에 플러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종래의 휴대폰충전기에 비해 그 크기를 훨씬 줄일 수 있어 휴대하기에 더욱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THE PORTABLE COMPACT RECHARGER FOR MOBI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충전기 본체에서 어댑터의 수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휴대폰충전기는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 전기코드에 의해 인출된 플러그부로 구성되어 있으나, 휴대용 휴대폰충전기는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하기 위해 본체에서 어댑터를 수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의 조립상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의 사용전 상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의 사용시 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휴대폰충전기(1)는 본체(10)와, 충전을 위해 휴대폰단말기 및 배터리를 장착가능하도록 복수의 포켓(도시않됨)이 형성된 충전부(20)와, 그리고 전원콘센트(도시않됨)와 충전부(20)를 연결하여 휴대폰충전기(1)에 적정용량의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어댑터(30)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일면에 어댑터를 수납가능하도록 어댑터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11)가 구비되어 있고, 본체(10)와 충전부(20) 사이에는 힌지구조의 연결부재(도시않됨)로 연결되어 있어 충전기(1)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다.
어댑터(30)는 몸체(31)와 플러그(32)로 구성되는데, 몸체(31)의 일면에는 플러그(32)를 수납가능하도록 플러그(32)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의 수납홈(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홈(31a)의 일 끝단에는 힌지구조의 연결부재(32a)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플러그(32)가 구비되어 수납홈(31a) 내에 수납된다. 상기 어댑터 몸체(31)의 일측 단부에는 플러그(32)로부터 인출된 도선(33)이 연장 관통하여 인출되도록 인출구(31b)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선(33)은 이 인출구(31b)를 통해 인출되어 상기 충전기 본체(10)의 수납부(11) 일측에 형성된 도선통로(도시생략)를 통해 충전부(20)에 연결된다.
충전기 본체(10)의 일 끝단에는 상기 어댑터와 충전부(20) 사이에 연결된 도선(33)을 수납하기 위한 도선감개(1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납부(11)에 어댑터를 수납할 경우 상기 도선(33)을 감아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곡된 충전기(1)는 충전부(20)가 받침대 기능을 하므로 테이블이나 바닥에 세워질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휴대폰단말기나 배터리를 충전부(20)의 해당 포켓(도시않됨)에 장착한 후, 충전기 본체(10)의 일면에 위치된 수납부(11)로부터 어댑터를 탈거하고, 어댑터의 수납홈(31a)으로부터 플러그(32)를 회동시켜 세운 후 전원콘센트(도시않됨)에 꽂으면 비로소 충전이 시작된다.
또한, 상기 휴대폰충전기(1)의 다른 충전방법으로, 충전기(1)를 절곡시킨 후 휴대폰단말기나 배터리를 충전부(20)의 해당 포켓(도시않됨)에 장착하고, 충전기 본체(10)의 수납부(11)에 어댑터(30)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의 수납홈(31a)에 수납된 플러그(32)를 회동시켜 일으켜 세운 후, 그대로 전원콘센트(도시않됨)에 꽂으면 충전이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휴대폰충전기(1)의 구조에서는 플러그(32)가 어댑터의 수납홈(31a)에 수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어댑터에서 수납홈(31a)이 형성된 공간은 모두 플러그(32)에 의해 차지되었기 때문에, 어댑터는 회로기판을 내장할 추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
어댑터의 크기가 커지면 휴대폰충전기 본체(10)의 수납부(11)는 어댑터를 수용하기 위해 그 크기가 커져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휴대폰충전기(1)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소형화하는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의 조립상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의 사용전 상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의 사용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플러그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의 조립상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의 사용전 상태도
도 9는 도 7에 따른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의 사용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충전기 110 : 본체
111 : 수납부 112 : 도선감개
120 : 충전부 130 : 어댑터
131 : 몸체 131a : 지지대
131a′: 관통구 131a″: 장착홈
131b : 인출구 131c : 고정돌기
132 : 플러그 132a : 오목부
132b : 회전축 132c,132d : 고정홈
133 : 도선 134 : 힌지부재
134a : 걸림홈 134b : 걸림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 충전부 및 어댑터로 구성된 휴대폰충전기에 있어서, 어댑터 표면상에 돌출형성되어 양측 끝단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플러그로부터 인출된 도선이 어댑터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지지대를 구비하고, 이 지지대에 플러그가 회동가능하게 힌지부재로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대의 장착홈에 끼워지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내측 양쪽면에 상기 지지대의 장착홈에 회동가능하게 걸림장착되도록 회전축이 상호 대응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의 몸체상에는 지지대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플러그의 일측 양단면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타측 양단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의 일측 양단에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축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양단에는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의 관통구에 삽입걸림되도록 양측 끝단이 걸림구조로 된 걸림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플러그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의 조립상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의 사용전 상태도, 도 9는 도 7에 따른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의 사용시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100)는 예컨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110)와, 충전을 위해 휴대폰단말기 및 배터리를 장착가능하도록 다수의 포켓이 형성된 충전부(120)와, 그리고 전원과 충전부(120)를 연결하여 휴대폰충전기(100)에 적정용량의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매개체인 어댑터(1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충전기 본체(110)는 일면에 어댑터(130)를 수납가능하도록 어댑터(130)의 외형과 일치하는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수납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10)와 충전부(120) 사이에는 힌지구조의 연결부재(도시않됨)로 연결되어 있어 충전기(100)를 소정의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충전기 본체(110)의 타단에는 상기 어댑터(130)와 충전부(120) 사이에 연결되는 도선(133)을 수납하기 위한 도선감개(11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납부(111)에 어댑터(130)를 수납할 경우 상기 도선(133)을 감아 깔끔하게 정리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100)의 어댑터(130)는 몸체(131)와, 플러그(132) 및 힌지부재(134)로 구성되는데, 이 어댑터(130)는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 플러그(132)가 상기 몸체(131) 표면에 회동가능하게 중첩되어 있으며, 어댑터(130)의 몸체(131) 내부에는 회로기판(도시않됨)이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어댑터 몸체(131) 표면의 일측에 플러그(132)의 일단이 놓여지도록 지지대(13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대(131a)는 중앙에 플러그(132)로부터 인출된 도선(133)이 어댑터(13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관통구(131a′)와, 양단에 플러그(13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1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31)의 일측 단부에는 플러그(132)로부터 인출된 도선(133)이 인입 관통하여 인출되도록 인출구(131b)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선(133)은 이 인출구(131b)를 통해 인출되어 상기 충전기 본체(110)의 수납부(111) 일측에 형성된 도선통로(도시생략)를 통해 충전부(120)에 연결된다.
플러그(132)는 상기 지지대(131a)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오목부(13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32a)의 내측 양쪽면에는 상기 지지대(131a)의 장착홈(131a″)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회전축(132b)이 상호 대응하여 돌출되어 있다. 플러그(132)의 각 단자로부터 인출된 도선(133)은 상기 회전축(132b)의 말단부를 통해 인출되어 상기 지지대(131a)의 관통구(131a′)를 통해 어댑터(130) 내부로 인입된다. 어댑터 몸체(131)의 일단부를 통해 인입된 도선(133)은 상기 몸체(131)의 타단으로 인출되어 충전기 본체(110)의 수납부(111) 일측에 형성된 도선통로(도시생략)를 통해 충전부(12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 몸체(131)상에는 지지대(131a) 양측으로 고정돌기(131c)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132)는 오목부(132a)를 중심으로 그 일측 양단면에 고정홈(132c)이 형성되며, 타측 양단면에 고정홈(132d)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어, 플러그(132)가 회전축(132b)을 축으로 회전하여 접힐 때는 상기 고정돌기(131c)가 상기 플러그(132)의 고정홈(132c)에 끼움결착되어 플러그(132)는 어댑터 몸체(131)상에 면밀착하며 고정되고, 플러그(132)가 회전축(132b)를 축으로 회전하여 펴질 때는 상기 고정돌기(131c)가 상기 플러그(132)의 고정홈(132d)에 끼움결착되어 플러그(132)는 어댑터 몸체(131)면으로부터 직립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132)를 지지대(131a)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해 힌지부재(134)가 구비되는데, 이 힌지부재(134)의 일측 양단에는 상기 플러그(132)의 회전축(132b)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홈(134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양단에는 상기 플러그(1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131a)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131a′)에 삽입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돌기(134b)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걸림돌기(134b)는 양측 끝단이 걸림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100)의 플러그(132)는 힌지부재(134)에 의해 어댑터(130) 표면의 지지대(131a)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종래의 핸드폰충전기(1)와 동일하게 조작되는데, 어댑터(130)를 본체(110)의 수납부(111)에 수납시킨 상태로 플러그(132)를 회동시켜 전원콘센트(도시않됨)에 꽂을 수도 있고, 어댑터(130)를 본체(110)의 수납부(111)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어댑터(130) 표면으로부터 플러그(132)를 회동시켜 일으켜 세워 전원콘센트(도시않됨)에 꽂을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소형 핸드폰 충전기(100)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휴대폰충전기(1) 구조와는 달리 플러그(132)가 어댑터(130) 표면에 장착되어 있어 어댑터(130) 면에 플러그(132)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도시않됨)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에 비해 그 크기를 훨씬 줄일 수 있어 휴대하기가 더욱 편리해진다.
본 고안의 휴대용 소형 핸드폰 충전기는 종래의 휴대용 휴대폰충전기와는 달리 플러그가 어댑터 표면에 중첩 수납되는 구조로 되어, 어댑터 면에 플러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종래의 휴대폰충전기에 비해 그 크기를 훨씬 줄일 수 있어 휴대하기에 더욱 용이해진다.

Claims (4)

  1. 본체, 충전부 및 어댑터로 구성된 휴대폰충전기에 있어서,
    어댑터(130) 표면상에 돌출형성되어 양측 끝단에 장착홈(131a')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플러그(132)로부터 인출된 도선(133)이 상기 어댑터(130)의 몸체(131)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관통구(131a')가 형성된 지지대(131a)를 구비하고, 이 지지대(131a)에 플러그(132)가 회동가능하게 힌지부재(134)로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32)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대(131a)의 장착홈(131a')에 끼워지도록 하는 오목부(132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32a)의 내측 양쪽면에 상기 지지대(131a)의 장착홈(131a')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회전축(132b)이 상호 대응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30)의 몸체(131)상에는 지지대(131a) 양측으로 고정돌기(131c)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32a)를 중심으로 플러그(132)의 일측 양단면에 고정홈(132c)이 형성되며, 타측 양단면에 고정홈(132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134)의 일측 양단에는 상기 플러그(132)의 회전축(132b)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홈(134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양단에는 플러그(1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131a)의 관통구(131a')에 삽입걸림되도록 양측 끝단이 걸림구조로 된 걸림돌기(13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KR2020000029183U 2000-10-19 2000-10-19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KR200217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83U KR200217312Y1 (ko) 2000-10-19 2000-10-19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83U KR200217312Y1 (ko) 2000-10-19 2000-10-19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312Y1 true KR200217312Y1 (ko) 2001-03-15

Family

ID=7309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183U KR200217312Y1 (ko) 2000-10-19 2000-10-19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31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816A1 (ko) * 2012-02-27 2013-09-06 Choi Sang Hyo 휴대단말용 케이스
KR101432744B1 (ko) 2012-12-12 2014-08-20 박지현 충전기 세트
KR200475275Y1 (ko)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충전기
KR101742038B1 (ko) * 2015-12-09 2017-05-31 이웅렬 보조 배터리를 구비한 충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816A1 (ko) * 2012-02-27 2013-09-06 Choi Sang Hyo 휴대단말용 케이스
KR101432744B1 (ko) 2012-12-12 2014-08-20 박지현 충전기 세트
KR200475275Y1 (ko) 2013-02-28 2014-11-20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충전기
KR101742038B1 (ko) * 2015-12-09 2017-05-31 이웅렬 보조 배터리를 구비한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7667A (en) Power cord securing and storage device
US8491317B2 (en) Compact all-in-one power adapter
JP2016511519A (ja) フレキシブルエクステンションを有するマルチプラグスライドアダプタ
KR100549316B1 (ko) 경첩식 하우징을 구비한 전압 트랜스포머
US20080048612A1 (en) Wireless battery charger
US6655984B1 (en) Compact electrical charger
KR200217312Y1 (ko) 휴대용 소형 휴대폰충전기
US20020118561A1 (en) Power conversion adapter
CN210225702U (zh) 蓝牙耳机充电盒
KR100481402B1 (ko) 휴대폰 충전기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CN111146655A (zh) 层叠式多头伸缩数据线
CN211700818U (zh) 层叠式多头伸缩数据线
CN210669577U (zh) 充电器
CN211082331U (zh) 一种折叠风扇
CN220209978U (zh) 一种带插脚的折叠式移动电源
CN217883789U (zh) 一种具有无线耳机的终端
CN220364186U (zh) 多功能数据线收卷装置
KR100547819B1 (ko) 휴대폰용 폴더 타입 충전기
CN219610815U (zh) 充电器
CN216750596U (zh) 带有旋转插头的充电器
JP3395321B2 (ja) 充電器一体型バッテリー
CN213402537U (zh) 便于收纳的多功能充电器
KR200212929Y1 (ko) 벨트형 배터리
CN220155897U (zh) 一种多功能的伸缩式数据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