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125B1 - Usb 충전기 - Google Patents

Usb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125B1
KR101697125B1 KR1020150118692A KR20150118692A KR101697125B1 KR 101697125 B1 KR101697125 B1 KR 101697125B1 KR 1020150118692 A KR1020150118692 A KR 1020150118692A KR 20150118692 A KR20150118692 A KR 20150118692A KR 101697125 B1 KR101697125 B1 KR 10169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usb terminal
usb
hin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승
김범진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주승
김범진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승, 김범진,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주승
Priority to KR102015011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2007/0062

Abstract

본 발명은 단선 방지를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USB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USB 충전기는 USB 단자; 상기 USB 단자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 상기 힌지와 각각 연결된 막대 형상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 원통관; 상기 원통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원통관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링 및 제2링; 상기 제2링과 연결된 직류변환장치; 및 상기 직류변환장치와 연결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USB 충전기를 이용하면 USB 단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USB 단자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을 줄일 수 있어 단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USB 충전기{USB CHARGER}
본 발명은 USB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선 방지를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USB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MP3, PDA 등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에 따라 USB 충전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USB 충전기는 일반적으로 일단이 플러그로 형성되고 타단이 USB 단자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끼우고, USB 단자를 전자기기에 끼워 전자기기를 충전하게 된다. USB 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전자기기를 충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USB 단자와 전자기기에 삽입 가능한 단자를 연결하는 변환 젠더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USB 충전기를 사용하면서 USB 단자 부분에서 자주 단선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USB 충전기를 콘센트에 끼우고 뺄 때 또는 USB 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의 움직임에 따라 전선의 꼬임, 꺾임, 굽힘이 일어날 때, USB 단자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USB 단선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하다 보면 전선의 방향이 꺾여 단선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공보 제10-0581740호 "마이크의 코드 단선방지장치"는 코드의 접속 부분에 스프링 구조의 보강 요소를 설치하여 코드(전선)의 접속 부분이 마이크의 바디(본체,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접속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마이크와 같이 바디가 충분한 강성을 가진 제품에 적합한 것으로, 휴대폰, MP3, PDA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같이 소경의 USB 단자 선이 사용되고, 바디의 크기가 작으며, 충분한 강성을 가지기 어려운 제품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USB 단자 부분에서 단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USB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USB 충전기는 USB 단자; 상기 USB 단자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 상기 힌지와 각각 연결된 막대 형상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 원통관; 상기 원통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원통관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링 및 제2링; 상기 제2링과 연결된 직류변환장치; 및 상기 직류변환장치와 연결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USB 단자는 하부에 상기 USB 단자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회전축의 양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USB 충전기는 상기 USB 단자, 상기 힌지,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연결부의 일부는 노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다른 일부, 상기 원통관, 상기 제1링, 상기 제2링 및 직류변환장치는 노출되지 않도록 외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USB 충전기는 상기 제1링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링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시키는 링 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 누름부는 상단에 일정 두께로 구성되며, 내측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1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USB 충전기는 상기 링 누름부 내에 안착되고, 상기 제1요철부와 맞물리도록 외측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서,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USB 단자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통관은 단부에, 상기 제1링 및 제2링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USB 충전기를 이용하면 USB 단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USB 단자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을 줄일 수 있어 단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정된 시스템 및 주변기기의 사용이 가능해지며, 단선이나 파손 등으로 인한 2차적 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USB 충전기를 콘센트에 끼운 후에도 USB 단자의 연결 방향을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충전기(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충전기(1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USB 충전기(10)에서 회전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USB 충전기(10)에 링 누름부(103) 및 회전 가이드판(104)이 설치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 누름부(103)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이드판(104)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충전기(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USB 충전기(10)는 USB 단자(100), 힌지(101), 제1연결부(102), 링 누름부(103), 회전 가이드판(104), 하우징(200) 및 플러그(300)를 포함한다.
USB 단자(100)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단자로서, USB 1.0에서 3.0까지 모든 규격의 USB 단자가 될 수 있다. USB 단자(100)는 수 단자(커넥터, connector) 또는 암 단자(포트, port)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 단자인 경우에는 USB 단자(100)가 휴대용 전자기기와 직접 연결되거나 변환 젠더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USB 단자(100)가 암 단자인 경우에는, 일단이 USB 수 단자로 형성되고 타단이 휴대용 전자기기에 삽입 가능한 단자로 형성되는 연결선을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된다. USB 단자(100)는 Type-A, Type-B, Mini-A, Mini-B, Micro-A, Micro-B 등 다양한 USB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USB 단자(100)의 하부의 양 측면에는 각각 힌지(101)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101)는 막대 형상의 제1연결부(102)와 USB 단자(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USB 단자(100), 힌지(101) 및 제1연결부(10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플러그(3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USB 단자(1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SB 단자(100)의 내부에는 USB 단자(1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이 포함되고, 힌지(101)는 상기 회전축의 양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USB 단자(100), 회전축, 힌지(101) 및 제1연결부(10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플러그(3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USB 단자(100)에 공급하게 된다.
링 누름부(103) 및 회전 가이드판(104)는 하우징(200) 내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USB 단자(100)를 하우징(200) 내에 고정시키고,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USB 단자(100)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링 누름부(103)와 회전 가이드판(104)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USB 단자(100)가 형성된 방향을 상부로, 플러그(300)가 형성된 방향으로 하부로 정의하도록 한다.
하우징(200)은 USB 충전기(1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외관을 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은 8면체 형태의 하우징(20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육면체, 원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상단에는 원형의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구를 통해 링 누름부(103) 및 회전 가이드판(104)이 노출된다. 하우징(200)의 하단에는 플러그(300)가 노출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플러그 개방구가 형성된다.
플러그(300)는 콘센트에 끼워져 USB 충전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USB 충전기(10)의 최하단에 위치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충전기(10)의 외관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USB 충전기(1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충전기(1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USB 단자(100), 힌지(101), 제1연결부(102), 회전축(105), 원통관(201), 제1링(202), 제2링(203), 제2연결부(204), 직류변환장치(205), 제3연결부(206), 걸림턱(207) 및 플러그(300)를 도시하고 있다. USB 단자(100), 힌지(101) 및 제1연결부(102)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회전축(105)부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축(105)은 USB 단자(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USB 단자(100)의 하부에서 USB 단자(100)의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힌지(101)는 회전축(105)의 양 단부와 결합하는데, 회전축(105), 힌지(101) 및 제1연결부(102)는 도체로 형성되어, USB 단자(100), 회전축(105), 힌지(101) 및 제1연결부(10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3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는 USB 단자(100)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SB 단자(100)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회전축(105)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힌지(101)는 USB 단자(100)의 양 측면과 직접 결합된다.
원통관(201)은 제1연결부(102)와 연결되어 USB 단자(100)를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이다. 원통관(201)은 제1연결부(102)와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도체로 형성되어 제1연결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링(202)은 원통관(201)의 상부에 위치하여 원통관(201)의 이탈을 방지하고 원통관(201)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링(202)은 내주연과 외주연을 갖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며, 측면은 하우징(200)에 의해 지지되고, 상면은 링 누름부(103)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20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제1링(202)은 링 누름부(103)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원통관(201)이 하우징(200) 링의 이동궤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링(203)은 원통관(201)의 하부에 위치하여 원통관(201)의 이탈을 방지하고 원통관(201)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링(203)도 내주연과 외주연을 갖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는 원통관(201)과 접촉하고, 하부는 제2연결부(204)를 통해 직류변환장치(205)와 연결된다. 제2링(203)과 제2연결부(204)는 도체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원통관(201)의 단부에는 걸림턱(207)이 형성되는데, 걸림턱(207)은 원통관(201)이 제1링(202)과 제2링(203) 사이에 위치할 때, 제1링(202)과 제2링(203)의 외주연보다 외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턱(207)은 원통관(201)이 제1링(202) 및 제2링(203)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원통관(20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직류변환장치(205)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플러그(300)로부터 전달되는 교류 전원(220V 등)을 직류로 정류하여 USB 단자(10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직류변환장치(205)는 제3연결부(206)를 통해 플러그(300)와 연결된다.
구조를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축(105)과 연결된 힌지(101)는 1차적으로 USB 단자(100)의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제1링(202)과 제2링(203)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관(201)은 2차적으로 USB 단자(1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USB 단자(100)는 회전축(105), 힌지(101), 제1연결부(102), 원통관(201), 제2링(203), 제2연결부(204), 직류변환장치(205), 제3연결부(206) 및 플러그(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휴대용 전자기기기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USB 충전기(10)에서 회전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USB 단자(100)의 두 가지 회전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힌지(101)의 회전을 통해 USB 단자(10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하 방향의 회전은 180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102)와 연결된 원통관(201)의 회전을 통해, USB 단자(100)는 상하방향의 가운데 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의 360ㅀ 회전될 수 있다. 원통관(201)은 제1링(202) 및 제2링(203) 사이에 위치하며 제1링(202) 및 제2링(203)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여, USB 단자(1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2링(203)의 하부에는 제2연결부(204)가 위치하는데, 이를 통해 USB 단자(100), 제1연결부(102), 제2링(203) 및 제2연결부(204)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제2연결부(204)로부터 USB 단자(100)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USB 충전기(10)에 링 누름부(103) 및 회전 가이드판(104)이 설치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USB 충전기(10)에서 하우징(200)이 분리되었을 때의 도면으로서, 제1링(202) 상에 링 누름부(103)와 회전 가이드판(104)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00)의 내면에는 링 누름부(103) 및 회전 가이드판(104)이 내장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링 누름부(103)와 회전 가이드판(104)이 노출될 수 있도록 원형의 개방구가 형성된다. 개방구의 크기는 링 누름부(103)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200)이 결합되었을 때, 링 누름부(103)가 하우징(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우징(200)의 상면이 링 누름부(103)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하우징(200)의 내면에는 제1링(202)을 양 측면에서 고정하는 링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0)이 결합되었을 때, 링 고정부는 제1링(202)을 양 측에서 가압하여 제1링(202)의 좌우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하우징(200)의 상면은 링 누름부(103)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링(202)이 하부방향으로 가압되고, 원통관(201)은 제1링(202)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제1링(202)의 상하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링(202)은 전체적으로 안정된 위치에서 USB 단자(10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 누름부(103)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링 누름부(10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 형태로 구성된다. 링 누름부(103)는 금속, 플라스틱 재질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링 누름부(103)의 상단은 일정 두께로 형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제1요철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제1요철부(106)는 이하에서 설명할 회전 가이드판(104)에 형성된 제2요철부(107)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요철부(106)의 상면에는 링 누름부 덮개(108)가 형성된다. 링 누름부 덮개(108)는 이하에서 설명할 회전 가이드판(104)이 링 누름부(10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회전 가이드판(104)은 링 누름부 덮개(108)의 하부, 링 누름부(103) 내에서 제1요철부(106)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이드판(104)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회전 가이드판(104)은 원판 형상으로서, 외측으로는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제2요철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가이드판(104)은 링 누름부(103)의 상부에 안착되고, 제2요철부(107)는 링 누름부(103)에 형성된 제1요철부(106)와 맞물려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회전 가이드판(104)에는 두 개의 제1연결부 삽입 홈(109)이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부(102)는 제1연결부 삽입 홈(109)에 삽입되어, USB 단자(100)가 회전할 때, 제1연결부(102)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이드판(104)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링 누름부(103)의 제1요철부(106)와 회전 가이드판(104)의 제2요철부(107)가 맞물리도록 회전하면서, USB 단자(100)는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회전 후에는 해당 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USB 충전기를 이용하면 USB 단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USB 단자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을 줄일 수 있어 단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정된 시스템 및 주변기기의 사용이 가능해지며, 단선이나 파손 등으로 인한 2차적 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USB 충전기를 콘센트에 끼운 후에도 USB 단자의 연결 방향을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USB 충전기
100 : USB 단자
101 : 힌지
102 : 제1연결부
103 : 링 누름부
104 : 회전 가이드판
105 : 회전축
106 : 제1요철부
107 : 제2요철부
108 : 링 누름부 덮개부
109 : 제1연결부 삽입 홈
200 : 하우징
201 : 원통관
202 : 제1링
203 : 제2링
204 : 제2연결부
205 : 직류변환장치
206 : 제3연결부
207 : 걸림턱
300 : 플러그

Claims (7)

  1. USB 단자;
    상기 USB 단자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
    상기 힌지와 각각 연결된 막대 형상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 원통관;
    상기 원통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원통관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링 및 제2링;
    상기 제2링과 연결된 직류변환장치;
    상기 직류변환장치와 연결된 플러그;
    상기 USB 단자, 상기 힌지,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연결부의 일부는 노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다른 일부, 상기 원통관, 상기 제1링, 상기 제2링 및 직류변환장치는 노출되지 않도록 외부를 구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링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링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시키는 링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는
    내부에 상기 USB 단자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회전축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충전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누름부는
    상단에 일정 두께로 구성되며, 내측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1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충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 누름부 내에 안착되고, 상기 제1요철부와 맞물리도록 외측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서,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USB 단자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충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관은
    단부에, 상기 제1링 및 제2링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충전기.
KR1020150118692A 2015-08-24 2015-08-24 Usb 충전기 KR101697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92A KR101697125B1 (ko) 2015-08-24 2015-08-24 Usb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92A KR101697125B1 (ko) 2015-08-24 2015-08-24 Usb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125B1 true KR101697125B1 (ko) 2017-01-17

Family

ID=5799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692A KR101697125B1 (ko) 2015-08-24 2015-08-24 Usb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1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326U (ko) * 2007-12-04 2007-12-31 김대규 유에스비 단자와 충전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KR20100037908A (ko) * 2008-10-02 2010-04-12 (주)명민시스템 유에스비커넥터장치
JP2010206781A (ja) * 2009-02-27 2010-09-16 Pantech Co Ltd 無線通信端末機およびそのガイドユニット
KR20140101492A (ko) * 2013-02-08 2014-08-20 강혜은 유에스비 및 플러그 일체형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326U (ko) * 2007-12-04 2007-12-31 김대규 유에스비 단자와 충전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KR20100037908A (ko) * 2008-10-02 2010-04-12 (주)명민시스템 유에스비커넥터장치
JP2010206781A (ja) * 2009-02-27 2010-09-16 Pantech Co Ltd 無線通信端末機およびそのガイドユニット
KR20140101492A (ko) * 2013-02-08 2014-08-20 강혜은 유에스비 및 플러그 일체형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4818B (zh) 插頭可分離式之多向電源供應器
EP2413437B1 (en) Rotatable plug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uch rotatable plug
US10944195B1 (en) Detachable power cord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CN107637094B (zh) 音频设备
KR101521867B1 (ko) 젠더보관홈을 구비한 휴대용 충전기
CN203850553U (zh) 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及其组合
KR101375777B1 (ko) 휴대가 용이한 충전기
KR101697125B1 (ko) Usb 충전기
EP3203593B1 (en) Adapter
KR200482852Y1 (ko)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KR20190119747A (ko)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CN105577865B (zh) 多充电/数据接口的电子设备保护壳及与其匹配的插接件
CN105553043B (zh) 一种通用无线充电接收器接口及接收器
JP3196443U (ja) 電源アダプターの構造
CN203859294U (zh) 接口防水结构
CN206389161U (zh) 一种移动电源
KR101432744B1 (ko) 충전기 세트
CN109687199B (zh) 电性连接套件以及蓝牙耳机的充电装置
KR20140005695A (ko) 충전기용 플러그
CN205622695U (zh) 一种磁力360度无线充电数据底座
CN216390607U (zh) 一种两用无线充电器
CN212136325U (zh) 一种自带充电接线的墙壁插座
CN203660219U (zh) 手机转接线
CN220456838U (zh) 一种插座
CN210778748U (zh) 装配方便的线材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