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852Y1 -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852Y1
KR200482852Y1 KR2020160005103U KR20160005103U KR200482852Y1 KR 200482852 Y1 KR200482852 Y1 KR 200482852Y1 KR 2020160005103 U KR2020160005103 U KR 2020160005103U KR 20160005103 U KR20160005103 U KR 20160005103U KR 200482852 Y1 KR200482852 Y1 KR 200482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jack
main body
flexib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필
Original Assignee
(주)파이오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오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파이오텍코리아
Priority to KR2020160005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8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Abstract

본 고안은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은, 스틸 또는 스텐레스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금속판이 나선형으로 밴딩되어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 피스 형태의 플렉서블관(11)으로 이루어져 축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밴딩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외부케이블(10)과; 상기 외부케이블(1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피복체(21)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선(20)과; 상기 전선(2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32)이 본체(31) 단부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되, 본체(31)와 잭(32) 사이에는 본체(31) 너비보다 작으면서 잭(32)의 너비보다 크고 잭(32)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축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의 밴딩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이 가능하며 스틸이나 스텐레스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서블관으로 케이블을 구성함으로써 잦은 구부림이나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케이블 내부나, 케이블과 잭의 연결부분 내부에서 전선이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잭과 연결부 본체 사이에 단턱부가 형성됨으로써 핸드폰이나 태블릿에 케이스가 씌여진 상태에서도 잭의 접속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견고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단턱부는 본체의 단부 양측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스틱으로 구성됨으로써 케이스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원할히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스틱이 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케이스의 규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Cable for device with flexable outcable}
본 고안은 단부에 USB 잭 등이 연결되어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이나 단말기의 충전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선이 스틸 재질의 플렉서블관으로 감싸짐으로써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이 가능하며, 구부러짐에 따른 전선의 탈락이나, 잭이 연결된 부분에서의 전선 탈락 현상이 방지되고 케이스에 연결될 때 단턱진 부분을 통해 잭의 접속이 원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통신 포트의 종류로는, 일반적으로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와 범용 직렬 버스(USB;Universal Serial Bus)가 있다.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UART는, 모든 컴퓨터뿐만 아니라 모든 내부 모뎀에서 직렬 포트를 관리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는 비동기 직렬 통신을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범용 직렬 버스 USB는, IBM을 비롯한 7개사가 공동으로 제안한 주변기기 접속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여러 주변장치들을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공동화를 목적으로 제작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USB는, 주변기기 등을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할 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모든 주변 기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포트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주며, 설치가 간편하며, 휴대형 컴퓨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해 준다.
USB 케이블은, 일반 충전기(AC 충전기) 또는 컴퓨터 장치에 설치된 USB 포트 등에 연결되어, USB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태블릿PC 또는 카메라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를 충전하거나 해당 전자 기기와 컴퓨터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케이블을 말한다.
USB 케이블은 유선 연결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무선 연결 방식에 비해 충전이나 데이터 전송이 원할하고, 상대적으로 무선 방식에 비해 고속 및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USB 케이블을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첫번째는 잭의 접속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에러 발생 현상과 두 번째는 케이블의 전선 단락 현상이다.
첫번째 문제점은 종래에 자주 대두된 문제점으로 접속핀의 개량에 관한 많은 특허 기술의 제안으로 점차 문제점이 해소되어가고 있다.
반면 두번째 문제점은 그 발생히 첫번째 문제점과 달리 자주 일어나지 않는 바, 이에 관한 기술 개발은 더디 이루어져 있다.
케이블의 단락 문제는 다시 두 가지로 이루어지는데, 첫번째는 USB 케이블 내부에 설치된 전선과 USB 잭 사이가 단락되는 점이며, 두번째는 USB 케이블 내부에 설치된 전선이 단락되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신축성 신호 전송 케이블"(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2134호, 특허문헌 1)에는 커버링 장치를 이용하여 탄성 장섬유 등을 코어부로 하고 그 주위에 2개의 도체선을 2방향으로 권취하며, 이것을 복수 개로 묶어 하느로 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 10% 이상의 신축성을 가지며 250MHz에서 전송 손실이 이완 상태에서 10db/m 이하인 신축성 전송 케이블로 10%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탄성 원통체와 이 탄성 원통체의 주위에 동일 방행으로 권취된 2개 이상의 도체선이 감싸 권취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요구되는 원통체의 재질 특성을 만족시키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도체선들의 평균 간격의 배치 역시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USB케이블을 사용자가 활용할 때는 다양한 힘을 가해 구부리기도 하고 당기기도 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만으로는 만족할만한 단락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케이블과 잭의 연결 부분에는 특히 많은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쉽게 단락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더불어,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경우 케이스에 의해 감싸져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잭 연결을 위해 케이스에 형성된 홀에 잭이 걸려 접속이 원할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312134 (2013.09.17)
본 고안의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축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의 밴딩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이 가능하며 스틸이나 스텐레스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서블관으로 케이블을 구성함으로써 잦은 구부림이나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케이블 내부나, 케이블과 잭의 연결부분 내부에서 전선이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잭과 연결부 본체 사이에 단턱부가 형성됨으로써 핸드폰이나 태블릿에 케이스가 씌여진 상태에서도 잭의 접속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견고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단턱부는 본체의 단부 양측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스틱으로 구성됨으로써 케이스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원할히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스틱이 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케이스의 규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전선 외부에 방수성의 시트가 설치되어 외부케이블이 신장될 때 각 나선형의 금속판에 공간이 형성되더라도 수분이 전선에 침투하지 못하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틸 또는 스텐레스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금속판이 나선형으로 밴딩되어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 피스 형태의 플렉서블관(11)으로 이루어져 축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밴딩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외부케이블(10)과; 상기 외부케이블(1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피복체(21)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선(20)과; 상기 전선(2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32)이 본체(31) 단부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되, 본체(31)와 잭(32) 사이에는 본체(31) 너비보다 작으면서 잭(32)의 너비보다 크고 잭(32)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33)는 본체(31) 단부 양측에 각각 잭(32) 방향을 향해 돌출된 두 개의 스틱(33a)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두 스틱(33a)은 각각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31)의 단부 양측에는 스틱삽입홀(3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틱(3a)은 일측이 상기 스틱삽입홀(33b)을 통해 본체(31) 내부에 삽입되어 있되, 상하 양단에 각각 상하로 돌출된 돌출부(33c)가 형성되어 스틱삽입홀(33b)의 상하단에 돌출부(33c)가 걸리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외부케이블(10) 내부에는 상기 전선(20)을 감싸는 방수 재질의 유연성 시트(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40)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30)의 본체(31) 내벽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축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의 밴딩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이 가능하며 스틸이나 스텐레스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서블관으로 케이블을 구성함으로써 잦은 구부림이나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케이블 내부나, 케이블과 잭의 연결부분 내부에서 전선이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잭과 연결부 본체 사이에 단턱부가 형성됨으로써 핸드폰이나 태블릿에 케이스가 씌여진 상태에서도 잭의 접속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견고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단턱부는 본체의 단부 양측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스틱으로 구성됨으로써 케이스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원할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스틱이 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케이스의 규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선 외부에 방수성의 시트가 설치되어 외부케이블이 신장될 때 각 나선형의 금속판에 공간이 형성되더라도 수분이 전선에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연결부의 단부 형태를 나타낸 입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외부케이블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연결부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외부케이블과 연결부의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단턱부를 이용하여 케이스가 부착된 스마트폰에 본 고안의 외부케이블의 연결부의 연결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단턱부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은 크게 외부케이블(10), 전선(20) 및 연결부(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외부케이블(10)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질의 플렉서블관(11)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상세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스틸 또는 스텐레스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금속판이 나선형으로 밴딩되어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 피스 형태의 플렉서블관(1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루한 구조는 외부케이블(10)의 중심 축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밴딩이 가능한 것은 물론 길이 방향으로는 신장이 가능해지게 된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전선(20)은 도 5,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블(1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비도전성의 피복체(21)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며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선(20)은 통상의 USB 케이블 내부의 전선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연결부(30)는 상기 전선(2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32)이 본체(31) 단부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되, 본체(31)와 잭(32) 사이에는 본체(31) 너비보다 작으면서 잭(32)의 너비보다 크고 잭(32)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통상의 USB 케이블의 연결부는 본체 단부에 바로 잭이 연결된 구조인 반면 본 고안에서는 단턱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단턱부(33)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에 잭(32) 연소켓(1a)이 구비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단말기(1)가 도시된 것처럼 보호를 위한 케이스(2)에 감싸여 설치되고, 케이스(2)에는 잭 연결에 방해를 주지 않기 위해 도면과 같이 가이드홀(2a)이 형성되어 있을 때, 단턱부(33)는 가이드홀(2a)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USB케이블의 경우 연결부에 바로 잭이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의 단부는 케이스(2)에 걸리게 되는 바, 잭이 소켓에 설계 치수만큼 깊숙이 삽입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접속 불량이 발생하고, 잭이 소켓에서 쉽게 빠져나오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단턱부(33)가 추가로 형성되어 단턱부(33)가 가이드홀(2a)에 끼워짐으로써 잭(32)은 소켓(2a) 깊숙이 설계대로 삽입되어 접속되며, 단턱부(33)가 가이드홀(2a)에 끼워져 있음으로 인해 잭(32)은 종래보다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케이스는 심미감을 주요한 제품의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케이스가 시중에 판매되어 활용된다.
어떤 케이스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상면 및 저면 일부를 감싸기도 하는 반면 또다른 케이스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리스이 측면만 감싸기도 한다.
또, 가이드홀이 상,하,좌,우의 케이스 표면에 둘러쌓이기도 하지만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의 것들도 있다.
만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측면만 감싸면서 가이드홀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형상의 단턱부(33)로 구성될 경우 불필요하게 일측으로 돌출된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33)는 본체(31) 단부 양측에 각각 잭(32) 방향을 향해 돌출된 두 개의 스틱(33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두 스틱(33a)은 각각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의 종류에 따라 가이드홀의 크기가 천차만별인 만큼 다양한 케이스를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도면에 나타난 예는 상기 본체(31)의 단부 양측에는 스틱삽입홀(3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틱(3a)은 일측이 상기 스틱삽입홀(33b)을 통해 본체(31) 내부에 삽입되어 있되, 상하 양단에 각각 상하로 돌출된 돌출부(33c)가 형성되어 스틱삽입홀(33b)의 상하단에 돌출부(33c)가 걸리도록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
이 구조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홀(2a)에 맞추어 스틱(3a)을 좌우로 움직여서 케이스의 종류에 따라 맞춤형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외부케이블(10)은 금속판이 나선형으로 감긴 플렉서블관으로 이루어질 경우 길이가 길어지도록 신장되는 경우 각 나사산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면서 그 사이로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으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게 된다.
자칫 수분이 침투하여 전선(20)의 단부로 이동하게 되면 합선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블(10) 내부에는 상기 전선(20)을 감싸는 방수 재질의 유연성 시트(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40)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30)의 본체(31) 내벽면에 접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시트(40)는 양 단부가 팽팽히 당겨져서는 안되면 도면과 같이 외부케이블(10) 내부에서 주름진 형태로 설치되거나, 고무 재질과 같이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케이블(10)의 신축 작용시 단부가 끊어지거나 외부케이블(10)의 신축을 방해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선(20)은 도 5, 6과 같이 외부케이블(10) 내부에서 일직선을 이루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꽈배기 형태로 꼬여질 수도 있으며, 외부케이블(10) 내벽면 측으로 밀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또, 연결부(30)와 외부케이블(10)과의 연결 방식은 외부케이블(10)의 단부가 연결부(30)의 본체(31) 단부에 접착, 용접, 볼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도 5, 6과 같이 본체(31)에 외부케이블(10) 삽입을 위한 홀이 가공되되, 홀 내부에 홀 중심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31a)가 형성되는 한편, 외부케이블(10)의 금속편 사이가 이 걸림돌기(31a)에 걸리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케이블(10)의 표면 일측에는 홈(12)이 외부케이블(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31a)가 이중으로 걸려 조립이 용이하면서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31a)가 금속판들의 한 나사산 사이의 틈으로 끼워지되, 일측에 형성된 홈(12)에 걸려 끼워짐으로써 조립 후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은 강도가 높은 스틸 또는 스텐레스 재질의 외부케이블(10)이 연결부(30)에 연결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종래에 케이블과 연결부 사이에서 전선이 단락되던 현상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며, 케이스에 의해 감싸여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연결시 견고하게 연결되면서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은 USB-A, USB-C 등 다양한 USB 잭이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케이블, 구형 휴대폰의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 케이블 등 다양한 전자제품의 데이터 전송, 충전용 케이블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외부케이블 11 : 플렉서블관
12 : 홈 20 : 전선
21 : 피복체 30 : 연결부
31 : 본체 32 : 잭
33 : 단턱부 33a : 스틱
33b : 스틱삽입홀 33c : 돌출부
40 : 시트

Claims (5)

  1.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에 있어서,
    스틸 또는 스텐레스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금속판이 나선형으로 밴딩되어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 피스 형태의 플렉서블관(11)으로 이루어져 축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밴딩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신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외부케이블(10)과;
    상기 외부케이블(1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피복체(21)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선(20)과;
    상기 전선(2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잭(32)이 본체(31) 단부측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되, 본체(31)와 잭(32) 사이에는 본체(31) 너비보다 작으면서 잭(32)의 너비보다 크고 잭(32)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턱부(33)는 본체(31) 단부 양측에 각각 잭(32) 방향을 향해 돌출된 두 개의 스틱(33a)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두 스틱(33a)은 각각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의 단부 양측에는 스틱삽입홀(3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틱(3a)은 일측이 상기 스틱삽입홀(33b)을 통해 본체(31) 내부에 삽입되어 있되, 상하 양단에 각각 상하로 돌출된 돌출부(33c)가 형성되어 스틱삽입홀(33b)의 상하단에 돌출부(33c)가 걸리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블(10) 내부에는 상기 전선(20)을 감싸는 방수 재질의 유연성 시트(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40)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30)의 본체(31) 내벽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KR2020160005103U 2016-09-01 2016-09-01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KR200482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103U KR200482852Y1 (ko) 2016-09-01 2016-09-01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103U KR200482852Y1 (ko) 2016-09-01 2016-09-01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852Y1 true KR200482852Y1 (ko) 2017-03-09

Family

ID=5841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103U KR200482852Y1 (ko) 2016-09-01 2016-09-01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8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9965B2 (en) 2018-08-08 2021-11-30 Portmag Co., Ltd. Charging device
CN114558956A (zh) * 2022-03-29 2022-05-31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掐丝画用金属丝整形工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79Y1 (ko) * 2004-04-21 2004-08-02 김은정 케이블 클로우저
KR20110003692U (ko) * 2009-10-08 2011-04-14 나도진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
KR20130001451U (ko) * 2011-08-24 2013-03-06 남창현 아이폰/아이팟/아이패드용 usb-aux 케이블
KR101312134B1 (ko) 2008-06-25 2013-09-26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신축성 신호 전송 케이블
KR20140062268A (ko) * 2012-11-14 2014-05-23 박건주 양면 접속형 usb 접속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79Y1 (ko) * 2004-04-21 2004-08-02 김은정 케이블 클로우저
KR101312134B1 (ko) 2008-06-25 2013-09-26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신축성 신호 전송 케이블
KR20110003692U (ko) * 2009-10-08 2011-04-14 나도진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
KR20130001451U (ko) * 2011-08-24 2013-03-06 남창현 아이폰/아이팟/아이패드용 usb-aux 케이블
KR20140062268A (ko) * 2012-11-14 2014-05-23 박건주 양면 접속형 usb 접속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9965B2 (en) 2018-08-08 2021-11-30 Portmag Co., Ltd. Charging device
CN114558956A (zh) * 2022-03-29 2022-05-31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掐丝画用金属丝整形工具
CN114558956B (zh) * 2022-03-29 2023-12-15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掐丝画用金属丝整形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671B2 (en) Multi-direction adjustable connector joint structure
CN203942061U (zh) 连接端子和电连接器
US9219340B2 (en) Connector cable assembly for multiple connectors
US20100279554A1 (en) Connector arrangement
JP2008507086A (ja) 半硬質同軸ケーブルのための定インピーダンスビュレットコネクタ
EP2980931B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403996B2 (en) Mobile terminal fitting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US20120238120A1 (en) All-in-one converter structure
CN105789965B (zh) 能够降低绞距破坏程度的水晶头及通讯缆线
KR200482852Y1 (ko)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KR101212716B1 (ko) 동축 커넥터
EP2978083A1 (en) A mobile terminal fitting and an electric connector for the same
US20130323951A1 (en) Adaptor for connecting connectors with different interfaces
US2010030460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connecting element thereof
CN106410541B (zh) 电连接器组件
CN203596462U (zh) 一种防呆型电连接器
KR102312443B1 (ko) 서지 방지 기능을 가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US10535941B2 (en) 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with its fitting
CN219286817U (zh) 网络插座、电路板组件及电子产品
CN110190476A (zh) 一种兼容两种规格导线的滑套、接口及设备
CN203288816U (zh) 电连接器
CN210723597U (zh) 兼容排线、接插组件和电子设备
CN117277022B (zh) 一种易携带高耐磨线缆的制造方法
CN211150992U (zh) 具有扁平电缆的扩充基座及扁平电缆
KR20120002984U (ko) 이어폰 보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