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549Y1 - 단말기용 핑거 홀더 - Google Patents

단말기용 핑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549Y1
KR200466549Y1 KR2020110005166U KR20110005166U KR200466549Y1 KR 200466549 Y1 KR200466549 Y1 KR 200466549Y1 KR 2020110005166 U KR2020110005166 U KR 2020110005166U KR 20110005166 U KR20110005166 U KR 20110005166U KR 200466549 Y1 KR200466549 Y1 KR 200466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terminal
fixing plate
ring
fing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718U (ko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이지 filed Critical (주)스마트이지
Priority to KR2020110005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54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7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말기용 핑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축 삽입공이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대해 스위블 및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기 손가락이 삽입되는 한 쌍의 핑거 고리가 양측에 구비되는 핑거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 고리는 상기 고정판에 대해 틸팅된 상태로 상기 단말기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거치하거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단말기를 파지 가능하게 하며, 상기 핑거 고리에는 연장되는 결합 레그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핑거 고리부는, 상기 한 쌍의 핑거 고리를 각기 개별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며 각 핑거 고리의 상기 결합 레그가 삽입 결합되는 레그 결합공이 양측에 형성되고 하기 스위블 축이 삽입되는 제1 축 삽입공이 구비되는 고리 지지체와; 상기 고리 지지체의 상기 제1 축 삽입공과 상기 고정판의 상기 제2 축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고리 지지체가 상기 고정판에 대해 스위블되도록 지지하는 상기 스위블 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배면에는 상기 단말기 및 하기 케이싱에 대한 반복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착력을 제공하는 점착 필름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과 상기 핑거 고리부를 수용하며 수용 공간을 내측에 형성하는 측벽을 갖고 상면 측이 개방된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외부로 개방된 개방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케이싱에 수용될 때 상기 개방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분리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연결끈이 연결되는 연결끈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단말기용 핑거 홀더는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그 핑거 고리가 고정판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파지 사용 시에는 핑거 고리가 기립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핑거 고리에 삽입하여 파지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으로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용 핑거 홀더{FINGER HOLDER FOR MOBILE DEVICE}
본 고안은 단말기용 핑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파지하거나 단말기를 지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용 핑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즉,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게임기,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도 인터넷 사용, 전화 통화, 영화 감상 등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중, 최근에 출시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은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 작업, 인터넷 사용, 이메일 수발신 등과 같이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가 주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게 되므로 휴대용 단말기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로 나머지 한 손으로 화면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과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잡은 상태로 편리하게 화면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등을 시청할 경우 장시간의 시청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지면에 내려놓게 되는데, 휴대용 단말기가 지면에 놓일 경우 시청을 위한 각도가 원활히 확보되지 않아 시청에 불편함이 있고 스피커가 단말기의 배면에 있는 경우 소리가 제대로 들리지 않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휴대용 단말기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방안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과 제반 상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핑거 고리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삽입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으로 화면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파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단말기용 핑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핑거 홀더를 기립한 경우 지면에 대해 핑거 홀더가 거치대의 역할을 하여 단말기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단말기용 핑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 위치, 결합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반복적으로 탈착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핑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되는 단말기용 핑거 홀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는,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축 삽입공이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대해 스위블 및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기 손가락이 삽입되는 한 쌍의 핑거 고리가 양측에 구비되는 핑거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 고리는 상기 고정판에 대해 틸팅된 상태로 상기 단말기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거치하거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단말기를 파지 가능하게 하며, 상기 핑거 고리에는 연장되는 결합 레그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핑거 고리부는, 상기 한 쌍의 핑거 고리를 각기 개별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며 각 핑거 고리의 상기 결합 레그가 삽입 결합되는 레그 결합공이 양측에 형성되고 하기 스위블 축이 삽입되는 제1 축 삽입공이 구비되는 고리 지지체와; 상기 고리 지지체의 상기 제1 축 삽입공과 상기 고정판의 상기 제2 축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고리 지지체가 상기 고정판에 대해 스위블되도록 지지하는 상기 스위블 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배면에는 상기 단말기 및 하기 케이싱에 대한 반복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착력을 제공하는 점착 필름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과 상기 핑거 고리부를 수용하며 수용 공간을 내측에 형성하는 측벽을 갖고 상면 측이 개방된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외부로 개방된 개방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케이싱에 수용될 때 상기 개방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분리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연결끈이 연결되는 연결끈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는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그 핑거 고리가 고정판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파지 사용 시에는 핑거 고리가 기립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핑거 고리에 삽입하여 파지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으로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핑거 고리의 스위블 각도를 조절하여 손가락을 삽입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핑거 고리를 틸팅시킨 상태로 단말기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 장시간 동영상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의 시청 각도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핑거 고리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지면에 거치할 경우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한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시청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는 점착 필름에 의해 반복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한 개의 단말기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단말기에 대해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가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가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된 초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가 틸팅되어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가 단말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들이고,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의 수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를 케이싱(110)에서 분리한 초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는 케이싱(110)과, 해당 케이싱(110)에 수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핑거 고리부(120)와, 핑거 고리부(120)가 틸팅 및 스위블되도록 지지하는 고정판(130)과, 고정판(130)을 단말기(A)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점착 필름(14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단말기(A)는 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 PC, 카메라, 게임기, 소형 텔레비젼, 리모컨, 전자사전, PMP, 계산기 등,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소형 전자 또는 IT 제품일 수 있다.
케이싱(110)은 사용자가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를 단말기(A)에 결합시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있어 보관 및 휴대를 위해 사용된다. 케이싱(110)은 고정판(130)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케이싱(110)은 금속 소재 또는 합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고정판(130)과 핑거 고리부(12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내측에 형성하는 측벽(111)을 갖는다. 측벽(111)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핑거 고리부(120)와 고정판(130)이 수용된다.
측벽(111)의 일측에는 개방홈(113)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개방홈(11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 내부에 고정판(130)과 핑거 고리부(120)가 수용됨에 따라서 고정판(130)의 분리 돌기(13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외부로 드러난 분리 돌기(133)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판(130)과 핑거 고리부(120)를 케이싱(110)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개방홈(113)은 분리 돌기(133)의 형상에 대응되는 적정한 크기로 구비된다.
한편, 케이싱(110)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 결합부(115)가 구비된다. 연결끈 결합부(115)에는 연결끈(150)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연결끈(150)을 이용하여 케이싱(110)을 단말기(A)에 연결하거나, 열쇠고리 등의 개인 소지품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핑거 고리부(120)는 고정판(130)에 틸팅 및 스위블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말기(A)에 고정판(130)이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단말기(A)를 파지하거나 단말기(A)를 지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핑거 고리부(120)는 핑거 고리(127a, 127b)가 틸팅되도록 지지하는 고리 지지체(121)와, 고리 지지체(121)가 스위블되도록 지지하는 스위블 축(125)과, 손가락이 삽입되는 한 쌍의 핑거 고리(127a, 127b)와, 한 쌍의 핑거 고리(127a, 127b)를 고리 지지체(121)에 연결시키는 결합 레그(129a, 129b)를 포함한다.
여기서, 틸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고리(127a, 127b)가 고정판(130)에 접촉된 초기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b의 방향과 같이, 고정판(130)으로부터 이격되어 수직 또는 경사되는 방향으로 기립되는 것을 말한다.
스위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고리부(120)가 고정판(130)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초기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의 방향과 같이, 핑거 고리부(120)가 고정판(130)에 나란하지 않게 스위블 축(12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말한다.
즉, 틸팅은 사용자가 핑거 고리(127a, 127b)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핑거 고리(127a, 127b)를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기립시키는 것을 말하고, 스위블은 핑거 고리(127a, 127b)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여 손가락을 삽입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고리 지지체(121)는 스위블 축(125)에 의해 고정판(130)에 스위블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리 지지체(121)의 판면에는 스위블 축(125)이 삽입되는 제1 축 삽입공(123)이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한 쌍의 결합 레그(129a, 129b)가 틸팅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그 결합공(121a)이 구비된다. 제1 축 삽입공(123)은 판 형상의 고리 지지체의 가운데 영역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스위블 축(125)이 삽입되도록 한다. 스위블 축(125)은 제1 축 삽입공(123)과 고정판(130)의 제2 축 삽입공(132)을 관통하여 축 고정 와셔(137)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제1 축 삽입공(123)의 내경은 스위블 축(125)의 외경에 비해 조금 크게 구비된다. 이때, 외력이 인가될 경우 고리 지지체(121)가 원활하게 스위블될 수 있는 정도로 제1 축 삽입공(123)의 내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그 결합공(121a)은 핑거 고리(127a, 127b)의 결합 레그(129a, 129b)가 삽입된다. 레그 결합공(121a)을 통해 삽입된 결합 레그(129a, 129b)는 외력에 의해 틸팅되게 된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리 지지체(121)의 내부에는 결합 레그(129a, 129b)가 외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수단(미도시)과, 결합 레그(129a, 129b)가 안정적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 수단(미도시)은 지지축 등으로 구비되어 결합 레그(129a, 129b)가 고리 지지체(121) 내부에 그 위치가 구속되도록 한다. 탄성 부재(미도시)는 스프링과 같이 결합 레그(129a, 129b)의 단부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미도시)와 지지 수단(미도시)에 의해 핑거 고리(127a, 127b)의 틸팅 각도가 조절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초기 상태와 수직하게 기립된 각도 이외에 30°, 60°등 일정한 틸팅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핑거 고리(127a, 127b)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된다. 핑거 고리(127a, 127b)는 바람직하게, 고리 지지체(121)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결합 레그(129a, 129b)는 핑거 고리(127a, 127b)를 틸팅 가능하게 고리 지지체(121)에 결합시킨다. 결합 레그(129a, 129b)는 핑거 고리(127a, 127b)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고리 지지체(121)의 레그 결합공(121a) 내부에 삽입된다. 결합 레그(129a, 129b)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후 수평하게 절곡 형상되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핑거 고리(127a, 127b)가 고리 지지체(12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핑거 고리(127a, 127b)가 틸팅될 때 고리 지지체(121)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 레그(129a, 129b)는 레그 결합공(121a) 내부에 삽입된 후 지지 수단(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한 쌍의 핑거 고리(127a, 127b)는 결합 레그(129a, 129b)와 각기 일체로 구비되어 외력의 인가 여부에 따라 고정판(130)에 접촉된 대기 상태와, 대기 상태로부터 일정 각도 기립된 틸팅 상태 간에 회동된다. 한 쌍의 핑거 고리(127a, 127b)는 서로 독립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된다.
핑거 고리(127a, 127b)는 대기 상태에서 고정판(130)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기(A)를 파지했을 때의 그립감을 저하시키기 않도록 하기 위해 두께가 얇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핑거 고리(127a, 127b)의 직경은 바람직하게, 일반 성인의 검지와 중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핑거 고리(127a, 127b)는 단말기(A)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디자인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도금된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핑거 고리(127a, 127b)는 표면 색상이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도 있다.
삭제
고정판(130)은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되어 핑거 고리부(120)가 안정적으로 틸팅 및 스위블되도록 지지한다. 고정판(130)은 핑거 고리부(12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케이싱(11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되는 고정판 본체(131)를 구비한다. 고정판 본체(131)는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되었을 때에 사용자의 그립감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얇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판 본체(131)에는 스위블 축(125)이 수용되는 제2 축 삽입공(132)이 가운데 영역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제2 축 삽입공(132)을 중심으로 좌우에 고리 안착판부(135)가 구비된다. 제2 축 삽입공(132)의 하부 영역에는 축 고정 와셔(137)가 구비되어 제1 축 삽입공(123)과 제2 축 삽입공(132)을 관통한 스위블 축(125)의 하부 영역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스위블 축(125)의 위치가 고정된다. 고리 안착판부(135)는 상면에 안착된 핑거 고리(127a, 127b) 표면에 흠집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표면이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130)의 외주연의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리 돌기(133)가 구비되다. 분리 돌기(1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에 수용될 때에는 개방홈(1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고정판(13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점착 필름(140)은 고정판(130)의 배면에 부착되어 고정판(130)이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되도록 점착력을 제공한다. 점착 필름(140)은 양면에 모두 점착 성분이 구비된다. 점착 필름(140)은 고정판(130)이 케이싱(110) 내부 또는 단말기(A)에 대해 반복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점착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점착 필름(140)에 사용되는 점착 성분은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점착 성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판(130)을 단말기(A)에 부착한 후 분리하더라도 점착 성분이 표면에 남지 않고 반복적인 탈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의 사용 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케이싱(110)의 상면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고정판(130)은 점착 필름(140)의 점착 성분에 의해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점착되어 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케이싱(110)에 연결된 연결끈(150)에 의해 사용자는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를 단말기(A)에 연결시켜 단말기(A)와 함께 휴대한다.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를 단말기(A)에 부착하고자 할 경우 케이싱(110)의 개방홈(1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분리 돌기(133)를 케이싱(110)의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30)을 케이싱(110)으로부터 분리한다.
분리된 고정판(130)을 점착 필름(140)의 점착 성분을 이용하여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30)을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한 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핑거 고리(127a, 127b)를 스위블 및 틸팅시켜 손가락을 삽입하거나 지면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핑거 고리(127a, 127b)를 모두 수직하게 틸팅시키고 검지와 중지를 각각의 핑거 고리(127a, 127b)에 삽입하여 단말기(A)를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엄지를 이용하여 단말기(A)의 화면을 조작할 수 있다. 단말기(A)를 사용하는 사용 방향에 따라 사용자는 핑거 고리(127a, 127b)의 스위블 각도를 조절하여 손가락을 단말기(A)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핑거 고리(127a)만을 틸팅시키고 다른 하나의 핑거 고리(127b)는 대기상태로 유지한 채로 틸팅된 핑거 고리(127a)를 지면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핑거 고리(127a, 127b)는 휴대폰이 아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캠코더(B)에도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핑거 고리(127a, 127b)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캠코더(B) 본체를 파지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는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그 핑거 고리가 고정판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파지 사용 시에는 핑거 고리가 기립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핑거 고리에 삽입하여 파지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손가락으로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핑거 고리의 스위블 각도를 조절하여 손가락을 삽입하는 방향을 선택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핑거 고리를 틸팅시킨 상태로 단말기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어 장시간 동영상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의 시청 각도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핑거 고리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지면에 거치할 경우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한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시청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용 핑거 홀더는 점착 필름에 의해 반복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한 개의 단말기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단말기에 대해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는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110) 내부에 고정판(130)이 점착 필름(1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구비된다.
반면,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a)는 케이싱(1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170)를 구비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핑거 홀더(100b)는 고정판(130)과 핑거 고리(127a, 127b)가 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휴대 및 사용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연결끈(150)이 고정판(130)에 결합되고, 연결끈(150)을 단말기(A) 또는 열쇠고리 등 개인 소지품에 연결하여 휴대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판(130)의 배면에 부착된 점착 필름(140)의 바닥면에는 이형지와 같은 이형판(미도시)을 부착하여 점착 성분이 소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단말기용 핑거 홀더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단말기용 핑거 홀더 110 : 케이싱
111 : 측벽 113 : 개방홈
115 : 연결끈 결합부 120 : 핑거 고리부
121 : 고리 지지체 121a : 레그 결합공
123 : 축 삽입공 125 : 스위블 축
127a, 127b : 핑거 고리 129a, 129b : 결합 레그
130 : 고정판 131 : 고정판 본체
132 : 제2 축 삽입공 133 : 분리 돌기
135 : 고리 안착판부 137 : 축 고정 와셔
140 : 점착 필름 150 : 연결끈
170 : 상부 커버

Claims (5)

  1. 단말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축 삽입공이 구비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대해 스위블 및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기 손가락이 삽입되는 한 쌍의 핑거 고리가 양측에 구비되는 핑거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 고리는 상기 고정판에 대해 틸팅된 상태로 상기 단말기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거치하거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단말기를 파지 가능하게 하며,
    상기 핑거 고리에는 연장되는 결합 레그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핑거 고리부는,
    상기 한 쌍의 핑거 고리를 각기 개별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며 각 핑거 고리의 상기 결합 레그가 삽입 결합되는 레그 결합공이 양측에 형성되고 하기 스위블 축이 삽입되는 제1 축 삽입공이 구비되는 고리 지지체와;
    상기 고리 지지체의 상기 제1 축 삽입공과 상기 고정판의 상기 제2 축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고리 지지체가 상기 고정판에 대해 스위블되도록 지지하는 상기 스위블 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의 배면에는 상기 단말기 및 하기 케이싱에 대한 반복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착력을 제공하는 점착 필름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과 상기 핑거 고리부를 수용하며 수용 공간을 내측에 형성하는 측벽을 갖고 상면 측이 개방된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외부로 개방된 개방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케이싱에 수용될 때 상기 개방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분리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연결끈이 연결되는 연결끈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핑거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10005166U 2011-06-10 2011-06-10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0466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166U KR200466549Y1 (ko) 2011-06-10 2011-06-10 단말기용 핑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166U KR200466549Y1 (ko) 2011-06-10 2011-06-10 단말기용 핑거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18U KR20120008718U (ko) 2012-12-20
KR200466549Y1 true KR200466549Y1 (ko) 2013-04-23

Family

ID=5138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166U KR200466549Y1 (ko) 2011-06-10 2011-06-10 단말기용 핑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5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157A1 (ko) * 2016-06-23 2017-12-28 전대형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30Y1 (ko) * 2016-08-24 2018-05-16 최인수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5274Y1 (ko) * 2017-03-31 2017-12-15 브이엠텍(주)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KR101875326B1 (ko) * 2017-04-07 2018-08-02 장평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957480B1 (ko) * 2017-09-21 2019-03-12 임영찬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KR101880750B1 (ko) * 2017-12-07 2018-07-20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KR200488765Y1 (ko) *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80754B1 (ko) * 2018-04-25 2018-07-20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727U (ja) * 1999-04-05 1999-10-15 サワ工業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ベルト
KR20040006373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손가락-착용 휴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727U (ja) * 1999-04-05 1999-10-15 サワ工業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ベルト
KR20040006373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손가락-착용 휴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157A1 (ko) * 2016-06-23 2017-12-28 전대형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KR101816267B1 (ko) * 2016-06-23 2018-01-08 전대형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18U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101891667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10278299B2 (en) Stand for electronic device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066162B1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JP3193967U (ja) 無線充電ホルダー
KR20120004024U (ko) 거치기능 및 삼각대가능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0463463Y1 (ko) 거치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170088354A (ko) 셀룰러 디바이스 악세사리를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53520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190043045A (ko) 배면에 액세서리가 부착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무선충전장치
CN217406588U (zh) 指环支架
TWM498904U (zh) 無線充電支架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200454927Y1 (ko) 안테나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3189463U (ja) ブルートゥース旋回ホルダー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KR101773108B1 (ko)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KR101741642B1 (ko) 모바일 거치형 스피커
KR101224437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82913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KR20130004145U (ko) 단말기용 핑거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1010279;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