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74Y1 -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274Y1 KR200485274Y1 KR2020170001628U KR20170001628U KR200485274Y1 KR 200485274 Y1 KR200485274 Y1 KR 200485274Y1 KR 2020170001628 U KR2020170001628 U KR 2020170001628U KR 20170001628 U KR20170001628 U KR 20170001628U KR 200485274 Y1 KR200485274 Y1 KR 2004852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unit
- protruding
- bearing member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 설치하고, 휴대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로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게 하여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불안을 해소시켜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의 돌출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형의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끼움되는 삽입홈로 이루어진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의 삽입홈부에 결합되되, 내경은 고정유닛의 돌출부에 끼움되고 외경은 상기 회전유닛의 삽입홈부의 끼움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유닛의 돌출부에 나선 결합되도록 고정되는 고정핀부재;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의 돌출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형의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끼움되는 삽입홈로 이루어진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의 삽입홈부에 결합되되, 내경은 고정유닛의 돌출부에 끼움되고 외경은 상기 회전유닛의 삽입홈부의 끼움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유닛의 돌출부에 나선 결합되도록 고정되는 고정핀부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 설치하고, 휴대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로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게 하여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불안을 해소시켜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한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전자사전,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 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인터넷 사용, 전화 통화, 영화 감상, 정보 확인 등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 중에서 최근에 출시된 휴대단말기, 태블릿 PC 등은 전화 통화,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 작업, 인터넷 사용, 이메일 수발신 등과 같이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 없이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주로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고 표출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휴대단말기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로 나머지 손으로 스크린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과 제약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등을 시청할 경우 장시간의 시청을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지면에 내려놓게 되는데, 휴대용 단말기가 지면에 놓일 경우 시청각이 확보되지 않아 시청에 불편함이 많고, 스피커가 단말기의 배면에 있는 경우 소리가 제대로 들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도 홀더링에 손가락을 삽입시켜 휴대 단말기의 안정된 그립을 도모하고, 또 홀더링의 절곡을 통해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기구인 핑거홀더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핑거홀더를 휴대 단말기에 설치하면, 휴대 단말기의 안정된 그립이 가능하고, 또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기립시켜서 안정된 시야각의 확보가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휴대단말기용 핑거홀더는 단순히 손가락을 삽입시켜 휴대단말기의 안정된 그립을 제공하고, 또 홀더링의 절곡을 통해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기립할 수 있는 용도에 제한되어 있을 뿐,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불안을 해소시켜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 설치하고, 휴대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로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게 하여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불안을 해소시켜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의 돌출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형의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끼움되는 삽입홈로 이루어진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의 삽입홈부에 결합되되, 내경은 고정유닛의 돌출부에 끼움되고 외경은 상기 회전유닛의 삽입홈부의 끼움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베어링부재; 및 상기 베어링부재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유닛의 돌출부에 나선 결합되도록 고정되는 고정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판형의 회전부에 홀더링이 더 설치되되, 상기 홀더링은 휴대단말기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형의 회전부는: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베어링유닛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액세서리 혹은 캐릭터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형의 회전부는: 장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로 돌출되되, 테두리부에 상기 베이스판과의 단턱을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십자형상의 돌출몸체; 및 상기 돌출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에 위치되도록 어느 일측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의 홀더;로 이루어지되, 상기 홀더는 양쪽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돌출몸체와 홀더의 개구 양단을 관통하도록 핀을 결합하여 상기 홀더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 부착되는 회전유닛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게 하여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불안을 해소시켜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유닛에 홀더링을 더 설치하여 종래의 홀더링 기능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정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정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정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에는 고정유닛(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유닛(10)은 휴대단말기(P)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고정유닛(10)은 휴대단말기(P)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게 돌출부(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2)를 휴대단말기(P)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하도록 양면접착테이프 혹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보조구에는 회전유닛(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유닛(20)은 고정유닛(10)의 돌출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회전유닛(20)은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회전부(2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22)의 중앙에는 상기 돌출부(14)에 끼움되도록 삽입홈(2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판형의 회전부(22)는 돌출부(14)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액세서리 혹은 캐릭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20)을 구성하는 판형의 회전부(22)에는 홀더링(5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링(50)은 휴대단말기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홀더링(50)에 의해 종래의 홀더링 기능을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형의 회전부(22)는 도 5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베이스판(22a)과, 상기 베이스판(22a)의 상부로 돌출되되, 테두리부에 상기 베이스판과의 단턱(22c)을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홈부(24)가 형성되는 십자형상의 돌출몸체(22b)와, 상기 돌출몸체(22b)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22c)에 위치되도록 어느 일측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의 홀더(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50)는 양쪽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출몸체(22b)와 홀더(50)의 개구 양단을 관통하도록 핀(52)을 결합하여 상기 홀더(50)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보조구에는 베어링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부재(30)는 회전유닛(20)의 삽입홈부(24)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부재(30)의 내경은 고정유닛(10)의 돌출부(14)에 끼움되고, 베어링부재(30)의 외경은 상기 회전유닛(20)의 삽입홈부(24)에 끼움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부재(30)에 의해 상기 회전부(22)가 용이하게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20)을 회전시킬 때 상기 베어링부재(3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 현대인들의 불안전한 마음을 진정시켜 주는 장난감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즉, 상기 회전유닛(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불안한 마음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현대인들은 심심함을 견딜 수 없는 경우 손 놀이용 장남감을 찾게 되는데, 평상시에 휴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구비되는 회전유닛(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고속 회전에서 오는 짜릿한 손맛에 의해 스트레스, 정서불안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집중력 향상에도 효과적인 장점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보조구에는 고정핀부재(4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부재(40)는 베어링부재(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부재(30)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유닛(10)의 돌출부(14)에 나선 결합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보조구에 의하면, 상기 회전유닛(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현대인들의 불안전한 마음을 진정시켜 줄 수 있고, 심심함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손 놀이용 장남감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베어링부재(30)을 기준으로 회전유닛(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스트레스 및 정서불안을 해소시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 고정유닛 12 - 고정부
14 - 돌출부 20 - 회전유닛
22 - 회전부 24 - 삽입홈부
30 - 베어링부재 40 - 고정핀부재
50 - 홀더 52 - 핀
14 - 돌출부 20 - 회전유닛
22 - 회전부 24 - 삽입홈부
30 - 베어링부재 40 - 고정핀부재
50 - 홀더 52 - 핀
Claims (4)
- 휴대단말기(P)의 배면 혹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부(12)와 상기 고정부(12)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4)로 이루어진 고정유닛(10);
상기 고정유닛(10)의 돌출부(14)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형의 회전부(22)와 상기 회전부(22)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4)에 끼움되는 삽입홈부(24)로 이루어지는 회전유닛(20);
상기 회전유닛(20)의 삽입홈부(24)에 결합되면서 내경은 상기 고정유닛(10)의 돌출부(14)에 끼움되고, 외경은 상기 회전유닛(20)의 삽입홈부(24)에 끼움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22)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부재(30); 및
상기 베어링부재(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부재(30)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유닛(10)의 돌출부(14)에 나선 결합되도록 고정되는 고정핀부재(40);
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유닛(20)의 회전부(22)는,
장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베이스판(22a)과,
상기 베이스판(22a)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테두리부에 상기 베이스판(22a)과 단턱(22c)을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홈부(24)가 형성되는 십자형상의 돌출몸체(22b)와,
상기 돌출몸체(22b)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22c)에 위치되어 양쪽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면서 각 개구 양단을 관통하는 핀(52)이 상기 돌출몸체(22b)에 휴대단말기(P)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홀더(5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의 회전부(22)는:
상기 돌출부(14)를 중심으로 베어링부재(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액세서리 혹은 캐릭터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628U KR200485274Y1 (ko) | 2017-03-31 | 2017-03-31 |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628U KR200485274Y1 (ko) | 2017-03-31 | 2017-03-31 |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5274Y1 true KR200485274Y1 (ko) | 2017-12-15 |
Family
ID=6125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1628U KR200485274Y1 (ko) | 2017-03-31 | 2017-03-31 |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27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52667B2 (en) | 2020-09-22 | 2023-01-10 | Brian Robert Balderston | Adaptive support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8718U (ko) * | 2011-06-10 | 2012-12-20 | (주)스마트이지 | 단말기용 핑거 홀더 |
KR20130034563A (ko) * | 2011-09-28 | 2013-04-05 | 조성목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KR20130004145U (ko) | 2011-12-28 | 2013-07-08 | (주)케이엠크레비즈 | 단말기용 핑거홀더 |
KR20130085100A (ko) * | 2012-01-19 | 2013-07-29 | 장대규 |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
KR20140005143U (ko) | 2013-03-20 | 2014-10-01 | 김병철 | 핑거링이 장치된 휴대폰케이스 |
KR20150110859A (ko) * | 2014-03-20 | 2015-10-05 | 신한테크주식회사 | 전자 기기용 거치 모듈 |
-
2017
- 2017-03-31 KR KR2020170001628U patent/KR200485274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8718U (ko) * | 2011-06-10 | 2012-12-20 | (주)스마트이지 | 단말기용 핑거 홀더 |
KR20130034563A (ko) * | 2011-09-28 | 2013-04-05 | 조성목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KR20130121794A (ko) * | 2011-09-28 | 2013-11-06 | 조성목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KR20130004145U (ko) | 2011-12-28 | 2013-07-08 | (주)케이엠크레비즈 | 단말기용 핑거홀더 |
KR20130085100A (ko) * | 2012-01-19 | 2013-07-29 | 장대규 | 회전이 용이한 스마트폰 케이스 탈부착장치 |
KR20140005143U (ko) | 2013-03-20 | 2014-10-01 | 김병철 | 핑거링이 장치된 휴대폰케이스 |
KR20150110859A (ko) * | 2014-03-20 | 2015-10-05 | 신한테크주식회사 | 전자 기기용 거치 모듈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52667B2 (en) | 2020-09-22 | 2023-01-10 | Brian Robert Balderston | Adaptive support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93967U (ja) | 無線充電ホルダー | |
KR20160063599A (ko) |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 |
TWM455309U (zh) | 電話機 | |
KR20120005474U (ko)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 |
KR101866881B1 (ko) |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
KR20120008718U (ko) | 단말기용 핑거 홀더 | |
KR200485274Y1 (ko) |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 |
KR20180011601A (ko) |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 |
KR101280783B1 (ko) |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 |
KR20110096869A (ko) | 휴대기기 거치대 | |
CN216479711U (zh) | 便携设备支撑装置及无线充电器 | |
EP2299661A2 (en) | Electronic device for accommodating an earphone | |
CN215990887U (zh) | 一种手机支架 | |
KR200456530Y1 (ko) | 휴대폰 거치 장치 | |
KR102272058B1 (ko) | 휴대 단말용 케이스 | |
KR200457661Y1 (ko) |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 |
KR200490062Y1 (ko) | 핑거링 액세서리 및 이를 구비한 케이스 | |
JP2008505584A (ja) | 移動通信端末機用支持装置 | |
JP3175063U (ja) | 携帯端末用スタンド | |
KR10065470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 |
CN212909636U (zh) | 带支撑功能的保护壳 | |
KR101537576B1 (ko) |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 |
KR200484027Y1 (ko) |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 |
CN221328997U (zh) | 一种旋转支架保护壳 | |
CN215120899U (zh) | 移动终端保护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