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27Y1 -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27Y1
KR200484027Y1 KR2020170001021U KR20170001021U KR200484027Y1 KR 200484027 Y1 KR200484027 Y1 KR 200484027Y1 KR 2020170001021 U KR2020170001021 U KR 2020170001021U KR 20170001021 U KR20170001021 U KR 20170001021U KR 200484027 Y1 KR200484027 Y1 KR 200484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base plate
device case
attached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진 filed Critical 최영진
Priority to KR2020170001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는 스마트기기가 삽입되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부착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지지부가 회전 및 틸팅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스마트기기용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ACCESSARY FOR CASE OF SMART DEVICE}
본 고안은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람들의 필수적인 휴대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디스플레이가 커짐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크기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일반 전화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동영상 감상, 음악감상, 영상 촬영, 인터넷검색, 메모 등 다양한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이 부가되었다. 이로 인하여,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보행 중과 같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기기의 크기가 커지고 있어 사용자가 이를 한손으로 파지하여 휴대하거나, 스마트기기를 사용함에 불편함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의 보호케이스 배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홀더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고리홀더는 스마트기기의 보호케이스에 한번 부착하게 되면 이를 보호케이스에서 탈락시킬 수 없고 부착된 상태로만 사용해야 하므로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지부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는, 스마트기기가 삽입되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부착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지지부가 회전 및 틸팅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부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체결되고, 돌기가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싱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부착되는 자석; 및 상기 회전부의 돌기에 틸팅되게 체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돌기에 틸팅되게 체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탈부착되게 마련되는 캡부재;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캡부재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USB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수단에 체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에 따르면, 스마트기기용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부에 USB 메모리를 구비하여 케이스의 지지 기능에 추가하여 데이터 저장 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서 위치를 바꾸어 부착될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서 탈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스마트기기 케이스를 가로 방향으로 지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스마트기기 케이스를 세로 방향으로 지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스마트기기 케이스를 세로 방향으로 다양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지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에서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와 관련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서 위치를 바꾸어 부착될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서 탈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스마트기기 케이스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지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스마트기기 케이스를 세로 방향으로 다양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지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100)는 스마트기기가 삽입되는 스마트기기 케이스(10)에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부착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지지부(340)가 회전 및 틸팅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자석이 부착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상기 지지수단(300)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케이스(10)에 부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서 원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수단(30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 크기 또는 잡는 방법 등에 따라 파지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파지하였을 때 편한 위치로 상기 지지수단(300)을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300)의 부착 영역을 넓게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상기 스마트기기 케이스(10)의 배면 전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어 케이스(10) 배면 전체에 부착되거나, 도면과 같이 스마트기기에 카메라가 있는 경우 카메라가 노출되기 위해 형성된 홀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2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가방 또는 주머니 등에 넣고 빼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수단(300)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서 이탈되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수단(300)은 케이싱(310)과, 상기 케이싱(310)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체결되고 돌기(321)가 상기 케이싱(310)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부(320)와, 상기 회전부(3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싱(310)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부착되는 자석(330), 그리고 상기 회전부(320)의 돌기(321)에 틸팅되게 체결되는 지지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310)은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타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320)는 원판 형상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기(321)가 형성되게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320)가 상기 케이싱(310)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321)가 상기 케이싱(31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320)의 원판 부분은 상기 케이싱(310)의 내부에서 회전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310)에 회전부(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자석(330)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수단(300)은 상기 자석(330)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탈부착되고, 상기 회전부(320)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34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40)는 몸체(341)와, 상기 몸체(341)에 탈부착되게 마련되는 캡부재(342)와, 상기 몸체(341)와 상기 캡부재(342)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USB 메모리(343)와, 상기 몸체(341)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320)의 돌기(321)에 체결되고 상기 몸체(341)를 틸팅되게 지지하는 체결부재(3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45)는 상기 몸체(341)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부(320)의 돌기(321)에 틸팅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345)는 상기 돌기(321)에 체결된 상태에서 일정 힘 이상으로 회전시켜야 틸팅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40)는 몸체(341) 또는 캡부재(342)에 USB 메모리(343)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필요시에 상기 지지수단(30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서 탈락시켜 상기 몸체(341)에서 상기 캡부재(342)를 분리시켜 USB 메모리(343)를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부재(342)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341)와 상기 캡부재(34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4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지지수단(30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를 파지하는 경우 손가락 사이에 상기 지지수단(300)을 끼워서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동영상 등을 감상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를 책상이나 테이블 상에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 즉, 스마트기기를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30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기기를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30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를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300)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경사 각도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시야 각도에 맞출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기기를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스마트기기의 경사 각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상기 지지수단(300)이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기기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8의 상태로 상기 지지수단(300)이 상기 스마트기기를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지수단(300)이 접힐 수 있으므로, 도 8의 상태에서 상기 지지수단(300)을 90도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기기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수단(300)이 상기 스마트기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USB 메모리(343)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상기 지지수단(30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서 탈락시키고, 상기 몸체(341)에서 상기 캡부재(342)를 분리시켜 USB 메모리(343)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는 도 1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100)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지지수단(3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상기 지지수단(300)을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0)는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고리부(210)에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수단(300)의 케이싱(310)에 형성된 고리부(311)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상기 지지수단(300)을 연결하여 상기 지지수단(300)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서 탈락된 경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00)는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길이가 신장되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연결부(40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체인 등과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상기 지지수단(300)을 연결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400)의 양측단은 상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고리부(210)와 상기 케이싱(310)의 고리부(311)에서 탈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리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가 스마트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는 도 1 또는 도 9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지지수단(300)에서 지지부의 형상을 캐릭터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지지부의 외형을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로 제작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에서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는 도 1 또는 도 9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지지수단의 형상을 달리한 것이다.
즉, 도 11a와 같이, 지지수단(300a)을 슬림한 형태로 마련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사용하는 경우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1b와 같이, 지지수단(300b)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관통홀에 끼워서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스마트기기 케이스 100 :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200 : 베이스 플레이트 300 : 지지수단
310 : 케이싱 320 : 회전부
330 : 자석 340 : 지지부
341 : 몸체 342 : 캡부재
343 : USB 메모리 344 : 연결부재
345 : 체결부재 400 : 연결부

Claims (5)

  1. 스마트기기가 삽입되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부착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지지부가 회전 및 틸팅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부착되게 마련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체결되고, 돌기가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싱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부착되는 자석; 및 상기 회전부의 돌기에 틸팅되게 체결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돌기에 틸팅되게 체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탈부착되게 마련되는 캡부재; 상기 몸체와 상기 캡부재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USB 메모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지지수단에 체결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KR2020170001021U 2017-03-03 2017-03-03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KR200484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21U KR200484027Y1 (ko) 2017-03-03 2017-03-03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21U KR200484027Y1 (ko) 2017-03-03 2017-03-03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27Y1 true KR200484027Y1 (ko) 2017-07-24

Family

ID=5939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021U KR200484027Y1 (ko) 2017-03-03 2017-03-03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2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43809B1 (ko) * 2011-07-01 2013-12-20 이랄라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KR101597196B1 (ko) * 2014-08-07 2016-02-24 (주)대한특수금속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43809B1 (ko) * 2011-07-01 2013-12-20 이랄라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대
KR101597196B1 (ko) * 2014-08-07 2016-02-24 (주)대한특수금속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US20140228075A1 (en) Functional Support System For Cellular Phone Or Related Devices
JP5483407B2 (ja) 携帯情報機器用ケース
KR101392562B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54217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KR20160118995A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20140123837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4027Y1 (ko)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JP5580501B1 (ja) 携帯端末装置のアクセサリー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1628041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CN216976289U (zh) 一种磁吸指环支架
CN215897793U (zh) 一种手机保护壳及其套式推拉开合支架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200389756Y1 (ko) 카메라폰의 삼각대 탑재장치
KR102272058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102283069B1 (ko) 휴대 단말기용 고리 홀더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391791Y1 (ko) 길이가 연장되는 접이식 볼펜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CN216715761U (zh) 一种旋转调节机构、保护壳以及电子设备
KR102133135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