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557B1 -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557B1
KR101062557B1 KR1020110050908A KR20110050908A KR101062557B1 KR 101062557 B1 KR101062557 B1 KR 101062557B1 KR 1020110050908 A KR1020110050908 A KR 1020110050908A KR 20110050908 A KR20110050908 A KR 20110050908A KR 101062557 B1 KR101062557 B1 KR 101062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ing member
ring
hol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련
Original Assignee
김혜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련 filed Critical 김혜련
Priority to KR102011005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57B1/ko
Priority to JP2013550378A priority patent/JP2014503160A/ja
Priority to PCT/KR2011/007930 priority patent/WO2012086908A1/ko
Priority to CN2011800120722A priority patent/CN10278303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 피디에이(PDA)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고 링부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장착되고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돌기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관통공에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부재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RING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 THEREOF }
본 발명은 휴대전화, 피디에이(PDA)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고 링부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나 피디에이(PDA)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는 연결고리가 상단 일측에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단부에 고리 또는 장식구가 구비된 줄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휴대용이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전화 중 스마트폰과 같은 기종의 경우에는 단부에 고리 또는 장식구가 구비된 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별도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손에서 미끄러져 낙하하는 경우에는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휴대단말기를 비스듬히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기능이 구비된 가죽보호케이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죽보호케이스의 경우에는 구매비용이 상당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고, 링부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장착되고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돌기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관통공에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부재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링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부가 상기 관통공의 벽체에 대한 마찰력에 의해 회동상태가 고정되어 상기 링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링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회동편이 회동시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편에 지지되어 상기 링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링부재에 형성된 지지턱이 회동시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링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링부재에 형성된 돌기가 회동시 상기 회전돌기의 상측에 형성된 돌출턱에 지지되어 상기 링부재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는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거나, 일측면에 형성된 자석면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휴대단말기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면에는 상기 링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특정위치에 부착가능한 부착면이 형성되는 부착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돌기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관통공에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부재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며 표면에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와 본체의 접합면은 자석면으로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으며, 회전돌기에 의해 링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링부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링부재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강제회동될 경우에, 링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회동편과 관통공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편과의 지지 또는 링부재의 지지턱과 베이스부의 타측면과의 지지 또는 링부재의 돌기와 회전돌기의 상측에 형성된 돌출턱과의 지지에 의해 그 회동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휴대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어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휴대단말기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벽면에 부착되는 부착판의 장착홈에 링부재를 결합할 경우 벽면과 같은 어떠한 장소에도 휴대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어,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휴대단말기의 탁상거치를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링에 있어서, 부착판의 사시도.
도 5는 휴대단말기의 벽면거치를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분해사시도.
도 8은 휴대단말기의 탁상거치를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링에 있어서, 부착판의 사시도.
도 10은 휴대단말기의 벽면거치를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휴대단말기의 탁상거치를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링에 있어서, 부착판의 사시도.
도 15는 휴대단말기의 벽면거치를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휴대단말기의 탁상거치를 위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에 있어서, 부착판의 사시도.
도 20은 휴대단말기의 벽면거치를 위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단말기 거치링의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결합단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은,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가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하고 링부재(15)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3)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면은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고 타측면에는 관통공(13)이 형성된 회전돌기(12)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11)와, 관통공(13)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베이스부(11)의 회전돌기(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3)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231)이 형성되는 링부재(15)와,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11)는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면은 예를 들어 자석면을 형성하거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가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베이스부(11)가 실질적으로 휴대단말기(3)의 케이스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11)에는 회전돌기(12)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회전돌기(12)는 링부재(15)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돌기(12)에는 차후에 설명될 링부재(15)가 결합되도록 관통공(13)이 형성된다.
베이스부(11)와 회전돌기(12)는 각각 합성수지재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목재, 실리콘, 고무재, 세라믹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베이스부(11)의 관통공(13)에는 후술하는 링부재(15)의 삽입부(14)가 삽입되는데, 이 삽입부(14)은 차후에 설명될 체결나사(16)에 의해 관통공(13)의 내벽에 대해 마찰력을 발휘하여, 회동시 링부재(120)가 고정되어 탁상 등에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링부재(15)는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부(11)의 회전돌기(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차후에 설명될 체결나사(16)가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231)이 형성된다.
링부재(15)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금속재, 목재, 세라믹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링부재(15)는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휴대단말기(3)를 용이하게 거치시켜 영상컨텐츠의 시청을 용이하게 하는 일종의 거치대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데, 이러한 기능구현을 위하여 링부재(15)의 양단부에는 삽입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4)는 회동시 베이스부(11)의 관통공(13)의 내벽에 대해 마찰력이 작용하여 회동상태가 고정된다.
링부재(15)에는 체결나사(16)가 체결되는데, 이 체결나사(16)는 링부재(15)를 베이스부(1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상의 볼트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은 링부재(15)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판(1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부착판(17)은 휴대단말기(3)가 벽면과 같은 장소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부착판(17)의 전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완전히 회동된 링부재(15)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18)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벽과 같은 특정위치에 부착가능한 부착면(19)이 형성된다.
또한 부착판(140)의 내부에는 자석(20)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자석(20)는 휴대단말기(3)의 금속부분에 부착되어 휴대단말기(3)가 부착판(17)에 밀착되어 벽면 등과 같은 장소에 견고히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을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부재(15)에 의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3)의 휴대가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의 경우에는, 회전돌기(12)에 의해 링부재(15)가 베이스부(11)에 대해 좌우회전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는 링부재(15)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을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링부재(15)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강제회동될 경우에 링부재(15)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부(14)가 베이스부(11)의 관통공(13)의 내벽에 마찰력을 작용하여 링부재(15)가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부재(15)을 일정각도로 벌려 고정한 후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놓기만 하면, 링부재(15)가 휴대단말기(3)에 대한 일종의 배면거치대로 작용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를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을 부착판(17)의 부착면(19)을 벽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부착판(17)의 장착홈(18)에 링부재(15)를 베이스부(11)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장착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면과 같은 어떠한 장소에도 휴대단말기(3)가 거치될 수 있어,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3)를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착판(17) 내의 자력에 의해 휴대단말기(3)가 부착판(17)에 밀착되어 벽면에 더욱 견고히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0)은,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가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하고 링부재(12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3)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면은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고 타측면에는 관통공(213)이 형성된 회전돌기(111)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110)와, 관통공(213)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베이스부(110)의 회전돌기(1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3)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231)이 형성되는 링부재(120)와,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110)는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면은 예를 들어 자석면을 형성하거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가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베이스부(110)가 실질적으로 휴대단말기(3)의 케이스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110)의 타측면에는 회전돌기(111)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회전돌기(111)는 링부재(12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돌기(111)에는 차후에 설명될 링부재(120)가 결합되도록 관통공(213)이 형성된다.
베이스부(110)와 회전돌기(111)는 각각 합성수지재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목재, 실리콘, 고무재, 세라믹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관통공(213)의 내측에는 걸림편(113)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편(113)은 회동시 차후에 설명될 링부재(120)의 양단부에 형성된 회동편(114)을 지지하여 링부재(120)가 고정되어 탁상 등에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링부재(120)는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부(110)의 회전돌기(1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차후에 설명될 체결나사(240)가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231)이 형성된다.
링부재(120)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금속재, 목재, 세라믹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링부재(120)는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휴대단말기(3)를 용이하게 거치시켜 영상컨텐츠의 시청을 용이하게 하는 일종의 거치대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데, 이러한 기능구현을 위하여 링부재(120)의 양단부에는 회동편(114)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편(114)은 회동시 베이스부(110)의 관통공(213)의 내측에는 걸림편(113)에 지지되어 회동상태가 고정된다.
링부재(120)에는 체결나사(240)가 체결되는데, 이 체결나사(240)는 링부재(120)를 베이스부(11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상의 볼트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0)은 링부재(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판(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부착판(140)은 휴대단말기(3)가 벽면과 같은 장소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부착판(140)의 전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완전히 회동된 링부재(12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261)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벽과 같은 특정위치에 부착가능한 부착면(263)이 형성된다.
또한 부착판(140)의 내부에는 자석(265)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자석(265)는 휴대단말기(3)의 금속부분에 부착되어 휴대단말기(3)가 부착판(140)에 밀착되어 벽면 등과 같은 장소에 견고히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0)을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부재(120)에 의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3)의 휴대가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0)의 경우에는, 회전돌기(111)에 의해 링부재(120)가 베이스부(110)에 대해 좌우회전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는 링부재(12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0)을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링부재(12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강제회동될 경우에 링부재(120)의 양단부에 형성된 회동편(114)이 베이스부(110)의 관통공(213)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편(113)에 지지되어 링부재(120)가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부재(120)을 일정각도로 벌려 고정한 후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놓기만 하면, 링부재(120)가 휴대단말기(3)에 대한 일종의 배면거치대로 작용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를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100)을 부착판(140)의 부착면(263)을 벽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부착판(140)의 장착홈(261)에 링부재(120)를 베이스부(110)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장착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면과 같은 어떠한 장소에도 휴대단말기(3)가 거치될 수 있어,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3)를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착판(140) 내의 자력에 의해 휴대단말기(3)가 부착판(140)에 밀착되어 벽면에 더욱 견고히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200)은,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가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하고 링부재(23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3)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면은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고 타측면에는 관통공(313)이 형성된 회전돌기(211)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210)와, 관통공(313)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베이스부(210)의 회전돌기(2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휴대단말기(3)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231)이 형성되는 링부재(230)와,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210)는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면은 예를 들어 자석면을 형성하거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10)가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베이스부(210)가 실질적으로 휴대단말기(3)의 케이스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210)의 타측면에는 회전돌기(211)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회전돌기(211)는 링부재(23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돌기(211)에는 차후에 설명될 링부재(230)가 결합되도록 관통공(313)이 형성된다.
베이스부(210)와 회전돌기(211)는 각각 합성수지재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목재, 실리콘, 고무재, 세라믹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링부재(230)는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부(210)의 회전돌기(2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차후에 설명될 체결나사(340)가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231)이 형성된다.
링부재(230)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금속재, 목재, 세라믹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링부재(230)는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휴대단말기(3)를 용이하게 거치시켜 영상컨텐츠의 시청을 용이하게 하는 일종의 거치대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데, 이러한 기능구현을 위하여 링부재(230)의 일측에는 지지턱(22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220)은 회동시 베이스부(210)의 타측면에 지지되어 회동상태가 고정된다.
링부재(230)에는 체결나사(340)가 체결되는데, 이 체결나사(340)는 링부재(230)를 베이스부(21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상의 볼트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200)은 링부재(2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판(2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부착판(260)은 휴대단말기(3)가 벽면과 같은 장소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부착판(260)의 전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완전히 회동된 링부재(23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261)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벽과 같은 특정위치에 부착가능한 부착면(263)이 형성된다.
또한 부착판(260)의 내부에는 자석(265)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자석(265)는 휴대단말기(3)의 금속부분에 부착되어 휴대단말기(3)가 부착판(260)에 밀착되어 벽면 등과 같은 장소에 견고히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200)을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부재(230)에 의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3)의 휴대가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200)의 경우에는, 회전돌기(211)에 의해 링부재(230)가 베이스부(210)에 대해 좌우회전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는 링부재(23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200)을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링부재(23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강제회동될 경우에 링부재(23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턱(220)이 베이스부(210)의 배면에 지지되어 링부재(230)가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부재(230)을 일정각도로 벌려 고정한 후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놓기만 하면, 링부재(230)가 휴대단말기(3)에 대한 일종의 배면거치대로 작용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를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200)을 부착판(260)의 부착면(263)을 벽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부착판(260)의 장착홈(261)에 링부재(230)를 베이스부(210)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장착할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면과 같은 어떠한 장소에도 휴대단말기(3)가 거치될 수 있어,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3)를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착판(260) 내의 자력에 의해 휴대단말기(3)가 부착판(260)에 밀착되어 벽면에 더욱 견고히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300)은,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가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하고 링부재(33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3)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면은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고 타측면에는 관통공(413)이 형성된 회전돌기(311)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310)와, 관통공(413)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베이스부(310)의 회전돌기(3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휴대단말기(3)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231)이 형성되는 링부재(330)와,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310)는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면은 예를 들어 자석면을 형성하거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310)가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베이스부(310)가 실질적으로 휴대단말기(3)의 케이스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310)의 타측면에는 회전돌기(311)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회전돌기(311)는 링부재(33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돌기(311)에는 차후에 설명될 링부재(330)가 결합되도록 관통공(413)이 형성된다.
베이스부(310)와 회전돌기(311)는 각각 합성수지재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목재, 실리콘, 고무재, 세라믹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회전돌기(311)의 상측에는 돌출턱(320)이 형성되는데, 이 돌출턱(320)은 회동시 차후에 설명될 링부재(33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321)를 지지함으로써 링부재가 고정되어 탁상 등에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링부재(330)는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부(310)의 회전돌기(3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차후에 설명될 체결나사(440)가 관통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231)이 형성된다.
링부재(330)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금속재, 목재, 세라믹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링부재(330)는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휴대단말기(3)를 용이하게 거치시켜 영상컨텐츠의 시청을 용이하게 하는 일종의 거치대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데, 이러한 기능구현을 위하여 링부재(330)의 일측에는 돌기(321)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321)는 회동시 베이스부(310)의 회전돌기(311)의 상측 돌출턱(320)에 지지되어 회동상태가 고정된다.
링부재(330)의 에는 체결나사(440)가 체결되는데, 이 체결나사(440)는 링부재(330)를 베이스부(31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상의 볼트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300)은 링부재(3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판(3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부착판(360)은 휴대단말기(3)가 벽면과 같은 장소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부착판(360)의 전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완전히 회동된 링부재(33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261)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벽과 같은 특정위치에 부착가능한 부착면(263)이 형성된다.
또한 부착판(360)의 내부에는 자석(265)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자석(265)는 휴대단말기(3)의 금속부분에 부착되어 휴대단말기(3)가 부착판(360)에 밀착되어 벽면 등과 같은 장소에 견고히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300)을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부재(330)에 의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3)의 휴대가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300)의 경우에는, 회전돌기(311)에 의해 링부재(330)가 베이스부(310)에 대해 좌우회전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는 링부재(33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300)을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링부재(33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강제회동될 경우에 링부재(330)의 양단부에 형성된 회동편(114)이 베이스부(310)의 관통공(413)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편(113)에 지지되어 링부재(330)가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부재(330)을 일정각도로 벌려 고정한 후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놓기만 하면, 링부재(330)가 휴대단말기(3)에 대한 일종의 배면거치대로 작용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를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대해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300)을 부착판(360)의 부착면(263)을 벽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부착판(360)의 장착홈(261)에 링부재(330)를 베이스부(310)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장착할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면과 같은 어떠한 장소에도 휴대단말기(3)가 거치될 수 있어,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3)를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착판(360) 내의 자력에 의해 휴대단말기(3)가 부착판(360)에 밀착되어 벽면에 더욱 견고히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500)는, 휴대단말기(3)에 장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가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하고 링부재(43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3)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21,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에 관통공(413)이 형성된 회전돌기(411)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410)와, 관통공(413)에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휴대단말기(3)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231)이 형성된 링부재(430)와,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440)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400)과, 휴대단말기(3)를 감싸며 표면에 회전돌기(411)가 삽입되는 수용홈(512)이 형성된 본체(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500)는 휴대단말기(3)를 감싸 보호하고, 베이스부(410)의 회전돌기(411)가 삽입되는 수용홈(513)이 일측에 형성된다. 휴대단말기 거치링(400)와 본체(500)의 접합면은 자석면(511)으로 형성하여 금속면에 결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휴대단말기 거치링(400)이 본체(500)에 착탈이 가능하다.
그리고, 휴대단말기 거치링(400)은 본체(500)에 결합되는 것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10, 100, 200, 300, 400 :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링
3 : 휴대단말기
11, 110, 210, 310, 410 : 베이스부
12, 111, 211, 311, 411: 회전돌기
14 : 삽입부
113 : 걸림편
114 : 회동편
13, 213, 313, 413 : 관통공
15, 120, 230, 330, 430 : 링부재
220 : 지지턱
320 : 돌출턱
321 : 돌기
16, 240, 340, 440 : 체결나사
17, 140, 260, 360 : 부착판
500 : 본체

Claims (10)

  1.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장착되고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돌기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관통공에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부재;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부가 상기 관통공의 벽체에 대한 마찰력에 의해 회동상태가 고정되어 상기 링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회동편이 회동시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편에 지지되어 상기 링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에 형성된 지지턱이 회동시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링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에 형성된 돌기가 회동시 상기 회전돌기의 상측에 형성된 돌출턱에 지지되어 상기 링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일측면에 형성된 자석면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휴대단말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전면에는 상기 링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특정위치에 부착가능한 부착면이 형성되는 부착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9. 양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돌기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관통공에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회동시 일정각도로 고정되며,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링부재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며 표면에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본체의 접합면은 자석면으로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20110050908A 2011-01-21 2011-05-27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06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908A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5-27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JP2013550378A JP2014503160A (ja) 2011-01-21 2011-10-24 携帯端末用のフィンガーリングおよ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ケース
PCT/KR2011/007930 WO2012086908A1 (ko) 2011-01-21 2011-10-24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CN2011800120722A CN102783039A (zh) 2011-01-21 2011-10-24 便携终端用指环及具备其的便携终端外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908A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5-27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557B1 true KR101062557B1 (ko) 2011-09-05

Family

ID=4495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908A KR101062557B1 (ko) 2011-01-21 2011-05-27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557B1 (ko)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83B1 (ko) 2012-05-18 2013-07-05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0468710Y1 (ko) 2013-05-30 2013-09-10 이형규 휴대 단말기용 손가락 삽입 파지구 및 이를 구비한 보호 케이스
WO2013147376A1 (ko) * 2012-03-26 2013-10-03 Shon Tae-Gug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316363B1 (ko) *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331564B1 (ko) * 2012-03-07 2013-11-20 김은광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344639B1 (ko) * 2012-09-12 2013-12-26 임대섭 스마트폰 거치장치
WO2014168344A1 (ko) * 2013-04-10 2014-10-16 주식회사 제이글로비스 모바일기기 케이스
WO2014168374A1 (ko) * 2013-04-12 2014-10-1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모바일 기기의 액세서리 및 이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차량 장착 장치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481256B1 (ko) * 2013-04-12 2015-01-15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ES2525392R1 (es) * 2011-01-11 2015-01-26 Sung-mok Cho Soporte de dispositivo electrónico portátil
KR200476134Y1 (ko) 2013-12-31 2015-02-0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KR200476690Y1 (ko) * 2014-07-31 2015-03-23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KR20150124462A (ko) * 2014-04-09 2015-11-06 금경원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03392A (ko) 2014-07-01 2016-01-11 이을호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628041B1 (ko) * 2015-04-02 2016-06-21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81933Y1 (ko) 2016-09-07 2016-11-28 김행준 링끼움구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692961B1 (ko) * 2015-09-02 2017-01-05 김민재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718295B1 (ko) * 2016-12-02 2017-03-20 나윤상 자력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4027Y1 (ko) * 2017-03-03 2017-07-24 최영진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WO2017222157A1 (ko) * 2016-06-23 2017-12-28 전대형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KR20180000041U (ko) * 2016-06-24 2018-01-04 민금순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KR101837311B1 (ko) 2016-12-09 2018-04-19 김진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RU2654288C1 (ru) * 2014-08-01 2018-05-18 Аллен Хирщ Устройство, помогающее пользователю держать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8230808A1 (ko) * 2017-06-15 2018-12-20 김동민 골프클럽의 그립 착탈식 휴대용 손가락 결속장치
WO2019022449A1 (ko) * 2017-07-26 2019-01-31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WO2019045178A1 (ko) * 2017-09-01 2019-03-07 맹용주 사물 포지셔닝 장치
KR101963517B1 (ko) 2017-11-29 2019-03-28 한진환 휴대 단말기용 핑거 홀더
WO2019039737A3 (ko) * 2017-08-24 2019-04-18 전대형 다용도 키트 케이스 겸용 전자기기 거치대
US10627046B1 (en) 2018-09-28 2020-04-21 Aauxx Usa, Inc.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620B1 (ko) 2007-05-25 2008-05-30 박경준 핸드폰 고리 클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620B1 (ko) 2007-05-25 2008-05-30 박경준 핸드폰 고리 클립

Cited B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25392R1 (es) * 2011-01-11 2015-01-26 Sung-mok Cho Soporte de dispositivo electrónico portátil
KR101331564B1 (ko) * 2012-03-07 2013-11-20 김은광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WO2013147376A1 (ko) * 2012-03-26 2013-10-03 Shon Tae-Gug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316363B1 (ko) *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280783B1 (ko) 2012-05-18 2013-07-05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344639B1 (ko) * 2012-09-12 2013-12-26 임대섭 스마트폰 거치장치
WO2014168344A1 (ko) * 2013-04-10 2014-10-16 주식회사 제이글로비스 모바일기기 케이스
KR101481256B1 (ko) * 2013-04-12 2015-01-15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RU2628408C2 (ru) * 2013-04-12 2017-08-16 Аокс Корея Ко., Лтд Аксессуар и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WO2014168374A1 (ko) * 2013-04-12 2014-10-1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모바일 기기의 액세서리 및 이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차량 장착 장치
US9421920B2 (en) 2013-04-12 2016-08-23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KR200468710Y1 (ko) 2013-05-30 2013-09-10 이형규 휴대 단말기용 손가락 삽입 파지구 및 이를 구비한 보호 케이스
KR200476134Y1 (ko) 2013-12-31 2015-02-0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WO2015147462A1 (ko) * 2014-03-28 2015-10-01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20150124462A (ko) * 2014-04-09 2015-11-06 금경원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663817B1 (ko) 2014-04-09 2016-10-10 금경원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03392A (ko) 2014-07-01 2016-01-11 이을호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76690Y1 (ko) * 2014-07-31 2015-03-23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RU2654288C1 (ru) * 2014-08-01 2018-05-18 Аллен Хирщ Устройство, помогающее пользователю держать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0965336B2 (en) 2014-08-01 2021-03-30 Handl New York, Llc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US10601458B2 (en) 2014-08-01 2020-03-24 Handl New York, Llc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US10153800B2 (en) 2014-08-01 2018-12-11 Allen Hirsch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KR101628041B1 (ko) * 2015-04-02 2016-06-21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WO2016159743A3 (ko) * 2015-04-02 2016-11-24 (주)유리네트웍스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692961B1 (ko) * 2015-09-02 2017-01-05 김민재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7222157A1 (ko) * 2016-06-23 2017-12-28 전대형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세서리
KR20180000041U (ko) * 2016-06-24 2018-01-04 민금순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KR200485457Y1 (ko) 2016-06-24 2018-01-11 민금순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KR200481933Y1 (ko) 2016-09-07 2016-11-28 김행준 링끼움구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718295B1 (ko) * 2016-12-02 2017-03-20 나윤상 자력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837311B1 (ko) 2016-12-09 2018-04-19 김진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4027Y1 (ko) * 2017-03-03 2017-07-24 최영진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WO2018230808A1 (ko) * 2017-06-15 2018-12-20 김동민 골프클럽의 그립 착탈식 휴대용 손가락 결속장치
KR20190011933A (ko) * 2017-07-26 2019-02-08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KR102000677B1 (ko) * 2017-07-26 2019-07-16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WO2019022449A1 (ko) * 2017-07-26 2019-01-31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WO2019039737A3 (ko) * 2017-08-24 2019-04-18 전대형 다용도 키트 케이스 겸용 전자기기 거치대
WO2019045178A1 (ko) * 2017-09-01 2019-03-07 맹용주 사물 포지셔닝 장치
KR101963517B1 (ko) 2017-11-29 2019-03-28 한진환 휴대 단말기용 핑거 홀더
US10627046B1 (en) 2018-09-28 2020-04-21 Aauxx Usa, Inc.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062570B1 (ko)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49302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JP2014503160A (ja) 携帯端末用のフィンガーリングおよ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ケース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608754B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090218454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351531A1 (en) Smartphone or tablet mounting device and method
KR101267636B1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TWM242606U (en) Multi-functional hooking and retaining apparatus
KR101557968B1 (ko)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US9772064B2 (en) Display with a supporting mechanism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160118995A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KR101042534B1 (ko) 핸드폰 거치대
KR20140017142A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20180060460A (ko) 자전거 거치기능을 갖는 셀카봉
KR101187753B1 (ko) 휴대폰 케이스
CN112166281B (zh) 可调节式移动设备悬挂器
KR101628041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CN215488948U (zh) 多功能电子设备支架
KR101044749B1 (ko) 벽걸이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