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620B1 - 핸드폰 고리 클립 - Google Patents

핸드폰 고리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620B1
KR100833620B1 KR1020070050791A KR20070050791A KR100833620B1 KR 100833620 B1 KR100833620 B1 KR 100833620B1 KR 1020070050791 A KR1020070050791 A KR 1020070050791A KR 20070050791 A KR20070050791 A KR 20070050791A KR 100833620 B1 KR100833620 B1 KR 100833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lip
upper plate
waistba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준
홍 대 박
Original Assignee
박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준 filed Critical 박경준
Priority to KR102007005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5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belt or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의 판 형상 부재를 절곡하여 협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협지부를 허리띠에 끼워 걸착하는 것으로서, 핸드폰과 같은 크기가 작은 소지품을 줄이나 체인 등으로 연장연결하는 클립 형상으로 사용자의 허리띠 등에 걸착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은 일 단부에는 상향으로 굽은 선단부, 양 측부 각각에 구성되는 돌출편, 장신구 등을 부착하기 위한 결합공을 가지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타 단으로부터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과 대응하여 협지부를 구성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사용자는 허리띠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걸착과 탈착이 가능하고 허리띠의 걸착 상태에 있어서 접지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은 절곡부에 협지부로 향하도록 함몰된 이중 절곡부 또는 상부판에 절개되어 절곡부를 향하는 자유단을 가지고 협지부 내부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편를 더욱 구성하여 허리띠에 걸착시 보다 안정된 밀착을 제공한다.
핸드폰, 휴대폰, 클립, 벨트, 허리띠, 폰고리, 절곡부

Description

핸드폰 고리 클립{Clip for Portable Tele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의 일 사용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을 사용자가 착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8 내지 도 10 각각은 종래의 걸고리의 정면도 및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판 10 : 괘지용 링
11, 12 : 돌출편 15 : 통공부
16 : 선단부 2 : 하부판
3 : 절곡부 35 : 이중 절곡부
41 : 절개부 42 : 탄성편
5 : 결합공 a : 허리띠
b : 장신구 c : 체인, 줄
p : 핸드폰
본 발명은 일체의 판 형상 부재를 절곡하여 협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협지부를 허리띠에 끼워 걸착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폰, 열쇠 등과 같은 크기가 작은 소지품을 줄이나 체인 등으로 연장연결되는 클립 형상으로 사용자의 허리띠 등에 걸착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에 관한 것이다.
근대에 와서 문화생활의 발달로 인하여 아파트, 자동차나 집 등의 열쇠를 다수 휴대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핸드폰을 항시 소지하고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통상의 사용자들은 상기의 열쇠나 핸드폰 등을 가방이나 핸드백에 넣고 다니거나 일반적으로 상,하의 주머니에 넣고 활동하게 된다.
이렇게 의복에 마련된 주머니에 핸드폰을 넣어 소지하게 되면 의복의 주머니를 손상시키거나 주머니에 들어있는 열쇠나 동전 등과 마찰로 핸드폰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아가 핸드폰의 자체 중량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게 빠져 분실되어 버리는 일이 빈번히 일어났다.
이에, 도 8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바지 등에 마련되는 허리띠 고리에 걸착시키는 걸고리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걸고리는 상단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아여 허리띠 고리 등에 걸착 가능한 걸착 고리부와, 상기 걸착 고리부 하단에 마련되어 핸드폰이나 열쇠의 연결부에 줄이나 체인 등으로 연장연결할 수 있는 괘지용 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걸고리는 의복에 허리띠 고리와 같은 고리형상이 있어야만 걸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허리띠 고리가 아니라 의복의 가장자리 또는 허리띠의 상측에 끼워 걸착하는 클립형의 고리가 다수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도 9의 대한민국 공고번호 실1986-0002449의 "열쇠고리"에서와 같이, U형의 클립의 몸체 일측부 등에 허리띠와의 견고한 걸착을 위한 부가 구성요소들을 추가 구성되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에 있어 클립의 탈착 과정이 번거로워지는 요소가 되어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도 10의 대한민국 공개번호 실1998-0009923의 "핸드폰 걸이용 벨트클립"과 같이 핸드폰 소지를 위한 케이스 구성기술이 여러 형상으로 제안되고 있는데, 별도 케이스를 마련하고 상기 케이스에 핸드폰을 수납한 후 상기 케이스를 허리에 걸착하는 기술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술들은 별도 케이스에 핸드폰을 수납하고 케이스를 여닫는 등의 번거로운 사용법에 때문에 사용자들이 불편 해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별도의 케이스가 구성되는 경우 허리띠를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형식인 경우 사용자가 하의를 갈아입거나 하는 경우 케이스를 빼기 위해 허리띠를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핸드폰의 배터리부분에 클립이 부착되는 경우 핸드폰 자체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으로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운전시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몸이나 의복에 핸드폰 거치를 하지 않는 경우, 핸드폰을 조수석이나 재떨이 부근에 두거나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는 핸드폰의 착신이나 수신상태의 확인이 어렵고 운전중에 핸드폰을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 운전을 잠시나마 소홀히 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허리띠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걸착과 탈착이 가능하고, 허리띠에 걸착에 있어서 보다 안정된 밀착을 제공하기 위한 접지력이 향상되는 핸드폰 고리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체의 판 형상 부재를 절곡하여 협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협지부를 허리띠에 끼워 걸착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에 있어서, 일 단부에는 상향으로 굽은 선단부와, 양 측부 각각에 구성되는 돌출편과, 장신구를 부착하기 위한 결합공을 가지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타 단으로부터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 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과 대응하여 협지부를 구성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는 핸드폰 고리 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협지부로 향하도록 함몰된 이중 절곡부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상부판에는 절개되어 상기 절곡부(3)를 향하는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협지부 내부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편이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된 통공부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대한 구성요소 간의 관계 등에 따른 설명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의 사시도와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의 사시도와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일체의 판 형상 부재를 절곡하여 U자형의 몸체 형상으로서 일측이 개방된 협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협지부를 허리띠에 끼워 걸착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핸드폰 고리 클립은 크게, 상부판(1)과 상기 상부판(1)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굴곡부(3)와, 상기 굴곡부(3)에서 연장되되 상기 상부판(1)과 대응하여 일측이 개방된 협지부를 구성하는 하부판(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1)과 하부판(2) 각각은 일체의 판 형상을 절곡하여 구성하되 상기 판상의 재질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금속이거나 합성수지 등이면 충분하며 이에 더하여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판(1)은 일 단부에 상향으로 굽은 선단부(16)가 구성된다. 상기 선단부(16)는 허리띠 등에 끼워 걸착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걸착 가능하도록 협지부의 개방된 부분을 넓히는 효과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부판(1)과 하부판(2) 사이에 구성되는 협지부는 그 간격이, 끼워지는 허리띠의 두께에 근접하거나 허리띠의 두께보다 다소 작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즉, 이와 같은 상부판(1)과 하부판(2) 사이에 구성되는 협지부의 간격에 의해 상부판(1)과 하부판(2) 각 말단부(허리띠에 끼우는 경우에 최초로 접하는 단부들) 사이의 간격이 허리띠의 두께보다 작으면 사용자가 걸착을 위한 동작시 손으로 상기 구성되는 협지부의 간격을 보다 개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상기의 걸착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판(1)의 일 단부에 상향으로 굽은 선단부(16)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허리띠에 걸 착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판(1)에는 양 측부 각각에 구성되는 돌출편(11, 12)이 구성된다.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상기 각 돌출편(11, 12)은 하나씩 또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돌출편(11, 12)들은 하부편(2)측으로 즉, 협지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허리띠에 접하는 방향으로 약간 굽히도록 형성시켜 본 발명의 핸드폰 고리 클립이 허리띠에 걸착시 허리띠를 압착하는 효과가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2와 도4에서 보여지는 화살표는 압착상태를 보여준다.)
이는 걸착된 핸드폰 고리 클립이 안정감 있는 걸착상태를 유지하고 핸드폰 고리 클립의 걸착시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밀착되는 접지부분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부판(1)에는 결합공(5)을 더욱 구성하여 미관상 아름다운 보석류나 소형 장신구(b)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5는 상기 상부판(1)에 형성되는 결합공(5)(도 5에서는 미도시됨)에 장신구(b)를 더욱 부착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상부판(1)의 타 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3)와, 상기 절곡부(3)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과 대응하여 협지부를 구성하는 하부판(2)이 구성된다.
상기 절곡부(3)에는 관통홀(도번 미도시)을 형성하거나 또는 형성되는 협지 부 사이에 괘지용 링(10)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 열쇠 또는 핸드폰에서 연장연결되는 줄이나 체인 등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절곡부(3)의 형상을 전방으로 굽어 휘어지도록 형상하여 허리띠가 협지부로 삽입되어 걸착하는 경우, 삽입된 허리띠의 상단부를 상기 휘어진 절곡부(3)에 의해 더욱 압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3)의 굽은 정도는 도 2의 g에서와 같이 30도 내지 45도 정도이면 충분하다.
상기 하부판(2)은 본 발명의 핸드폰 고리 클립이 허리띠에 걸착시, 허리띠와 바지 사이의 접촉면 사이로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굴곡 없이 편평한 상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와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부판(1)과 하부판(2)의 구성에 있어 그 길이의 선택은 자유로우나 통상의 허리띠에 걸착시 허리띠를 1/2 정도로 끼울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요소에 더하여 이중 절곡부(35) 및 탄성편(42)을 제안하여 보단 안정적인 걸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핸드폰 고리 클립을 제공하며 더욱 상세한 설명은 각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절곡부(3)에 상부판(1)과 하부판(2) 사이에 형성되는 협지부로 향하도록 함몰된 이중 절곡부(35)를 더욱 구성되도록 하여 핸드폰 고리 클립이 허리띠에 걸착시 상기 이중 절곡 부(35)가 허리띠의 상단부를 더욱 압착할 수 있도록 하여(도 2의 이중 절곡부(35)에서 발생하는 압착력을 표시하는 화살표 참고) 핸드폰 고리 클립이 허리띠에서 발생되는 좌우 유동을 줄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상부판(1)에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절개부(41)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3)를 향하는 자유단을 가지고 협지부 내부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편(42)을 구성한다.
상기 탄성편(42)은 핸드폰 고리 클립이 허리띠에 걸착시 상기 허리띠의 상단부를 더욱 압착될 수 있도록 자유단의 말단 부분이 허리띠에 접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허리띠를 압착하여 되도록 하여 핸드폰 고리 클립이 허리띠에서 발생되는 좌우 유동을 줄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여지는 탄성편(42)에 표시되는 화살표는 탄성편(42)의 말단부가 허리띠를 압착하는 압착력의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된 통공부(15)가 더욱 구성된다. 상기 관통부(15)는 상부판(1)을 일부분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그 형상은 제안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15)는 본 발명의 핸드폰 고리 클립이 허리띠에 걸착시 허리띠의 일부분(관통부에 대응하는)이 관통부(15)를 통하여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허리띠와 더욱 견고한 밀착을 확보하는 효과를 거둬 보다 안정감 있는 걸착상태를 유지하고 핸드폰 고리 클립의 걸착시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밀착부분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6과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의 일 사용 및 사용자가 이를 착용한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및 사용을 알아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핸드폰 고리 클립을 핸드폰(p)과 줄 또는 체인(c)으로 연장 연결한 예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줄 또는 체인(c)은 그 재질이 탄성이 있는 것일 수 있고 탄성이 없는 것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에 작은 장신구를 더욱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허리띠에 걸착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핸드폰(p)에 연결된 줄 또는 체인(c)의 길이는 제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줄 또는 체인(c)의 길이를 핸드폰(p)이 주머니에 넣었을 경우 핸드폰(P)의 몸체의 1/2 정도만 상기 주머니에 넣어질 수 있도록 상기 줄 또는 체인(c)의 길이를 정하도록 하면, 주머니에 넣어져 있는 동전이나 열쇠 등에 의해 핸드폰(p)이 상처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핸드폰(p)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고리 클립에 의해 허리띠(a)에 걸착되어 있기 때문에 주머니에서 쉽게 빠지거나 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폰 고리 클립은 사용자가 허리띠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걸착과 탈착이 가능하며 허리띠에 걸착에 있어서 접지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곡부에 협지부로 향하도록 함몰된 이중 절곡부 또는 상부판에는 절개되어 절곡부를 향하는 자유단을 가지고 협지부 내부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편를 더욱 구성하여 허리띠에 걸착시 보다 안정된 밀착할 수 있는 핸드폰 고리 클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일체의 판 형상 부재를 절곡하여 협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협지부를 허리띠에 끼워 걸착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에 있어서,
    일 단부에는 상향으로 굽은 선단부(16)와, 양 측부 각각에 구성되는 돌출편(11, 12)과, 장신구를 부착하기 위한 결합공(5)을 가지는 상부판(1)과;
    상기 상부판(1)의 타 단으로부터 형성되는 절곡부(3)와;
    상기 절곡부(3)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과 대응하여 협지부를 구성하는 하부판(2)으로 이루어지는 핸드폰 고리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3)에는 상기 협지부로 향하도록 함몰된 이중 절곡부(35)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에는 절개되어 상기 절곡부(3)를 향하는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협지부 내부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편(42)이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된 통공부(15)가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고리 클립.
KR1020070050791A 2007-05-25 2007-05-25 핸드폰 고리 클립 KR100833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91A KR100833620B1 (ko) 2007-05-25 2007-05-25 핸드폰 고리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91A KR100833620B1 (ko) 2007-05-25 2007-05-25 핸드폰 고리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620B1 true KR100833620B1 (ko) 2008-05-30

Family

ID=3966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791A KR100833620B1 (ko) 2007-05-25 2007-05-25 핸드폰 고리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6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039B1 (ko) 2008-08-07 2011-05-02 박경준 심플 폰 클립
KR101062570B1 (ko)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85768Y1 (ko) * 2016-08-10 2018-02-20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볼 마커 홀더
USD862067S1 (en) * 2018-04-19 2019-10-08 Touching Design LLC Key chain cli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303U (ko) * 1998-03-03 1999-10-05 조공기 걸이기구
JP2000287737A (ja) 1999-04-12 2000-10-17 Tokyo Kinzoku Kogyo Kk 携帯機器用落下防止装置
JP2001346624A (ja) 2000-06-07 2001-12-18 Toshisuke Ozaki 携帯通信機器落下防止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303U (ko) * 1998-03-03 1999-10-05 조공기 걸이기구
JP2000287737A (ja) 1999-04-12 2000-10-17 Tokyo Kinzoku Kogyo Kk 携帯機器用落下防止装置
JP2001346624A (ja) 2000-06-07 2001-12-18 Toshisuke Ozaki 携帯通信機器落下防止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039B1 (ko) 2008-08-07 2011-05-02 박경준 심플 폰 클립
KR101062570B1 (ko)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85768Y1 (ko) * 2016-08-10 2018-02-20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볼 마커 홀더
USD862067S1 (en) * 2018-04-19 2019-10-08 Touching Design LLC Key chain cl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4065S1 (en) Clasp
USD564753S1 (en) Belt or strap clip for cell phone or other personal electronic device
KR100833620B1 (ko) 핸드폰 고리 클립
US20030103624A1 (en) Slip casing for mobile phone
USD595930S1 (en) Side mounting suspenders with belt attachment clips
US20140338694A1 (en) Decorative charm
US9198480B1 (en) Button cover
USD554365S1 (en) Arm strap purse with cellular phone pocket
US20150250270A1 (en) Stress-Relieving Button Cover
USD600009S1 (en) Suspender holster with magazine pouch and belt hooks
USD557171S1 (en) Longhorn style ornament
JP2009513229A (ja) 腰ベルトバックルの固定装置
USD474594S1 (en) Phone holster
US20120240624A1 (en) Decorative charm
KR101549001B1 (ko) 일종의 장식 기능을 구비한 블루투스 수신장치
USD519404S1 (en) Seat belt shield
KR20100004193U (ko) 스피드 네일식 핸드폰 고리 클립
USD517946S1 (en) Seat belt shield with single attaching strap
EP1879483A1 (en) Serviette support
US20090260192A1 (en) Belt clip
USD594650S1 (en) Suspender holster with belt hooks
KR20090030764A (ko) 핸드폰 고리 클립
KR100817725B1 (ko) 탄성 핸드폰 고리 클립
JP2020180403A (ja) 衣服用ベルト
KR20110085670A (ko) 터미널 심플 핸드폰 고리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