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968B1 -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968B1
KR101557968B1 KR1020130131540A KR20130131540A KR101557968B1 KR 101557968 B1 KR101557968 B1 KR 101557968B1 KR 1020130131540 A KR1020130131540 A KR 1020130131540A KR 20130131540 A KR20130131540 A KR 20130131540A KR 101557968 B1 KR101557968 B1 KR 10155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eating
magnet
grip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109A (ko
Inventor
한용석
Original Assignee
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석 filed Critical 한용석
Priority to KR102013013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9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거치대로서, 지지체의 하부에는 흡착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그립부착수단으로 이루어진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를 형성하되, 상기 그립부착수단은 직사각형상으로 자석(221)이 내장된 자석안착부(200)와 자석안착카바(300)로 결합되도록 형성하며, 여기에 부착되는 그립부(100)는 직사각형상의 철판부(110)로 형성하고, 상기 철판부(110)의 중심부를 벗어난 상부 지점에 회전축(120)을 형성함과 동시에 둥근고리(130)를 결합시켜 철판부(110)의 넓은 공간부("A")와 자석안착부(200)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이다

Description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APPARATUS FOR FIXING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 거치대에 별도의 행그 그립을 적용하여 원하는 위치나 방향으로 스마트 폰을 부착할 수 있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에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 폰 지지체(400)의 상부에 카바부착부(500)를 형성하고, 상기 카바부착부(500)에는 자석을 내장시켜 폰 카바(80)의 내부 중앙부위에 소형의 둥근 형상으로 된 철판(221)을 부착시켜 스마트 폰에 접착제로 접합한 후, 이의 뒷면을 상기 카바부착부(500)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었다.
미설명 부호 420은 카바부착부(500)와 지지체(400)를 연결하는 볼수용결합캡이고, 430은 볼축, 440은 흡착판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행거 그립에 관한 기술이 특허등록 10-1316363호로 소개되어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 보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둥근고리(40)를 구비함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베이스부(20)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20)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휴대단말기(1)의 배면에 탈부착되므로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35×40 (단위:mm)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1.5t 정도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20)는 중앙부에 관통홀(21)이 형성되어, 회동부(30)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20)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톱바(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30)는 하단에 형성되는 스톱바 지지대(33)와 스톱바 지지대(33)의 상면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1쌍의 스톱바(31) 및 상단에 스톱바(31)를 수용하는 덮개(3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34)의 상단에는 회동돌기(37)가 형성되어 베이스부(20)의 타면에서 관통홀(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부(30)를 좌우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돌기(37)가 관통홀(21)에 삽입되는 경우 베이스부(20) 일면에는 결합링(22)이 구비되어 회동돌기(37)에 끼움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행거 그립의 사용은 베이스부(20)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 부분을 스마트 폰의 뒷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스마트 폰을 자유롭게 붙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스마트 폰을 안전적으로 손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제2실시예인 행거 그립의 기술 적용이 불가능하였고, 제2실시예인 행거 그립은 실시예 그대로는 제1실시예의 자석이 내장된 카바부착부(500)에 그대로 부착할 경우, 그 크기로 보면 베이스부(20)에 회동돌기(37)가 끼워지는 중앙지점에 있는 관통홀(21)의 좌우측 A공간과 B공간에 상기 카바부착부(500)를 부착하여야 하는데, 그 폭이 좁아 사용하기가 불가능하였고, 더구나, 현 제품은 베이스부(20)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제1실시예의 카바부착부(500)에 형성된 자석에 부착되지도 않아 양 발명의 장점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2실시예와 같은 행거 그립을 제1실시예의 도 1과 같은 둥근 카바부착부(500)에 부착할 경우에는 행거 그립의 A공간이나 B공간(크기 동일)에 부착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 접촉면적도 작아 자력이 미치는 영향이 작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자중을 이길 수 있는 자석을 제작하는 것도 그리 쉬운 일도 아니고 단가 문제는 물론 제작과정에서도 자석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상존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그립부(100)를 자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철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그립부의 구조를 회동돌기(37)가 끼워지는 중앙지점에 있는 관통홀(21)의 좌우측 A공간과 B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어느 한 부분에 자석안착부(200)가 충분히 붙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자석안착부(200)의 자석도 충분한 자력이 미칠 수 있는 배열을 제공하여, 어느 부분에 그립부(100)를 부착하여도 안정적으로 부착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의 거치대로서, 지지체의 하부에는 흡착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그립부착수단으로 이루어진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착수단은 직사각형상으로 자석(221)이 내장된 자석안착부(200)와 자석안착카바(300)로 결합되도록 형성하며, 여기에 부착되는 그립부(100)는 직사각형상의 철판부(110)로 형성하고, 상기 철판부(110)의 중심부를 벗어난 상부 지점에 회전축(120)을 형성함과 동시에 둥근고리(130)를 결합시켜 철판부(110)의 넓은 공간부("A")와 자석안착부(200)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되, 상기 철판부(110)에 대한 회전축(120)의 위치는 그립부(100)의 길이 비율 a(공간부"A"):b(공간부"B")는 2:1로 되면서, 그 구획되는 지점에서 상기 회전축(1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간부("A")에 결합되는 자석안착부(200)의 자석안착판(220)의 폭과 넓이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자석(221)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크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자석안착부(200)는 직사각 형상으로 하되, 라바(210)와 자석안착판(22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바(210)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211)가 형성되어 사각형상으로 된 자석안착카바(300)의 테두리결합부(3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석안착부(200)의 자석안착판(220)에는 자석(221)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 1/3 지점에 자석안착부카바(300)와 결합시킬 수 있는 너트부(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안착부카바(300)의 전면은 상기 자석안착부(200)와 결합되고, 뒷면에은 볼수용부(3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수용부(320)의 중앙에 볼트공(32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자석안착부(200)의 자석안착판(220)은 직사각 형상으로 하되, 둥근 형상으로 된 6개의 자석이 세로 방향으로 2열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볼수용부(320)의 볼트공(329)과 결합되는 너트부(222)가 형성되는 지점은 자석안착판(220)의 길이 비율 a : b가 2 : 1로 되게 하고, a, b부분에 각각 4개 및 2개의 자석이 형성되며, 이에 결합되는 자석안착카바(300)의 볼트공(329)의 비율 및 위치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행거 그립을 부착한 휴대폰일지라도 흡착판이 형성된 지지체에 사용가능한 구조로서, 우선 그립부(100)를 자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철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그립부의 구조를 회동돌기(37)가 끼워지는 중앙지점에 있는 관통홀(21)의 좌우측 A공간과 B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어느 한 부분에 자석안착부(200)가 충분히 붙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였으므로, 상기 자석안착부(200)의 자석도 충분한 자력이 미칠 수 있는 배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어느 부분에 그립부(100)를 부착하여도 안정적으로 부착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제1실시예의 폰 카바에 철판부이 붙어 있는 상태도
도 3은 종래 제1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종래 제2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종래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그립부의 분해 사시도
도 8(a)(b)는 본 발명의 자석안착부(a)와 이의 카바(b)에 관한 분해 단면도
도 9(a)(b)는 본 발명의 자석안착부에 결합되는 라바에 관한 표면(a)과 내측면(b)에 관한 사시도
도 10(a)(b)는 본 발명의 자석안착판에 관한 앞면(a)과 뒷면(b)에 관한 사시도
도 11(a)(b)(c)는 본 발명의 휴대폰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수직 내지는 좌우 수평으로 지지체에 그립부가 부착되는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폰 결합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타블릿 결합 사시도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그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과 동일하여 반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립부(100)는 사각형상의 철판부(110)로 형성하고, 상기 철판부(110)의 상부 지점에 회전축(120)을 형성하여 여기에 둥근고리(130)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이하, "행거 그립"이라 한다).
상기 철판부(110)에 대한 회전축(120)의 위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둥근고리(130)가 형성되는 지점으로서 그립부(100)의 길이 비율 a(공간부"A") : b(공간부"B")는 2 : 1로 되면서, 그 구획되는 지점에서 상기 회전축(120)을 형성하여 하단(도면에서 보아)에는 자석안착부(200)와 결합되는 공간부("A")를 형성하여 상기 자석안착부(200)를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철판부의 외부는 플라스틱 계열로 도포되어 매끈한 면을 보이거나, 외부를 도자기 등으로 무늬를 낼 수 있다.
더구나, 후술되지만 자력의 균일한 형성을 위하여, 이에 결합되는 자석안착판(220)의 배치도 이의 비율 및 위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100)가 부착되는 자석안착부(200)와 자석안착부카바(300)(이하, "그립부착수단"이라 한다)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직사각형상으로 된 자석안착부(200)에는 자석(221)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 1/3 지점에 자석안착부카바(300)와 결합시킬 수 있는 너트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석안착부카바(300)의 전면은 상기 자석안착부(200)와 결합되고, 뒷면은 볼수용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볼수용부(320)는 볼수용리브(321)가 안 쪽으로 다소 둥글게 형성되면서 그 사이에는 절결부(325)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부에는 횡으로 된 나선부(32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볼트(327)에 의하여 자석안착부(200)와 결합되는 볼트공(32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직사각형상의 자석안착부(200)는 자석(221)의 배열에 있어서 가장자리(모퉁이)까지 자석을 배열할 수 있어서 이에 상응되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그립부(100)가 자력이 충분히 미칠 수 있는 구조로 접합되기 때문에, 원형상의 카바부착수단으로는 모퉁이가 잘려 없고, 자석도 배치할 수 없는 형상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작용효과를 동일하게 나타낼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벽면 등에 부착되는 지지체(400)는 상부에 상기 볼수용부(320)에 끼워지는 둥근 볼(4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410)의 볼축(430)에 끼워져 볼수용리브(321)의 나선부(323)와 나사결합되는 결합캡(420)이 둥글게 형성되어 캡을 조일수록 단단하게 조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통상의 흡착판(4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판(440)에는 흡착판조절손잡이(441)와 흡착판분리고리(4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흡착판의 구성은 공기에 의한 흡착도 있을 수 있고, 접착제에 의한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이하, "흡착수단"이라 한다).
더구나, 휴대폰의 거치대로서 지지체의 하부에는 흡착판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회동가능한 볼이 볼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을 수용하는 볼수용부가 형성된 그립부착수단이란 의미는 그립부를 부착할 수 있는 카바부착부에 휴대폰의 방향을 돌릴 수 있는 구조를 뜻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볼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회동되지 않는 볼수용부가 없는 일방향의 고정 형식으로 가능함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자석안착부 및 그 카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b)는 본 발명의 자석안착부(a)와 이의 카바(b)에 관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9(a)(b)는 본 발명의 자석안착부에 결합되는 라바에 관한 표면(a)과 내측면(b)에 관한 사시도이며, 도 10(a)(b)는 본 발명의 자석안착판에 관한 앞면(a)과 뒷면(b)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9,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석안착부(200)는 직사각 형상으로 하되, 라바(210)와 자석안착판(22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바(210)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211)가 형성되어 자석안착카바(300)의 테두리결합부(3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석(221)은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고, 6개의 자석이 세로 방향으로 2열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볼수용부(320)의 볼트공(329)과 결합되는 너트부(222)가 형성되는 지점으로서 자석안착판(220)의 길이 비율 a : b는 2 : 1로 되면서, 그 하부 지점에 상기 너트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이에 결합되는 자석안착카바(300)의 볼트공(329)의 비율 및 위치도 동일하다.
그리고, 도 8(b)는 자석안착카바(300)의 내면 구조이며, 자석안착부(200)인 라바(210)의 테두리(211)와 결합되는 테두리결합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보강리브(311)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312는 자석안착카바(300)의 뒷면에 형성된 볼수용부(3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설계된 접합부이다.
여기서도, 자석의 배치를 수용할 수 있는 배치구조의 비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9, 10의 미설명 부호 210a는 라바의 표면이고, 210b는 라바의 내측면이고, 221a는 자석삽입구이고, 221b는 221a의 자석삽입구 뒷면인 자석삽입돌출부이다.
따라서, 상기 넓은 폭의 구역에 상기 그립부(100)의 공간부(A)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될 경우, 세로방향이나 가로방향으로 부착되면 4개의 자석이 고르게 자력을 미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질 수 있으며, 가로방향으로 부착되어지면 둥근고리(130)가 측면으로 돌출되더라도 지지체(400)에 부딪히는 일이 없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1(a)(b)(c)는 본 발명의 휴대폰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수직 내지는 좌우 수평으로 지지체에 그립부가 부착되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폰 결합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타블릿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이건 발명의 그립부(100)를 독립적으로 휴대폰(1000) 등의 카바부분에 부착하여 손가락을 둥근 고리에 끼워 사용해도 좋고, 둥근 고리를 손가락 사이로 끼워 안정적으로 지하철 등의 복잡한 곳에서 통화시 떨어지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석부위의 평면의 넓은 공간을 아래쪽으로 하면 일반 휴대폰(1000) 등을 사용하기 용이하고, 반대로 중심측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돌려올리게 되면 테블릿(2000)과 같은 큰 제품을 사용하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상을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전화용 행거 그립으로써,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에 자석이 내장된 부착판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둥근 행거고리를 장착한 자석부를 철판부로 형성하고, 상기 철판부의 전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사용시에는 비닐카바(114)를 제거한 후 휴대전화기의 뒷면 적절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요자가 사용이 편리한 어느 곳에라도 몸체를 흡착판으로 부착하여 휴대전화를 방향에 관계없이 부착판에 부착시켜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이다.
100 : 그립부
110 : 철판부
120 : 회전축
130 : 둥근 고리
200 : 자석안착부
221 : 자석
222 : 너트부
300 : 자석안착카바
320 : 볼수용부
400 : 지지체
410 : 볼
420 : 결합캡
430 ; 볼축
440 : 흡착판

Claims (5)

  1. 휴대폰의 거치대로서, 지지체의 하부에는 흡착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그립부착수단으로 이루어진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착수단은 직사각형상으로 자석(221)이 내장된 자석안착부(200)와 자석안착카바(300)로 결합되도록 형성하며, 여기에 부착되는 그립부(100)는 직사각형상의 철판부(110)로 형성하고, 상기 철판부(110)의 중심부를 벗어난 상부 지점에 회전축(120)을 형성함과 동시에 둥근고리(130)를 결합시켜 철판부(110)의 넓은 공간부("A")와 자석안착부(200)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되, 상기 철판부(110)에 대한 회전축(120)의 위치는 그립부(100)의 길이 비율 a(공간부"A"):b(공간부"B")는 2:1로 되면서, 그 구획되는 지점에서 상기 회전축(1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A")에 결합되는 자석안착부(200)의 자석안착판(220)의 폭과 넓이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자석(221)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크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안착부(200)는 직사각 형상으로 하되, 라바(210)와 자석안착판(22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바(210)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211)가 형성되어 사각형상으로 된 자석안착카바(300)의 테두리결합부(3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안착부(200)의 자석안착판(220)에는 자석(221)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 1/3 지점에 자석안착부카바(300)와 결합시킬 수 있는 너트부(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안착부카바(300)의 전면은 상기 자석안착부(200)와 결합되고, 뒷면에은 볼수용부(3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수용부(320)의 중앙에 볼트공(32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안착부(200)의 자석안착판(220)은 직사각 형상으로 하되, 둥근 형상으로 된 6개의 자석이 세로 방향으로 2열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볼수용부(320)의 볼트공(329)과 결합되는 너트부(222)가 형성되는 지점은 자석안착판(220)의 길이 비율 a : b가 2 : 1로 되게 하고, a, b부분에 각각 4개 및 2개의 자석이 형성되며, 이에 결합되는 자석안착카바(300)의 볼트공(329)의 비율 및 위치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KR1020130131540A 2013-10-31 2013-10-31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KR10155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40A KR101557968B1 (ko) 2013-10-31 2013-10-31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40A KR101557968B1 (ko) 2013-10-31 2013-10-31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09A KR20150050109A (ko) 2015-05-08
KR101557968B1 true KR101557968B1 (ko) 2015-10-08

Family

ID=5338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540A KR101557968B1 (ko) 2013-10-31 2013-10-31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9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68U (ko) * 2017-01-05 2018-07-13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마운팅 부재
KR20190132013A (ko) 2018-05-18 2019-11-27 윤여신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US10554799B2 (en) 2016-07-13 2020-02-04 Rearth, Inc.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KR102291192B1 (ko) 2020-12-15 2021-08-18 김영수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KR102348146B1 (ko) 2021-03-23 2022-01-10 유알아이 주식회사 탈부착이 용이한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074B1 (ko) * 2015-10-26 2017-03-17 신호용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
KR102324828B1 (ko) * 2017-12-20 2021-11-09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101879551B1 (ko) * 2017-12-20 2018-07-17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0494821Y1 (ko) * 2020-11-27 2022-01-04 이선혜 휴대 기기 거치대
KR20220134865A (ko) 2021-03-29 2022-10-06 문석호 휴대폰용 링 조립구조
KR102469352B1 (ko) 2021-03-29 2022-11-18 문석호 휴대폰용 링체 조립구조
KR102654009B1 (ko) * 2022-01-25 2024-04-03 주식회사 엘케이에스글로벌 원격 의료를 위한 생체 모니터링 및 케어 시스템에서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용 거치대
KR102600235B1 (ko) * 2023-06-23 2023-11-09 최천오 완충 기능이 구비된 오토바이 충전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06Y1 (ko) * 2000-03-15 2000-08-16 조은정보시스템주식회사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석식 핸드폰 거치대
KR200214075Y1 (ko) 2000-07-05 2001-02-15 박창주 핸드폰 거치대
KR101316363B1 (ko) *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06Y1 (ko) * 2000-03-15 2000-08-16 조은정보시스템주식회사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석식 핸드폰 거치대
KR200214075Y1 (ko) 2000-07-05 2001-02-15 박창주 핸드폰 거치대
KR101316363B1 (ko) *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4799B2 (en) 2016-07-13 2020-02-04 Rearth, Inc.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KR20180002168U (ko) * 2017-01-05 2018-07-13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마운팅 부재
KR200487229Y1 (ko) 2017-01-05 2018-08-23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마운팅 부재
KR20190132013A (ko) 2018-05-18 2019-11-27 윤여신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KR102291192B1 (ko) 2020-12-15 2021-08-18 김영수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KR102348146B1 (ko) 2021-03-23 2022-01-10 유알아이 주식회사 탈부착이 용이한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09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968B1 (ko)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KR101062557B1 (ko)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US114050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 article
US20170067595A1 (en) Device for supporting portable terminal
US201901850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able multi-positional device holder
USD753982S1 (en) Device holder
USD532290S1 (en) Flat television wall mounting hardware with lockable bottom tilt positioning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D653652S1 (en) Loudspeaker
JP2012241895A (ja) 吸着式据置台
USD632555S1 (en) Hose clamp
CN204512883U (zh) 一种新型数码产品支架
KR101042534B1 (ko) 핸드폰 거치대
CN201934870U (zh) 旋转式固定支架
TWM485339U (zh) 行動裝置支架之快拆組件
CN203686517U (zh) 移动平板产品用的万向支架
USD630289S1 (en) Tent pole
KR101102464B1 (ko) 보호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 케이스
CN201115557Y (zh) 数码相框
CN210724931U (zh) 一种多功能支架
USD634310S1 (en) Rotatable wall mount support
USD627625S1 (en) Shadow frame support
CN210266601U (zh) 一种可360°旋转支架
KR101692288B1 (ko) 회전식 공구대
CN205081836U (zh) 一种吸盘式手机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