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551B1 -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551B1
KR101879551B1 KR1020170176133A KR20170176133A KR101879551B1 KR 101879551 B1 KR101879551 B1 KR 101879551B1 KR 1020170176133 A KR1020170176133 A KR 1020170176133A KR 20170176133 A KR20170176133 A KR 20170176133A KR 101879551 B1 KR101879551 B1 KR 10187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ing
ring pad
communication terminal
magn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성
한소열
Original Assignee
박수성
한소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성, 한소열 filed Critical 박수성
Priority to KR102017017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551B1/ko
Priority to KR1020180070746A priority patent/KR102324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패드가 부착된 통신단말기를 자동차 실내 등의 공간 등에 구비되는 단말기 거치대에 간단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소정 공간의 수용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돌출부(130)와 제1 자석부재(140)가 구비되는 단말기 거치대(100); 및,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면에 안착하는 배면에는 회동에 의해 접혀 상기 돌출부(130)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링(210)과 상기 제1 자석부재(140)에 대응하게 결합하는 제2 자석부재(220)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상기 통신단말기(1)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링패드(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 거치수단{A mounting means of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링패드가 부착된 통신단말기를 자동차 실내 등의 공간에 단말기 거치대를 이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케이스와 주변 장치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 악세사리도 그 주변 편의 장치 중 하나인데, 이들 악세사리 중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하는 고리로서 소위 "아이링(iRing)"이라는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상기 아이링은 스마트폰 배면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부착부를 스마트폰의 배면 적당한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고리(ring)를 고정시키고, 고리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스마트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ring)는 스마트폰의 지지체 역할도 수행하여 스마트폰을 비스듬하게 거치하면서 동영상 등의 영상을 열람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아이링은 스마트폰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반듯한 착지가 어렵고 특히, 아이링의 고리 부분이 금속제로 이루어져 있어 무선 충전이 용이하지 않은 특성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 배면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하기 쉽지 않으며, 이로 인해 아이링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스마트폰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케이스를 벗기거나 아이링을 탈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5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링패드가 부착된 통신단말기를 자석부재의 자성을 이용하여 단말기 거치대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말기 거치대와 링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통신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통신단말기의 충전이 함께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전면에 소정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돌출부와 제1 자석부재가 구비되는 단말기 거치대; 및
상기 단말기 거치대의 전면에 안착하는 배면에는 회동에 의해 접혀 상기 돌출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링과 상기 제1 자석부재에 대응하게 결합하는 제2 자석부재가 구비되며, 통신단말기에 부착되어 상기 통신단말기 거치대에 상기 통신단말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링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서 상하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자석부재는 링패드 내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링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시 회동에 의해 제1 돌출부 또는 제2 돌출부 방향으로 접히고,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제2 돌출부 내부의 제1 자석부재와 결합하는 제2 자석부재 중 어느 하나가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링패드가 부착된 통신단말기를 단말기 거치대에 자성에 의해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고, 단말기 거치대와 링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를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통신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의 단말기 거치대와 링패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4a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의 링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 및 결합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전면에 소정 공간의 수용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돌출부(130)와 제1 자석부재(140)가 구비되는 단말기 거치대(100); 및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면에 안착하는 배면에는 회동에 의해 접혀 상기 돌출부(130)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링(210)과 상기 제1 자석부재(140)에 대응하게 결합하는 제2 자석부재(220)가 구비되며, 통신단말기(1)에 부착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상기 통신단말기(1)를 고정하는 링패드(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배면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210)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적어도 2개의 제2 자석부재(220)가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부에 구비되며, 전면이 통신단말기(1) 또는 통신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링패드(200); 및 상기 링(210)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링(210)이 수용되는 수용부(120)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상기 제2 자석부재(220)에 대응하는 제1 자석부재(140)가 구비되는 단말기 거치대(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는 외부 공급전원과 전기연결되는 전원단자(150);를 포함하고, 상기 링패드(200)는 상기 전원단자(150)와 전기연결되어 전원단자(15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통신단말기(1)로 공급하는 충전부(23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과 같은 통신단말기(1)를 거치시키기 위한 단말기 거치대(100);과, 통신단말기(1)에 부착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고정되면서 상기 통신단말기(1)를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링패드(2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에 구비되는 단말기 거치대(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는 통신단말기(1)가 거치 및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에는 소정 깊이로 파여 좌우측에 단턱이 형성되는 안착홈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부(110)는 통신단말기(1)의 배면에 부착되는 링패드(200)가 삽입되어 안착하는 공간으로, 바람직하게는 링패드(200)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통신단말기(1)의 배면에 부착되는 링패드(200)는 상기 안착홈부(110)에 삽입되고, 통신단말기(1)의 배면(또는 통신단말기 케이스)은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홈부(110)는 좌우측단부의 단턱이 부드럽게 굴곡져 있어 상기 단턱에 의해 링패드(200)가 안착홈부(110)에 걸림 없이 자연스럽게 안착하도록 유도되고, 좌우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부(110)는 하단부 및/또는 상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소정 깊이로 파인 수용부(120)와 외부 공급전원에 전기연결되는 전원단자(150, 또는 전원핀)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20)는 링패드(200)에 형성되는 링(ring,210)이 수용되면서 링패드(2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공간으로, 내부에는 링(21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돌출부(130)가 소정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수용부(120) 내부의 바닥면에서 개방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링(21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수용부(1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131)와 제2돌출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131)와 제2돌출부(132)가 상기 수용부(120) 내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20) 내부에는 링패드(200)와 자성에 의해 결합하기 위한 제1 자석부재(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자석부재(140)는 수용부(120) 내부 또는 외부에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수용부(120) 내부에서 상기 돌출부(13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자석부재(140)는 제1 돌출부(131) 및/또는 제2 돌출부(132) 내부의 선단부(전면)에 구비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기 거치대(100)는 링패드(200)가 안착하는 안착홈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110)의 내부에는 링패드(200)의 링(210)이 수용되는 수용부(120)와 외부 공급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15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제1 자석부재(140)가 내부에 구비되는 제1 돌출부(131) 및 제2돌출부(132)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통신단말기를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 및 고정하는 링패드(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링패드(200)는 상기 제1 자석부재(140)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제2 자석부재(220)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면에는 통신단말기(1)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수단이 구비되며, 배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걸어 통신단말기(1)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링(ring,210)이 회전 및/또는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부착수단은 양면테이프일 수 있고, 양면테이프 외에도 통신단말기(1)에 부착 또는 결합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구도 가능하다.
상기 링(210)은 링패드(200)의 배면에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링패드(200)에 밀착되게 접히거나 세워질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11)를 비스듬하게 눕히거나 세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패드(200)를 통신단말기(1)의 배면 또는 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케이스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할 경우, 먼저 링(210)을 링패드(20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접고, 상기 링패드(200)의 배면을 안착홈부(110)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링(210)을 수용부(120) 내부의 제1 돌출부(131) 또는 제2 돌출부(132)에 맞추어 끼운다. 이때, 상기 링(210)을 상방으로 접었을 경우 수용부(120) 내부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131)에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링(210)을 하방으로 접었을 경우에는 수용부(120) 내부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돌출부(132)에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210)은 제1 돌출부(131) 또는 제2 돌출부(132)에 끼워지면서 수용부(12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돌출부(131) 및/또는 제2 돌출부(132) 내부의 제1 자석부재(140)와 상기 링패드(200)의 제2 자석부재(220)가 자력에 의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달라붙어 링패드(200)가 단말기 거치대(100)에 결합/고정되며, 이로 인해 통신단말기(1)가 단말기 거치대(100)에 쉽게 탈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링패드(200)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길이방향(세로방향)으로 고정되거나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 중 어느 하나에 제2 자석부재(220) 하나와 결합할 경우 좌우방향(가로방향)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통신단말기(1) 배면으로 돌출되는 링(210)으로 인해 통신단말기(1)가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되지 않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 내부의 제1 자석부재(140)의 전면(링패드가 부착되는 결합면)을 서로 반대의 극성이 작용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제1 자석부재(140)를 상기 돌출부(130)의 내부에 구비시, 제1 돌출부(131)의 전면(제2 자석부재가 부착되는 결합면)에는 제1 자석부재(140)의 "N극"이 작용하고, 제2 돌출부(132)의 전면에는 제1 자석부재(140)의 "S극"이 작용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석부재(140)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제2 자석부재(200)는 제1 자석부재(140)의 "N극"과 "S극"에 대응하는 "S극"과 "N극"이 거치대(100)와 마주하는 링패드(200)의 배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따라서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의 반대 극성으로 인해 상기 링패드(200)가 바르게 세워진 방향(정방향)으로 거치대(100)에 고정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통신단말기(1)가 단말기 거치대(100)에 상하방향이 뒤집혀 거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4a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되는 통신단말기(1)를 거치와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는, 외부 공급전원과 전기신호 연결되는 전원단자(150) 또는 전원핀이 구비되고, 상기 링패드(200)에는 상기 전원단자(150)로부터 공급전원을 인가받아 통신단말기(1)를 충전하는 충전부(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패드(200)는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됨과 동시에 충전부(230)가 전원단자(150)에 전기연결되어 상기 통신단말기(1)에 공급전원이 인가되는 것이다.
상기 충전부(230)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원단자(150)에 대응하여 전기연결되는 충전단자(231); 상기 링패드(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구가 하면에 형성되는 소정 면적의 공간부(232); 상기 공간부(232)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소정길이의 지지대(233); 및 상기 지지대(2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단자(231)와 전기연결되고, 통신단말기(1)에 결합하여 충전단자(23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통신단말기(1)로 공급하는 충전핀(2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233)의 상부에는 공간부(232)의 내부에서 개방구에 걸려 지지대(233)가 링패드(200)의 외부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233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23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지지대(233)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지지대(233)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단자(231)와 충전핀(234)을 전기 연결하는 전선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23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전면에 덮개(23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간부(23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지지대(233)와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충전핀(234)이 구비되는 지지대(233)가 상하 이동에 의해 링패드(200)의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길이가 연장되거나 공간부(232) 내부로 들어가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이로 인해 크기가 다양한 통신단말기(1)에 충전핀(234)의 연결이 수월해지고, 통신단말기(1)에 충전핀(234)을 단단히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통신단말기(1)의 배면 또는 케이스 배면에 상기 링패드(200)의 위치를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232)의 좌우측면에 레일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233)의 걸림부(233a)가 상기 레일홈을 따라 흔들리지 않으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링패드(200)가 부착된 통신단말기(1)를 단말기 거치대(100)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고, 단말기 거치대(100)와 링패드(200)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통신단말기(1)를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통신단말기(1)의 충전이 함께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거치수단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210)이 배면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적어도 2개의 제2 자석부재(220)가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부에 구비되며, 전면이 통신단말기(1) 또는 통신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링패드(200); 및 상기 링(210)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링(210)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20)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상기 제2 자석부재(220)에 대응하는 제1 자석부재(140)가 구비되는 단말기 거치대(100);를 포함한다.
상기 링(2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것으로, 외주연은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하되, 하단부는 일자로 절삭되어 플렛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면에는 상기 링(210)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수용부(120)가 형성되며, 2개의 상기 수용부(120)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단부가 서로 맞닿으면서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링(210)은 회동에 의해 상기 링패드(200)의 배면에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접힌 후, 2개의 수용부(120) 중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210)은 상기 수용부(120)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상기 링패드(200)는 대략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210)의 외측으로 바람직하게는 링패드(200)의 각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부에 적어도 2개의 제2 자석부재(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면 안착홈부(110)의 내부에서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상기 제2 자석부재(2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자석부재(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제1 자석부재(140)는 전면(링패드가 부착되는 결합면)이 서로 다른 극성이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가 자석이 부착될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140)는 구비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는 공급전원과 전기연결되는 상기 전원단자(150)가 형성되고, 상기 링패드(200)는 상기 전원단자(150)와 전기연결되어 전원단자(15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통신단말기(1)로 공급하는 상기 충전부(230);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통신단말기 100 : 단말기 거치대
110 : 안착홈부 120 : 수용부
130 : 돌출부 140 : 제1 자석부재
150 : 전원단자 200 : 링패드
210 : 링 220 : 제2 자석부재
230 : 충전부 231 : 충전단자
232 : 공간부 233 : 지지대
234 : 충전핀 235 : 덮개

Claims (9)

  1. 전면에 소정 공간의 수용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0)의 내부에 소정 길이의 돌출부(130)와 제1 자석부재(140)가 구비되는 단말기 거치대(100);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면에 안착하는 배면에는 회전에 의해 접혀 상기 돌출부(130)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링(210)과 상기 제1 자석부재(140)에 대응하게 결합하는 제2 자석부재(220)가 구비되며, 통신단말기(1)를 단말기 거치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링패드(200);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형성되고, 공급전원과 전기연결되는 전원단자(150); 및
    상기 링패드(200)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150)와 전기연결되어 전원단자(15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통신단말기(1)로 공급하는 충전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230)는,
    상기 전원단자(150)에 대응하여 전기연결되는 충전단자(231);
    상기 링패드(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구가 하면에 형성되는 소정 면적의 공간부(232);
    상부는 상기 공간부(232) 내부에 구비되어 링패드(200)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개방구에 걸리는 걸림부(233a)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공간부(232)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소정길이의 지지대(233); 및
    상기 지지대(2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단자(231)와 전기연결되고, 통신단말기(1)에 결합하여 충전단자(23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통신단말기(1)로 공급하는 충전핀(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2. 배면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210)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적어도 2개의 제2 자석부재(220)가 모서리부 또는 테두리부에 구비되며, 전면이 통신단말기(1) 또는 통신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링패드(200);
    상기 링(210)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링(210)이 수용되는 수용부(120)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상기 제2 자석부재(220)에 대응하는 제1 자석부재(140)가 구비되는 단말기 거치대(100);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 형성되고, 공급전원과 전기연결되는 전원단자(150); 및
    상기 링패드(200)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150)와 전기연결되어 전원단자(15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통신단말기(1)로 공급하는 충전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230)는,
    상기 전원단자(150)에 대응하여 전기연결되는 충전단자(231);
    상기 링패드(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구가 하면에 형성되는 소정 면적의 공간부(232);
    상부는 상기 공간부(232) 내부에 구비되어 링패드(200)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개방구에 걸리는 걸림부(233a)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공간부(232)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소정길이의 지지대(233); 및
    상기 지지대(2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단자(231)와 전기연결되고, 통신단말기(1)에 결합하여 충전단자(23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통신단말기(1)로 공급하는 충전핀(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수용부(120) 내부에서 상하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부재(140)는 상기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자석부재(220)는 링패드(200) 내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131) 및 제2 돌출부(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링(210)은 상기 수용부(120)에 수용시 회동에 의해 제1 돌출부(131) 또는 제2 돌출부(132) 방향으로 접히면서 제2 자석부재(220) 중 어느 하나가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에는 적어도 2개의 제1 자석부재(1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자석부재(140)는 서로 반대의 극성이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면에 작용하도록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 자석부재(220)는 제1 자석부재(140)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는 극성이 링패드(200)의 배면을 향하도록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부(120)가 위치하고, 상기 링패드(200)의 너비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링패드(200)가 내부에 안착되며, 하단부가 개구되는 안착홈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면에는 적어도 2개의 수용부(120)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210)은 회동에 의해 상기 링패드(200)의 배면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접힌 후 상기 수용부(120)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억지끼움되면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76133A 2017-12-20 2017-12-20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10187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33A KR101879551B1 (ko) 2017-12-20 2017-12-20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1020180070746A KR102324828B1 (ko) 2017-12-20 2018-06-20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33A KR101879551B1 (ko) 2017-12-20 2017-12-20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46A Division KR102324828B1 (ko) 2017-12-20 2018-06-20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551B1 true KR101879551B1 (ko) 2018-07-17

Family

ID=6304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133A KR101879551B1 (ko) 2017-12-20 2017-12-20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5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95U (ko) * 2018-08-10 2020-02-19 (주)훠링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KR102239517B1 (ko) * 2021-01-26 2021-04-12 김경철 모터사이클용 무선 충전장치
KR102458576B1 (ko) * 2021-10-12 2022-10-25 이순평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495123B1 (ko) * 2022-08-08 2023-02-06 유알아이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착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47B1 (ko) 2013-08-29 2014-05-27 임영철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KR20150050109A (ko) * 2013-10-31 2015-05-08 한용석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WO2016205041A1 (en) * 2015-06-17 2016-12-22 Airo Collective, Inc. Mobile device holder
KR101705819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KR20170104187A (ko) * 2016-03-07 2017-09-15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20170134999A (ko)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팝폰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47B1 (ko) 2013-08-29 2014-05-27 임영철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KR20150050109A (ko) * 2013-10-31 2015-05-08 한용석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
WO2016205041A1 (en) * 2015-06-17 2016-12-22 Airo Collective, Inc. Mobile device holder
KR20170104187A (ko) * 2016-03-07 2017-09-15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20170134999A (ko)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팝폰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KR101705819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95U (ko) * 2018-08-10 2020-02-19 (주)훠링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KR200493449Y1 (ko) 2018-08-10 2021-04-02 (주)훠링 무선충전용 단말기 액세서리
KR102239517B1 (ko) * 2021-01-26 2021-04-12 김경철 모터사이클용 무선 충전장치
KR102458576B1 (ko) * 2021-10-12 2022-10-25 이순평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495123B1 (ko) * 2022-08-08 2023-02-06 유알아이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착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7868585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6888940B1 (en) Magnetic holder for cell phones and the like
KR101790891B1 (ko) 자석 부착식 무선 충전기
KR101285084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CN111384750A (zh) 具有可旋转磁性支架的感应充电器
KR200482089Y1 (ko)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US20140191096A1 (en) Magnetic device mount
JP5448216B1 (ja) 携帯型情報端末用保持台および卓上電話機
US20160173667A1 (en) Magnetic mobile phone mounting kit
US20200162807A1 (en)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KR20170043866A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170028137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1257295B1 (ko) 자력을 통해 탈부착 가능한 휴대폰 지갑형 케이스
ITMI20140367U1 (it) Aletta parasole con dispositivo di carica elettrica wireless.
KR101459991B1 (ko)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JP6503503B1 (ja) ワイヤレス充電器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101858179B1 (ko) 차량용 무선충전기
KR20190074929A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170020058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1718295B1 (ko) 자력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91593Y1 (ko)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KR20160109190A (ko) 단말기 충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