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190A - 단말기 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단말기 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190A
KR20160109190A KR1020150033184A KR20150033184A KR20160109190A KR 20160109190 A KR20160109190 A KR 20160109190A KR 1020150033184 A KR1020150033184 A KR 1020150033184A KR 20150033184 A KR20150033184 A KR 20150033184A KR 20160109190 A KR20160109190 A KR 20160109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ating
usb
uni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오
상만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190A/ko
Publication of KR2016010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단말기를 위한 단말기 충전 거치대의 구성이 케이블을 포함하는 경우, 전원 또는 어댑터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 충전 거치대를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는 오히려 공간을 차지하거나 휴대하기 불편하고, 다른 선과 꼬이거나 케이블 자체가 꼬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여지가 있다. 특히, 단말기가 스마트워치인 경우, 밴드 등이 바닥에 닿아 거치대에 스마트워치의 거치가 불안정하게 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어, 이를 해결하여 케이블 없이 스마트워치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충전 거치대{RECHARGABLE DOCK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한 단말기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실장하고 있으며, 배터리는 단말기의 접지단자를 통해 충전될 수 있고, 배터리가 단말기에서 착탈 가능한 방식인 경우에는 분리하여 별도의 충전 케이스에 실장되어 충전될 수도 있다. 특히, 웨어러블 단말기 중 스마트워치의 경우 부피의 제약 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본체 또는 밴드에 실장된 일체형 배터리를 사용한다.
단말기는 본체를 충전 거치대에 거치하여 단말기의 배면에 구비된 충전 접지 단자가 단말기 충전 거치대의 충전 접지 단자와 접촉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충전 거치대는 케이블을 통해 어댑터 또는 다른 전자기기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케이블을 포함하는 경우, 전원 또는 어댑터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 충전 거치대를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는 오히려 공간을 차지하거나 휴대하기 불편하고, 꼬일 우려도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특히, 단말기가 스마트워치인 경우, 밴드 등이 바닥에 닿아 단말기 충전 거치대에 스마트워치의 거치가 불안정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단말기 충전 거치대에 있어서 케이블이 존재함으로 인해 생기는 불편함 등을 해소한다. 단말기 충전 거치대의 휴대성을 높이고, 부피, 무게 및 생산비용에 있어서의 장점을 얻는다. 나아가 단말기를 충전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거치대의 역할을 극대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단 및 타단에 상기 단말기의 측면을 고정하는 수직벽을 형성하는 측면고정부, 외부 유에스비(USB)소켓과 착탈가능한 유에스비단자부,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의 일단 및 상기 안착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실장되고 일단은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부에 노출되어 상기 외부 유에스비소켓과 상기 단말기간에 전류를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의 안착면과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의 삽입방향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착부의 안착면이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의 단자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의 일단과 상기 안착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는, 상기 유에스비단자부는 상기 연결부에 회전 결합하는 제 1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안착부는 일단의 제 1 안착부재, 타단의 제 2 안착부재 및상기 제 1 안착부재와 상기 제 2 안착부재가 회전 결합하도록 연결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 상기 전도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 실장되는 무선충전코일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를 제공한다.
만약 단말기가 스마트워치인 경우, 상기 측면고정부는 상기 워치 타입의 단말기의 입력부가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케이블 없이 스마트워치 등의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어서 휴대성을 증가시키고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워치 등의 단말기가 충전 거치대에 거치된 도중에 사용자 등에게 의도하지 않게 건드려질 위험성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워치 등의 단말기가 충전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힘으로 빼지 않는 한 의도하지 않게 충전상태를 이탈할 우려가 없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워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은 종래기술과 관련된 단말기의 충전 또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 구조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가 단말기 충전 거치대에 안착되기 전 상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가 단말기 충전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에서의 도 4 의 A-A'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충전 거치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충전 거치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충전 거치대가 어댑터에 결합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충전 거치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충전 거치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1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는 배터리(191)를 포함하며, 배터리(191)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는 연결포트(19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193)는 배터리(191)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는 상기 연결포트(193)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워치(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단말기(100)는 특히 스마트워치(100)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취지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스마트워치(100)를 포함한 모든 단말기(100)에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워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제1 케이스(1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 카메라, 마이크로폰, 입력부(18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워치 (100)는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자의 부피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어, 마이크로(micro) 5핀(pin) 방식의 연결 방법이 아닌 포고핀의 접지단자 형식의 접지 단자(192)를 통해 배터리(191)를 충전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접지 단자(192)는 단말기의 배면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은 종래기술과 관련된 단말기(100)의 충전 또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 구조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말기(100)의 배터리(191)를 충전하는 기술과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단말기(100)는 외부 전원 공급원과 케이블을 통해 전류를 주고 받으며, 케이블의 규격 또는 전압 변환 등은 경우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 충전 거치대(320)는 충전시 외부 전류를 공급받는 마이크로 5핀 소켓(340)을 가질 수 있고, 일단은 상기 마이크로 5핀 소켓(340)에 연결되는 마이크로 5 핀 단자와 타단은 유에스비 단자(311)로 구성되는 케이블(3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310)의 유에스비 단자(311)는 높은 전류를 통한 빠른 충전만을 원하는 경우에는 외부 교류 전류를 직류로 바꿔주는 어댑터(350)에 결합될 수 있고,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및 약한 전류를 통한 충전을 원하는 경우에는 어댑터(350)가 아닌 컴퓨터, 노트북 등의 유에스비 단자(311)연결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단말기 충전 거치대(320)뿐만 아니라 케이블(310)을 항상 구비해야 하므로 휴대성에 있어서 무게 및 부피 측면에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케이블(310)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충전 거치대(320)를 반드시 바닥 등에 안착시켜야 하므로 단말기(100), 충전기, 특히 스마트워치(100)의 경우 밴드(102)도 의도하지 않게 걸리적거려 이탈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존재한다.
도 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100)가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에 안착되기 전 상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의 안착부(210)는 단말기(100)의 배면이 안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안착부(210)에는 단말기(100)의 배면(1031)에 형성된 단차부(1032)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안착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착가이드부(220)가 포함되는 경우 단말기(100)를 안착시켰을 때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100)의 접지단자(192)와 안착부(210)의 포고핀(230)이 일치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측면고정부(240)는 안착부(210)의 일단 및 타단에 수직벽(241)을 형성하여 단말기(100)의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측면고정부(240)는 단말기(100)의 측면을 고정하여 안착부(210)에 안착된 단말기(100)가 수평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측면고정부(240)가 일단 및 타단에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단말기(100)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세 개 이상의 측면고정부가 구비되어 단말기(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에 거치되는 단말기(100)가 특히 스마트워치(100)인 경우, 스마트워치(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측면에서 돌출된 입력부(185)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아날로그 시계의 용두와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어, 유사한 형상 및 조작 방법을 가질 수 있다.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의 측면고정부(240) 중 일 측에는 스마트워치(100)의 입력부(185)가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이드홀(24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홀(244)은 입력부(185)를 갖는 스마트워치(100)의 측면을 지지하는데 입력부(185)가 간섭하지 않도록 입력부(185)를 노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스마트워치(100)를 안착부(210)에 안착시킬 때 스마트워치(100)의 접지단자(192)와 안착부(210)의 포고핀(230)이 접할 수 있도록 안착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도 수행 할 수 있다. 나아가 입력부(185)가 특정 기능의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스마트워치(100)를 안착부(2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도 입력부(185)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수직벽(241)을 포함하는 측면고정부(240)의 너비 W1은 단말기(100)의 너비 W2와 동일하여 단말기(100)가 안착부(210)에 안착시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의 너비 W2보다 다소 좁아 단말기(100)가 안착부(210)에 안착된 이후 특정 힘을 가하기 전까지 단말기(100)가 이탈하지 않도록 꽉 끼워맞춤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는 단말기(100)가 단말기 충전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에서의 도 4 의 A-A' 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단고정부(243)는 수직벽(241)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단말기(100)의 측면상단부(10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안착된 단말기(100)가 상단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상단고정부(24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 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를 안착부(210)에 안착시킬 때 측면고정부(240)가 충분히 벌어질 수 있도록 측면고정부(240)는 일정 정도 이상의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측면고정부(240)가 벌어지는데 기구적인 방법으로 도움을 주기 위해, 가이드홀(244)은 안착부(210)와 측면고정부(240)의 경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홀(244)은 안착부(210)와 측면고정부(240)의 경계까지 연장되면, 안착부(210)와 측면고정부(240) 경계의 폭이 좁아지므로 측면고정부(240)를 벌리기 위해 필요한 힘이 줄어든다.
가이드홀(244)은 한 쌍의 측면고정부(240) 각각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244)은 한 쌍의 측면고정부(240) 각각에 대칭으로 구비되는 경우, 스마트워치(100)의 입력부(185)가 두 개의 가이드홀(244) 중 어느 하나에만 안착되면 되므로, 스마트워치(100)의 좌, 우 구분 없이 안착이 가능하다.
유에스비단자부(250)는 외부 유에스비(USB)소켓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260)는 안착부(210)의 일단과 유에스비단자부(25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260)는 강성을 가진 물질로 구성되어 유에스비단자부(250)가 외부 유에스비소켓에 장착되는 경우 안착부(210)도 함께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안착부(210)가 바닥에 닿거나 꺾이지 않도록 버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유에스비소켓과 단말기(100)간에 전류를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전도부재(270)는 연결부(260)에 실장되어 일단이 유에스비단자부(250)에 노출되고 타단은 포고핀(230)을 통해 안착부(210)에 노출될 수 있다. 포고핀(230)은 충전을 위해 최소 두 개 의 낱개의 포고핀(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등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낱개의 포고핀(23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스마트워치(100)를 좌, 우 구분 없이 안착시키는 경우에도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은 항상 가능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포고핀(230)은 양 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포고핀(230)이 안착부(210)의 양 측에 대칭으로 구비되는 경우, 전도부재(270)의 일단에서 타단은 두 갈래로 나뉘어져 포고핀(230)을 통해 안착부(210)에 노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단말기(100, 도 4 참조)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을 통한 무선 충전도 가능하다. 특히, 자기 유도 방식으로 단말기(100, 도 4 참조)를 충전하는 경우, 무선충전코일(280)은 전도부재(270)의 타단에 연결되어 안착부(21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100, 도 4 참조)에는 상기 무선충전코일(280)에 대응되는 위치에 무선충전수신코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무선충전코일(280)이 안착부(21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고 단말기(100)의 무선충전수신코일 또한 단말기(10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경우, 단말기(100)의 좌, 우 구분없이 안착하여 충전이 가능하다. 단말기(100)무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자의 접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실시 예와 같은 포고핀(230, 도 4 참조)이 생략될 수 있다.
또는 도 7 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과 유선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전도부재(270)의 타단은 포고핀(230)과 무선충전코일(280) 양 갈래로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100) 충전 거치대(2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말기(100, 도 4 참조)를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안착가이드자석(21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안착가이드자석(213)은 안착부(210) 내부에 실장되어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수의 안착가이드자석(213)이 패턴을 형성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도 8), 또는 하나의 안착가이드자석(213)이 특정한 형상을 형성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도 9). 안착가이드자석(213)은 단말기(100, 도 4 참조)에 구비된 결합자석(미도시)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210)의 내부 중앙에 무선충전코일(280)이 있는 경우, 안착가이드자석(213)은 무선충전코일(280)과 간섭하지 않는 외측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안착가이드자석(213)은 단말기(100, 도 4 참조)가 반대방향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도 안착가이드의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안착부(210)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가 어댑터(450)에 결합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안착부(210)의 안착면(2101)과 유에스비단자부(250)의 삽입방향은 평행할 수 있다.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된 유에스비소켓(451)에 유에스비단자부(250)를 삽입하는 경우 안착부(210)의 안착면(2101) 또한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단말기(100, 도 4 참조)를 안착시키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단말기(100, 도 4 참조)가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착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단말기(100, 도 4 참조)의 디스플레이부(151, 도 4 참조)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260)는 안착부(210)의 안착면(2101)이 유에스비단자부(250)의 단자면(2501)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안착부(210)의 안착면(2101)이 유에스비단자부(250)의 단자면(2501)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인접한 또 다른 유에스비소켓(451)에 꽂힌 기기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노트북과 같은 얇은 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유에스비소켓(451)에 단말기 충전 거치대(100)가 꽂혀 고정된 경우 안착부(210)가 바닥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가 스마트 워치(100, 도 3 참조)인 경우, 밴드(102, 도 3 참조) 등이 바닥 또는 다른 기기들과 간섭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다.
안착부(210)의 안착면(2101)과 유에스비단자부(250)의 삽입방향이 고정되게 평행하여 유에스비단자부(250)가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단말기(100, 도 4 참조) 또한 지면에 평행하게 놓여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지만 유에스비소켓(450)이 지면에 수직으로 구비된 경우에는 단말기(100, 도 4 참조)가 지면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불안정한 상태로 거치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100, 도 4 참조)의 디스플레이부(151, 도 4 참조)를 확인하는데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유에스비단자부(250)에는 연결부(260)와 회전 결합하는 제 1 힌지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에스비소켓(450)이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된 경우에는 제 1 힌지부(251)를 통해 안착부(210)의 안착면(2101)과 유에스비단자부(250)의 삽입방향이 평행하도록 펼치고(도 10), 유에스비소켓(450)이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된 경우에는 제 1 힌지부(251)를 통해 안착부(210)의 안착면(2101)과 유에스비단자부(250)의 삽입방향이 수직하도록 접을 수 있다(도 11).
도 1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힌지부(251)를 통해 유에스비단자부(250)를 연결부(260)에 완전히 접으면 유에스비단자부(250)는 안착부(210)와 겹쳐져 휴대 및 보관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의 소형화를 위해, 안착부(210)는 상기 일단의 제 1 안착부재(211) 및 상기 타단 방향에 있는 제 2 안착부재(212)로 구분되어, 제 1 안착부재(211)와 제 2 안착부재(212)가 서로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 2 힌지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힌지부(252)는 제 1 안착부재(211) 또는 제 2 안착부재(2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나머지 하나의 안착부재에 회전 결합할 수 있다. 제 2 힌지부(252)는 안착부의 중앙에 구비될 수도 있다(도 13). 도 14를 참조하면, 제 2 힌지부(252)는 안착부(210)의 어느 한 쪽에 치우쳐 구비될 수도 있다(도 14). 제 1 안착부재(211)의 폭을 유에스비단자부(250)의 길이와 대응되는 경우, 단말기 충전 거치대(200) 전체의 부피는 더 작아질 수 있다.
100: 단말기 101: 본체
102: 밴드 192: 접지단자
185: 단말기 입력부 1011: 단말기 측면상단부
200: 충전 거치대 210: 안착부
211: 제 1 안착부재 212: 제 2 안착부재
213: 안착가이드자석 2101: 안착면
220: 안착가이드부 230: 포고핀
240: 측면고정부 241: 수직벽
W1: 측면고정부 너비 W2: 단말기 너비
243: 상단고정부 244: 가이드홀
250: 유에스비단자부 251: 제 1 힌지부
252: 제 2 힌지부 260: 연결부
270: 전도부재 280: 무선충전코일
310: 케이블 320: 충전 거치대
330: 포고핀 340: 마이크로(micro) 5핀
350: 어댑터 351: 유에스비소켓
450: 어댑터 451: 유에스비소켓

Claims (13)

  1.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일단 및 타단에 상기 단말기의 측면을 고정하는 수직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고정부;
    외부 유에스비(USB)소켓과 착탈가능한 유에스비단자부;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의 일단 및 상기 안착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실장되고 일단이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에 노출되어 상기 외부 유에스비소켓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류를 전달하는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안착면과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의 삽입방향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착부의 안착면이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의 단자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에스비단자부의 일단과 상기 안착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에스비단자부는,
    상기 연결부에 회전 결합하는 제 1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일단의 제 1 안착부재;
    타단의 제 2 안착부재; 및
    상기 제 1 안착부재와 상기 제 2 안착부재가 회전 결합하도록 연결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에 노출되는 포고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핀은,
    상기 안착부의 양 측에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의 내부에 실장되는 무선충전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측면에서 돌출된 입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워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면고정부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입력부가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한 쌍의 측면고정부 각각에 대칭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측면고정부의 경계영역까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가이드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고정부는,
    상기 수직벽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말기의 상단부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상단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단말기의 배면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안착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 거치대.
KR1020150033184A 2015-03-10 2015-03-10 단말기 충전 거치대 KR20160109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84A KR20160109190A (ko) 2015-03-10 2015-03-10 단말기 충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84A KR20160109190A (ko) 2015-03-10 2015-03-10 단말기 충전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190A true KR20160109190A (ko) 2016-09-21

Family

ID=5708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184A KR20160109190A (ko) 2015-03-10 2015-03-10 단말기 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1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448A1 (ko) * 2017-11-22 2019-05-31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WO2020141680A1 (ko) * 2019-01-04 2020-07-0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US11527913B2 (en) 2017-11-22 2022-12-13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O2024025139A1 (ko) * 2022-07-26 2024-02-01 민팃(주) 웨어러블 기기를 매입하는 무인 매입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448A1 (ko) * 2017-11-22 2019-05-31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US11527913B2 (en) 2017-11-22 2022-12-13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O2020141680A1 (ko) * 2019-01-04 2020-07-09 (주)훠링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시스템
US11239697B2 (en) 2019-01-04 2022-02-01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WO2024025139A1 (ko) * 2022-07-26 2024-02-01 민팃(주) 웨어러블 기기를 매입하는 무인 매입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9808B1 (en) Data and power connector
US8560014B1 (en) Adapter for communication device protective frame having back cover mobile power source and the protective frame
US20180337542A1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11509149B2 (en) Modular device charging station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601224B1 (en) Power supply attachment
US10069317B2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109190A (ko) 단말기 충전 거치대
US20200162807A1 (en)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CN104378465A (zh) 移动终端
US20170353591A1 (en) Smartphone Charger
TW201419629A (zh) 應用於可攜式行動通訊裝置的充電裝置
US10218205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WO2011010117A1 (en) Power supply adapter
CN204376964U (zh) 移动终端
KR101697069B1 (ko) 전력공급 확장용 스테이션
KR101875103B1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KR20140035676A (ko) 무선 충전기
WO20181294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mart platform charging
CN111095945B (zh) 用于将耳机耦接至移动装置的附接模块
KR101669018B1 (ko)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CN207504616U (zh) 虚拟现实设备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KR101625099B1 (ko) 휴대기기의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컴퓨터
JP2015002602A (ja) 携帯式の充電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