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676A - 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676A
KR20140035676A KR1020120102237A KR20120102237A KR20140035676A KR 20140035676 A KR20140035676 A KR 20140035676A KR 1020120102237 A KR1020120102237 A KR 1020120102237A KR 20120102237 A KR20120102237 A KR 20120102237A KR 20140035676 A KR20140035676 A KR 20140035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evice
charging
charger
charger cas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950B1 (ko
Inventor
최명식
Original Assignee
(주)티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제이씨 filed Critical (주)티제이씨
Priority to KR102012010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9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충전기의 구성은 내부에 충전 기기(4)를 투입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충전기 케이스(10)와;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부(20)와;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충전 기기(4)의 양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충전 기기(4)를 투입할 때에 상기 충전 기기(4)를 슬라이드 하강시켜서 상기 코일부(20)와 상기 충전 기기(4)의 상기 전지가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가이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기{Wireless electric charger}
본 발명은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을 위한 기기(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을 투입할 때에 충전 기기가 원활하게 투입되도록 하면서도 충전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가이드하는 특수 구조가 있어서, 충전 효율을 높이고 차량과 같이 흔들림이 많은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충분한 충전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이차 전지를 사용하여 충전기를 통해서 전지 충전을 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단자 접촉식 충전방식을 채용하는 충전기는 충전기의 접속 단자와 모바일 기기의 전지 단자가 직접 접촉되어 전류가 흐름으로써, 전지가 충전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단자 접촉을 통한 충전방식은 단자의 훼손이나 오염으로 인한 접촉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락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와 충전기 자체를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충전기와 충전 대상 기기(상기 모바일 기기 등)의 전지가 비 접촉된 상태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무선 충전기는 모바일 기기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기 위하여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무선 충전기로는 코일이 구비되어, 코일에서 생성되는 전자계 에너지 유도 등에 의해 트랜스 방식으로 충전을 위한 기기(상기 모바일 기기나 전자 기기 등)에 충전을 하는 제품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선 충전방식은 플레이트형 충전기에 무선 충전용 축전지(휴대폰의 전지로서 이차 전지가 될 수 있음)가 거치되어, 전자계 에너지 유도에 의해 모바일 기기 등의 전지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코일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기의 경우 손실을 줄여 고효율 전력전달을 위해 자속의 쇄교 방향을 고려하여 설계 제작되어 충전을 위한 전자기기를 일정한 방향을 두고 위치시켜야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들이 이용하는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드형 충전인 경우에는 패드 위에 자속 쇄교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충전용 전자기기 등을 패드 위에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하므로 차량 또는 흔들리는 장소에서는 충전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차량 운행중에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처럼 차량과 같은 흔들림이 많은 장소에서는 진동으로 인하여 충전 대상물(즉, 휴대폰이나 휴대용 전자 기기 등)에 효율적인 충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을 위한 기기(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을 투입할 때에 충전 기기의 원활한 투입이 가능하고 충전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가이드하는 특수한 구조가 있어서, 충전 효율을 높이고 차량과 같이 흔들림이 많은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충분한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충전 기기(4)를 투입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충전기 케이스(10)와;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부(20)와;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충전 기기(4)의 양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충전 기기(4)를 투입할 때에 상기 충전 기기(4)를 슬라이드 하강시켜서 상기 코일부(20)와 상기 충전 기기(4)의 상기 전지가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가이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기가 제공된다.
상기 충전기 케이스(10)는 상기 투입구가 상단부에 구비된 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더(30)는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바아(32)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아(3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아(32)에는 상기 충전 기기(4)의 슬라이드 하강시 긁힘 방지를 위한 쿠션(34)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부(20)는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패널(22)과, 상기 코일 패널(22)에 구비된 코일(24)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20)는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충전 기기(4)의 배면에 구비된 상기 전지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코일부(20)의 상기 코일 패널(22) 배면과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2)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일부(20) 전면이 상기 충전 기기(4) 배면의 상기 전지에 밀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코일부(20)의 상기 코일 패널(22) 하단부는 힌지부(26)에 의해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42)은 상기 힌지부(26)의 상부 위치에서 상기 코일 패널(22)의 배면과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스프링(42)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코일 패널(22)의 상부측이 상기 힌지부(26)를 중심으로 상기 충전 기기(4)의 배면으로 밀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충전 기기(4)의 상기 전지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시그널 램프(1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그널 램프(12)는 충전기 케이스(10)의 상단 투입구측 둘레부에 일정 길이로 연장된 엘이디 램프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기 케이스(10)는 상기 투입구가 상단부에 구비된 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더(30)는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바아(32)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아(3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아(32)에는 상기 충전 기기(4)의 슬라이드 하강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면서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소프트하면서 탄성이 있는 재질의 복수개의 결합 가이드롤(52)이 더 구비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부에 충전 기기를 투입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투입구가 구비된 충전기 케이스와, 이러한 충전기 케이스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충전 기기의 전지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부와, 상기 충전기 케이스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충전 기기의 양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충전기 케이스의 투입구를 통해 충전 기기를 투입할 때에 상기 충전 기기를 슬라이드 하강시켜서 코일부와 충전 기기의 전지가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가이더를 구비한 것으로, 충전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더에 충전 기기의 양쪽 측면을 맞추어서 투입하면, 상기 충전 기기가 충전기 케이스 내부의 가이더를 따라 원활하게 하강하므로, 충전 기기의 전지 충전을 위하여 충전 기기를 거치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편리한 효과를 가지며, 충전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정위치를 잡아줄 필요가 없이 충전 기기가 가이더를 따라 내려가면서 충전을 위한 제 위치도 정확하게 잡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더를 구성하는 가이드 바아에서 충전 기기와의 마찰이 많이 생기는 위치에 소프트한 재질(실리콘 재질 등)의 쿠션이 구비되어 있어서, 충전 기기를 충전기 케이스 내부에 투입시 긁힘 현상을 방지하고, 이러한 긁힘 현상의 방지로 인한 충전 기기의 소손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 기기를 가이더를 따라 충전기 케이스 내부로 투입한 다음에는 충전 기기 배면 위치에 구비된 코일부(정확하게는 코일 패널 부분)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충전 기기 배면에 최대한 밀착되어서 충전을 위한 전지에 코일이 완전 밀착된 상태에서 충전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충전 효율의 극대화를 기할 수 있다.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과 충전 기기의 전지가 최대한 밀착되어야 충전 효율의 극대화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코일부의 코일과 충전 기기의 전지를 완전 밀착시킨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충전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기기를 충전지 케이스 내부에 투입하여 충전할 때에는 스프링의 힘으로 코일부를 밀어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충전 기기의 배면을 지지하고 충전 기기의 측면은 가이더에 의해 지지하고 있으므로, 충전 기기가 코일부 전면에 정확하게 위치되면서 동시에 외부 진동 등에 의해 흔들림이 없게 되므로, 차량과 같이 흔들리는 장소에서도 원활하고 안정적인 충전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충전기 케이스에 충전 기기를 투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코일부와 가이더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더를 이용하여 충전 기기를 코일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충전기 케이스에 충전 기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해 투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코일부와 가이더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충전기는 내부에 충전 기기(4)를 투입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충전기 케이스(10)와, 이 충전기 케이스(10)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부(20)와,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충전 기기(4)의 양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충전기 케이스(10)의 투입구를 통해 충전 기기(4)를 투입할 때에 충전 기기(4)를 슬라이드 하강시켜서 코일부(20)와 충전 기기(4)의 전지가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가이더(30)를 포함하는 것으로, 휴대폰과 같은 충전 기기(4)를 투입할 때에는 가이더(30)에 의해 충전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충전 기기(4)의 원활한 투입이 이루어져서 충전을 위한 기기 투입 등의 측면에서 편리하고, 충전 기기(4)가 충전기 케이스(10)에 들어간 이후에는 충전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24)에 충전 기기(4)의 전지가 최대한 밀착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차량과 같이 흔들림이 많은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충분한 충전이 가능하다는 데에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 있다.
상기 충전기 케이스(10)는 상단부에 투입구가 구비된 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충전기 케이스(10) 상단부의 투입구는 충전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된다. 충전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간부는 충전 기기(4)(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전자 기기 등으로, 이하 편의상 충전 대상물인 핸드폰 등을 충전 기기(4)라 칭함)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충전기 케이스(10)의 상단부측 투입구는 뚜껑으로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충전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받침부가 구비되어, 충전기 케이스(10)의 공간부로 투입된 충전 기기(4)의 하단부를 받침부에 의해 아래에서 받쳐줄 수 있다. 충전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전선과 커넥터 등을 매개로 시거잭(14)이 연결되어, 시거잭(14)을 차량의 시거잭(14) 결합부에 접속하면, 후술할 코일부(20)에 충전 에너지인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에서 충전 기기(4)에 충전을 할 때에는 배터리가 충전 에너지원이 된다.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단부측 투입구 둘레부에는 시그널 램프(12)가 구비된다. 이때, 시그널 램프(12)는 충전기 케이스(10)의 상단 투입구측 둘레부에 일정 길이로 연장된 엘이디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부에는 코일부(20)가 내장된다. 이 코일부(20)는 충전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때, 코일부(20)는 코일 패널(22)에 코일(24)이 내장된 구조이다. 코일 패널(22)은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충전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코일 패널(22)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되,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코일 패널(22)의 전면이 후면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패널(22)에 내장된 코일(24)은 충전기 케이스(10)에 연결된 시거잭(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거잭(14)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을 위한 에너지원을 발생시킨다. 코일 패널(22)에 코일(24)이 내장되고, 코일(24)과 코일 패널(22) 내부 공간부 사이는 절연체가 충전된 구조의 코일부(2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코일(24)에 의해 충전 기기(4)에 무선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원리는 기존에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방식(공개특허 제2002-57468호, 공개특허 제2002-57469호 등)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코일부(20)의 주요부인 코일 패널(22) 하단부는 힌지부(26)에 의해 충전기 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힌지부(26)가 코일 패널(22)의 회동(충전 기기(4)의 배면 방향으로의 회동) 작동을 위한 가동 기준부가 된다.
상기 충전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간부 내주면에는 충전기 케이스(10)의 상단 투입구를 통해 충전 기기(4)를 투입할 때에 충전 기기(4)를 슬라이드 하강시켜서 코일부(20)와 충전 기기(4)의 전지가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가이더(30)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더(30)는 충전기 케이스(10)의 중심부를 양쪽 대칭되는 위치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 바아(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바아(3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아(32)에는 충전 기기(4)의 슬라이드 하강시 긁힘 방지를 위한 쿠션(34)이 구비된다. 쿠션(34)은 접착재 등의 부착수단에 의해 가이드 바아(32)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쿠션(34)은 표면이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충전 기기(4)(상기 핸드폰 등)가 타고 내려갈 때에 부드러운 실리콘이 충전 기기(4)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므로, 가이드 바아(32)와 충전 기기(4) 사이의 마찰로 인한 긁힘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필요시 두 개의 가이드 바아(3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쿠션(34)을 구비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쿠션(34)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 밖에 부드러운 긁힘 방지 재질이면 모두 채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부(20)는 충전기 케이스(10)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패널(22)의 내부에 코일(24)이 구비된 구조인데, 이러한 코일부(20)는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충전 기기(4)의 전지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탄지수단은 코일부(20)의 주요부인 코일 패널(22) 배면과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코일 패널(22)이 충전 기기(4)의 배면으로 밀려나는 힘이 작용하여 코일부(20) 전면이 충전 기기(4) 배면에 구비된 전지에 완전히 밀착되어 원활한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스프링(42)의 기단부는 리어 고정편에 연결되고, 고정편은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스프링(42)의 선단부는 프론트 고정편에 연결되고, 프론트 고정편은 코일부(20)의 코일 패널(22) 배면에 연결됨으로써, 스프링(42)의 양단부가 각각 코일 패널(22)과 충전기 케이스(10)에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코일 패널(22)을 충전 기기(4) 방향으로 미는 힘을 작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스프링(42)의 선단부는 코일 패널(22)에 연결되는 대신에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만 구성하여도 코일 패널(22)을 미는 힘을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42)의 외주면에는 스프링(42) 하우징이 구비되어, 이 스프링(42) 하우징에 의해 스프링(42)의 보호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부(20)의 코일 패널(22) 하단부는 힌지부(26)에 의해 충전기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42)의 밀어주는 힘에 의해 코일 패널(22)의 상부측이 힌지부(26)(가동 기준부)를 중심으로 충전 기기(4)의 배면으로 밀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기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량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표시하는 시그널 램프(12)를 더 구비한다. 이때, 시그널 램프(12)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충전기 케이스(10)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엘이디의 방수 등을 위하여 환형 루프 형태의 엘이디 케이스로 엘이디를 커버하고, 엘이디 케이스는 충전기 케이스(10)의 상단 투입구측 둘레부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시그널 램프(12)가 복수개의 엘이디가 배치된 구조인 경우, 엘이디 램프의 점등 갯수를 점차적으로 늘려줌으로써 전지의 충전량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엘이디 램프를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량에 따라 점진적으로 늘려주는 점등 구조로는 시거잭(14)과 코일부(20)의 코일(24) 및 엘이디 램프 사이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전지 충전량 측정부와, 이러한 전지 충전량 측정부의 측정 데이터를 점등 신호로 변환하는 점등 시그널 변환부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지 충전량 측정부와 점등 시그널 변환부는 시거잭(14)과 엘이디 사이의 전기적인 회로 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기 케이스(10)의 상단부측 투입구로 휴대폰과 같은 충전 기기(4)를 밀어내려 투입하는데, 충전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더(30)의 두 개의 나란한 가이드 바아(32)에 충전 기기(4)의 양쪽 측면을 맞추어서 투입하면, 상기 충전 기기(4)가 충전기 케이스(10) 내부의 가이더(30)를 따라 원활하게 하강하기 때문에,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을 위하여 충전 기기(4)를 거치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편리한 효과를 가지며, 충전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정위치를 잡아줄 필요가 없이 충전 기기(4)가 가이더(30)를 따라 내려가면서 충전을 위한 제 위치도 정확하게 잡게 되는 효과도 있다. 즉, 코일(24)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기의 경우 손실을 줄여 고효율 전력전달을 위해 자속의 쇄교 방향을 고려하여 설계 제작되어 충전을 위한 전자기기를 일정한 방향을 두고 위치시켜야 충전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충전기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 가이더(30)가 이러한 일정한 방향성을 두고 충전 기기(4)를 거치되도록 하므로, 사용자들이 이용하는데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이더(30)를 구성하는 가이드 바아(32)에서 충전 기기(4)와의 마찰이 많이 생기는 위치에 소프트한 재질(실리콘 재질 등)의 쿠션(34)이 구비되어 있어서, 충전 기기(4)를 충전기 케이스(10) 내부에 투입시 긁힘 현상을 방지하고, 이러한 긁힘 현상의 방지로 인한 충전 기기(4)의 소손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충전 기기(4)를 가이더(30)를 따라 충전기 케이스(10) 내부로 투입한 다음에는 충전 기기(4) 배면 위치에 구비된 코일부(20)(정확하게는 코일 패널(22) 부분)가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충전 기기(4) 배면에 최대한 밀착되어서 충전을 위한 전지에 코일(24)이 완전 밀착된 상태에서 충전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충전 효율의 극대화를 기할 수 있다. 즉,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24)과 충전 기기(4)의 전지가 최대한 밀착되어야 충전 효율의 극대화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42)의 탄성력으로 코일부(20)의 코일(24)과 충전 기기(4)의 전지를 완전 밀착시킨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충전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충전 기기(4)를 충전지 케이스 내부에 투입하여 충전할 때에는 스프링(42)의 힘으로 코일부(20)를 밀어서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충전 기기(4)의 배면을 지지하고 충전 기기(4)의 측면은 가이더(30)에 의해 지지하고 있으므로, 충전 기기(4)가 코일부(20) 전면에 정확하게 위치되면서 동시에 외부 진동 등에 의해 흔들림이 없게 되므로, 차량과 같이 흔들리는 장소에서도 원활한 충전을 이룰 수 있다. 즉, 스프링(42)으로 충전 기기(4)의 배면을 밀어서 지지하고, 가이더(30)에 의해 충전 기기(4)를 양쪽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외부 진동에 따른 충전 효율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가이더(30)를 구성하는 각 가이드 바아(32)는 충전 기기(4)의 전면 양측을 지지하여 스프링(42)으로 충전 기기(4)(휴대폰 등)를 밀어주는 힘이 작용할 때에 충전 기기(4)가 가이드 바아(32)에서 앞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턱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바아(32)에 지지턱이 있으면, 충전 기기(4) 배면의 전지에 코일부(20)의 코일 패널(22)을 스프링(42)으로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충전 기기(4)가 가이드 바아(3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인 충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기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량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표시하는 시그널 램프(12)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량을 알 수 있어서 보다 좋다. 차량 주행 중에도 충전기 케이스(10)에 구비된 시그널 램프(12)를 통해서 충전량을 볼 수 있어서 사용성 등에서 보다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더(30)는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바아(32)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바아(3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아(32)에는 충전 기기(4)의 슬라이드 하강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면서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소프트하면서 탄성이 있는 재질의 결합 가이드롤(52)이 더 구비된다. 물론, 두 개의 가이드 바아(32)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결합 가이드롤(52)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결합 가이드롤(52)은 실리콘과 같이 충전 기기(4)의 긁힘 방지를 위한 소프트한 재질이면서 동시에 가이드 바아(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를 각 가이드 바아(32)에 충전 기기(4)의 양쪽 측면부가 따라 내려갈 때에 소프트한 재질의 결합 가이드롤(52)이 접촉되면서 동시에 구름 운동하므로, 충전 기기(4)를 충전기 케이스(10)와 코일부(20)에 거치하는 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동시에 충전 기기(4) 긁힘 방지 효과도 보다 확실하게 거둘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충전기 케이스 12. 시그널 램프
14. 시거잭 20. 코일부
22. 코일 패널 24. 코일
30. 가이더 32. 가이드 바아
34. 쿠션 42. 스프링
52. 결합 가이드롤

Claims (6)

  1. 내부에 충전 기기(4)를 투입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충전기 케이스(10)와;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충전 기기(4)의 전지 충전을 위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코일부(20)와;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충전 기기(4)의 양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충전 기기(4)를 투입할 때에 상기 충전 기기(4)를 슬라이드 하강시켜서 상기 코일부(20)와 상기 충전 기기(4)의 상기 전지가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가이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케이스(10)는 상기 투입구가 상단부에 구비된 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더(30)는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바아(32)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아(3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아(32)에는 상기 충전 기기(4)의 슬라이드 하강시 긁힘 방지를 위한 쿠션(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20)는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상기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코일 패널(22)과, 상기 코일 패널(22)에 구비된 코일(24)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20)는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충전 기기(4)의 배면에 구비된 상기 전지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코일부(20)의 상기 코일 패널(22) 배면과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2)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일부(20) 전면이 상기 충전 기기(4) 배면의 상기 전지에 밀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충전 기기(4)의 상기 전지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시그널 램프(1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케이스(10)는 상기 투입구가 상단부에 구비된 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더(30)는 상기 충전기 케이스(10)의 내주면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바아(32)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아(3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아(32)에는 상기 충전 기기(4)의 슬라이드 하강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면서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소프트한 재질의 복수개의 결합 가이드롤(5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기.
KR1020120102237A 2012-09-14 2012-09-14 무선 충전기 KR10144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37A KR101447950B1 (ko) 2012-09-14 2012-09-14 무선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37A KR101447950B1 (ko) 2012-09-14 2012-09-14 무선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676A true KR20140035676A (ko) 2014-03-24
KR101447950B1 KR101447950B1 (ko) 2014-10-13

Family

ID=5064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237A KR101447950B1 (ko) 2012-09-14 2012-09-14 무선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9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9056A1 (en) * 2014-07-17 2016-01-21 Jaguar Land Rover Limited Cellular telephone charger
KR101665247B1 (ko) * 2015-04-16 2016-10-2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CN109728629A (zh) * 2019-01-24 2019-05-07 蒋莲莲 无线充电器
CN112424024A (zh) * 2018-07-20 2021-02-26 阿莫善斯有限公司 可无线充电的汽车用杯座
US11932155B2 (en) 2018-07-20 2024-03-19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386A (ko) * 2002-05-08 2003-11-14 이혜영 휴대폰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100751635B1 (ko) 2005-04-07 2007-08-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선 충전기의 오목형 패드
KR101425678B1 (ko) 2007-09-12 2014-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접점 충전 시스템
US8541974B2 (en) * 2009-09-17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Movable magnetically resonant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9056A1 (en) * 2014-07-17 2016-01-21 Jaguar Land Rover Limited Cellular telephone charger
US10110049B2 (en) 2014-07-17 2018-10-23 Jaguar Land Rover Limited Cellular telephone charger
KR101665247B1 (ko) * 2015-04-16 2016-10-2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CN112424024A (zh) * 2018-07-20 2021-02-26 阿莫善斯有限公司 可无线充电的汽车用杯座
US20210316648A1 (en) * 2018-07-20 2021-10-14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US11912189B2 (en) 2018-07-20 2024-02-27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US11932155B2 (en) 2018-07-20 2024-03-19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CN109728629A (zh) * 2019-01-24 2019-05-07 蒋莲莲 无线充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950B1 (ko) 201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9592B2 (en)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447950B1 (ko) 무선 충전기
EP2748909B1 (en) A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AU6353490A (en) Battery charger with battery guide and support apparatus
TWM493192U (zh) 能平躺或成角度充電之無線充電座
KR20130079314A (ko) 만능 배터리 충전기
KR20170028137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20160003654U (ko) 무선충전 크래들
CN104917219B (zh) 无线充电基座
KR101875103B1 (ko) 휴대용 배터리 및 충전기구
US7507123B2 (en) Contacting appliance and contacting arrangement for mobile electrical devices
KR20160109190A (ko) 단말기 충전 거치대
KR101259784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US8076902B2 (en) Charger
KR20180129186A (ko) 휴대폰의 거치위치를 조정하는 무선 충전 거치대
CN107017677B (zh) 背夹式移动电源
EP1615410A1 (en) Desktop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CN210517820U (zh) 一种移动电源支架及其移动电源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495775B1 (ko)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RU2012119466A (ru) Центральная пан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установ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зарядки мобильного аудио- и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го прибора
KR101709868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20200130098A (ko) 카드형 무선충전기
KR20160134434A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