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247B1 -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247B1
KR101665247B1 KR1020150053937A KR20150053937A KR101665247B1 KR 101665247 B1 KR101665247 B1 KR 101665247B1 KR 1020150053937 A KR1020150053937 A KR 1020150053937A KR 20150053937 A KR20150053937 A KR 20150053937A KR 101665247 B1 KR101665247 B1 KR 101665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ellular phone
mobile phone
hol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숙
한택수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2J2007/00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컵홀더 내에 컵뿐만 아니라 휴대폰도 동일 위치에 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컵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거나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컵홀더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면서도 컵 보온 및 휴대폰 충전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Cup holder for vehicle having function of supporting mobile phone and wireless power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컵홀더 내에 컵뿐만 아니라 휴대폰도 동일 위치에 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컵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거나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컵홀더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면서도 컵 보온 및 휴대폰 충전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성 또는 거주성이 양호해야 운전 및 탑승에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차내에 여러 가지 편의시설이 구비되도록 되어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를 위하여 차량의 대시 보드 또는 앞유리창 등에 휴대폰 거치대가 장착되어 휴대폰을 고정하여 운전중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 내부에 컵홀더를 구비하여 운전자나 탑승자들의 갈증을 해소하기 위하여 섭취하는 음료가 수용된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는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콘솔박스의 패널에 트레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홈에 슬라이드되어 인출입되도록 형성되는 컵홀더 트레이가 구비되며, 상기 컵홀더 트레이에 컵이 안착되는 컵 안착부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컵홀더와 휴대폰 거치대가 겸용으로 사용되는 제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휴대폰 거치대와 컵홀더를 각각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컵홀더 내에 거치되는 컵 또는 휴대폰을 감지하여 컵에 보온을 위한 열을 전달하거나 휴대폰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컵홀더와 휴대폰 거치대 겸용 제품은 전혀 제안된 바가 없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85664 호(2000.04.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설치되는 컵홀더 내에 안착되는 컵에는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고, 컵홀더 내에 거치되는 휴대폰은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컵홀더의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고 용이하게 컵을 보온하고 휴대폰을 바로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의 거치와 컵의 안착을 구분하여 안정적으로 휴대폰 또는 컵을 지지할 수 있는 컵 보온 및 휴대폰 충전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홀더 내에 수용되는 대상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대상물의 신호에 따라 단일의 무선 전력 송신부에서 컵에는 보온을 위한 열을 전달하고 휴대폰의 배터리는 무선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는, 차량에 설치되며, 컵 또는 휴대폰을 수용하기 위한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으로는 상기 컵이 안착되도록 지지하거나 상기 휴대폰이 거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컵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도록 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는 차량에 홈 형상으로 일체 형성 또는 하우징 형상으로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는 차량의 콘솔박스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이 구비되며, 상측에서의 상기 컵 또는 휴대폰의 좌측 또는 우측 누름에 의해 상기 지지대는 상기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경사지면서 탄성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중앙을 횡단하는 대향하는 양단에 상하 축회전하도록 한 쌍의 지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홀더 본체의 내측 수직면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단부가 상하로 가이드되도록 슬릿 형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유도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로 공급하여 무선 충전하거나, 또는 전자 유도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의 변화에 따라 가열물인 상기 컵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열이 이루어져 상기에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상기 지지대에 놓여지는 대상물이 컵 또는 휴대폰 인지를 감지하여 대상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대상물 감지부; 및 상기 대상물 감지부에 의해 출력된 대상물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컵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도록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내장 배터리 또는 자체 충전 전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는 공진형 무선 충전 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로 송신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 유도 가열 코일부는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을 통해 상기 컵 내의 음료에 열을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에 거치된 대상물이 휴대폰인 경우, 상기 감지 대상물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거치 인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홀더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은, 컵 또는 휴대폰을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이 상기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된 경우, 상기 휴대폰은 대상물 감지부로 거치 인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대상물 감지부는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거치 인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이 상기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된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의 전력이 증가되고, 상기 대상물 감지부는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거치 인증 신호가 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수신되는 인증신호가 없는 경우 거치되는 대상물이 컵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컵으로 열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는 유도 코일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컵홀더 내에 컵뿐만 아니라 휴대폰도 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컵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거나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컵홀더의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고 컵 보온 및 휴대폰 충전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 홀더 내의 기구물 구조를 맞춤형으로 변경하여 휴대폰의 거치와 컵의 안착을 구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폰 또는 컵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컵홀더 내에 거치되는 대상물인 컵 또는 휴대폰을 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대상물의 신호에 따라 단일의 무선 전력 송신부에서 거치되는 컵에는 보온을 위한 열을 전달하고 거치되는 휴대폰의 배터리는 무선으로 자동 충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휴대폰을 거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컵을 안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휴대폰을 거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컵을 안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력 공급부를 통한 무선 충전 및 컵 보온을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거치되는 대상물이 휴대폰인 경우의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거치되는 대상물이 컵인 경우의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휴대폰을 거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컵을 안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1)는,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 측부인 콘솔박스의 패널(도면 번호 미부여)에 설치되며, 컵(2) 또는 휴대폰(3)을 수용하기 위한 홀더 본체(10); 상기 홀더 본체(10)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으로는 상기 컵(2)이 안착되도록 지지하거나 상기 휴대폰(3)이 거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20); 및 상기 지지대(20)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컵(2)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폰(3)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도록 하는 전력 공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1)는 도시된 예에서는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 측부인 콘솔박스의 패널(도면 번호 미부여)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 전방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적정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설치 장소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홀더 본체(10)는 일반적인 원통상의 컵(2)을 수용하여 안착 지지할 수 있도록 원통 하우징 형상으로 설치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홀더 본체(10)는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 측부인 콘솔박스의 패널(도면 번호 미부여)에 홈 형상으로 일체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기구로 제작되어 차량의 콘솔박스 또는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부착형태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대(20)는 대략 사각판상의 형태로서, 상기 휴대폰(3)이 거치되는 경우에는 그 상측면이 비스듬이 경사지면서 거치되어지며, 상기 컵(2)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그 상측면이 수직된 상태에서 컵(2)의 외주면을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하측면에 좌우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형태의 탄성 수단(40)이 구비되어, 실제 사용시에는 상측에서의 상기 컵(2) 또는 휴대폰(3)의 좌측 또는 우측 누름에 의해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탄성 수단(40)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종방향으로 경사지면서 탄성지지되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3)의 거치시에는 상기 휴대폰(3)이 지지대(20)의 상측면의 우측을 눌려주게 되어 상기 지지대(20)는 누름 방향인 우측으로 경사짐과 아울러 탄성 수단(4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3)이 거치되어진다.
즉, 이와 같이 휴대폰(3)이 거치되는 지지대(20)가 탄성 수단(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비스듬히 경사지게 되면, 휴대폰(3)의 하측단은 자연스럽게 홀더 본체(10)의 하우징 하측 일단부에 걸려 안정되게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2)의 안착시에는 상기 컵(2)의 하측면이 지지대(20)의 상측면의 우측을 눌려주게 되어 상기 지지대(20)는 누름 방향인 우측으로 계속 눌려짐과 아울러 탄성 수단(4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지지대(20)는 수직된 상태가 되고 수평 상태에서의 지지대(20)의 상측면이 상기 컵(2)의 일측 둘레면에 대응되고 상기 컵(2)의 타측 둘레면은 홀더 본체(10)의 하우징 내측의 수직면에 대응되어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력 공급부(30)는 대략 패드 형태로서 상기 지지대(20)의 타측면 즉, 본체(1)의 내벽 방향인 하측면에 부착 또는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전력 공급부(3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휴대폰을 거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컵을 안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탄성 수단(40) 대신에 지지축(50)을 설치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상의 지지대(20)의 중앙을 횡단하여 대향하는 양단에 상하 축회전하는 한 쌍의 지지축(50)이 구비되어, 실제 사용시에는 상측에서의 상기 컵(2) 또는 휴대폰(3)의 좌측 또는 우측 누름에 의해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한 쌍의 지지축(50)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면서 지지되어진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축(50)의 단부가 홀더 본체(10)의 하우징 내측 수직면에 대해 상하로 형성된 슬릿형태의 가이드 홈(11)에 의해 상하로 가이드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3)의 거치시에는 상기 휴대폰(3)이 지지대(20)의 상측면의 우측을 눌려주게 되어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한 쌍의 지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누름 방향인 우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3)이 거치되어진다.
즉, 이와 같이 휴대폰(3)이 거치되는 지지대(20)가 한 쌍의 지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비스듬히 경사지게 되면 휴대폰(3)의 하측단은 자연스럽게 홀더 본체(10)의 하우징 하측 일단부에 걸려 안정되게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2)의 안착시에는 상기 컵(2)의 하측면이 균일한 힘으로 지지대(20)의 상측면을 눌려주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지지축(50)이 회전하지 않고, 컵(2)이 지지대(20)에 수평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50)의 양단이 홀더 본체(10)의 하우징 내측 수직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슬릿형태의 가이드 홈(11)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하방 이동된 후 고정수단 또는 걸림수단(미도시)을 통해 고정지지되어 컵(2)이 수평상의 지지대(20)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진다.
물론, 컵(2)이 지지대(20)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컵(2)을 컵홀더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탄성 수단(미도시) 등을 통해 상측으로 지지대(20)밀어 초기상태로 자동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력 공급부를 통한 무선 충전 및 컵 보온을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 공급부(3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1); 상기 전원부(31)의 전원(전력)을 지지대(20)에 거치된 휴대폰(3)의 배터리로 공급하여 무선 충전하거나, 또는 안착된 컵(2)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부(32); 상기 지지대(20)에 놓여지는 대상물이 컵(2) 및 휴대폰(3) 중 어느 하나인지를 감지하여 대상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대상물 감지부(34); 및 상기 대상물 감지부(34)에 의해 출력된 대상물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컵(2)으로 열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폰(3)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31)는 차량의 내장 배터리 또는 자체 충전 전원일 수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32)는 유도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상기 전원부(31)의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휴대폰(3)의 배터리로 송신하거나, 전자 유도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의 변화에 따라 가열물인 컵(2)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열이 이루어져 컵(2) 내의 음료에 열이 전달되어 보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대상물 감지부(34)는 상기 지지대(20)를 통해 놓여지는 대상물이 컵(2) 및 휴대폰(3) 중 어느 하나인지를 감지하여 해당 대상물을 통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대(20)가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 수단(40; 도 2 참조)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경우, 탄성 수단(40)의 압축 정도,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압축 정도가 이하인 경우에는 휴대폰(3)이 거치된 경우로 판단하고, 휴대폰 감지 신호를 출력시키고,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압축 정도 이상인 경우에는 컵(2)이 안착되어 지지된 경우로 판단하고, 컵 감지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지지대(20)가 지지축(50; 도 4 참조)에 의해 축회전되는 경우, 지지축(5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지지축(50)이 회전되는 경우에는 휴대폰(3)이 거치된 경우로 판단하고, 휴대폰 감지 신호를 출력시키고, 지지축(50)이 회전하지 않고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컵(2)이 안착되어 지지된 경우로 판단하고, 컵 감지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대상물 감지 수단은 감지 센서 외에도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감지 수단이 공지되어 있는바, 본 발명은 그 대상물 감지 수단의 종류나 감지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대상물 감지부(34)에 의해 출력된 대상물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대(20)를 통해 지지되는 대상물이 컵(2) 또는 휴대폰(3)인지를 감지하여, 대상물이 컵(2)인 경우에는 전자 유도 코일 형태의 무선 전력 송신부(32)를 동작시켜 컵(2) 내의 음료수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고, 대상물이 휴대폰(3)인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부(32)를 동작시켜 상기 전원부(31)의 전력을 무선으로 휴대폰(3)의 배터리로 전송하여 무선 충전하게 된다.
도 8은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거치되는 대상물이 휴대폰인 경우의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거치되는 대상물이 휴대폰인 경우의 무선 충전 방법은, 휴대폰을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하는 단계(S10); 상기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된 휴대폰은 대상물 감지부로 거치 인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 상기 대상물 감지부는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거치 인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 및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폰(3)을 홀더 본체(10)의 지지대(20)에 거치하는 단계(S10)에서는, 거치자가 휴대폰(3)의 충전을 위해 홀더 본체(10)의 지지대(20)에 거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홀더 본체(10)의 지지대(20)에 거치된 휴대폰(3)은 대상물 감지부(34)로 거치 인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에서는, 상기 홀더 본체(10)의 지지대(20)에 거치된 휴대폰(3)은 자체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지지대(20)에 거치되었다는 거치 인증 신호를 대상물 감지부(34)로 전송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대상물 감지부(34)는 상기 휴대폰(3)으로부터 수신되는 거치 인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에서는, 상기 대상물 감지부(34)는 휴대폰(3)으로부터 거치 인증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폰(3)이 지지대(20)에 거치됨을 확인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무선 전력 공급부(30)는 무선 전력 송신부(32)를 통해 상기 휴대폰(3)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단계(S40)에서는, 상기 휴대폰(3)의 거치 인증 신호 수신 확인에 의해 무선 전력 공급부(30)는 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부(32)를 통해 무선으로 휴대폰(3)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도 9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거치되는 대상물이 컵인 경우의 무선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에 거치되는 대상물이 휴대폰인 경우의 무선 충전 방법은, 컵을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하는 단계(S110); 상기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된 컵에 의해 무선 전력 송신부의 전력이 증가하는 단계(S120); 상기 대상물 감지부는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거치 인증 신호가 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S130); 및 수신되는 인증 신호가 없는 경우 컵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컵에 지속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컵(2)을 홀더 본체(10)의 지지대(20)에 거치하는 단계(S110)에서는, 거치자가 컵(2)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홀더 본체(10)의 지지대(20)에 거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홀더 본체(10)의 지지대(20)에 거치된 컵(2)에 의해 무선 전력 송신부(32)의 전력이 증가하는 단계(S120)에서는 유도 코일 형태의 무선 전력 송신부(32)는 컵(2)의 거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력이 약간 증가되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대상물 감지부(34)는 휴대폰(3)으로부터 수신되는 거치 인증 신호를 체크하는 단계(S130)에서는, 컵(2)의 거치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부(32)의 전력은 증가되지만 휴대폰(3)으로부터의 직접적인 거치 인증 신호의 확인이 필요하므로, 상기 대상물 감지부(34)는 휴대폰(3)으로부터 수신되는 거치 인증 신호를 직접 체크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수신되는 인증 신호가 없는 경우 컵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컵에 지속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단계(S140)에서는, 상기 대상물 감지부(34)는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는 인증 신호가 없는 경우, 컵(2)이 지지대(20)에 최종 거치된 건으로 인식하고, 무선 전력 공급부(30)는 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부(32)를 통해 가열물인 컵(2)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열이 이루어져 컵(2) 내의 음료에 열이 전달되어 보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컵(2)의 계속적인 가열은 제어부(35)의 설정된 일정 설정값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정 온도의 보온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2: 컵 3: 휴대폰
10: 홀더 본체 20: 지지대
30: 전력 공급부 31: 전원부
32: 무선 전력 송신부
34: 대상물 감지부 35: 제어부
40: 탄성 수단 50: 지지축

Claims (13)

  1. 차량에 설치되며, 컵 또는 휴대폰을 수용하기 위한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으로는 상기 컵이 안착되도록 지지하거나 상기 휴대폰이 거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컵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도록 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중앙을 횡단하는 대향하는 양단에 상하 축회전하도록 한 쌍의 지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홀더 본체의 내측 수직면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의 단부가 상하로 가이드되도록 슬릿 형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차량에 홈 형상으로 일체 형성 또는 하우징 형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차량의 콘솔박스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이 구비되며,
    상측에서의 상기 컵 또는 휴대폰의 좌측 또는 우측 누름에 의해 상기 지지대는 상기 탄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경사지면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5. 삭제
  6. 차량에 설치되며, 컵 또는 휴대폰을 수용하기 위한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으로는 상기 컵이 안착되도록 지지하거나 상기 휴대폰이 거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컵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도록 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 공급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유도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로 공급하여 무선 충전하거나, 또는 전자 유도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의 변화에 따라 가열물인 상기 컵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열이 이루어져 상기에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상기 지지대에 놓여지는 대상물이 컵 또는 휴대폰 인지를 감지하여 대상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대상물 감지부; 및
    상기 대상물 감지부에 의해 출력된 대상물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컵 내의 음료를 보온하도록 열을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도록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내장 배터리 또는 자체 충전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는 공진형 무선 충전 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유도 가열 코일부는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을 통해 상기 컵 내의 음료에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거치된 대상물이 휴대폰인 경우, 상기 감지 대상물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거치 인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11. 컵 또는 휴대폰을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이 상기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된 경우, 상기 휴대폰은 대상물 감지부로 거치 인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대상물 감지부는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거치 인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무선 전력 공급부가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컵이 상기 홀더 본체의 지지대에 거치된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의 전력이 증가되고, 상기 대상물 감지부는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거치 인증 신호가 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수신되는 인증신호가 없는 경우, 거치되는 대상물이 컵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컵으로 열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홀더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는 유도 코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홀더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KR1020150053937A 2015-04-16 2015-04-16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KR101665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37A KR101665247B1 (ko) 2015-04-16 2015-04-16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37A KR101665247B1 (ko) 2015-04-16 2015-04-16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247B1 true KR101665247B1 (ko) 2016-10-24

Family

ID=5725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937A KR101665247B1 (ko) 2015-04-16 2015-04-16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24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5254A (zh) * 2017-05-25 2017-09-29 长沙健金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充电功能的便捷扶手箱
US10343576B1 (en) 2018-01-22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US10421409B2 (en) 2018-01-04 2019-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holding a cell phone, a cup and other items in a motor vehicle
WO2020017935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WO2020017933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WO2020017932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KR20200010127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KR20200010128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US10850656B2 (en) 2018-03-16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KR20200137233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JP2021007276A (ja) * 2019-06-27 2021-01-21 豊田合成株式会社 無線給電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664Y1 (ko) 2000-01-27 2000-06-15 권순중 차량용 수납형 핸드폰 거치대
KR20120068566A (ko) * 2010-12-17 2012-06-2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0602A (ko) * 2009-09-17 2012-07-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회전하는 안테나를 갖는 무선 전력 충전기
KR20140035676A (ko) * 2012-09-14 2014-03-24 (주)티제이씨 무선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664Y1 (ko) 2000-01-27 2000-06-15 권순중 차량용 수납형 핸드폰 거치대
KR20120080602A (ko) * 2009-09-17 2012-07-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회전하는 안테나를 갖는 무선 전력 충전기
KR20120068566A (ko) * 2010-12-17 2012-06-2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35676A (ko) * 2012-09-14 2014-03-24 (주)티제이씨 무선 충전기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5254A (zh) * 2017-05-25 2017-09-29 长沙健金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充电功能的便捷扶手箱
US10421409B2 (en) 2018-01-04 2019-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holding a cell phone, a cup and other items in a motor vehicle
US10343576B1 (en) 2018-01-22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US10850656B2 (en) 2018-03-16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KR102178547B1 (ko) * 2018-07-20 2020-11-1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WO2020017935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KR20200010127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KR20200010126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KR20200010128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KR102164889B1 (ko) * 2018-07-20 2020-10-1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WO2020017933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US11932155B2 (en) 2018-07-20 2024-03-19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US11912189B2 (en) 2018-07-20 2024-02-27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WO2020017932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CN112424024A (zh) * 2018-07-20 2021-02-26 阿莫善斯有限公司 可无线充电的汽车用杯座
KR102239310B1 (ko) * 2018-07-20 2021-04-1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US20210316648A1 (en) * 2018-07-20 2021-10-14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US11780357B2 (en) 2018-07-20 2023-10-10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KR102662532B1 (ko) * 2019-05-29 2024-05-02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KR20200137233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JP2021007276A (ja) * 2019-06-27 2021-01-21 豊田合成株式会社 無線給電システム
JP7143563B2 (ja) 2019-06-27 2022-09-29 豊田合成株式会社 無線給電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247B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KR101924395B1 (ko)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CN106671914B (zh) 用于调节驾驶者的驾驶位置的装置和方法
US9847651B2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TWI607615B (zh) 無線充電方法及其充電控制器
US20180001835A1 (en) Combination cup and cellular phone holder assembly for effectively holding, mounting, and retaining a cellular phone within a cup holder of an automotive vehcile
US10091633B2 (en) Passive entry passive start systems employing consumer mobile devices as portable remote control units
EP3327893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101737232B1 (ko)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
KR20200010002A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구비한 컵 홀더
KR101404358B1 (ko)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KR10147610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스마트 폰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JP5994364B2 (ja) 携帯機器収容装置
US20140312686A1 (en) In vehicle inductive power provision system and method
CN107487273B (zh) 一种车载无线充电装置及车辆
KR20170028137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20140091266A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CN212363442U (zh) 一种车载测温仪一体机
JP2014093686A (ja) 車載通信装置
KR101540233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20220144168A1 (en) Notification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notification system
KR20160085607A (ko) 무선충전기
KR101455343B1 (ko)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JP5021523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TWM525019U (zh) 無線充電系統中的供電裝置及受電裝置及其充電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