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233A -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233A
KR20200137233A KR1020190063244A KR20190063244A KR20200137233A KR 20200137233 A KR20200137233 A KR 20200137233A KR 1020190063244 A KR1020190063244 A KR 1020190063244A KR 20190063244 A KR20190063244 A KR 20190063244A KR 20200137233 A KR20200137233 A KR 20200137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cup holder
rotation shaft
mounting member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532B1 (ko
Inventor
한보현
우봉식
김철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9006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53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4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5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차량의 시트 중 폴딩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부재;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제1상태로 상기 거치부재를 유지하거나 상기 수용공간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제2상태로 상기 거치부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cup holder for automobile seat}
본 발명은 차량시트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장형 배터리가 적용된 휴대 단말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 내에서 휴대 단말을 충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충전기가 판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는 USB 포트를 제공하고, 휴대 단말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USB 포트와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한다.
하지만,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충전 구조는 충전 케이블을 탈착으로 인해 휴대 단말의 충전 포트가 마모되거나, 충전 포트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등으로 원인으로 인해 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충전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 전력 전송을 통해 휴대 단말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 일환으로,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되는 형식의 무선 충전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컵 형태의 무선 충전 장치가 컵 홀더에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제 컵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에 적용된 무선 충전 장치는 운전석과 가까운 콘솔박스의 컵홀더 측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뒷좌석에 앉아 있는 동승자는 무선 충전 장치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KR 10-169829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한 동승자가 본인의 좌석에서도 간편하게 무선충전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수용하는 컵홀더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능이 부가된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무선충전을 위한 제1상태와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제2상태로의 상태변경시 회전축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중 폴딩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부재;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제1상태로 상기 거치부재를 유지하거나 상기 수용공간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제2상태로 상기 거치부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를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차량의 시트는 좌판,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에 대하여 회동되는 암레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량의 시트 중 폴딩되는 부분은 상기 암레스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암레스트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차량의 시트는 좌판 및 상기 좌판에 대하여 회동되는 등받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량의 시트 중 폴딩되는 부분은 상기 등받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등받이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상태는 상기 거치부재의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상기 물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슬리브링에 걸림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거치부재의 양측에 외측으로 각각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일부 길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어며, 상기 슬리브링은 일부가 상기 걸림홈을 따라 상기 걸림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걸림홈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쉬버튼과, 상기 제2회전축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버튼에 관통형성된 통과홀 및 상기 제2회전축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걸림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과홀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푸쉬버튼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의 외부둘레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부 중 어느 하나의 절개부와 형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상기 거치부재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의 일면과 수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테두리 측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한 동승자가 본인의 좌석에서도 간편하게 무선충전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기를 지지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거치부재의 각도가 회동을 통해 변경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과 컵 또는 텀블러와 같은 물품을 수용하는 컵홀더 본연의 기능을 모두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링을 통해 회전축을 지지하여 회전축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거치부재의 상태변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적은 힘을 사용하더라도 거치부재의 각도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의 다른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3의 분리도,
도 6은 도 3에 적용될 수 있는 회전축과 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적용될 수 있는 컵홀더 바디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덮개부재를 분리한 도면,
도 9는 도 3에 적용될 수 있는 거치부재, 회전축 및 푸쉬버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분리도,
도 11은 도 3에 적용될 수 있는 푸쉬버튼과 제2회전축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3에 적용될 수 있는 거치부재와 회전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3에 적용될 수 있는 제2회전축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2의 분리도, 그리고,
도 15는 도 3에 적용될 수 있는 거치부재가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이하, '차량시트용 컵홀더'라함)(100)는 차량의 시트(10,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시트(10,10') 중 폴딩되는 부분(16,14)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시트(10)는 사람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12)과 사람의 허리 및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14) 및 상기 등받이(14)에 대하여 회동을 통해 폴딩되는 암레스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암레스트(16)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14)는 상기 좌판(12)에 대하여 회동을 통해 폴딩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상기 암레스트(16)가 상기 등받이(14)의 일면에 수용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암레스트(16)는 상기 시트(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암레스트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상기 시트(1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암레스트는 상기 시트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시트(10')는 사람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12)과 사람의 허리 및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판(12)에 대하여 회동을 통해 폴딩되는 등받이(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등받이(14)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시트(10,10')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후방에 설치되어 2열 또는 3열을 구성하는 시트일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시트(10,10')는 2열 또는 3열을 구성하는 3개의 시트 중 두 개의 시트 사이에 설치된 중앙 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의 시트(10,10')를 상기 2열 또는 3열을 구성하는 시트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시트가 복수 개의 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트(10,10')는 상기 복수 개의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시트일 수도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열에 해당하는 시트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가 상기 차량의 시트(10,10')에 장착되면 상기 2열 또는 3열의 시트에 앉은 동승자는 본인의 시트에서 상기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물품을 수용하는 컵홀더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거치부재(120) 및 작동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재(120)에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2열 또는 3열의 시트에 앉은 동승자는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을 이용하여 본인의 좌석에서 간편하게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휴대단말기(30)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용공간(111)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깊이 인입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개방된 상부로 진입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품은 휴대단말기(30), 컵, 텀블러(20)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물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컵은 일반적인 종이컵, 플라스틱 컵, 텀블러 등과 같이 물이나 커피와 같은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수용공간(111)은 상기 하우징(110)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하우징(110)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수용공간(111)은 상기 하우징(110)의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도록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전체개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전체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부재가 상호 결합된 조립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110a)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a)에 결합되는 컵홀더 바디(110b) 및 상기 베이스바디(110a)와 결합되어 상기 컵홀더 바디(110b)를 고정하는 커버부재(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110c)는 상기 제1수용공간(11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111)을 제외한 컵홀더 바디(110b)의 나머지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10c)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바(112)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바디(110a)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바(11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체결바(112)는 상기 베이스바디(110a)의 모서리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단이 상기 베이스바디(110a)에 체결되고 상부단이 상기 커버부재(110c)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a), 컵홀더 바디(110b) 및 커버부재(110c)가 상호 결합된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10)의 구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가 개방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수용공간(111)을 포함한다면 전체적인 형상이나 구조는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12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용공간(1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부재(120)는 상기 제1수용공간(111)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141,142)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거치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바닥면 또는 측면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제1상태와, 일면이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상태는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이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바닥면과 수직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거치부재(120)가 상기 제1수용공간(111) 내에서 제1상태인 경우 상기 거치부재(120)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와 같은 물품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휴대단말기와 같은 물품을 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에는 슬립 방지 패드(1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거치부재(120)가 제1상태에서 물품을 거치하는 경우, 상기 거치부재(120)에 거치된 물품은 미끄러짐이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120)는 상기 물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거치부재(120)가 상기 제1수용공간(111) 내에서 제2상태인 경우 상기 제1수용공간(111)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제1수용공간(111)에 컵이나 텀블러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홀더로서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부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은 일단부가 상기 거치부재(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거치부재(120)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이 걸림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걸림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거치부재(120)는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걸림홈(11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홀더 바디(110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용공간(111)과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복수 개의 걸림홈(113)은 상기 컵홀더 바디(110b)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깊이 인입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U'자 형상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걸림홈(113)은 개방된 상부가 상기 커버부재(110c)를 통해 덮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은 상기 거치부재(120)로부터 돌출된 일부의 길이가 서로 대응되는 걸림홈(113)에 각각 걸림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은 상기 걸림홈(113)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거치부재(120)의 회동시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이 상기 걸림홈(113)에 걸림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걸림홈(113) 측에는 박판의 슬리브링(143)이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박판의 슬리브링(143)은 일부가 상기 걸림홈(113)을 따라 상기 걸림홈(113)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걸림홈(113)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박판의 슬리브링(143)은 대략 'U'자 형상과 같이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박판의 슬리브링(143)은 내면이 상기 걸림홈(113)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걸림홈(1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박판의 슬리브링(143)이 상기 걸림홈(1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120)로부터 돌출된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의 일부 길이를 상기 걸림홈(113) 측으로 삽입하면,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은 일부 둘레가 상기 걸림홈(113)의 내측으로 돌출된 박판의 슬리브링(143)의 내면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은 상기 슬리브링(143)과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에 발생하는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외력이 작동하더라도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거치부재(120)는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중간에 둘레방향을 따라 인입형성되는 안착홈(1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은 상기 안착홈(144)을 통해 상기 박판의 슬리브링(143)에 걸림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거치부재(120)의 회동시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을 중심으로 거치부재(120)가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에서 상기 거치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30)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은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회로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로기판(160)은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바디(110a)의 일측에 배치된 후 상기 커버부재(110c)를 통해 덮어질 수 있고, 상기 회로기판(160)은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의 개수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적절한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로기판(160)의 배치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거치부재(120)가 상기 제1수용공간(111) 내에서 제1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휴대단말기(30)의 일면이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과 접하도록 거치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는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로부터 제공되는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제1수용공간(111)에 컵이나 텀블러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홀더로서의 기능과 함께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로서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2열 또는 3열의 시트에 앉은 동승자는 상기 차량시트용 컵홀더(100)가 장착된 시트(10,10')의 암레스트(16) 또는 등받이(14)를 회동시켜 수평상태로 변경하면, 상기 시트(10,10')에 장착된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동승자가 앉은 본인의 시트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2열 또는 3열의 시트에 앉은 동승자는 본인의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작동부재(150)의 조작을 통해 상기 거치부재(120)를 제1상태로 변경한 후 휴대단말기(30)를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에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2열 또는 3열의 시트에 앉은 동승자는 본인의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시트용 컵홀더(100)에 구비된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테두리 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11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사면(118)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바닥면과 거치부재(120)의 일면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경사면(11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120)가 제1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과 수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30)의 전체길이가 상기 거치부재(120)의 전체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갖더라도 제1상태인 거치부재(120)의 일면에 휴대단말기(30)가 거치되면, 상기 휴대단말기(30)는 일면이 서로 수평면을 이루는 거치부재(120)의 일면 및 경사면(118)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휴대단말기(30)의 일면은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30)의 배터리는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로부터 제공되는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충전효율의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18)은 상기 제1수용공간(111)에 복수 개의 거치부재(12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거치부재(120)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은 상기 거치부재(120)에 내장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거치부재(12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은 복수 개의 거치부재(120)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부재(1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케이스(121) 및 제2케이스(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121) 및 제2케이스(122)를 통하여 형성된 내부공간 측에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은 차폐시트(131)와 상기 차폐시트(131)의 일면에 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시트(131)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132)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시트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132)는 평판형 코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차폐시트(131) 및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132)는 공지의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케이스(122)의 내면에는 상기 차폐시트(131)의 일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132)는 상기 제1케이스(121)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이 상기 거치부재(12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 자세하게는 제1케이스(121)의 외면에 휴대단말기가 밀착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거치부재(120)에 내장된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132)와 휴대단말기의 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화될 수 있으며, 무선 충전시 주행 중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전력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무선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면이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는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은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다른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120)의 일면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거치부재(120)는 상기 제1수용공간(111)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수용공간(111)에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거치부재(120)가 두 개의 제1수용공간(111)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두 개의 거치부재(120)가 제1수용공간(111)의 측면들 중 동일한 측면에 나란히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부재(150)는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작동부재(150)는 상기 거치부재(120)를 제1상태 및 제2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재(120)를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경하거나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부재(150)는 상기 거치부재(120)를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제1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재(15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쉬버튼(151)과, 상기 제2회전축(142)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버튼(151)에 관통형성된 장공의 통과홀(152)과, 상기 제2회전축(142)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걸림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과홀(152)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단차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푸쉬버튼(151)은 홀더부재(114)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푸쉬버튼(151)은 상기 홀더부재(114)의 높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푸쉬버튼(151)의 하부측에는 상기 푸쉬버튼(151)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15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판상의 지지부재(115)는 상기 홀더부재(114)의 하부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부재(155)는 양단이 상기 푸쉬버튼(151) 및 상기 지지부재(115)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푸쉬버튼(151)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스프링부재(155)는 압축을 통해 탄성력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155)는 저장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푸쉬버튼(151)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의 회전은 상기 푸쉬버튼(151)의 슬라이딩 이동과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제1회전축(141) 상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154)과, 상기 제2회전축(14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154)은 상기 제1회전축(14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절개부(145)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단차부(153)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154)은 상기 거치부재(120)를 제1수용공간(111)의 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토션스프링(154)은 일단이 상기 제1회전축(141)의 단부측에 절개형성된 끼움홈(146)에 끼워질 수 있으며 반대되는 타단이 하우징(11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절개부(145)는 상기 제2회전축(142)의 외부둘레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절개부(145)는 상기 단차부(153)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형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회전축(142)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절개부(14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개부(145a)와 제2절개부(14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절개부(145a) 및 제2절개부(145b)는 상기 단차부(153)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부(145a) 및 제2절개부(145b)는 상기 단차부(153)와의 결합시 상기 단차부(153)의 일방향 이동은 허용하면서도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구속할 수 있도록 수직면과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절개부(145a)는 상기 단차부(153)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거치부재(120)를 제1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절개부(145b)는 상기 단차부(153)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거치부재(120)를 제2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도 1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120)가 제2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푸쉬버튼(151)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절개부(145b)는 상기 단차부(153)와의 형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단차부(153)에 의한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회전축(142)은 상기 토션스프링(154)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절개부(145a)가 상기 단차부(153) 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프링부재(155)는 상기 푸쉬버튼(151)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버튼(151)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푸쉬버튼(151)은 상기 스프링부재(155)에 저장된 탄성력을 통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단차부(153)는 상기 제1절개부(145a)와 형합되면서 상기 제1절개부(145a)에 걸림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회전축(142)은 상기 토션스프링(154)에서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단차부(153)에 의해 상기 제2회전축(142)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부재(120)는 제1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거치부재(120)가 제1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거치부재(120)를 제1수용공간(111)의 내측면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거치부재(120)는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153)는 가압력에 의해 제1절개부(145a)에서 제2절개부(145b)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회전축(141) 및 제2회전축(142)은 상기 거치부재(120)의 회동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푸쉬버튼(151)은 상기 제1절개부(145a)에서 제2절개부(145b) 측으로 이동하는 단차부(153)를 통해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프링부재(155)는 상기 푸쉬버튼(151)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단차부(153)가 상기 제2절개부(145b) 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상기 단차부(153)로부터 푸쉬버튼(15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푸쉬버튼(151)은 상기 스프링부재(155)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단차부(153)는 상기 제2절개부(145b)와 형합되면서 상기 제2절개부(145b)에 걸림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부재(120)는 상기 제1수용공간(111) 내에서 제2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거치부재(120)가 제1상태인 경우 푸쉬버튼(151)을 조작하거나 상기 거치부재(120)가 제2상태인 경우 거치부재(12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120)의 위치를 제1상태 또는 제2상태로 상호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제1상태로 상기 거치부재(120)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제1수용공간(111)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제2상태로 상기 거치부재(120)의 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충전기로서의 기능과 컵 또는 텀블러와 같은 물품을 수용하는 컵홀더로서의 기능을 모두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부재(150)는 상기 거치부재(120)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1수용공간(111)에 복수 개의 거치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작동부재(150)는 상기 복수 개의 거치부재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수용공간(111)이 상기 하우징(110)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작동부재(150) 역시 상기 복수 개의 제1수용공간과 더불어 각각의 제1수용공간에 배치된 거치부재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은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은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바닥면에 내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홀더 바디(110b)의 저면에 내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컵홀더 바디(110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공간(111)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저면에 상기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을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공간(1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용공간(116)은 상기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용공간(116)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컵홀더 바디(110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재(117)를 매개로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은 상기 거치부재(120)가 제2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용공간(111)에 컵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컵에 무선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용공간(111)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내용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갖는 컵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컵은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컵은 공지의 무선 히팅 텀블러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히팅 텀블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전력 수신모듈(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은 상술한 거치부재(120)에 내장되는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과 마찬가지로 차폐시트(181)와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1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시트용 컵홀더(100)는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을 통해 상기 제1수용공간(111)에 수용된 무선 히팅 텀블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160) 측에는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과 상기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180)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은 상기 제2회전축(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통과공(147)을 통하여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회로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홀더 바디(110b) 측에도 상기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2회전축(142)의 통과공(147) 및 컵홀더 바디(110b)의 통과공(119)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130)과 회로기판(16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110 : 하우징 110a : 베이스바디
110b : 컵홀더 바디 110c : 커버부재
111 : 제1수용공간 112 : 체결바
113 : 걸림홈 114 : 홀더부재
115 : 지지부재 116 : 제2수용공간
117 : 덮개부재 118 : 경사면
120 : 거치부재 121 : 제1케이스
122 : 제2케이스 123 : 돌출부
124 : 슬립 방지 패드 130 : 제1무선전력 송신모듈
131 : 차폐시트 132 :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
141 : 제1회전축 142 : 제2회전축
143 : 슬리브링 144 : 안착홈
145,145a,145b : 절개부 146 : 끼움홈
147 : 통과공 150 : 작동부재
151 : 푸쉬버튼 152 : 통과홀
153 : 단차부 154 : 토션스프링
155 : 스프링부재 160 : 회로기판
180 : 제2무선전력 송신모듈 181 : 차폐시트
182 : 무선전력 송신용 안테나

Claims (14)

  1. 차량의 시트 중 폴딩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차량시트용 컵홀더로서,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부재;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제1상태로 상기 거치부재를 유지하거나 상기 수용공간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제2상태로 상기 거치부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트는 좌판,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에 대하여 회동되는 암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시트 중 폴딩되는 부분은 상기 암레스트인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트는 좌판 및 상기 좌판에 대하여 회동되는 등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시트 중 폴딩되는 부분은 상기 등받이인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는 상기 거치부재의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이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상기 물품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재가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인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슬리브링에 걸림설치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거치부재의 양측에 외측으로 각각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일부 길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링은 일부가 상기 걸림홈을 따라 상기 걸림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걸림홈에 설치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안착홈을 통해 상기 슬리브링에 걸림설치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거치부재의 양측에 외측으로 각각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쉬버튼과, 상기 제2회전축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푸쉬버튼에 관통형성된 통과홀 및 상기 제2회전축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걸림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과홀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푸쉬버튼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제1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제2회전축의 외부둘레면을 따라 내측으로 절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부 중 어느 하나의 절개부와 형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은 상기 거치부재에 내장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재의 일면과 수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테두리 측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KR1020190063244A 2019-05-29 2019-05-29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KR10266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44A KR102662532B1 (ko) 2019-05-29 2019-05-29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44A KR102662532B1 (ko) 2019-05-29 2019-05-29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33A true KR20200137233A (ko) 2020-12-09
KR102662532B1 KR102662532B1 (ko) 2024-05-02

Family

ID=7378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44A KR102662532B1 (ko) 2019-05-29 2019-05-29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60A1 (ko)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669A (ja) * 2002-09-18 2004-04-08 Nissan Shatai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40065295A (ko) * 2012-11-21 2014-05-29 현대다이모스(주)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시트
KR20150033305A (ko) * 2013-09-24 2015-04-01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 시스템
KR101665247B1 (ko) * 2015-04-16 2016-10-2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KR20160146478A (ko) * 2015-06-12 2016-1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698293B1 (ko) 2016-04-14 2017-01-19 정종석 차량용 무선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669A (ja) * 2002-09-18 2004-04-08 Nissan Shatai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40065295A (ko) * 2012-11-21 2014-05-29 현대다이모스(주)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시트
KR20150033305A (ko) * 2013-09-24 2015-04-01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 시스템
KR101665247B1 (ko) * 2015-04-16 2016-10-2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휴대폰 거치 겸용 컵홀더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공급 방법
KR20160146478A (ko) * 2015-06-12 2016-12-21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698293B1 (ko) 2016-04-14 2017-01-19 정종석 차량용 무선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60A1 (ko)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532B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2155B2 (en)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KR102239310B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US20140176057A1 (en) System of securing a wide-range of devices during wireless charging
US20130234481A1 (en) Inductively coupled consoles
KR20110091616A (ko) 유도 결합된 콘솔
US20170217349A1 (en) Tray table with electronic device support for vehicles
US8744536B2 (en) Holding device for a mobile telephone
JP5689160B2 (ja) 補助椅子
EP1010573A2 (en) Interchangeable module system
US20070075153A1 (en) Vehicle cabin power transfer arrangement
KR101404358B1 (ko)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US11370339B2 (en) Vehicle console with modular accessories
KR20200137233A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JP5925572B2 (ja) 車両用シート
WO2022009804A1 (ja) 電子機器保持装置
AU2001236194A1 (en) Amusement device
US20030167585A1 (en) Waxer for automobiles
KR101937238B1 (ko) 후열 시트용 암레스트
KR20190029136A (ko) 차량용 리어 테이블
CN111038344A (zh) 汽车后备箱
CA2858056A1 (en) Battery charger
CN218549581U (zh) 无线充电车载收纳盒
CN212400991U (zh) 汽车后备箱
KR102343551B1 (ko) 무선 충전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
KR20140003197U (ko) 컵홀더를 갖는 암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