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266A -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266A
KR20140091266A KR1020130003323A KR20130003323A KR20140091266A KR 20140091266 A KR20140091266 A KR 20140091266A KR 1020130003323 A KR1020130003323 A KR 1020130003323A KR 20130003323 A KR20130003323 A KR 20130003323A KR 20140091266 A KR20140091266 A KR 20140091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portable terminal
cup
holder body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078B1 (ko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00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0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컵 홀더 본체,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컵이 거치되는 컵 홀더부, 및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CUP HOLDER COMBINED WITH SUPPORTER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탑승자가 마시던 컵, 음료캔, 음료수병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차량 내부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따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만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면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컵 홀더 본체;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컵이 거치되는 컵 홀더부; 및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컵 홀더 본체;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컵이 거치되는 컵 홀더부; 및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종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판의 종단에 형성되고 상기 컵 홀더 본체와의 사이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설치된 컵 홀더 장치에 휴대 단말기를 함께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컵 홀더 장치는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하우징부의 외부로 인출되므로, 차량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장치에 무선 충전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면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컵 홀더 및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서, 휴대 단말기가 하우징부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서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조명부가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컵 홀더 및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컵 홀더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컵 홀더 및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컵 홀더 본체(104), 컵 홀더부(106), 단말기 거치홈(108), 개폐 판넬부(110), 및 커넥터부(112)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02)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내부에는 컵 홀더 본체(104)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컵 홀더 본체(104)는 컵(180)을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컵 홀더 본체(104)의 하부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컵 홀더 본체(104)는 평상시 하우징부(102)의 내부에 수납된다. 컵 홀더 본체(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다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본체(104)는 누름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하우징부(102) 내에서 컵 홀더 본체(104)에 의해 탄성 부재(미도시)가 수축된 상태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개폐 판넬부(110) 부분을 누르면 잠금 장치(미도시)가 해제되면서 탄성 부재(미도시)가 늘어나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본체(104)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 판넬부(110) 부분을 눌러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밀어넣으면 탄성 부재(미도시)가 다시 수축하면서 잠금 장치(미도시)와 결합하여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어떤 구조물을 누름 방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된 자세한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컵 홀더 본체(104)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컵 홀더 본체(104)는 슬라이드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로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컵 홀더 본체(104)는 하우징부(102)와 슬라이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폐 판넬부(110)를 잡아 당겨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할 수 있고, 개폐 판넬부(110)를 밀어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 내로 다시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개폐 판넬부(110)에는 별도의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컵 홀더 본체(104)는 사용자가 차량 내에 구비된 별도의 제어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는 컵 홀더 본체(104)가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본체(104)가 차량 실내에서 노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컵 홀더 본체(104)가 직선 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본체(104)가 일측으로 휘어지면서(즉, 곡선을 그리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102) 내에 컵 홀더 본체(104)가 2개가 수납될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컵 홀더 본체(104)는 좌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고, 다른 하나의 컵 홀더 본체(104)는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컵 홀더부(106)는 컵 홀더 본체(104)에 형성된다. 컵 홀더부(106)는 컵 거치홀(121), 컵 받침부(123), 탄성 부재(125), 및 컵 고정부(127)를 포함한다. 컵 거치홀(121)은 컵 홀더 본체(104)의 일부가 원형으로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컵 거치홀(121)에는 컵(180)이 삽입되어 거치된다. 여기서, 컵(180)이 빠지지 않도록 컵 거치홀(121)의 직경은 컵(180)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는, 컵 거치홀(121)에 컵(180)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료캔이나 음료수병 등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컵 받침부(123)는 컵 거치홀(121)의 하부에 형성된다. 컵 받침부(123)는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컵 받침부(123)의 일측은 탄성 부재(125)와 결합된다. 탄성 부재(125)는 컵 홀더 본체(104)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5)로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받침부(12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컵 홀더 본체(104)가 인입 또는 인출될 때의 컵 받침부(123)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컵 홀더 본체(104)가 인출된 상태에서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시키면, 컵 받침부(123)는 하우징부(102)의 내벽에 의해 컵 홀더 본체(104)의 내측 상부로 밀어올려진 상태로 수납된다. 이때, 탄성 부재(125)는 컵 홀더 본체(104)의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시키면, 컵 받침부(123)가 탄성 부재(125)의 탄성력으로 인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여기서는, 컵 받침부(123)를 통해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받침부(123) 대신 컵 홀더 본체(104)의 하단에 컵 받침판(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컵 고정부(127)는 컵 거치홀(121)에 형성된다. 컵 고정부(127)는 컵(180)이 컵 거치홀(121)에 삽입될 때, 하부 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컵 고정부(127)는 컵 거치홀(121) 내에서 컵(180)을 압박하여 컵(18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단말기 거치홈(108)에는 휴대 단말기(190)의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된다. 휴대 단말기(19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 MP3,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컵 홀더 본체(104)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을 컵 홀더 본체(104)의 길이 방향이라고 할 때, 단말기 거치홈(108)은 컵 홀더 본체(104)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 거치홈(108)에서 휴대 단말기(190)는 하우징부(10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이 단말기 거치홈(108)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의해 지지되고, 휴대 단말기(190)의 타면 모서리가 단말기 거치홈(108)의 타측 내벽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단말기 거치홈(108)의 일측 상단 모서리 부분(즉,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이 지지되는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90)가 단말기 거치홈(108)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 거치홈(108)의 타측 내벽(즉, 미끄럼 방지 패드(131)와 대향하는 내벽)에는 지지 패드(134)가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90)의 타면을 지지 패드(134)가 지지하여 휴대 단말기(190)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미끄럼 방지 패드(131) 및 지지 패드(134)는 예를 들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단말기 거치홈(108)의 일부가 컵 거치홀(121)과 겹치도록 형성되어 컵 홀더부(106)에 컵(180)을 거치시키거나 단말기 거치홈(108)에 휴대 단말기(190)를 거치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 거치홈(108)은 컵 거치홀(111)과 상호 이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컵 홀더부(106)에 컵(180)을 거치시키면서 단말기 거치홈(108)에는 휴대 단말기(190)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부(106)에 컵(180)을 거치시키고, 휴대 단말기(190)는 단말기 거치홈(108)에서 하우징부(102)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서 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컵 홀더 장치(100)가 차량의 뒷 좌석에 설치된 암레스트에 설치되거나 차량의 뒷 좌석의 쿠션에 설치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90)를 하우징부(102)가 위치하는 방향(즉, 차량 뒷 좌석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서 거치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기 거치홈(108)의 타측 상단 모서리 부분(즉,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이 지지되는 부분)에 미끄럼 방지 패드(131)가 형성되고, 단말기 거치홈(108)의 일측 내벽(즉, 미끄럼 방지 패드(131)와 대향하는 내벽)에 지지 패드(134)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 판넬부(110)는 컵 홀더 본체(104)의 종단에 형성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폐 판넬부(110)를 눌러 컵 홀더 본체(104)를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개폐 판넬부(110)에는 별도의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미도시)를 잡고 컵 홀더 본체(104)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개폐 판넬부(11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안착된다. 이때, 개폐 판넬부(11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상이 조절될 수 있다.
커넥터부(112)는 컵 홀더 본체(104)의 일측에 형성된다. 커넥터부(112)에는 예를 들어,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12)에는 데이터 케이블 또는 충전 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는 별도의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하우징부(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커넥터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 기판에는 저장 매체가 장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는 휴대 단말기(19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는 저장 매체 및 충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112)에 USB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휴대용 저장 장치를 연결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와 회로 기판의 저장 매체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데이터 케이블의 타측을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의 저장 매체와 휴대 단말기(190) 간에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충전 케이블의 일측을 커넥터부(112)에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의 타측을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에 연결하면, 회로 기판의 충전 회로를 통해 휴대 단말기(19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데이터 전송 겸용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휴대 단말기(19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19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상태 표시부(114)는 개폐 판넬부(11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충전 상태 표시부(114)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차량 내부 구조물(50)에는 조명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150)는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될 때 온(ON) 되고,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될 때 오프(OFF)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50)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은 회로 기판의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50)가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본체(104)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구조물에 조명부가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차량 내부 구조물(50)에는 하우징부(102)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16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61)는 차량 내부 구조물(50)과 힌지 결합된다. 커버(161)에는 조명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커버(16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올려지게 된다. 이때, 조명부(150)가 온(ON) 동작하여 컵 홀더 본체(104)를 향하여 빛을 비춰주게 된다. 여기서, 컵 홀더 본체(104)가 다시 하우징부(102)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커버(16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우징부(102)의 입구를 닫게 된다. 이때, 조명부(150)는 오프(OFF) 된다. 여기서는, 조명부(150)가 컵 홀더 본체(104)의 인출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b)는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부(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 설치된다. 하우징부(102)는 차량 내부 구조물(50) 내에서 세로로 설치될 수 있다. 컵 홀더 본체(104)는 힌지(137)를 통해 하우징부(102)와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컵 홀더 본체(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137)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도 4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컵 홀더 본체(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137)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부(102) 내부에 다시 수납되게 된다.
이때, 컵 홀더 본체(104)는 누름 방식을 통해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102)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 받침부(113) 대신 컵 받침판(139)이 형성되어 컵 거치홀(121)에 삽입된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컵 받침판(139)은 컵 홀더 본체(104)의 하단에 컵 홀더 본체(104)의 하부를 폐쇄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에 컵 홀더 및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는 무선 충전부(140)를 더 포함한다. 무선 충전부(140)는 컵 홀더 본체(104)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부(140)는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부(140)는 한 쌍의 결합부(141), 충전 지지부(144),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을 포함한다.
한 쌍의 결합부(141)는 컵 홀더 본체(10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결합부(141)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부(141)는 컵 홀더 본체(104)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홈(151)에 각각 안착되어 컵 홀더 본체(104)와 결합될 수 있다. 충전 지지부(144)는 한 쌍의 결합부(141)를 연결하며 형성된다. 충전 지지부(144)는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47)은 충전 지지부(14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47)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개폐 판넬부(1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각각 회로 기판의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충전 모듈(147)은 자기 유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공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무선 충전 모듈(1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동일한 무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무선 충전 모듈(1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은 함께 동작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149)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90)의 충전 상태가 충전 상태 표시부(114)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부(140)가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149)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무선 충전 모듈(147) 또는 제2 무선 충전 모듈(149)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140)는 휴대 단말기(190)가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 거치홈(108)에 안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90)를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한 쌍의 결합부(141)를 회전시켜 무선 충전부(140)를 단말기 거치홈(108)의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90)를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200)는 하우징부(202), 컵 홀더 본체(204), 컵 홀더부(206), 단말기 거치부(208), 개폐 판넬부(210), 및 커넥터부(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부(202), 컵 홀더 본체(204), 컵 홀더부(206), 개폐 판넬부(210), 및 커넥터부(212)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단말기 거치부(208)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 거치부(208)는 개폐 판넬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컵 홀더 본체(204)는 개폐 판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단말기 거치부(208)가 개폐 판넬부(210)에 형성된다는 것은 단말기 거치부(208)가 컵 홀더 본체(204)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208)는 제1 지지판(208-1) 및 제2 지지판(208-2)을 포함한다. 제1 지지판(208-1)은 개폐 판넬부(210)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2 지지판(208-2)은 제1 지지판(208-1)의 종단에 형성된다. 제2 지지판(208-2)은 개폐 판넬부(21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판넬부(210)와 단말기 거치부(208) 사이에는 휴대 단말기(190)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S)이 존재하게 된다. 제2 지지판(208-2)에는 휴대 단말기(19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208)는 개폐 판넬부(210)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더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판(208-1)의 일부는 개폐 판넬부(210)를 관통하여 컵 홀더 본체(204)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거치부(208)를 개폐 판넬부(210)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폐 판넬부(210)와 제2 지지판(208-2)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컵 홀더 본체(204)를 하우징부(202)의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탄성 부재(225)의 탄성력으로 인해 컵 받침부(223)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컵 홀더부(206)의 컵 거치홀(221)에는 컵(180)을 거치시키고 단말기 거치부(208)에는 휴대 단말기(190)를 거치시킬 수 있다. 개폐 판넬부(210)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231)가 형성되고, 제2 지지판(208-2)의 내면에는 지지 패드(23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컵 홀더 본체(204)를 하우징부(202)의 내부로 인입하는 경우, 컵 받침부(223)는 하우징부(202)의 내벽에 의해 컵 홀더 본체(204)의 내측 상부로 밀어올려진 상태로 수납된다. 그리고, 개폐 판넬부(210)는 차량 내부 구조물(50)에 안착된다. 여기서, 단말기 거치부(208)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컵 홀더 본체(204)를 인입한 상태에서도 단말기 거치부(208)에 휴대 단말기(190)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컵 홀더 본체(204)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하우징부(20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202)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컵 홀더 본체(204)가 하우징부(202)와 힌지 결합하며, 힌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200)는 무선 충전부(240)를 더 포함한다. 무선 충전부(240)는 컵 홀더 본체(204)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부(240)는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부(240)는 한 쌍의 결합부(241), 충전 지지부(244),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을 포함한다.
한 쌍의 결합부(241)는 컵 홀더 본체(20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결합부(241)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부(241)는 컵 홀더 본체(204)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홈(251)에 각각 안착되어 컵 홀더 본체(204)와 결합될 수 있다. 충전 지지부(244)는 한 쌍의 결합부(241)를 연결하며 형성된다. 충전 지지부(244)는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47)은 충전 지지부(24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제2 지지판(208-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단말기 거치홈(10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각각 회로 기판의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서로 다른 무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충전 모듈(247)은 자기 유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공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무선 충전 모듈(2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동일한 무선 충전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무선 충전 모듈(247)과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은 함께 동작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 중 적어도 하나가 휴대 단말기(19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90)의 충전 상태가 충전 상태 표시부(214)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선 충전부(240)가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및 제2 무선 충전 모듈(249)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무선 충전 모듈(247) 또는 제2 무선 충전 모듈(249)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부(240)는 휴대 단말기(190)가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 단말기 거치부(208)에 안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90)를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한 쌍의 결합부(241)를 회전시켜 무선 충전부(240)를 단말기 거치부(208)의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90)를 단말기 거치부(208)에 거치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컵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컵 홀더부(106)는 컵 거치홀(121), 컵 지지부(123'), 및 탄성 부재(125)를 포함한다. 컵 거치홀(121)은 컵 지지부(123')에 형성된다. 컵 지지부(123')의 일측은 탄성 부재(125)를 통해 컵 홀더 본체(104)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5)로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컵 지지부(123')는 하우징부(102)의 내벽에 의해 컵 홀더 본체(104) 방향으로 굽혀진 상태로 수납된다(도 11의 (a)). 이때, 탄성 부재(125)는 컵 홀더 본체(104)의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차량 내부 구조물(50)에는 하우징부(102)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16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탄성 부재(125)의 탄성력으로 인해 컵 지지부(123')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도 11의 (b)). 컵 거치홀(121)에 컵(180)이 삽입되어 거치될 때, 컵 홀더 본체(104)가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컵 거치홀(121)이 컵 홀더 본체(104)에 형성되지 않고, 컵 홀더 본체(104)의 상부에 위치하는 컵 지지부(123')에 형성되고, 컵 홀더 본체(104)가 컵(180)의 하부를 지지하는 형태의 컵 홀더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컵 홀더 본체(104)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하우징부(102)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하우징부(202)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컵 홀더 본체(104)가 하우징부(102)와 힌지 결합하며, 힌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의 대시 보드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①, ②, ③, ④).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의 센터 페시아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⑤, ⑥).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콘솔 박스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⑦).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 앞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⑧).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 뒷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⑨).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 앞 좌석의 시트 백에 설치될 수 있다(⑩).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는 차량 암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다(⑪). 그러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100, 200)가 설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02, 202 : 하우징부 104, 204 : 컵 홀더 본체
106, 206 : 컵 홀더부 108 : 단말기 거치홈
110, 210 : 개폐 판넬부 112, 212 : 커넥터부
114, 214 : 충전 상태 표시부 121, 221 : 컵 거치홀
123, 223 : 컵 받침부 125, 225 : 탄성 부재
127, 227 : 컵 고정부 131, 231 : 미끄럼 방지 패드
134, 234 : 지지 패드 137 : 힌지
139 : 컵 받침판 140, 240 : 무선 충전부
141, 241 : 한 쌍의 결합부 144, 244 : 충전 지지부
147, 247 : 제1 무선 충전 모듈 149, 249 : 제2 무선 충전 모듈
150 : 조명부 151, 251 : 안착홈
180 : 컵 185 : 음료캔
190 : 휴대 단말기 208 : 단말기 거치부
208-1 : 제1 지지판 208-2 : 제2 지지판

Claims (18)

  1. 컵 홀더 본체;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컵이 거치되는 컵 홀더부; 및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2. 컵 홀더 본체;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컵이 거치되는 컵 홀더부; 및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종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판의 종단에 형성되고 상기 컵 홀더 본체와의 사이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설치되고, 상기 컵 홀더 본체를 수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컵 홀더 본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장 매체 및 충전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저장 매체와 상기 휴대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충전시키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구조물 또는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컵 홀더 본체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컵 홀더 본체는, 상기 힌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단말기 거치홈의 일측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단말기 거치홈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종단 모서리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제2 지지판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상기 한 쌍의 결합부를 연결하며 형성되는 충전 지지부; 및
    상기 충전 지지부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는,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양측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본체의 종단에 형성되는 개폐 판넬부; 및
    상기 개폐 판넬부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무선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제2 지지판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무선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상기 컵 홀더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콘솔 박스,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KR1020130003323A 2013-01-11 2013-01-11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KR102045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323A KR102045078B1 (ko) 2013-01-11 2013-01-11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323A KR102045078B1 (ko) 2013-01-11 2013-01-11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266A true KR20140091266A (ko) 2014-07-21
KR102045078B1 KR102045078B1 (ko) 2019-11-14

Family

ID=5173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323A KR102045078B1 (ko) 2013-01-11 2013-01-11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07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254A (ko) * 2015-03-02 2016-09-12 (주)현대공업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KR20160120042A (ko) * 2015-04-07 2016-10-17 김시완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구비한 차량용 접이식 컵홀더
GB2557967A (en) * 2016-12-20 2018-07-04 Jaguar Land Rover Ltd Cup Holder
US10343576B1 (en) 2018-01-22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WO2020017935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JP2020179834A (ja) * 2019-04-26 2020-11-05 豊田合成株式会社 車載用容器ホルダ
US10850656B2 (en) 2018-03-16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US11780357B2 (en) 2018-07-20 2023-10-10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US11912189B2 (en) 2018-07-20 2024-02-27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29A (ja) * 1996-06-28 1998-01-20 Naporetsukusu:Kk 飲料容器ホルダー
JPH1067268A (ja) * 1996-08-29 1998-03-10 Central Motor Co Ltd カップホルダ
KR200443360Y1 (ko) * 2007-11-28 2009-02-06 (주)정인일렉텍 차량용 휴대폰 충전 거치대
KR20120028726A (ko) * 2010-09-15 2012-03-23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629A (ja) * 1996-06-28 1998-01-20 Naporetsukusu:Kk 飲料容器ホルダー
JPH1067268A (ja) * 1996-08-29 1998-03-10 Central Motor Co Ltd カップホルダ
KR200443360Y1 (ko) * 2007-11-28 2009-02-06 (주)정인일렉텍 차량용 휴대폰 충전 거치대
KR20120028726A (ko) * 2010-09-15 2012-03-23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254A (ko) * 2015-03-02 2016-09-12 (주)현대공업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KR20160120042A (ko) * 2015-04-07 2016-10-17 김시완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구비한 차량용 접이식 컵홀더
GB2557967A (en) * 2016-12-20 2018-07-04 Jaguar Land Rover Ltd Cup Holder
GB2557967B (en) * 2016-12-20 2019-12-25 Jaguar Land Rover Ltd A cup holder comprising a slot for receiving a phone
US10343576B1 (en) 2018-01-22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US10850656B2 (en) 2018-03-16 2020-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WO2020017935A1 (ko) * 2018-07-20 2020-01-23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컵홀더
US11780357B2 (en) 2018-07-20 2023-10-10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US11912189B2 (en) 2018-07-20 2024-02-27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US11932155B2 (en) 2018-07-20 2024-03-19 Amosense Co., Ltd.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JP2020179834A (ja) * 2019-04-26 2020-11-05 豊田合成株式会社 車載用容器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078B1 (ko)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1266A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US8816636B2 (en) Console door pocke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332388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8922354B2 (en)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404358B1 (ko)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US7616972B2 (en)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KR101219760B1 (ko)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WO2014020917A1 (ja) 無接点充電器及び自動車
CN107487273B (zh) 一种车载无线充电装置及车辆
KR101483149B1 (ko)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KR20140146854A (ko)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WO2004114490A1 (en) Mobile phone charger unit
KR101502943B1 (ko) 차량의 무선 충전용 고정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센터 콘솔 조립체
KR101369672B1 (ko) 자동차용 무선 충전용 핸드폰 수납함
JP5299537B1 (ja)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KR20140002927U (ko)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101704295B1 (ko) 차량의 무선 충전용 핸드폰 거치대
KR20150071523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US20150340905A1 (en) Sun viso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20150107671A (ko) 무선 충전 장치
JP2012224237A (ja) スマートフォンの取付構造
CN209402565U (zh) 一种自动感应支架
KR20180039354A (ko) 차량용 무선충전기
KR200483222Y1 (ko)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KR20150066139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