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927U -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927U
KR20140002927U KR2020120010214U KR20120010214U KR20140002927U KR 20140002927 U KR20140002927 U KR 20140002927U KR 2020120010214 U KR2020120010214 U KR 2020120010214U KR 20120010214 U KR20120010214 U KR 20120010214U KR 20140002927 U KR20140002927 U KR 201400029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seat
mount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200Y1 (ko
Inventor
홍주연
Original Assignee
홍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주연 filed Critical 홍주연
Priority to KR2020120010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0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5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7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ar passeng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뒷좌석에서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고, 차량의 뒷좌석에서 휴대 전자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는 시트의 배면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부에 마련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시트의 수용홈부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시트의 배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와. 시트의 수용홈부의 내측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용홈부의 외측으로 인출가능하며, 표면 전단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이 마련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Supporting app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은 차량에서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 등과 같은 각종 휴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그 이용도가 엄청나게 증가함에 따라 이제는 인간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가고 있다.
사용자는 휴대 전자기기를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가정, 회사, 학교 등과 같은 장소에서 의자에 앉아 책상에 놓고 사용을 하거나 손에 들고 사용을 하고 있으며, 지하철이나 버스 등으로 이동 중에도 거의 항상 손에 휴대하면서 사용을 하고 있다. 또한, 승용차에 승차하여 이동하는 중에도 승용차 시트에 앉아서 휴대 전자기기를 손에 들고 사용한다.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 용도는, 예컨대, 전화, 게임, 문자, SNS, 영화감상 등으로 다양하다.
그런데, 종래 승용차에는 운전자가 휴대 전화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마련되어 있지만, 별도의 거치대를 구입하여야 하는 것이고, 또한 거치대가 차량의 인스투르먼트 패널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앞좌석에 앉은 경우에는 이용가능하지만 뒷좌석에 앉은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승용차의 뒷좌석에 앉은 탑승자가 휴대 전자기기를 항상 자신의 손으로 잡고 사용하거나 무릎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 일정 시간동안 영화감상을 하는데에는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승용차 뒷좌석에는 별도의 충전설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터리가 전부 소모된 경우에 충전을 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버스나 기차를 비롯한 일반 대중교통수단의 경우에도 휴대 전자기기의 거치 또는 충전을 위한 설비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위와 같은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뒷좌석에서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뒷좌석에서 휴대 전자기기의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의 배면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부에 마련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배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내측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홈부의 외측으로 인출가능하며, 표면 전단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이 마련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수단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측 둘레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거치부재의 표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걸림홈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거치부재 표면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후방지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고 상기 후방지지턱에 지지된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의 전방 양측에 각각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시트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 내측면에 매립장착되는 충전용 콘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의 배면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부에 마련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배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입구 양측 내벽에 장착되어 휴대 전자기기의 양 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측방지지부재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양 측단을 감쌀 수 있도록 'ㄷ' 형상 평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입구 양측 내벽 및 상기 측방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방지지부재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방지지부재가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압박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의하면, 시트의 수용홈부에 마련된 거치부재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뒷좌석과 같은 곳에서도 편리하게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의하면, 거치부재에 휴대 전자기기를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휴대 전자기기가 탈거될 염려가 없어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의하면, 시트의 수용홈부에 충전용 배터리가 마련됨으로써 차량의 이동 중에도 차량 뒷좌석에서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과 충전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의하면, 측방지지부재가 휴대 전자기기를 압박지지하기 때문에, 휴대 전자기기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일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일 요부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일 요부를 보인 평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비롯한 모든 전자기기가 포함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200)는 시트(100)에 장착되는 것인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200)의 장착을 위해 시트(100)의 배면에 내측 방향으로 수용홈부(110)가 형성되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200)는 시트(100)의 수용홈부(110)를 개폐하는 커버부재(210)와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에 수용되는 거치부재(22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210)는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의 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트(100)의 배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커버부재(210)는 시트(100)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10)는 시트(100)의 배면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10)의 하단에 시트(100)의 배면과 연결되는 힌지부(21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부재(210)의 상단, 좌측단 또는 우측단 중 어느 곳이든 필요에 따라 힌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회동가능한 커버부재(210)의 일 예로서 힌지부(212)에 의해 시트(100)의 배면과 연결된 커버부재(21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라면 커버부재(210)의 회동을 위한 구성을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 실시예도 본 고안의 커버부재(210)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다
커버부재(2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전성을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심재를 섬유 또는 가죽 재질의 외피로 감싸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210)는 힌지부(212)가 장착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후크(216)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트(100)의 수용홈부(110)를 폐쇄하기 위해 커버부재(210)를 회동시키면 커버부재(210)의 걸림후크(216)가 시트(100)의 수용홈부의 내측면에 걸림되어 커버부재(210)가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의 상측에는 커버부재(210)의 걸림후크(216)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210)의 걸림후크(216)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10)는 외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14)를 가질 수 있으며, 커버부재(210)의 손잡이부(214)를 잡고 당기면 커버부재(210)의 걸림후크(216)가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의 상측에 형성된 홈에서 빠져나와 커버부재(210)가 열리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부재(210)는 시트(100)의 배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시트의 수용홈부의 내측면에는 커버부재(21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은 상, 하, 좌, 우 어느 방향이던지 가능하고 대응되도록 커버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시트의 수용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면 된다.
거치부재(220)는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의 내측 저면에 수용홈부(1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커버부재(210)를 열어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의 입구를 개방한 후 거치부재(220)를 시트(100)의 수용홈부(110)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220)의 양 측단면에는 가이드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도록 시트(100)의 수용홈부(110) 내측면에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거치부재(220)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시트(100)의 수용홈부(110) 내측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220)에 가이드돌기(221)를 형성하고, 시트(100)의 수용홈부(110) 내측면에 가이드홈(111)을 갖는 가이드부재(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을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의 내측에서 커버부재(210)가 인출되는 길이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210)가 다단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거치부재(220)는 표면 전단에 휴대 전자기기(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커버부재(210)를 열어 시트(100)의 수용홈부(110)를 개방시키고 거치부재(220)의 거치수단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키거나, 또는 거치부재(220)를 시트(100)의 수용홈부(110) 외측으로 인출시킨 후 거치부재(220)의 거치수단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200)는 시트(100) 뒤에서 커버부재(210)를 열고 거치부재(220)에 바로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키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거치부재(220)를 외측으로 인출한 후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거치부재(220)의 거치수단은 다양한 예가 가능하며, 이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거치부재(220)의 거치수단은 표면 전단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홈(222)은 휴대 전자기기(10)의 일측 둘레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10)가 걸림홈(22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222)은 휴대 전자기기가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내측벽이 수직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가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내측벽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걸림홈(222)은 휴대 전자기기의 가로길이 보다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재(220)의 거치수단은 걸림홈(222)에 경사지게 세워지는 휴대 전자기기(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는 후방지지턱(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지지턱(224)은 걸림홈(222)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거치부재(220)의 표면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재(220)의 걸림홈(22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휴대 전자기기(10)는 그 후면을 후방지지턱(224)이 받치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후방지지턱(224)은 휴대 전자기기(10)의 후면 보호를 위해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220)의 거치수단은 걸림홈(222)에 세워지는 휴대 전자기기(10)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전방지지바(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지바(226)는 걸림홈(222)의 전방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 상방으로 회동되어 휴대 전자기기(10)의 전면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홈(22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휴대 전자기기(10)는 그 후면을 후방지지턱(224)이 받치게 되고 그 전면을 전방지지바(226)가 지지하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차량 등의 주행 중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전방지지바(226)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200)는 충전용 콘센트(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용 콘센트(2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0)의 수용홈부(110) 내측면에 매립장착되며,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 전자기기(10)가 거치부재(220)에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용 콘센트(230)와 휴대 전자기기(10)를 충전용 연결잭 등으로 연결하면 휴대 전자기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어, 배터리 소모시 충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휴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는 승용차, 버스, 기차 등을 비롯한 각종 차량의 시트에 마련될 수 있다.
승용차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차 시트(100)의 배면에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200)가 장착된다. 시트(100)의 뒤에 앉은 탑승자가 휴대 전자기기(10)를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부(214)를 잡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10)를 잡아 당겨 열어 시트(100)의 수용홈부(110)를 개방시키고, 거치부재(220)의 거치수단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220)를 시트(100)의 수용홈부(110) 외측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전자기기(10)는 거치부재(220)의 걸림홈(222)에 삽입되고 후면이 후방지지턱(224)에 의해 지지되며 전면이 전방지지바(2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휴대 전자기기(10)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기기(10)의 배터리가 전부 소모된 경우에는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에 내장된 콘센트(230)와 휴대 전자기기(10)를 연결함으로써 비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휴대 전자기기의 충전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10)와 콘센트(230)를 연결한 후 커버부재(210)를 닫아놓으면 휴대 전자기기(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200')는 커버부재(210) 및 측방지지부재(240)를 포함하며, 탄성부재(250) 및 충전용 콘센트(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10) 및 충전용 콘센트(230)는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커버부재(210) 및 충전용 콘센트(230)와 기술적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측방지지부재(240)는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의 양측 내벽에 장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휴대 전자기기(10)의 양 측단을 지지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0)가 거치되도록 한다. 측방지지부재(24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무재질과 같은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측방지지부재(240)는 평평한 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견고한 지지를 위해 휴대 전자기기(10)의 양 측단을 감싸도록 'ㄷ' 형상의 평면을 갖는 바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측방지지부재(240) 사이에 휴대 전자기기(10)를 끼워넣어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가 있다.
탄성부재(250)는 일단이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의 입구 양측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측방지지부재(240)에 고정되어 측방지지부재(240)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복수의 탄성부재(250)가 개재됨으로 인해 측방지지부재(240)는 휴대 전자기기(10)를 압박 지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10)가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로는 압축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고, 기타 측방지지부재를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250)를 장착하지 않고 측방지지부재(240)가 시트(100)의 수용홈부(110)의 입구 쪽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0)의 뒤에 앉은 탑승자가 휴대 전자기기(10)를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부(214)를 잡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10)를 잡아 당겨 열어 시트(100)의 수용홈부(110)를 개방시키고, 측방지지부재(240) 사이에 휴대 전자기기(10)를 끼워넣음으로써 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전자기기(10)는 양 측단을 압박지지하는 측방지지부재(240)로 인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휴대 전자기기(10)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충전용 콘센트(230)의 사용방법은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00 : 시트 110 : 수용홈부
111 : 가이드홈 200, 200' :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210 : 커버부재 212 : 힌지부
214 : 손잡이부 216 : 걸림후크
220 : 거치부재 221 : 가이드돌기
222 : 걸림홈 224 : 후방지지턱
226 : 전방지지바 230 : 충전용 콘센트
240 : 측방지지부재 250 : 탄성부재

Claims (9)

  1. 시트의 배면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부에 마련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배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내측 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홈부의 외측으로 인출가능하며, 표면 전단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이 마련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수단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측 둘레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거치부재의 표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거치부재 표면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후방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고 상기 후방지지턱에 지지된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의 전방 양측에 각각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시트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 내측면에 매립장착되는 충전용 콘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7. 시트의 배면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부에 마련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배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입구 양측 내벽에 장착되어 휴대 전자기기의 양 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방지지부재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양 측단을 감쌀 수 있도록 'ㄷ' 형상 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수용홈부의 입구 양측 내벽 및 상기 측방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방지지부재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방지지부재가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압박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2020120010214U 2012-11-09 2012-11-09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200474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14U KR200474200Y1 (ko) 2012-11-09 2012-11-09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14U KR200474200Y1 (ko) 2012-11-09 2012-11-09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27U true KR20140002927U (ko) 2014-05-19
KR200474200Y1 KR200474200Y1 (ko) 2014-08-27

Family

ID=5200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214U KR200474200Y1 (ko) 2012-11-09 2012-11-09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0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90A1 (ko) * 2014-10-10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696635B1 (ko) * 2015-10-27 2017-01-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0482365Y1 (ko) * 2016-08-09 2017-01-16 김주영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FR3068660A1 (fr) * 2017-07-07 2019-01-11 Psa Automobiles Sa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integrant un dispositif support pour terminal mobile.
WO2020058711A1 (en) * 2018-09-18 2020-03-26 Eao Ltd. An inductive charg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0993A (zh) * 2018-07-10 2018-11-13 吴洪 一种新能源汽车用车内充电系统及其工作方法
FR3139066A1 (fr) * 2022-08-31 2024-03-01 Safran Seats Logement de charge à induction pour un siège muni d'un dispositif de retenue latér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5467A (ja) * 1994-08-11 1996-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プレーヤ兼用車載音響装置
KR200296115Y1 (ko) * 2002-08-20 2002-11-29 이건동 차량용 액정 모니터 거치대
KR100809047B1 (ko) * 2007-03-20 2008-03-03 류희석 휴대용 단말기 수납부가 구비된 대시보드
KR200457703Y1 (ko) * 2008-12-29 2011-12-29 이필승 독서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90A1 (ko) * 2014-10-10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N105501134A (zh) * 2014-10-10 2016-04-20 Lg电子株式会社 车座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CN105501134B (zh) * 2014-10-10 2018-05-18 Lg电子株式会社 车座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KR101696635B1 (ko) * 2015-10-27 2017-01-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0482365Y1 (ko) * 2016-08-09 2017-01-16 김주영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WO2018030750A1 (ko) * 2016-08-09 2018-02-15 김주영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FR3068660A1 (fr) * 2017-07-07 2019-01-11 Psa Automobiles Sa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integrant un dispositif support pour terminal mobile.
WO2020058711A1 (en) * 2018-09-18 2020-03-26 Eao Ltd. An inductive char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200Y1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200Y1 (ko)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US20180215325A1 (en) Vehicle mounting system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911819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JP6056651B2 (ja) 携帯端末アダプタ
US20090237031A1 (en) Portable media player wireless charger
US20130002049A1 (en) Battery boost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483149B1 (ko)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WO2012162075A1 (en) Portable universal serial bus (usb) cable keychain assembly with carabiner clip
US20190267758A1 (en)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KR101892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US7278877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CN109565942A (zh) 载置系统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WO2004114490A1 (en) Mobile phone charger unit
JP2016107686A (ja) アームレスト
CN213283359U (zh) 台车以及使用其的便携式超声系统
CN208134239U (zh) 具有一键夹紧功能的车载无线充电手机支架
KR200465348Y1 (ko) 롤 이어폰 및 예비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JP2013081354A (ja) 電気自動車充電コンセント装置
KR20160003706U (ko)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CN201102512Y (zh) 车用电子装置的底座结构
CN110635539A (zh) 一种支架式无线充电装置
KR20150139158A (ko) 휴대폰을 장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1417739B1 (ko)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KR200477138Y1 (ko)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