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30750A1 -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0750A1
WO2018030750A1 PCT/KR2017/008546 KR2017008546W WO2018030750A1 WO 2018030750 A1 WO2018030750 A1 WO 2018030750A1 KR 2017008546 W KR2017008546 W KR 2017008546W WO 2018030750 A1 WO2018030750 A1 WO 20180307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topper
guide rail
vehicle
vertic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85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ublication of WO20180307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07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9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giving information to passengers inside the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023/005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 좌석의 배면에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에 관한 것으로, 차량 좌석의 배면에 결합된 힌지, 힌지와 결합된 평판의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작으며 게시물 삽입이 가능하고 전면이 투명하여 게시물이 노출되는 광고시트,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광고시트 전면에 결합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버스나 자동차 좌석의 배면에 부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이제 스마트폰은 단순히 전화수단이 아닌 여러 사람들과 소통을 하는 수단이며, 수많은 컨텐츠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는 멀티종합 전자기기가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점차 휴대성이 증가되어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에서 출퇴근시간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흔들리는 버스에서 스마트폰을 장시간 들고 있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목디스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코자 버스와 같은 좌석에 스마트폰을 특별히 거치할 수 있는 장치의 수요가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74200호의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는 차량의 좌석 배면에 내측으로 수용되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수용홈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와 수용홈부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이 가능한 거치부재로 구성된 거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차량 좌석 배면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이나, 걸림홈의 크기보다 작은 전자기기인 경우 차량진동에 의해 흔들리고 걸림홈의 크기보다 큰 전자기기는 거치시킬 수 없어 다양한 전자기기를 거치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함에 있어 커버를 열고 커버부재를 앞으로 당겨야하는 조작의 번거로움이 있고, 전자기기를 거치하더라도 차량의 흔들림에 의해 커버부재와 함께 앞뒤로 이동될 수 있고, 차량 좌석의 배면을 내측에 거지장치를 설치하는 구조인 점에서 두께가 두꺼운 자동차 시트는 가능하나 두께가 얇은 버스 좌석에는 설치하기 어려운 구조인 문제점이 있었다.
사용자가 차량의 좌석 배면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차량의 움직임에도 진동을 흡수하거나 흔들리지 않으면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경으로 광고와 같은 전단물을 자연스럽게 노출시킴으로써 실용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적용된 차량 좌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차량의 좌석 배면에 결합되는 힌지;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좌석 배면과 상기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는 작으며 상부 또는 일측이 개구된 파일첩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노출면 일부에 부착되고,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내부로 게시물을 삽입시킬 수 있으며, 삽입된 상기 게시물이 외부에서도 보일 수 있도록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광고시트; 상하면을 관통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횡단면이 “[”자“]”자가 일정간격을 가진 로드로 형성되어 상기 광고시트의 좌우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이축을 가지도록 상기 광고시트의 투명한 전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하로 돌출형성되도록 횡단면이 “+”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스토퍼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안착되어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어 측향이동이 제한된다.
이 때, 상하가 개구되고 측면 두께가 전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사각관 형태의 패킹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기울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부는 개폐가능하도록 탈부착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배치되어 상기 전자기기가 안착되며 전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가 외부에서 보이는 수납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레일상에 안착된 상기 전자기기의 측면보다 높게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기에 좌측에 형성된 제 1 스토퍼; 상기 가이드레일상에 안착된 상기 전자기기의 측면보다 높게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기에 우측에 형성된 제 2 스토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2 스토퍼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2 스토퍼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2 스토퍼와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스토퍼는 상기 전자기기와 접촉되는 사각형의 측판 일모서리로부터 전판이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수평단면이 “」”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스토퍼는 각각 전판과 측판을 덮는 상판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가 차량의 진동으로 상기 상판과 접촉될 때까지 상하진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스토퍼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막대형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축이 형성되는 제 1 수직바; 상기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수직바가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1 자석; 사각막대형상으로 상기 제 2 스토퍼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상에 배치된 제 2 수직바; 상기 제 2 스토퍼와 상기 제 2 수직바가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차량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수직바간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제 2 스토퍼와 상기 제 2 수직바간의 이격거리에 반비례하는 척력이 각각의 사이에 발생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초기위치를 복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자기기에 자기력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좌석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 및 상기 전자기기 거치대가 부착되는 버스 의자로 구성된다.
상하면을 관통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이 “[”자“]”자가 일정간격을 가진 가이드레일과, 횡단면이 “+”자 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스토퍼를 구성하고, 가이드레일 상에 전자기기를 안착시킨후 스토퍼를 이동시켜 전자기기와 접촉됨으로써, 차량의 진동에도 전자기기의 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시트의 두께에 관계없이 전자기기 거치대의 설치가 가능하며, 다양한 전자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다. 게다가, 전자기기가 거치된 가이드레일이 광고와 같은 게시물이 삽입된 광고시트에 설치되고 광고시트는 전면이 투명하여 삽입된 게시물이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이용하면서 광고를 함께 접할 수 있다.
상하가 개구된 직사각관 형태의 패킹으로 상부는 탈부착식으로 구성한 수납팩을 가이드레일상에 설치함으로써, 스토퍼의 측향이동 제한 뿐 아니라 전자기기가 기울어 전도되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또한, 수납팩이 전자기기의 앞뒤를 지지하는 구조로써, 다양한 전자기기로 수납팩 내부로 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수납팩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가이드레일 상에 거치된 전자기기의 화면을 외부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는 가이드레일상에 안착된 전자기기의 측면보다 높게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 사이에 전자기기를 배치시킴으로써 전자기기의 좌우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가 서로 스프링으로 연결됨으로써, 복원력에 의해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가 전자기기를 좌우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스토퍼는 전자기기와 접촉되는 사각형의 측판 일모서리로부터 전판이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수평단면이 “」”자 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전자기기의 측향이동 고정 뿐 아니라 전자기기가 가이드레일 밖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토퍼는 전판과 측판을 덮는 상판이 더 형성되어 전자기기가 차량의 진동에 의해 상하로 흔들리는 경우 전자기기가 제 2 스토퍼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의 외측에 제 1 수직바와 제 2 수직바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스토퍼와 제 1 수직바가 마주보는 면 각각에 제 1 자석이 형성되고 제 2 스토퍼와 제 2 수직바가 마주보는 면 각각에 제 2 자석이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진동에 의해 제 1 스토퍼와 제 1 수직바가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또는 제 2 스토퍼와 제 2 수직바가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점점 척력이 증가하여 전자기기를 밀어냄으로써 전자기기가 초기에 거치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의 배치로 자기력이 가변하는 구조로 인하여, 전자기기의 진동을 댐핑(damping)시키며 감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기력을 이용하는 구조로써 스프링이나 고무와 같은 기타 탄성부재와 달리 시간이 지나도 마모가 되지 않아 진동감쇠성능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전자기기 거치대는 종래기술과 같이 차량 좌석의 내측방향으로 홈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 없이 차량 좌석과 별도 체결되는 구조로써, 두께가 얇은 버스 좌석에 특히 적용시키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거치대가 적용된 차량 좌석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PDP, 패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들고 차량에 탑승하여 사용할 경우 차량의 진동에 의해 화면을 제대로 시청하기 어렵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뒷 배경으로 광고물, 전단지와 같은 게시물이 노출될 수 있는 거치대와 그 거치대가 적용된 차량 좌석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된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차량 좌석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모든 유형물을 포괄하여 “전자기기”라고 호칭하고, 광고물이나 전단지와 같이 정보를 알리기 위해 만든 모든 유형물을 포괄하여 “게시물”이라고 호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거치대가 적용된 차량 좌석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힌지(101), 베이스 플레이트(102), 광고시트(103), 가이드레일(104) 및 스토퍼(105)로 구성된다.
힌지(101)는 내부에 샤프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두 몸체가 서로 회전되는 것으로 , 차량의 좌석(10) 배면에 결합되어 있다. 두 몸체는 바깥면은 차량의 좌석(10) 배면이나 후술할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접촉되어 결합되기에 평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힌지(101)는 차량 좌석(10) 배면의 중앙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힌지(101)의 두 몸체가 서로 회전한 후 회전각이 유지되도록 두 몸체가 마주보는 부분에 일정한 돌기가 형성되고 서로 돌기가 맞물리는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힌지(101)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숫힌지와 암힌지에 삽입되는 구조이거나 볼베어링을 이용한 구조 등 두 몸체를 회전케하는 다른 힌지로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는 전자기기 거치대(100)의 기초 구조물에 해당되는 것으로, 차량의 좌석(10) 배면에 힌지(101)를 통해 결합된 일정두께를 가진 평판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중앙에 힌지(101)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플레이트(102)는 거치되는 전자기기(20)를 안정적으로 받치면서 기타 다른 구성들도 부착될 수 있도록 단단한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stainless) 또는 카본 플레이트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2)가 평판형태를 유지하면서 차량의 좌석(1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계열의 PVC(Poly Vinyl Chloride), PP(Poly Propylene)로 제작될 수도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는 힌지(101)를 통해 차량의 좌석(10)에 결합되어 힌지(101)의 샤프트를 회전축으로 회동하면서 지면과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74200호의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는 차량의 좌석 배면에 내측으로 수용되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수용홈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와 수용홈부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이 가능한 거치부재로 구성된 거치장치로써, 반드시 차량의 내측으로 거치대를 설치해야하기에 차량의 두께가 두꺼워야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힌지(101)로 차량 좌석 외부에 체결되는 것으로써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버스 의자에 설치하기 적절하다. 힌지(101)는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공용된 부품으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존의 힌지를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02)가 지면과의 경사가 조절되는 경우 뿐 만아니라,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종래의 힌지구조를 채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더 작은 크기의 광고시트(103)가 부착되어 있다.
광고시트(103)는 베이스 플레이트(102)보다는 작으며 상부 또는 일측이 개구된 파일첩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노출면 일부에 부착되고,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내부로 게시물(30)을 삽입시킬 수 있으며, 삽입된 게시물(30)이 외부에서도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고시트(103)는 베이스 플레이트(102)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2)가 사용자에게 보이는 노출면에 부착되는 파일첩이다. 광고시트(103)의 상부나 양측 중 어느 일측이 개구되어 외부로부터 내부로 광고전단지와 같은 게시물(30)을 삽입하여 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시트(103)가 사용자에게 보이는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삽입된 게시물(30)이 외부에서도 보일 수 있다. 여기서, 광고시트(103)와 베이스 플레이트(102)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석, 벨크로, 단추, 블록과 같은 탈부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광고시트(103)의 전면 일부에 가이드레일(104)이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04)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횡단면이 “[”자“]”자가 일정간격을 가진 로드로 형성되어 광고시트(103)의 좌우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이축을 가지도록 광고시트(103)의 투명한 전면에 결합되어 있다. 즉, 가이드레일(104)은 광고시트(103)의 양측방향 즉, 광고시트(103)의 좌측면부터 우측면으로 연결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광고시트(103)의 전면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 가이드레일(104)은 광고시트(103) 내에 삽입된 게시물(30)을 과도하게 가리지 않도록 광고시트(103)의 전면 하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레일(104)은 로드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홈에 스토퍼(105)가 삽입되어 있다.
스토퍼(105)는 가이드레일(104)에 삽입되어 상하로 돌출형성되도록 횡단면이 “+”자 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횡단면이 “[”자와 “]”자가 이격된 형태의 가이드레일(104) 사이에 횡단면이 “+”자 형인 스토퍼(105)가 삽입설치되어, 가이드레일(104)을 기준으로 상하 돌출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레일(104)의 홈을 따라 측향이동되는 구조이다. 전자기기(20)는 가이드레일(104) 상에 안착되며, 사용자는 가이드레일(104) 아래로 돌출된 스토퍼(105) 부분을 잡고 스토퍼(105)가 전자기기(20)에 접촉될때까지 이동시킨다. 전자기기(20)는 차량의 진동에 의해 측향이동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스토퍼(105)가 거치된 전자기기(20)를 접촉지지하고 있어 전자기기(20)가 측향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종래기술인 한국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74200호의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는 차량의 좌석 배면에 내측으로 수용되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수용홈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와 수용홈부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이 가능한 거치부재로 구성된 거치장치로써, 수용홈의 크기보다 작은 전자기기는 차량 진동으로 흔들리게 되고 수용홈보다 길거나 두꺼운 전자기기는 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스토퍼(105)를 이동시켜 전자기기(20)를 고정시키는 구조로써 전자기기(20)의 길이에 무관하게 다양한 전자기기(20)를 거치할 수 있다.
스토퍼(105)의 측향제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스토퍼(105)는 무거운 질량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거나 내부에 금속재질을 내장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레일(104)의 홈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스토퍼(105)의 슬라이딩 이동 마찰력을 증가시킨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레일(104)과 스토퍼(105) 상으로 직사각관 형태의 수납팩(10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수납팩(106)은 상하가 개구되고 측면 두께가 전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사각관 형태로, 상부는 개폐가능하도록 탈부착부재(1061)가 형성되고 하부는 가이드레일(104)이 배치되어 전자기기(20)가 안착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가 보이는 패킹(packing)이다. 탈부착부재(1061)는 자석, 벨크로, 지퍼, 단추 등을 의미하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수납팩(106)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수납팩(106)의 두께는 수납팩(106)의 상부를 폐쇄시킬 경우 전자기기(20)가 압착되는 정도로, 수납팩(106)의 하부는 가이드레일(104)의 두께와 비슷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납팩(106)이 전자기기(20)가 스토퍼(105)와 접촉되는 측면이 아닌 반대쪽 측면 그리고 전자기기의 전면을 접촉지지함으로써, 차량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전자기기(20)가 가이드레일(104)로부터 앞으로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납팩(106)이 전자기기(20)의 앞뒤를 감싸는 구조로써 전자기기(20)의 두께에 상관없이 다양한 전자기기(20)를 수납팩(106) 내부로 실장시켜 가이드레일(104) 상에 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05)로 전자기기(20)를 밀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4)상에 최외측으로 전자기기(20)를 배치시킴으로써, 스토퍼(105)가 접촉되지 않는 전자기기(20)의 반대측면이 수납팩(106)의 측면과 접촉되게 하여 전자기기(20)가 좌우측 방향 모두 이동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광고시트(103)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부분에 전자기기(2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기(107)가 더 설치되어, 전자기기(20)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충전기(107)와 전자기기(20)는 케이블(1071)로 연결될 수 있도록 수납팩(106) 측면의 일부분에 개구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74200호의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는 차량의 시트 배면에 내측으로 수용되는 거치대를 설치하고, 수용홈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와 수용홈부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이 가능한 거치부재로 구성된 거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차량 시트 배면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이나,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함에 있어 커버를 열고 커버부재를 앞으로 당겨야하는 조작의 번거로움이 있고, 커버부재의 슬라이딩이동을 고정시키지 않으면 거치된 휴대 전자기기가 차량의 흔들림에 의해 앞뒤로 커버부재와 함께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으며, 휴대 전자기기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휴대 전자기기 이외 광고와 같은 전단물을 노출시킬 수 없는 점에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전자기기(20)를 가이드레일(104)에 안착시킨 후 측면에서 스토퍼(105)로 접촉시킴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전자기기(20)가 차량의 진동에도 움직이지 않게 가이드레일(104)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20)의 분리가 편리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02)를 기울임으로써 전자기기(20)의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종래기술과 같이 차량 좌석의 내측방향으로 홈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구조가 아닌, 힌지(101)로써 차량 좌석(10)과 별도 체결되는 구조로써, 두께가 얇은 버스 좌석(10)에 특히 적용시키기 적합하다. 게다가, 전자기기(20)에서 재생되는 영상 뿐 아니라 배경의 게시물도 사용자에게 무의식적으로 인식시킴으로써 기업의 홍보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힌지(101), 베이스 플레이트(102), 광고시트(103), 가이드레일(104) 및 스토퍼(105)로 구성되며, 특히 스토퍼(105)는 제 1 스토퍼(1051) 및 제 2 스토퍼(1052)로 구성된다. 힌지(101). 베이스 플레이트(102), 광고시트(103), 가이드레일(104)는 위 설시한 실시예와 동일하여 이하에서는 스토퍼(105)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토퍼(105)는 가이드레일(104)상에 안착된 전자기기(20)의 측면보다 높게 가이드레일(104)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자기기(20)의 좌우측에 각각 제 1 스토퍼(1051)와 제 2 스토퍼(105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스토퍼(1051)는 차량 시트(10)의 배면을 바라보는 사람을 기준으로 전자기기(20)의 좌측에 위치한 스토퍼를 의미하고, 제 2 스토퍼(1052)는 그 반대측인 전자기기(20)의 우측에 위치한 스토퍼를 의미한다. 제 1 스토퍼(1051)와 제 2 스토퍼(1052) 사이에 전자기기(20)가 배치되는 구조로써, 전자기기(2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모두 제한시킬 수 있다.
스프링(1053)은 가이드레일(104)의 홈에 배치되어 제 1 스토퍼(1051)와 제 2 스토퍼(1052)를 연결하고 있다. 전자기기(20)는 제 1 스토퍼(1051)와 제 2 스토퍼(1052)사이에 삽입되어 스프링(1053)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스토퍼(1051) 및 제 2 스토퍼(1052)와 밀착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는 차량의 진동이 전자기기(20)와 제 1 스토퍼(1051) 및 제 2 스토퍼(1052)를 함께 진동시켜야하는 구조로써 증가된 관성에 의해 진동을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1 스토퍼(1051)와 제 2 스토퍼(1052) 모두 가이드레일(104)과의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이 전자기기(20)의 측향이동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되어 전자기기(20)가 더욱 진동되기 어려운 구조이다.
여기서, 제 2 스토퍼(1052)는 전자기기(20)와 접촉되는 사각형의 측판 일모서리로부터 전판이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수평단면이 “」”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판은 전자기기(20)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이고, 전판은 전자기기(20)의 전면과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 2 스토퍼(1052)의 형상으로, 전자기기(20)를 측방향 뿐 아니라 전방향으로 기울어 넘어지지 않도록 잡아줄수 있다. 여기서, 제 2 스토퍼(1052)는 측판과 전판의 상부를 덮는 상판이 더 형성되어 전자기기(20)가 차량의 진동에 의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스토퍼(1052)는 수평단면이 “]”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전자기기(20)가 스토퍼(105)의 홈에 끼워지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때,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광고시트(103)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부분에 전자기기(2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기(107)가 더 설치되어, 전자기기(20)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충전기(107)와 전자기기(20)는 케이블(1071)로 연결될 수 있도록 충전기(107)와 가까운 제 1 스토퍼(1051) 일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100)는 힌지(101), 베이스 플레이트(102), 광고시트(103), 가이드레일(104), 제 1 스토퍼(1051), 제 2 스토퍼(1052), 제 1 수직바(1081), 제 2 수직바(1082), 제 1 자석(1091) 및 제 2 자석(1092)으로 구성된다. 힌지(101), 베이스 플레이트(102), 광고시트(103), 가이드레일(104), 제 1 스토퍼(1051) 및 제 2 스토퍼(1052)는 위 설시한 실시예와 동일하여 이하에서는 제 1 수직바(1081), 제 2 수직바(1082), 제 1 자석(1091), 제 2 자석(1092)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 수직바(1081)는 제 1 스토퍼(1051)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막대형태로 가이드레일(104)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축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수직바(1081)는 제 1 스토퍼(1051)와 적어도 일면이 마주보는 막대로 사각막대 또는 반원형막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직바(1081)는 가이드레일(104)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스토퍼(1051)와 비슷하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자석(1091)은 제 1 스토퍼(1051)와 제 1 수직바(1081)가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자석(1091)은 제 1 스토퍼(1051)의 외측면 그리고 이와 마주보는 제 1 수직바(108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으로 제 1 스토퍼(1051)와 제 1 수직바(1081)의 각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차량 진동시 가이드레일(104)에 안착된 전자기기(20)가 스토퍼(105)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 1 스토퍼(1051)가 제 1 수직바(1081)와 가까워지는 경우, 자장의 척력이 강해지면서 전자기기(2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구조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스토퍼(1051)와 제 1 수직바(1081) 각각은 자석을 내장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제 2 수직바(1082)는 제 2 스토퍼(1052)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막대형태로 가이드레일(104)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축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수직바(1082)는 제 2 스토퍼(1052)와 적어도 일면이 마주보는 막대로 사각막대 또는 반원형막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수직바(1082)는 가이드레일(104)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2 스토퍼(1052)와 비슷하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자석(1092)은 제 2 스토퍼(1052)와 제 2 수직바(1082)가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자석(1092)은 제 2 스토퍼(1052)의 외측면 그리고 이와 마주보는 제 2 수직바(1082)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으로 제 2 스토퍼(1052)와 제 2 수직바(1082)의 각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차량 진동시 가이드레일(104)에 안착된 전자기기(20)가 스토퍼(105)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 2 스토퍼(1052)가 제 2 수직바(1082)와 가까워지는 경우, 자장의 척력이 강해지면서 전자기기(2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구조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스토퍼(1052)와 제 2 수직바(1082) 각각은 자석을 내장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는 제 1 스토퍼(1051)와 제 2 스토퍼(1052)의 각 외측에 제 1 수직바(1081)와 제 2 수직바(1082)가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 1 자석(1091) 또는 제 2 자석(1092)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스토퍼(1051)와 상기 제 1 수직바(1081) 또는 상기 제 2 스토퍼(1052)와 상기 제 2 수직바(1082)는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척력이 증가하여 전자기기(20)의 초기위치로 복원하는 방향으로 자기력이 전자기기(20)에 인가되면서 전자기기(20)의 좌우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기력을 이용할 경우 스프링이나 고무와 같은 기타 탄성부재와 달리 시간이 지나도 마모가 되지 않아 진동감쇠성능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차량의 좌석(10) 배면에 결합되는 힌지(101);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좌석(10) 배면과 상기 힌지(101)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101)를 축으로 회전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10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2)보다는 작으며 상부 또는 일측이 개구된 파일첩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노출면 일부에 부착되고,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내부로 게시물(30)을 삽입시킬 수 있으며, 삽입된 상기 게시물(30)이 외부에서도 보일 수 있도록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광고시트(103);
    상하면을 관통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횡단면이 “[”자“]”자가 일정간격을 가진 로드로 형성되어 상기 광고시트(103)의 좌우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이축을 가지도록 상기 광고시트(103)의 투명한 전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04); 및
    상기 가이드레일(104)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4)의 상하로 돌출형성되도록 횡단면이 “+”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스토퍼(105)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20)는 상기 가이드레일(104) 상에 안착되어 상기 스토퍼(105)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20)의 측향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가 개구되고 측면 두께가 전면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사각관 형태의 패킹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20)가 상기 가이드레일(104)로부터 기울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부는 개폐가능하도록 탈부착부재(106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가이드레일(104)이 배치되어 상기 전자기기(20)가 안착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20)가 외부에서 보이는 수납팩(10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05)는,
    상기 가이드레일(104)상에 안착된 상기 전자기기(20)의 측면보다 높게 상기 가이드레일(104)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기(20)에 좌측에 형성된 제 1 스토퍼(1051);
    상기 가이드레일(104)상에 안착된 상기 전자기기(20)의 측면보다 높게 상기 가이드레일(104)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기(20)에 우측에 형성된 제 2 스토퍼(1052); 및
    상기 가이드레일(104)의 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스토퍼(1051)와 상기 제 2 스토퍼(1052)를 연결하는 스프링(1053)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20)는 상기 제 1 스토퍼(1051)와 상기 제 2 스토퍼(1052)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105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1 스토퍼(1051) 및 상기 제 2 스토퍼(1052)와 상기 전자기기(20)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토퍼(1052)는 상기 전자기기(20)와 접촉되는 사각형의 측판 일모서리로부터 전판이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수평단면이 “」”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토퍼(1052)는 각각 전판과 측판을 덮는 상판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20)가 차량의 진동으로 상기 상판과 접촉될 때까지 상하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1051)와 마주보는 면을 가지는 막대형태로 상기 가이드레일(104)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축이 형성되는 제 1 수직바(1081);
    상기 제 1 스토퍼(1051)와 상기 제 1 수직바(1081)가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1 자석(1091);
    사각막대형상으로 상기 제 2 스토퍼(1052)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04)상에 배치된 제 2 수직바(1082);
    상기 제 2 스토퍼(1052)와 상기 제 2 수직바(1082)가 서로 마주보는 면들 각각에 형성된 제 2 자석(1092)을 포함하고,
    차량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 1 스토퍼(1051)와 상기 제 1 수직바(1081)간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제 2 스토퍼(1052)와 상기 제 2 수직바(1082)간의 이격거리에 반비례하는 척력이 각각의 사이에 발생되어 상기 전자기기(20)의 초기위치를 복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자기기(20)에 자기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거치대.
  7. 제 1 항의 전자기기 거치대(100)가 적용된 차량 좌석에 있어서,
    제 1 항의 전자기기 거치대(100); 및
    상기 전자기기 거치대(100)가 부착되는 버스 의자를 포함하는 차량 좌석.
PCT/KR2017/008546 2016-08-09 2017-08-08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WO201803075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98U KR200482365Y1 (ko) 2016-08-09 2016-08-09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KR20-2016-0004598 2016-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750A1 true WO2018030750A1 (ko) 2018-02-15

Family

ID=5796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8546 WO2018030750A1 (ko) 2016-08-09 2017-08-08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2365Y1 (ko)
WO (1) WO20180307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2689A1 (zh) * 2022-01-30 2023-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座椅以及交通工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809B1 (ko) 2019-11-07 2021-06-30 이시백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CN113284430A (zh) * 2021-05-21 2021-08-20 深圳市威视创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视觉跟随功能的出租车led透明广告屏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226U (ja) * 2006-12-04 2007-06-07 株式会社Uリード Elを使用したタクシー広告表示装置
KR20120006616U (ko) * 2011-03-17 2012-09-26 김세욱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KR20130125882A (ko) * 2012-05-10 2013-11-20 송창국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를 이용한 광고판겸 책꽂이
KR20140002927U (ko) * 2012-11-09 2014-05-19 홍주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20160000568A (ko) * 2014-06-24 2016-01-05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226U (ja) * 2006-12-04 2007-06-07 株式会社Uリード Elを使用したタクシー広告表示装置
KR20120006616U (ko) * 2011-03-17 2012-09-26 김세욱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KR20130125882A (ko) * 2012-05-10 2013-11-20 송창국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를 이용한 광고판겸 책꽂이
KR20140002927U (ko) * 2012-11-09 2014-05-19 홍주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20160000568A (ko) * 2014-06-24 2016-01-05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2689A1 (zh) * 2022-01-30 2023-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座椅以及交通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65Y1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30750A1 (ko)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US9195263B2 (en) Integrated magnetic tablet stand
US20130286551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first and a second magnet
US20210006973A1 (en) Portable Device Accessory
WO2014186916A1 (zh) 电子装置的定位组件
WO2013147376A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WO2020206886A1 (zh) 一种磁动力滑轨装置及一种智能终端
WO2017135725A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용 지지대
WO2022270776A1 (ko) 스마트폰 다용도 거치대
JP6009704B1 (ja) スライド式手帳型携帯ケース
CN210174445U (zh) 一种便于支撑展览和阅读使用的全景立体书
CN111131561B (zh) 滑盖机构及移动终端
JP5341000B2 (ja) 吊戸用の振れ止め装置
US10597920B1 (en) Magnetic levitating door
CN111131562A (zh) 滑盖机构及移动终端
KR102348146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CN217720843U (zh) 无线充电器
WO2019022419A1 (ko) 자동차 에어컨 벤트 그릴에 전자기기를 부착하기 위한 액세서리
CN215010360U (zh) 一种触摸屏手机保护套
CN111311978B (zh) 一种计算机网络开发用便于调节的演示装置
KR101600528B1 (ko)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CN213405668U (zh) 一种结构简化的书桌专用杯架
CN214256380U (zh) 一种可折叠式手机支架
CN215073372U (zh) 电子班牌的防护机构
CN216391106U (zh) 一种磁吸指环支架以及包含其的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397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397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