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616U -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616U
KR20120006616U KR2020110002211U KR20110002211U KR20120006616U KR 20120006616 U KR20120006616 U KR 20120006616U KR 2020110002211 U KR2020110002211 U KR 2020110002211U KR 20110002211 U KR20110002211 U KR 20110002211U KR 20120006616 U KR20120006616 U KR 201200066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rtable terminal
velcro
fix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욱
Original Assignee
김세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욱 filed Critical 김세욱
Priority to KR2020110002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616U/ko
Publication of KR20120006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1000)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1000)는 휴대용단말기(10)가 놓이는 거치부재(100)를 가진다. 상기 거치부재(100)는 기차 또는 버스 등의 운송수단의 좌석뒷면의 손잡이(7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00)와 중간연결부재(2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베이스부재(410)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410)에는 상기 손잡이(700)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서 상호간에 회동가능도록 연결된 다수개의 관절부재(481)(483)(485)가 설치된다. 상기 다수개의 관절부재(481)(483) 중 말단 관절부재(485)에는 띠 형태의 제2벨크로부재(488)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재(410)의 전면에는 제1벨크로부재(418)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Placer for mobile units on straps}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 디엠비(DMB) 수신기,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기차, 버스 등의 좌석배면의 손잡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들이 있는데, 예를 들어,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컴퓨터, 디엠비(DMB)를 수신하여 감상할 수 있는 디엠비(DMB) 수신기 등이 있다. 이들은 휴대용으로 들고 다니면서 이들이 지닌 여러 기능을 사용하게 된다.
기차나 버스 등을 이용하여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손으로 잡고 장시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예를 들어 장시간 영화를 감상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잡고 있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를 기차 또는 버스의 좌석배면의 손잡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가지고 기차 또는 버스로 이동할 때 휴대용 단말기를 들고 사용하는데서 오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용단말기가 놓이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와 연결된 것으로서 기차 또는 버스 등의 운송수단의 좌석뒷면의 손잡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서 상호간에 회동가능도록 연결된 다수개의 관절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관절부재가 상기 손잡이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서 상호간에 회동되었을 때 상기 다수개의 관절부재 중 말단 관절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에 설치된 제1벨크로 부재와 상기 말단 관절부재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벨크로 부재에 부착되는 제2벨크로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벨크로 부재는 띠 형태를 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휴대용 단말기가 운송수단의 좌석뒷면의 손잡이에 거치되어 사용자는 이를 손으로 잡고 유지할 필요가 없이 편하게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가 손잡이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 도면.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1000)는 거치부재(100)를 가진다.
상기 거치부재(100)는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컴퓨터, 디엠비(DMB)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용으로 들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기(10)가 놓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거치부재(100)는 판부재(110)와 상기 판부재(110)의 하면과 측면으로 돌출된 측면받침부재(130)와 하면받침부재(140)를 가지며, 또한 상기 측면부재(14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부재(150)를 가진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50)는 상기 판부재(110) 뒷면의 홀딩부재(114)(114)로 인입 및 인출되는 연결부재(154)(154)와 연결되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및 하면받침부재(130)(140)에 휴대용 단말기(10)를 놓은 후, 상기 슬라이드부재(150)를 상기 홀딩부재(114)(114)의 내부로 밀어 넣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가 상기 거치부재(100)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를 탈거하는 경우는 역순을 따르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고정부재(400)가 제공되어 상기 거치부재(100)를 기차, 버스 등의 운송수단의 좌석뒷면에 설치된 손잡이(700)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중간연결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거치부재(100)와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고정부재(400)는 베이스부재(410)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재(410)의 뒷면으로는 상기 좌석뒷면의 손잡이(700)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서 상호간에 회동가능도록 연결된 다수개의 관절부재(481)(483)(485)가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다수개의 관절부재(481)(483)(485)가 상기 손잡이(700)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서 상호간에 회동되었을 때 상기 다수개의 관절부재(481)(483)(485) 중 말단 관절부재(485)를 상기 베이스부재(410)에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418)(488)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410)의 전면에 설치된 제1벨크로 부재(418)와 상기 말단 관절부재(485)에 설치된 제2벨크로 부재(488)을 포함한다.
상기 제2벨크로 부재(488)는 띠 형태의 것이 제공되며 상기 제1벨크로 부재(418)에 부착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관절부재(481)(483)(485)가 손잡이(700)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서 회동되어 상기 손잡이(700)를 감싸게 되면 그 말단 관절부재(485)에 설치된 상기 제2벨크로 부재(488)를 댕겨 상기 베이스부재(410)에 설치된 제1벨크로부재(418)에 부착한다. 그럼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0)는 운송수단의 좌석 뒷면의 손잡이(700)에 고정 설치되어 이와 연결된 거치부재(100)는 손잡이(70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호간에 이격된 두 개가 제공되며, 이들은 각각 양측 연결부(230)(230)에 의하여 조작연결부(210)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연결부(210)는 상기 거치부재(100)와 연결된다. 상기 양측연결부(230)(230)와 조작연결부(210)가 상기 고정부재(400)와 상기 거치부재(100)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재(200)를 이룬다.
상기 조작연결부(210)는 그 길이가 연장될 수 있는 연장가능부(218)를 가지고 또한 도 1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연결부(210)를 조작하여 최적의 사용위치를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를 참고로, 버스 또는 기차 등의 운송수단의 좌석에 앉은 사용자는 그 앞좌석의 뒷면에 설치된 손잡이(700)에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1000)를 설치하여 장시간 편안하게 휴대용 단말기(1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00)의 관절부재(481)(483)(485)를 손잡이(700)에 대하여 바깥쪽에서 회동하여 손잡이(700)를 감싸듯 하고 이후 말단 관절부재(485)에 설치된 제2벨크로부재(488)를 댕겨 상기 베이스부재(410)의 제1벨크로부재(418)에 부착하여 고정부재(400)를 손잡이(700)에 설치한다.
거치부재(100)에 휴대용 단말기(10)를 장착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조작연결부(210)를 조작하여 길이를 맞추거나 위치를 맞춘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를 경우 휴대용 단말기(10)가 앞좌석 뒷면의 손잡이(700)에 거치되어, 사용자는 휴대용단말기(10)를 굳이 손으로 잡고 유지할 필요가 없고, 편하게 휴대용 단말기(1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장시간 영상감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100: 거치부재
10: 휴대용 단말기
400: 고정부재
410: 베이스부재
481, 483, 485: 관절부재
418: 제1벨크로부재
488: 제2벨크로

Claims (3)

  1. (a) 휴대용단말기가 놓이는 거치부재와;
    (b) 상기 거치부재와 연결된 것으로서 기차 또는 버스 등의 운송수단의 좌석뒷면의 손잡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b1) 베이스부재와;
    (b2)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서 상호간에 회동가능도록 연결된 다수개의 관절부재와;
    (b3) 상기 다수개의 관절부재가 상기 손잡이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서 상호간에 회동되었을 때 상기 다수개의 관절부재 중 말단 관절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면에 설치된 제1벨크로 부재와 상기 말단 관절부재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벨크로 부재에 부착되는 제2벨크로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벨크로 부재는 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KR2020110002211U 2011-03-17 2011-03-17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KR201200066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11U KR20120006616U (ko) 2011-03-17 2011-03-17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211U KR20120006616U (ko) 2011-03-17 2011-03-17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16U true KR20120006616U (ko) 2012-09-26

Family

ID=4750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211U KR20120006616U (ko) 2011-03-17 2011-03-17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616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29Y1 (ko) * 2012-10-26 2014-09-17 차우-런 창 손으로 잡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의 고정기
KR200474430Y1 (ko) * 2012-10-26 2014-11-04 차우-런 창 확장바를 갖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 고정기
KR200475445Y1 (ko) * 2014-09-12 2014-12-01 안기복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200482365Y1 (ko) * 2016-08-09 2017-01-16 김주영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KR20180076532A (ko) * 2016-12-28 2018-07-06 김남수 좌석 등받이의 손잡이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6144Y1 (ko) * 2022-03-14 2022-11-14 황한별 차량용 윈도우 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29Y1 (ko) * 2012-10-26 2014-09-17 차우-런 창 손으로 잡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의 고정기
KR200474430Y1 (ko) * 2012-10-26 2014-11-04 차우-런 창 확장바를 갖는 휴대용 모바일 장치 고정기
KR200475445Y1 (ko) * 2014-09-12 2014-12-01 안기복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200482365Y1 (ko) * 2016-08-09 2017-01-16 김주영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WO2018030750A1 (ko) * 2016-08-09 2018-02-15 김주영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KR20180076532A (ko) * 2016-12-28 2018-07-06 김남수 좌석 등받이의 손잡이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6144Y1 (ko) * 2022-03-14 2022-11-14 황한별 차량용 윈도우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6616U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거치대
US9570925B2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supporting and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portrait position and a landscape position
TWD125181S1 (zh) 手機支持具
KR200477762Y1 (ko)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KR20140090921A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20150208810A1 (en) Foldable chair having portable telephone holder
US20150069961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50138691A (ko) 거치대 및 거치각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344639B1 (ko) 스마트폰 거치장치
KR200479401Y1 (ko)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JP5413994B2 (ja) 携帯型情報端末用保持台、及び卓上電話機
CN205337966U (zh) 一种多功能的手机皮套
CN203604947U (zh) 一种用于电子设备的支撑架
CN105552997A (zh) 一种方便携带的充电宝
CN204795221U (zh) 带移动电源的可折叠手机置架
CN203131344U (zh) 一种充电式活动支架
KR101602320B1 (ko) 휴대폰 거치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N204681430U (zh) 一种多功能手机镜头夹及手机辅助拍摄装置
WO2017042788A1 (en) Modular frame for digital devices
CN203194036U (zh) 可携带或拆卸式移动电源的护壳结构
CN103760952A (zh) 一种新型的组合式电脑配件
CN203872241U (zh) 一种插槽式可充电分体手机支架
CN103095876A (zh) 一种可折叠移动电子设备
CN204481895U (zh) 一种手机辅助贴
CN203206317U (zh) 一种手持通讯设备主板与壳体装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03

Effective date: 2013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