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762Y1 -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762Y1
KR200477762Y1 KR2020150002051U KR20150002051U KR200477762Y1 KR 200477762 Y1 KR200477762 Y1 KR 200477762Y1 KR 2020150002051 U KR2020150002051 U KR 2020150002051U KR 20150002051 U KR20150002051 U KR 20150002051U KR 200477762 Y1 KR200477762 Y1 KR 200477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radle
charging
charging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태
Original Assignee
박남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태 filed Critical 박남태
Priority to KR2020150002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7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등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을 한손으로 쉽게 슬라이딩 탈착하여 거치함과 동시에 별다른 사용자의 동작없이 충전이 시작되어 사용자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자동차용 탈부착수단을 적용한 거치대의 경우 기존의 방식과 달리 거치대에 거치하기 위해 한 손으로 스마트폰보다 크게 고정 클립을 벌려서 안착시키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양손을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뗄 필요 없이 슬라이딩 하여 충전단자에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한 손으로도 운전시 주의집중이 흐려짐이 없이 안전하게 스마트폰을 거치하면서 충전하게 하여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 등 일상생활이나 자동차 안에서나 두 경우 모두 케이스를 부착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NFC태그를 이용하여 상황별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앱을 추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터치조작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Cradle of smart phone}
본 고안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사용에서 중요한 이슈중 하나인 스마트폰의 충전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거치하면서 동시에 별다른 동작없이 이뤄지도록 하는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여러 가지 수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제공됨에 따라 네비게이션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및 차량내의 블루투스와 연동하여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등 상황과 장소에 따라 수많은 활용도를 자랑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여분의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한다. 일상생활에서도 스마트폰 충전시에는 두 손을 이용하여 충전단자와 스마트폰 충전단자를 연결하여야 하고, 특히 차량용 충전기에 연결하는 경우, 시거잭등 차량의 전원부에서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스마트폰 충전단자에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연결후에는 차량내 수납공간에 보관하게 된다.
스마트폰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제공됨에 따라 네비게이션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및 차량내의 블루투스와 연동하여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자동차 안에서나 가정 혹은 사무실에서나 수많은 활용도를 자랑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차량용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여분의 교체용 배터리 혹은 보조충전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한다. 평상시에도 충전을 위해서는 두 손을 이용하여 충전단자와 스마트폰을 연결하여야 하고, 차량용 충전기에 연결하는 경우 시거잭등 차량의 전원부에서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스마트폰 충전단자에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러한 과정은 두 손을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고, 연결후에는 차량내 수납공간에 올려두게 된다.
이는 평상시 거치하거나 충전할 경우 두 손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며, 특히 자동차 운행시에는 전방주시를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고, 차량이 급회전을 하거나 요철부위를 통과할 때 수납공간에 올려둔 스마트폰이 위로 튀어올라 이탈 가능성이 있는바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기존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거치대 제품들은 다양한 스마트폰의 크기를 수용하기 위해 범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거치대에 거치하기 위해 한 손으로 스마트폰보다 크게 고정 클립을 벌려서 안착시켜야 하므로 양손을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어야 한다. 안착시키고 난 후 '충전겸용'이라 칭하는 제품들도 단순히 거치대와 충전케이블을 패키지화한 수준이기 때문에 거치대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충전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도 두 손을 사용할 확률이 높으며, 한 손으로 충전케이블을 연결하더라도 충전단자를 더듬더듬 찾는 과정이 필연적이기 때문에 자동차 운행시 운전자의 주의집중이 흐려지게 되고, 거치를 위해 케이스를 탈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충전 방식도 개발되고 있으나, 충전속도가 늦거나, 무선 충전패드와 스마트폰이 소정의 위치에서 비교적 정확히 위치해야 충전이 시작되는 등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성능과 편의성은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은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로서,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탄성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되어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에 의해 고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이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거치되도록 상기 스마트폰(101)의 배면에 압박을 가하여 주는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전방으로 형성 또는 결합된 받침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될 때 상기 스마트폰(101) 하단의 충전단자가 안착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한 충전장치부(400);및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전장치부 저면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 (404);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대에 슬라이딩 및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장치부(400)의 충전단자(401)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상기 스마트폰 (101)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착되면 상기 스마트폰(101)에서 식별할 수 있는 NFC태그를 상기 거치대 본체( 100)에 더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최상단은 슬라이드 삽입되는 스마트폰(101)이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넓은 개구부를 갖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 배면에 마련되되, 자동차 실내에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70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배면에 마련되되, 평평한 면에 거치하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등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을 한손으로 쉽게 슬라이딩 탈착하여 거치함과 동시에 별다른 사용자의 동작없이 충전이 시작되어 사용자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자동차용 탈부착수단(702)를 적용한 거치대의 경우 기존의 방식과 달리 거치대에 거치하기 위해 한 손으로 스마트폰보다 크게 고정 클립을 벌려서 안착시키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양손을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뗄 필요 없이 슬라이딩 하여 충전단자에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한 손으로도 운전시 주의집중이 흐려짐이 없이 안전하게 스마트폰을 거치하면서 충전하게 하여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술한 두 경우 모두 케이스를 부착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두 경우 모두에 NFC태그를 이용하여 상황별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앱을 추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터치조작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기종을 변경하더라도 후술되는 내용과 같이 다시 초기 1회 연결부재 이동잠금 수단(202) 및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조정하여 적용하면 간편한 본원고안의 장점을 다시 제공받을 수 있기때문에 경제적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충전장치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탈부착수단(702)를 구비한 모습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탈부착수단(702)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모습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 배면도
도 7은 도 3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결합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가이드 부재(20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도1, 2, 3, 6, 8을 보면,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로서,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탄성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되어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에 의해 고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이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거치되도록 상기 스마트폰(101)의 배면에 압박을 가하여 주는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전방으로 형성 또는 결합된 받침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될 때 상기 스마트폰(101) 하단의 충전단자가 안착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한 충전장치부(400);및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전장치부 저면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대에 슬라이딩 및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장치부(400)의 충전단자(401)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상기 스마트폰 (101)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착되면 상기 스마트폰(101)에서 식별할 수 있는 NFC태그를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더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최상단은 슬라이드 삽입되는 스마트폰(101)이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넓은 개구부를 갖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 배면에 마련되되, 자동차 실내에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70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배면에 마련되되, 평평한 면에 거치하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통상 스마트폰의 두께는 6 ~ 9mm 정도이고 케이스의 장착시 두께는 그 이상이 된다. 케이스의 두께까지 고려하여 가이드부재(201)의 깊이 즉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부터 거치대 본체(100)까지의 거리는 통상 스마트폰의 두께 6 ~ 9mm에 케이스의 두께를 더한 것 이상으로 여유 있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마트폰(101)의 거치시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가 있어,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201)에 스마트폰의 좌측 및 우측 베젤이 밀착되도록 상기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가 압박을 받아 상하 방향(301)으로 압축이 되면서 전방(302)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스마트폰(101)의 배면을 견고하게 지지한다(도3 참조). 또한,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는 판스프링형태로 구성하되 굴곡이 형성되는 형태로서 굴곡의 수가 최소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슬라이드 이동이 되도록 상기 스마트폰 배면 지지대(300)의 배면에 스프링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을 보면, 스마트폰(101)의 슬라이드 삽입이 진행되는 동안 가이드부재(201)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상술한 가이드부재(201)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에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동잠금시키기 위한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8참조).
이때, 상기 이동잠금수단 (202), 이동잠금수단(404)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 및 상기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의 전방 외주면 등 상기 스마트폰(101)이 접촉되는 부분은 융이나 기타 천 재질로 덧 씌워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마트폰 본체만 슬라이드 거치시 스마트폰의 외부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마트폰 범퍼 케이스등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쉽게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설명한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의 배면에는 차량에 설치하도록 하는 경우 차량의 대시보드나 유리창 등에 압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등 탈부착수단(702)을 구비시키고 상기 충전단자(401)로부터 자동차 실내에 마련된 시거잭 소켓이나 DC Output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충전케이블을 연장시킨 시거잭 충전기(701)를 마련하여 거치 및 충전을 가능하게 하거나, 도 5와 같이 거치대(100)의 배면에 거치대 상기 충전단자(401)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차 시거잭 소켓 및 DC Output 소켓에 직접연결하면서 자동차 내부에 고정되도록 시거잭 소켓에 대응하는 시거잭 충전기(701)가 상기 충전단자(401)로부터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의 배면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책상이나 바닥 등 평평한 면에 세워두거나 탈부착 혹은 고정시킬 수 있도록하는 거치수단을(도시되지 않음.)구비하고, 상기 충전단자(401)로 부터 가정 및 사무실에 마련된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선되어 스마트폰 전용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의 슬라이딩 거치시 충전이 동시에 가능토록 하는 것은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01)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기 설치시 한 번 스마트폰의 횡방향 길이에 맞게 상기 이동잠금수단(202)를 적용하여 상기 연결부재(200)의 이동이 없이 위치고정되면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위치는 좌, 우 횡방향으로 거치대 충전단자(401)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이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거치되도록 상기 스마트폰(101)의 배면에 압박을 가하여 주는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전방으로 형성 또는 결합된 받침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될 때 상기 스마트폰(101) 하단의 충전단자가 안착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한 충전장치부(400);및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전장치부 저면에 이동잠금수단(404);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스마트폰 배면지지부재(300)에 의해 스마트폰(101)이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하고,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이 전후방향 이동잠금된 상태로 슬라이딩 거치되므로,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전후방향으로 거치대 충전단자(401)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의 위치에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슬라이딩 거치하고, 동시에 충전이 시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최상단은 슬라이드 삽입되는 스마트폰(101)이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넓은 개구부를 갖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9 참조)
또한, 거치대 본체(100)에 상기 스마트폰(101)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거치되면 상기 스마트폰(101)에서 NFC태그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NFC태그를 더 포함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NFC태그는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에 마련되는 거치수단의 종류 즉, 차량에 적용하는 탈부착 수단(702)인지,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책상이나 바닥 등 평평한 면에 거치할 거치수단인지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고, 식별된 거치수단의 종류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NFC 태그 식별결과 차량용인경우 음악감상 앱, 뮤직비디오 앱, 영화 앱, 네비게이션 앱 등의 메뉴를 제공하여 선택하는 추천을 제공하도록 구성하고, 스마트폰에서 NFC 태그 식별결과 가정이나 사무실인 경우, 음악감상 앱, 뮤직비디오 앱, 영화 앱, 혹은 이메일 등의 메뉴를 제공하여 선택하는 추천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추천앱 메뉴의 구성은 사용자의 사용빈도에 따라서 구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NFC 기술은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거치대 본체(100) 배면에 마련되되, 상기 스마트폰(101)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폰(101)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구성은 손쉬운 거치, 충전, 추천앱 및 스피커 기능까지 동시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거치대 본체
101 : 스마트폰
201 : 가이드부재
200 : 연결부재
202 :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
300 :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
301 : 스마트폰 슬라이딩 거치시 배면 지지부재의 압축 방향
302 : 스마트폰 슬라이딩 거치시 배면 지지부재의 팽창 방향
400 : 충전장치부
401 : 충전단자
402 : 배선
403 : 충전장치부의 이동가능 방향
404 :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
500 : 자동차의 전원부 연결수단
701 : 시거잭 충전기
702 : 탈부착수단
705 : 충전단자(401)로부터 시거잭 충전기(701)까지 연장되어 연결된 배선

Claims (5)

  1.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로서,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탄성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되어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에 의해 고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이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거치되도록 상기 스마트폰(101)의 배면에 압박을 가하여 주는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전방으로 형성 또는 결합된 받침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될 때 상기 스마트폰(101) 하단의 충전단자가 안착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한 충전장치부(400);및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전장치부 저면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대에 슬라이딩 및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장치부(400)의 충전단자(401)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상기 스마트폰 (101)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착되면 상기 스마트폰(101)에서 식별할 수 있는 NFC태그를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더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최상단은 슬라이드 삽입되는 스마트폰(101)이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넓은 개구부를 갖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 배면에 마련되되,
    자동차 실내에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70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배면에 마련되되,
    평평한 면에 거치하는 거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KR2020150002051U 2015-04-01 2015-04-01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KR200477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51U KR200477762Y1 (ko) 2015-04-01 2015-04-01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51U KR200477762Y1 (ko) 2015-04-01 2015-04-01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762Y1 true KR200477762Y1 (ko) 2015-07-20

Family

ID=5387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051U KR200477762Y1 (ko) 2015-04-01 2015-04-01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76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425Y1 (ko) * 2016-05-13 2016-09-29 박남태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WO2017099288A1 (ko) * 2015-12-10 2017-06-15 김혁 디바이스 그리퍼
CN107404555A (zh) * 2016-05-21 2017-11-28 麦广树 具有宽度自适应机构的手机架
KR101956083B1 (ko)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KR101961761B1 (ko) * 2018-09-20 2019-03-25 최홍철 통학차량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9930B1 (ko) * 2019-11-01 2020-07-31 (주)금오전자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
KR200492212Y1 (ko) 2019-03-21 2020-08-28 장재승 무선 충전 및 자동 탈착 가능한 스탠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KR102235107B1 (ko) * 2020-12-03 2021-04-01 최성현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마트폰 충전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40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로 거치 겸용 세로 거치 유형 충전 거치대
KR20120053993A (ko) * 2012-04-12 2012-05-29 주식회사포모바일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40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로 거치 겸용 세로 거치 유형 충전 거치대
KR20120053993A (ko) * 2012-04-12 2012-05-29 주식회사포모바일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288A1 (ko) * 2015-12-10 2017-06-15 김혁 디바이스 그리퍼
KR200481425Y1 (ko) * 2016-05-13 2016-09-29 박남태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CN107404555A (zh) * 2016-05-21 2017-11-28 麦广树 具有宽度自适应机构的手机架
KR101956083B1 (ko)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KR101961761B1 (ko) * 2018-09-20 2019-03-25 최홍철 통학차량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92212Y1 (ko) 2019-03-21 2020-08-28 장재승 무선 충전 및 자동 탈착 가능한 스탠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39930B1 (ko) * 2019-11-01 2020-07-31 (주)금오전자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
US11228135B2 (en) 2019-11-01 2022-01-18 Kum Oh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for displayed mobile device
KR102235107B1 (ko) * 2020-12-03 2021-04-01 최성현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마트폰 충전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762Y1 (ko)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KR101601112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9096177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spect to a surface of a wireless battery charging apparatus of a vehicle
US20120242462A1 (en)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4369696B (zh) 车载支架及车载支架音响
KR200474200Y1 (ko)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JP2014230026A (ja) 携帯端末アダプタ
KR101404358B1 (ko)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KR20160001328A (ko) 무선충전 기능을 가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CN107040630A (zh) 一种车载手机支架
KR101369672B1 (ko) 자동차용 무선 충전용 핸드폰 수납함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US11375055B2 (en) Holder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equipment
ITMI20140367U1 (it) Aletta parasole con dispositivo di carica elettrica wireless.
JP2016107686A (ja) アームレスト
KR20190055449A (ko)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200481425Y1 (ko)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0999532B1 (ko) 차량용 내비게이션 거치대
KR101858179B1 (ko) 차량용 무선충전기
KR200479401Y1 (ko)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KR200477035Y1 (ko)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160106254A (ko) 스마트기기 거치대가 구성된 자동차용 컵홀더
JP6235314B2 (ja) 車両用の携帯端末ホルダ装置及びこの装置による携帯端末の保持方法
CN205544453U (zh) 一种车载移动电源
KR20210079520A (ko) 차량용 스마트폰 충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