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25Y1 -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25Y1
KR200481425Y1 KR2020160002613U KR20160002613U KR200481425Y1 KR 200481425 Y1 KR200481425 Y1 KR 200481425Y1 KR 2020160002613 U KR2020160002613 U KR 2020160002613U KR 20160002613 U KR20160002613 U KR 20160002613U KR 200481425 Y1 KR200481425 Y1 KR 200481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battery
charging terminal
cradle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태
Original Assignee
박남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태 filed Critical 박남태
Priority to KR2020160002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스마트폰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제공됨에 따라 네비게이션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및 차량내의 블루투스와 연동하여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등 수많은 활용도를 자랑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여분의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자체의 외장케이스를 메탈소재로 채택하면서 디자인 등의 이유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는 일체형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스마트폰 외장 보조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조 배터리의 전원부에서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스마트폰 충전단자에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연결후에는 충전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보조 배터리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파지하여야 하는 등 사용자의 휴대성 측면에서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보조 배터리의 휴대 및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Cradle of smart-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 특히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의 사용에서 중요한 배터리 용량 문제를 보조하는 외장형 보조 배터리의 사용시 휴대 편의개선을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여러 가지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제공됨에 따라 네비게이션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및 차량내의 블루투스와 연동하여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등 수많은 활용도를 자랑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여분의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자체의 외장케이스를 메탈소재로 채택하면서 디자인 등의 이유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는 일체형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스마트폰 외장 보조 배터리 시장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제공됨에 따라 네비게이션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및 차량내의 블루투스와 연동하여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등 수많은 활용도를 자랑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여분의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자체의 외장케이스를 메탈소재로 채택하면서 디자인 등의 이유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는 일체형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스마트폰 외장 보조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조 배터리의 전원부에서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스마트폰 충전단자에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연결후에는 충전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보조 배터리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파지하여야 하는 등 사용자의 휴대성 측면에서 불편함을 초래한다.
기존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보조 배터리의 경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매터리를 통해 충전하면서 사용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사용자의 한손에 겹쳐서 파지하게 되어 스마트폰과 보조 배터리가 스치게 되고, 원하지 않는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폰이나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손에서 이탈되는 경우, 충전단자의 배선 단락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며, 스마트폰의 충전단자 등에 손상을 가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휴대성 측면에서 파지상태가 굉장히 불편할 수 밖에 없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어떤 제품은 특정 기종의 스마트폰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외장 케이스형 보조 배터리를 출시하고 있는데, 외장 케이스 자체에 일단은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은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보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되는 제품을 선보였으나, 이러한 케이스는 특정 기종에만 한정되기 때문에 수많은 기종들을 지원할 수 없으며, 스마트폰 충전단자가 하단에 있다고 했을 때 길이방향으로 상하 분리형으로 제조되는 실정이므로, 외장케이스형 보조 배터리를 이용시 장착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은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스마트폰의 2면 이상을 탄성 압박하는 형태로 지지하는 홀딩유닛; 및 상기 배터리(500)으로 부터 배선(40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연결가능한 충전단자(40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딩 유닛에 스마트폰을 홀딩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딩시킨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상기 충전단자(40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통해 해결된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기존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보조 배터리의 경우 스마트폰 충전시 사용하지 않으면서 바닥에 두게 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스마트폰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도중에 사용하려는 경우 발생되는 보조 배터리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파지하여야 하는 휴대의 불편함(도 6참조)을 해결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마트폰 거치대 내부에 보조 배터리가 내장됨으로써 스마트폰과 보조 배터리가 스치거나 하지 않게 되어 스크래치 발생가능성이 줄어들고, 스마트폰이나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손에서 이탈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충전단자의 배선 단락 등의 위험성이 해소될 것이며 그로 인한 스마트폰의 충전단자 손상위험성도 줄어든게 된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홀딩하고 있는 거치대를 파지하면 되는 단순한 구성이기 때문에 휴대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이다.
또한, 스마트폰 기종과 관계없이 스마트폰의 양측에서 혹은 스마트폰 둘레를 감싸면서 스마트폰을 탄성 압박하는 형태로 지지하는 홀딩 유닛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탈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스마트폰 기종의 변경시 충전단자의 규격이 바뀌면 보조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별도의 젠더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적 연결 관계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300)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6은 기존 보조 배터리의 사용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주지 공용의 기술적 고안의 경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은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스마트폰의 2면 이상을 탄성 압박하는 형태로 지지하는 홀딩유닛; 및 상기 배터리(500)으로 부터 배선(40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연결가능한 충전단자(40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딩 유닛에 스마트폰을 홀딩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딩시킨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상기 충전단자(40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때, 도 8과 같이 상기 홀딩 유닛은 사용시 펼쳐서 사용하고, 비 사용시 휴대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폰이 홀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401)와 상기배선(402)는 기종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제(100)의 일측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마련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배터리(500)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지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 유닛은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로 형성되고, 상기 홀딩되는 스마트폰의 배면과 접촉하는 상기 거치대 본체 전면에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덧대거나 코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500)은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 본체(100)가 개폐가능하고, 상기 배터리(500)이 상기 거치대 본체(100)로 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스마트폰이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홀딩유닛에 홀딩되고, 충전단자(401)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었을때, 충전이 시작 혹은 종료되도록 하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홀딩되는 스마트폰이외의 스마트폰에도 동시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더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홀딩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양측에서 탄성압박하는 형태로 홀딩하면서 전방으로의 스마트폰 이탈을 방지하여 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를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내주면은 스마트폰의 충격방지 및 견고한 홀딩상태를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부재를 덧대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을 보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기종별로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 되면서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를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탄성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되어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에 의해 고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이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거치되도록 상기 스마트폰(101)의 배면에 압박을 가하여 주는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전방으로 형성 또는 결합된 받침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될 때 상기 스마트폰(101) 하단의 충전단자가 안착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일단은 배선(402)을 통해 상기 거치대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장치부(400); 및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전장치부 일측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대 본체(100)에 슬라이딩 및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장치부(400)의 충전단자(401)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의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 예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은 스마트폰의 슬라이딩 삽입시 물리버튼의 눌림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스마트폰의 두께는 6 ~ 9mm 정도이고 케이스의 장착시 두께는 그 이상이 된다. 케이스의 두께까지 고려하여 가이드부재(201)의 깊이 즉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부터 거치대 본체(100)까지의 거리는 통상 스마트폰의 두께 6 ~ 9mm에 케이스의 두께를 더한 것 이상으로 여유 있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마트폰(101)의 거치시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가 있어,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201)에 스마트폰의 좌측 및 우측 베젤이 밀착되도록 상기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가 압박을 받아 전후 방향(310)으로 압축이 되면서 상하 방향(320)으로 팽창되면서 스마트폰의 배면을 향해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스마트폰(101)의 배면을 견고하게 지지한다(도 3 참조). 또한,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는 판스프링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스마트폰 배면 지지대(300)이 슬라이드 이동이 되도록 상기 스마트폰 배면 지지대(300)의 배면에 스프링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도 4를 보면, 스마트폰(101)의 슬라이드 삽입이 진행되는 동안 가이드부재(201)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상술한 가이드부재(201)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에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동잠금시키기 위한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은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관계도와 같이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 배선(402)를 통해 거치대 본체(100)내부에 마련된 충전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4참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 및 상기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의 외주면 등 상기 스마트폰(101)이 접촉되는 부분은 융이나 기타 천 재질로 덧 씌워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마트폰 본체만 슬라이드 거치시 스마트폰의 외부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마트폰 범퍼 케이스등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쉽게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 이동 잠금수단(202)은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 홀딩상태를 해제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전체적 전기적 연결관계와 개념을 도시한 것을 볼 수 있다. 스마트폰 거치대 내부에 보조 배터리를 내장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스마트폰의 2면 이상인 좌,우 양측에서 탄성 압박하는 형태로 지지하는 홀딩유닛; 및 상기 배터리(500)으로 부터 배선(40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연결가능한 충전단자(40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딩 유닛에 스마트폰을 홀딩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딩시킨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상기 충전단자(40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상기 홀딩유닛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유닛을 사용할 때 펼쳐서 사용하고, 홀딩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때 휴대 편의를 위하여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2면 이상을 탄성압박하는 형태로 지지하는 홀딩유닛은 도 9에서와 같이 탄성밴드(ex. 고무밴드)를 통해 스마트폰의 배면은 거치대 전면에 밀착되고, 스마트폰의 전면 및 좌,우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홀딩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밴드 만으로는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홀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의 배면에 접촉하는 면인 거치대 전면에 실리콘이나 고무 혹은, 젤패드와 같이 미끄럼 방지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덧대거나, 코팅하는 방법으로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충전단자(401)는 기종별로 다양한 규격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대표적 예로는 마이크로 5핀 USB, C타입 USB, 라이트닝 8핀 등의 규격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충전단자(401)은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의 수많은 결합, 분리 과정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선이나 접촉 불량 등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기종 변경시 규격이 변경되는 경우,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젠더 등이 필요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 결과 스마트폰의 기종 변경시 해당 규격을 충족하는 충전단자(401) 및 배선(402)의 교체만으로 별도의 젠더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제조사 입장에서는 각 충전단자 규격을 충족하는 제품을 최소 구성의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충전단자 규격을 충족하는 제품의 재고 부담도 덜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 외부전원으로부터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충전 가능하도록 충전단자를 마련한다.
또한,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500)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지시등을 마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과충전을 방지하고, 원하는 충전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500)은 종류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나, 통상 충전 횟수 및 수명이 정해져 있기 마련이다. 배터리 수명이 급격히 떨어지면 사용자는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배터리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마련하면 사용자, 공급자에게 모두 경제적인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 스위치를 두어,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배터리(500)의 방전을 막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두대 이상의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를 충전하기를 원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홀딩되는 스마트폰 이외의 스마트폰의 동시 충전을 위한 방전단자를 포함하도록 마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500)의 수납공간과 상기 홀딩 유닛 작동공간을 구분하는 격벽을 두어, 홀딩 유닛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홀딩 유닛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집게형으로 작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중심축 내부에 배터리(500)을 내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충전장치부(400)와 충전단자(401)을 일체형으로 마련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거치대 본체(100)로 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충전장치부(400)과 배선(402)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고장으로 인한 교체 필요의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충전장치부(400)과 배선(402)의 분리, 결합은 자주 일어나는 일이 아니고, 한정된 조건 상황에서 일어나는 일이므로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으며, 충전장치부(400)에 마련되는 충전단자(401)을 규격별로 다르게 마련하면, 스마트폰의 기종 변경시 해당 규격을 충족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하는 충전장치부(400)의 교체만으로 별도의 젠더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제조사 입장에서는 각 충전단자 규격을 충족하는 제품을 최소 구성의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 등 일측에 추가적으로 충전단자를 마련하고, 상기 충전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착탈가능한 충전단자를 마련하고, 거치대 본체(100)와 착탈수단을 마련하여, 착탈가능하고,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가능한 배터리부재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보조 배터리 용량 추가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원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원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원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원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거치대 본체
101 : 스마트폰
201 : 가이드부재
200 : 연결부재
202 :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
300 :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
310 : 스마트폰 슬라이딩 거치시 배면 지지부재의 압축 방향
320 : 스마트폰 슬라이딩 거치시 배면 지지부재의 팽창 방향
400 : 충전장치부
401 : 충전단자
402 : 배선
404 :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
500 : 거치대 본체 (100)내부에 마련된 충전가능한 배터리
501 : 외부전원
600 : 탄성밴드(ex. 고무밴드)로 실시된 홀딩유닛.

Claims (1)

  1.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스마트폰의 2면 이상을 탄성 압박하는 형태로 지지하는 홀딩 유닛; 및
    상기 배터리(500)로부터 배선(40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연결 가능한 충전단자(40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홀딩 유닛은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로 형성되고,
    상기 홀딩되는 스마트폰의 배면과 접촉하는 상기 거치대 본체 전면에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덧대거나 코팅하여 형성되어,
    상기 홀딩되는 스마트폰의 배면은 상기 거치대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밴드가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 및 좌우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견고하게 홀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홀딩 유닛에 스마트폰을 홀딩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딩시킨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상기 충전단자(4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20160002613U 2016-05-13 2016-05-13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1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13U KR200481425Y1 (ko) 2016-05-13 2016-05-13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13U KR200481425Y1 (ko) 2016-05-13 2016-05-13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492 Division 2015-11-19 2016-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25Y1 true KR200481425Y1 (ko) 2016-09-29

Family

ID=5704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613U KR200481425Y1 (ko) 2016-05-13 2016-05-13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387A (ko) * 2018-08-20 2020-02-28 김통일 휴대용 보조배터리
CN114125085A (zh) * 2020-08-27 2022-03-01 马思正 手机外挂多媒体背夹组合结构
KR102432362B1 (ko) * 2021-09-03 2022-08-1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디지텍 휴대폰과 주변장치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214A (ko) * 2009-10-26 2011-05-04 권영훈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KR20140001056U (ko) * 2013-02-25 2014-02-18 양민숙 보조전원 공급장치
KR200477762Y1 (ko) * 2015-04-01 2015-07-20 박남태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214A (ko) * 2009-10-26 2011-05-04 권영훈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KR20140001056U (ko) * 2013-02-25 2014-02-18 양민숙 보조전원 공급장치
KR200477762Y1 (ko) * 2015-04-01 2015-07-20 박남태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387A (ko) * 2018-08-20 2020-02-28 김통일 휴대용 보조배터리
KR102113731B1 (ko) * 2018-08-20 2020-06-02 김통일 휴대용 보조배터리
CN114125085A (zh) * 2020-08-27 2022-03-01 马思正 手机外挂多媒体背夹组合结构
CN114125085B (zh) * 2020-08-27 2024-02-02 马思正 手机外挂多媒体背夹组合结构
KR102432362B1 (ko) * 2021-09-03 2022-08-1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디지텍 휴대폰과 주변장치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762Y1 (ko)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KR101391547B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KR200481425Y1 (ko)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130842A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30104137A (ko) 휴대 단말기의 유니버셜 도크
WO2013138171A9 (en) Integrated, detachable ear bud device for a wireless phone
KR102020145B1 (ko) 무선 이어폰용 케이스
KR200476233Y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20094728A1 (en) Attachable battery pack for intelligent cell phone
KR20180057071A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CN105191264B (zh) 具有配件接口的便携式无线电设备
KR200479401Y1 (ko)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KR200483316Y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230026280A1 (en) Device charging system
KR101495775B1 (ko)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CN205430349U (zh) 智能手机辅助电池
KR200477035Y1 (ko)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1570719B1 (ko)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CN210351561U (zh) 一种充电式蓝牙耳机装置
KR20160072437A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
KR1018303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구조체
CN201039441Y (zh) 无线耳塞机与充电器的组合装置
KR20170069827A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보조배터리 충전기
KR100774369B1 (ko)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KR20170090344A (ko) 스마트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