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071A -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071A
KR20180057071A KR1020160155241A KR20160155241A KR20180057071A KR 20180057071 A KR20180057071 A KR 20180057071A KR 1020160155241 A KR1020160155241 A KR 1020160155241A KR 20160155241 A KR20160155241 A KR 20160155241A KR 20180057071 A KR20180057071 A KR 20180057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etachab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546B1 (ko
Inventor
최익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Priority to KR102016015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546B1/ko
Priority to PCT/KR2017/004497 priority patent/WO2018092996A1/ko
Publication of KR2018005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6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8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가 개시된다.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가 형성되어 전방부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전후방으로 개방된 탈부착 공간부가 형성되며, 측면 또는 상단부에 하나 이상의 노출공 또는 절개홈부가 형성되며, 탈부착 공간부에 접하는 내측면에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보호용 커버 본체; 및 양측면에 보호용 커버 본체의 가이드 홈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기부가 형성되어, 보호용 커버 본체의 탈부착 공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카드 홀더 또는 보조 배터리 팩이 구비된 탈부착 분할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mobile phone protection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이나 낙하 등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하고,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에 카드 홀더나 보조 배터리 기능과 함께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술의 발달로 단순 통화만 가능한 전화기의 수준을 넘어서 DMB, MP3, 카메라, 동영상이나 영화, 게임 및 인터넷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 기능 및 활용도가 다양화되고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휴대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액정의 크기는 점점 커지고 두께는 얇아지며 중량은 가벼워지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술 집약체인 고가의 기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위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우수한 휴대성과 다양한 기능으로 버스나 지하철 그리고 도보 및 운전 시에도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실이나 파손이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여서 고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험이나 보호용 커버가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보호용 커버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감싸도록 연질 또는 경질의 수지로 형성되며,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이루어져 이동통신단말기의 필수적인 패션 아이템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술한 것처럼 갈수록 고성능화되고 있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용량의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에 비해서 아직까지는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력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그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812호에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삽입 배치되는 커버와, 커버에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 및 커버 내에 구비되는 보조 전원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 커버'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2582호에는 커버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용 자가발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충전시 보조 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별도의 연결수단을 구비해야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충전에 필요한 전기를 발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812호(2010. 07. 2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2582호(2013. 05. 24.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호용 커버에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의 카드를 끼워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와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을 구비하지 않고도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에 카드 홀더나 보조 배터리 기능과 함께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가 형성되어 전방부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전후방으로 개방된 탈부착 공간부가 형성되며, 측면 또는 상단부에 하나 이상의 노출공 또는 절개홈부가 형성되며, 탈부착 공간부에 접하는 내측면에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보호용 커버 본체; 및 양측면에 보호용 커버 본체의 가이드 홈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기부가 형성되어, 보호용 커버 본체의 탈부착 공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카드 홀더 또는 보조 배터리 팩이 구비된 탈부착 분할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서, 보조 배터리 팩을 구비한 탈부착 분할 커버는, 보조 배터리 팩이 탈부착 분할 커버 내에 몰딩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탈부착 분할 커버의 전면 또는 배면에 부착되고, 탈부착 분할 커버의 전면 하단에는 보호용 커버 본체에 결합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전원 잭에 결합되는 커넥터와 외부 충전기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일체화된 접속 부재가 구비되어, 보조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외부 충전기와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서, 카드 홀더를 구비한 탈부착 분할 커버는, 탈부착 분할 커버의 전면에 탈부착 분할 커버와 간격을 두고 내부 커버가 부착되어 탈부착 분할 커버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탈부착 분할 커버의 상부에 수납공간에 연통되는 카드 수납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서, 카드 홀더를 구비한 탈부착 분할 커버는, 전면 외곽에 격벽이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탈부착 분할 커버의 상부에 수납공간에 연통되는 카드 수납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서, 보호용 커버 본체의 가이드 홈부 또는 이와 인접한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부가 형성되고, 탈부착 분할 커버의 가이드 돌기부 또는 이와 인접한 측면에 고정 돌기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서, 탈부착 분할 커버의 가이드 돌기부가 탈부착 분할 커버의 양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서, 상하좌우면에 후방으로 연장되어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가 형성되어 전방부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전후방으로 개방된 수납 공간부가 형성되며, 측면 또는 상단부에 하나 이상의 노출공 또는 절개홈부가 형성되며, 보호용 커버 본체의 수용홈부에 결합되는 충격 완충용 커버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에서, 충격 완충용 커버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용 커버를 탈부착 공간부를 가지는 보호용 커버 본체와, 이에 탈부착되는 탈부착용 분할 커버로 분할하고, 이 탈부착용 분할 커버에 카드 홀더나 보조 배터리 기능 또는 스피커, LCD 창, 거울, 스탠드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부가함으로써,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과 같은 각종 카드를 이동통신단말기와 함께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별도의 케이블 없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을뿐더러 필요에 따라 카드 홀더 또는 보조 배터리 기능과 함께 스피커, LCD 창, 거울, 스탠드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개시된 탈부착용 분할 커버가 보호용 커버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정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A-A선,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개시된 탈부착용 분할 커버가 보호용 커버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정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C-C선, D-D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배면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를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개시된 탈부착용 분할 커버가 보호용 커버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정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끼워지는 충격 완충용 커버(300)와, 이에 이중으로 덧씌워지는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탄성재질의 보호용 커버 본체(100), 및 보호용 커버 본체(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되고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의 각종 카드를 끼워 보관할 수 있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로 구성된다.
충격 완충용 커버(300)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것으로서, 상하좌우의 각 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외곽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310)가 형성되므로, 이 파지부(31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파지부(310)에 의해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수용홈부는 입구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단면 폭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수용홈부에 이동통신단말기 본체가 끼워질 때는 늘어나고 끼워진 후에는 수축되므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씌워진 충격 완충용 커버(300)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이러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는 영상 촬영이나 음성 출력, 음성 수집, 이어폰 연결 등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이어폰 잭 등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양한 모양의 노출공(33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버튼이나 볼륨 업/다운 버튼 등과 연동되는 버튼(320)들이 구비된다. 또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는 측면에 보호용 커버 본체(1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350)가 형성된다. 또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하단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잭을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홈부(360)가 형성된다.
또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중앙부에는 수납 공간부(340)가 전후로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가 보호용 커버 본체(100)에 탈부착 공간부(14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때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보호용 커버 본체(100)는 PP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양측 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결합홈부(350)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110)가 형성되고, 이 파지부(110)의 사이에는 충격 완충용 커버(300) 즉, 이동통신단말기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파지부(110)에 의해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수용홈부는 양측 단부 간의 거리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즉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단면의 폭보다 작아 설계되어 있으므로, 수용홈부에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즉 충격 완충용 커버(300)가 끼워질 때는 벌어지고 끼워진 후에는 오므라져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즉 충격 완충용 커버(300)에 씌워진 보호용 커버 본체(100)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이러한 보호 커버 본체(100)는 영상 촬영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공(13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버튼이나 볼륨 업/다운 버튼 등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절개홈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잭을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홈부(160)가 형성된다.
또한,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중앙부에는 탈부착 공간부(140)가 전후로 개방되고, 해당 탈부착 공간부(140)에 접하는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각각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부(10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당 가이드 홈부(100a)에 접하는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각각의 내측면에는 3개의 고정돌기부(100b)가 형성된다.
탈부착 분할 커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는 전원이 충전되는 보조 배터리 팩이 내장된 것으로서, 양측면에 보호용 커버 본체(200)의 가이드 홈부(100a)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기부(200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보호 커버 본체(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용 커버 본체(200)의 가이드 홈부(100a)와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가이드 돌기부(200a)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단면이 서로 맞물리는 톱니형상이나 요철형상을 가짐으로써,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 가이드 돌기부(200a)가 가이드 홈부(100a)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특히, 해당 가이드 돌기부(200a)에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고정돌기부(100b)에 대응하는 3개의 요홈부(200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호용 커버(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탈부착 분할 커버(200)가 결합되었을 때 요홈부(200b)에 고정돌기부(100b)가 고정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위의 탈부착 분할 커버(200)는 성형시 보조 배터리 팩이 내입된 상태로 보조 배터리 팩과 일체형으로 몰딩되거나, 보조 배터리 팩과 별도로 제작되어 전면 또는 배면에 보조 배터리 팩이 부착되는데, 이 경우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조 배터리 팩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나 커버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부착 분할 커버(200)는 보조 배터리 팩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장착되었을 때,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외부의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하단부에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전원 잭에 결합되는 커넥터(221a)와, 외부 충전기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221b)를 포함하는 접속 부재(221)가 구비된다.
위의 접속 부재(221)는 커넥터(221a)가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장착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전원 잭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지게 배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커넥터(221b)가 외부 충전기와 접속을 위해 하향지게 개방된 구조로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이때 커넥터(221a)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와 보조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커넥터(221b)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또는 보조 배터리 팩과 외부 충전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해 준다.
또한, 보조 배터리 팩의 충방전을 위한 충방전회로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또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 배터리 팩의 전원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전원이 방전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충전되거나 혹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전원이 임의로 설정된 기준 레벨로 이하로 방전되었을 때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21b)를 통해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 팩에 동시에 충전되거나 임의로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충전되거나 어느 하나에만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가이드 돌기부(200b)가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양측면의 전체에 형성되어야 보호용 커버 본체(100)와 탈부착 분할 커버(200)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나, 위와 같이 탈부착 분할 커버(200)와 같이 보호 커버 본체(100)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장착될 때 전원 잭에 커넥터(221a)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양측면의 일부, 즉 상부에만 형성되어도 보호용 커버 본체(100)와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결합력이 형성된다.
또한, 탈부착 분할 커버(200)에는 마이크(200c)와 스피커(200d)가 구비되어, 커넥터(221a)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 실시 예 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7에 개시된 탈부착용 분할 커버가 보호용 커버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7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정면도이며,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C-C선, D-D선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끼워지는 충격 완충용 커버(300)와, 이에 이중으로 덧씌워지는 보호용 커버 본체(100), 및 보호용 커버 본체(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되고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의 각종 카드를 끼워 보관할 수 있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로 구성된다.
충격 완충용 커버(300)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것으로서, 상하좌우의 각 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외곽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310)가 형성되므로, 이 파지부(31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파지부(310)에 의해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수용홈부는 입구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단면 폭보다 작아 설계되어 있으므로, 수용홈부에 이동통신단말기 본체가 끼워질 때는 늘어나고 끼워진 후에는 수축되므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씌워진 충격 완충용 커버(300)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이러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는 영상 촬영이나 음성 출력, 음성 수집, 이어폰 연결 등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이어폰 잭 등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양한 모양의 노출공(33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버튼이나 볼륨 업/다운 버튼 등과 연동되는 버튼(320)들이 구비된다. 또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는 측면에 보호용 커버 본체(1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350)가 형성된다. 또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하단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잭을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홈부(360)가 형성된다.
또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중앙부에는 수납 공간부(340)가 전후로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가 보호용 커버 본체(100)에 탈부착 공간부(14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때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보호용 커버 본체(100)는 PP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양측 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결합홈부(350)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110)가 형성되고, 이 파지부(110)의 사이에는 충격 완충용 커버(300) 즉, 이동통신단말기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파지부(110)에 의해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수용홈부는 양측 단부 간의 거리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즉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단면의 폭보다 작아 설계되어 있으므로, 수용홈부에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즉 충격 완충용 커버(300)가 끼워질 때는 벌어지고 끼워진 후에는 오므라져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즉 충격 완충용 커버(300)에 씌워진 보호용 커버 본체(100)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이러한 보호 커버 본체(100)는 영상 촬영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공(13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버튼이나 볼륨 업/다운 버튼 등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절개홈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잭을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홈부(160)가 형성된다.
또한,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중앙부에는 탈부착 공간부(140)가 전후로 개방되고, 해당 탈부착 공간부(140)에 접하는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각각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부(10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당 가이드 홈부(100a)에 접하는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각각의 내측면에는 3개의 고정돌기부(100b)가 형성된다.
탈부착 분할 커버(200)는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과 같은 각종 카드를 끼워 휴대할 수 있는 카드 홀더가 구비된 것으로서, 양측면에 보호용 커버 본체(200)의 가이드 홈부(100a)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기부(20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가이드 홈부(100a)와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가이드 돌기부(200a)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단면이 서로 맞물리는 톱니형상이나 요철형상을 가짐으로써,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 가이드 돌기부(200a)가 가이드 홈부(100a)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특히, 해당 가이드 돌기부(200a)에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고정돌기부(100b)에 대응하는 3개의 요홈부(200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호용 커버(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탈부착 분할 커버(200)가 결합되었을 때 요홈부(200b)에 고정돌기부(100b)가 고정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카드 홀더가 구비된 탈부착 분할 커버(200)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전면에 해당 탈부착 분할 커버(200)와 간격을 두고 내부 커버(211)가 부착되어 신용카드나 교통카드와 같은 각종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3)이 형성되고,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상부에는 수납공간(213)과 연통되는 카드 수납구(212)가 형성된다.
이때 카드 수납구(212)와 접하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단부가 카드의 수납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카드의 수납이 용이하고, 수납공간(213)과 접하는 내부 커버(211)의 일면이나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일면에 돌기 등과 같이 수납된 카드를 누를 수 있는 가압수단이 형성됨으로써, 카드 홀더, 즉 수납공간(213)에 끼워진 각종 카드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
- 실시 예 3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끼워지는 충격 완충용 커버(300)와, 이에 이중으로 덧씌워지는 보호용 커버 본체(100), 및 보호용 커버 본체(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되고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의 각종 카드를 끼워 보관할 수 있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로 구성된다.
충격 완충용 커버(300)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것으로서, 상하좌우의 각 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외곽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310)가 형성되므로, 이 파지부(31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파지부(310)에 의해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수용홈부는 입구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단면 폭보다 작아 설계되어 있으므로, 수용홈부에 이동통신단말기 본체가 끼워질 때는 늘어나고 끼워진 후에는 수축되므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씌워진 충격 완충용 커버(300)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이러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는 영상 촬영이나 음성 출력, 음성 수집, 이어폰 연결 등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이어폰 잭 등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양한 모양의 노출공(33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버튼이나 볼륨 업/다운 버튼 등과 연동되는 버튼(320)들이 구비된다. 또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는 측면에 보호용 커버 본체(1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350)가 형성된다. 또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하단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잭을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홈부(360)가 형성된다.
또한,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중앙부에는 수납 공간부(340)가 전후로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가 보호용 커버 본체(100)에 탈부착 공간부(14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때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보호용 커버 본체(100)는 PP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양측 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결합홈부(350)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110)가 형성되고, 이 파지부(110)의 사이에는 충격 완충용 커버(300) 즉, 이동통신단말기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수용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파지부(110)에 의해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수용홈부는 양측 단부 간의 거리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즉 충격 완충용 커버(300)의 단면의 폭보다 작아 설계되어 있으므로, 수용홈부에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즉 충격 완충용 커버(300)가 끼워질 때는 벌어지고 끼워진 후에는 오므라져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즉 충격 완충용 커버(300)에 씌워진 보호용 커버 본체(100)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이러한 보호 커버 본체(100)는 영상 촬영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공(13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버튼이나 볼륨 업/다운 버튼 등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절개홈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잭을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홈부(160)가 형성된다.
또한,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중앙부에는 탈부착 공간부(140)가 전후로 개방되고, 해당 탈부착 공간부(140)에 접하는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각각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부(10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당 가이드 홈부(100a)에 접하는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각각의 내측면에는 3개의 고정돌기부(100b)가 형성된다.
탈부착 분할 커버(200)는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과 같은 각종 카드를 끼워 휴대할 수 있는 카드 홀더가 구비된 것으로서, 양측면에 보호용 커버 본체(200)의 가이드 홈부(100a)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기부(20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가이드 홈부(100a)와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가이드 돌기부(200a)는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단면이 서로 맞물리는 톱니형상이나 요철형상을 가짐으로써,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탈부착 분할 커버(2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 가이드 돌기부(200a)가 가이드 홈부(100a)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특히, 해당 가이드 돌기부(200a)에 보호용 커버 본체(100)의 고정돌기부(100b)에 대응하는 3개의 요홈부(200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호용 커버(100)의 탈부착 공간부(140)에 탈부착 분할 커버(200)가 결합되었을 때 요홈부(200b)에 고정돌기부(100b)가 고정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카드 홀더가 구비된 탈부착 분할 커버(200)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전면에 각종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넓이로 격벽(214)이 형성되어, 보호용 커버 본체(100)에 탈부착 분할 커버(200) 결합시 보호용 커버 본체(100)와 탈부착 분할 커버(200) 사이에 신용카드나 교통카드와 같은 각종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213)이 형성되고,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상부에는 수납공간(213)과 연통되는 카드 수납구(212)가 형성된다.
이때 카드 수납구(212)와 접하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단부가 카드의 수납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카드의 수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213)과 접하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의 전면에 돌기나 스프링 등과 같이 수납된 카드를 누를 수 있는 가압수단이 형성됨으로써, 카드 홀더, 즉 수납공간(213)에 끼워진 각종 카드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탈부착 분할 커버(200)에 보조 배터리 팩이 구비되거나 카드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 팩, 카드 홀더,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중 두 개 이상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탈부착 분할 커버(200)에 스피커나 LCD 창 등이 부가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 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피커나 LCD 창이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배터리 팩, 카드 홀더,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탈부착 분할 커버를 보유한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보조 배터리 팩, 카드 홀더,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기능을 가지는 탈부착 분할 커버 중 하나를 보호용 커버 본체의 탈부착 공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호용 커버 본체 100a : 가이드 홈부
100b : 고정돌기부 110, 310 : 파지부
120, 160 : 절개홈부 130, 330 : 노출공
140 : 탈부착 공간부 200 : 탈부착 분할 커버
200a : 가이드 돌기부 200b : 요홈부
211 : 내부 커버 212 : 카드 수납구
213 : 수납공간 214 : 격벽
221 : 접속 부재 221a, 221b : 커넥터
300 : 충격 완충용 커버 320 : 버튼
340 : 수납 공간부 350 : 결합홈부
360 : 절개홈부

Claims (8)

  1.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가 형성되어 전방부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전후방으로 개방된 탈부착 공간부가 형성되며, 측면 또는 상단부에 하나 이상의 노출공 또는 절개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탈부착 공간부에 접하는 내측면에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보호용 커버 본체; 및
    양측면에 상기 보호용 커버 본체의 가이드 홈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용 커버 본체의 탈부착 공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되는 카드 홀더 또는 보조 배터리 팩이 구비된 탈부착 분할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팩을 구비한 탈부착 분할 커버는,
    상기 보조 배터리 팩이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 내에 몰딩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의 전면 또는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의 전면 하단에는 상기 보호용 커버 본체에 결합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전원 잭에 결합되는 커넥터와 외부 충전기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일체화된 접속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외부 충전기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홀더를 구비한 탈부착 분할 커버는,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의 전면에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와 간격을 두고 내부 커버가 부착되어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의 상부에 상기 수납공간에 연통되는 카드 수납구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홀더를 구비한 탈부착 분할 커버는,
    전면 외곽에 격벽이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의 상부에 상기 수납공간에 연통되는 카드 수납구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커버 본체의 가이드 홈부 또는 이와 인접한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의 가이드 돌기부 또는 이와 인접한 측면에 상기 고정 돌기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의 가이드 돌기부가 상기 탈부착 분할 커버의 양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하좌우면에 후방으로 연장되어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파지부가 형성되어 전방부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전후방으로 개방된 수납 공간부가 형성되며, 측면 또는 상단부에 하나 이상의 노출공 또는 절개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용 커버 본체의 수용홈부에 결합되는 충격 완충용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용 커버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KR1020160155241A 2016-11-21 2016-11-21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KR10189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41A KR101892546B1 (ko) 2016-11-21 2016-11-21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PCT/KR2017/004497 WO2018092996A1 (ko) 2016-11-21 2017-04-27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41A KR101892546B1 (ko) 2016-11-21 2016-11-21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071A true KR20180057071A (ko) 2018-05-30
KR101892546B1 KR101892546B1 (ko) 2018-08-28

Family

ID=6214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241A KR101892546B1 (ko) 2016-11-21 2016-11-21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2546B1 (ko)
WO (1) WO20180929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73A1 (ko) * 2019-09-05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KR102273503B1 (ko) * 2020-10-15 2021-07-06 카페24 주식회사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6310B2 (en) * 2018-06-15 2020-05-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KR200489261Y1 (ko) * 2018-08-31 2019-05-24 주식회사 금강올텍 배터리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N209184646U (zh) * 2018-09-30 2019-07-30 青岛同鑫创新实验室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手机充电背夹
CN109407370A (zh) * 2018-12-19 2019-03-01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扇形显示面板的制造方法
US11311087B2 (en) * 2019-01-07 2022-04-26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Wallet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or mobile electronic device cas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812A (ko) 2009-01-10 2010-07-20 정승용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120000123U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팩을 내장한 외장 케이스의 슬라이딩 장치
KR20120052582A (ko) 2010-11-16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용 자가발전 장치
KR20150016859A (ko) * 2013-08-05 2015-02-13 치원 킴 저스틴 보호 케이스
KR101519978B1 (ko)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휴대폰 케이스 조립체
KR200478280Y1 (ko) * 2015-02-10 2015-09-16 주식회사 비투엠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031B1 (ko) * 2012-08-30 2013-11-14 최택진 인출식 카드 수납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812A (ko) 2009-01-10 2010-07-20 정승용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120000123U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팩을 내장한 외장 케이스의 슬라이딩 장치
KR20120052582A (ko) 2010-11-16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용 자가발전 장치
KR20150016859A (ko) * 2013-08-05 2015-02-13 치원 킴 저스틴 보호 케이스
KR101519978B1 (ko)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휴대폰 케이스 조립체
KR200478280Y1 (ko) * 2015-02-10 2015-09-16 주식회사 비투엠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73A1 (ko) * 2019-09-05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KR102273503B1 (ko) * 2020-10-15 2021-07-06 카페24 주식회사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546B1 (ko) 2018-08-28
WO2018092996A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7071A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US9484769B2 (en) Case having wireless charging receiver pad for electronic devices
US20150010806A1 (en)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KR100663535B1 (ko) 휴대 장치의 스피커 겸용 교체성 거치/충전 장치
EP2708974B1 (en) Case for mobile terminal including stylus pen holding means
US20140091766A1 (en) Power bracelet
US20100048268A1 (en) Mobile device accessories and methods of attachment to mobile devices
KR20160115839A (ko) 모바일 전자 장치용 케이스
JP6842572B2 (ja) モバイル端末保護アセンブリ、モバイル端末保護フレームおよび電池ケース
KR101247570B1 (ko)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전화기 보호케이스
US20130313252A1 (en) Protective shell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40089754A (ko)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86136Y1 (ko)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151793B1 (ko) 보조배터리 고정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717968B1 (ko) 스마트폰 결합 모듈
US20190208879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KR20140001056U (ko) 보조전원 공급장치
KR200455103Y1 (ko) 휴대폰용 콤비 케이스
US20170224028A1 (en) Portable charging apparatus and pants that allow charging using the same
KR20130130921A (ko) 거치대를 구비한 휴대용 충전지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100774369B1 (ko)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KR200404743Y1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