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503B1 -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503B1
KR102273503B1 KR1020200133318A KR20200133318A KR102273503B1 KR 102273503 B1 KR102273503 B1 KR 102273503B1 KR 1020200133318 A KR1020200133318 A KR 1020200133318A KR 20200133318 A KR20200133318 A KR 20200133318A KR 102273503 B1 KR102273503 B1 KR 10227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ype damper
terminal device
mobile terminal
cor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페24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503B1/ko
Priority to PCT/KR2021/000451 priority patent/WO20220805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막대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진다.

Description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PORTABLE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SHOCK PREVEN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방지를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 장치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모바일 단말 장치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들의 일례로서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위블 타입 등의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 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거나 장치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의 광폭을 구현하는 추세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단말의 바디가 광폭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단말기의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낙하되는 경우, 단말기의 코너 또는 모서리에 충격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 또는 단말 내부 구성요소에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제작 방법이 간단하고, 모바일 단말 장치의 낙하 시에 디스플레이부 및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충격 방지 가능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막대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슬라이드(slide) 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막대형 댐퍼를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로부터 외측을 향해 요철(凸) 형상의 돌출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댐퍼 홈은 상기 요철 형상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요철(凸)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댐퍼 홈은 상기 요청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요철(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끼움 방식에 따라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는 나사 방식 및 억지끼움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기 위해, 상기 막대형 댐퍼에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형상의 돌출된 암(arm) 부분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막대형 댐퍼를 감싸는 형상의 돌출된 암 부분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포인트 형 댐퍼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완충재일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모서리들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가 한 쌍의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한 쌍의 모서리의 길이보다 기설정된 마진(margin) 길이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개구면를 형성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입력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는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및 연질 플라스틱 중 하나의 재질의 완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막대형 댐퍼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막대형 댐퍼(damper)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막대형 댐퍼(damper)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기 적합하도록,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따르면,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낙하되는 경우, 단말기의 꼭지점 또는 모서리에 파손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꼭지점 또는 모서리에 집중되는 충격력을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통해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막대형 댐퍼(damper)와 모바일 단말 장치 모서리 부분의 형상 및 둘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막대형 댐퍼 및 이를 수용하는 댐퍼 홈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막대형 댐퍼와 모서리 부분과의 길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버튼 부분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막대형 댐퍼가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안착 방식을 부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막대형 댐퍼에 포인트형 댐퍼가 부가된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기기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 장치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단말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일면에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열되고, 단말 장치의 바디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놓치는 등의 실수로 인해, 단말 장치가 바닥에 떨어지게 되면, 단말 바디의 테두리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디스플레이부(110)가 깨지는 등의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외부의 충격에서 단말 바디 내의 구성요소들 및 디스플레이부(110)를 보호하기 위한 막대형 완충부재(100)를 바디의 테두리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외부 충격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별도의 케이스(case)를 모바일 단말 장치에 끼워서 사용하는데, 케이스를 별도로 사서 끼우는 것은 그 자체로 번거로우며, 부피 및 무게에서도 상당한 부담을 주어 사용자의 단말 사용시 상당한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또한 미관을 해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막대형 완충부재(100)는 단말 장치 자체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충격 방지용 케이스 없이도 단말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막대형 완충부재(100)는 모바일 단말 장치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세장형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모서리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억지끼움 등 다른 방식에 의해 안착될 수도 있다. 막대형 완충부재(100)는 막대형 댐퍼라고 불릴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는 특히 충격에 취약한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형 댐퍼(100)는 적은 면적으로 충격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는 단말 장치의 네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모서리들에 쌍을 이뤄 안착되는 것이 좋다.
먼저, 이하에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막대형 댐퍼(100)의 구성은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의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바디와 바디의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부분은 상면 바디와 하면 바디로 형성된다. 상면 바디와 하면 바디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이때, 단말 바디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 바디는 베젤(veze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최근의 추세에 따라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 바디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의 내부에는 회로기판과 스위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단말 장치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 내에는 무선 통신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바디 부분 외측에는 영상/음성 입출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면 바디 상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단말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으로 형성되기에, 외부 충격에 취약하고, 특히, 모서리나 꼭지점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더욱 파손되기 쉽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기타 바디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막대형 댐퍼(100)를 단말 장치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 부착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막대형 댐퍼(100)는 충돌로 인하여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충격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공기나 점성 유체를 포함하는 에어댐퍼(완층 버블 형태 포함)나 오일댐퍼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막대형 댐퍼(100)는 실리콘 레진, 에폭시 레진, 고무 재질 및/또는 연성 플라스틱 등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막대형 댐퍼(100)의 재료는 접착성 및 점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의 형상은 원통형, 반원형 또는 부체꼴형의 원통형, 사각형 형상의 직육면체형, 그 밖의 다른 다각형 형상의 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막대형 댐퍼(100)는 충격 흡수를 위한 최소한의 두께(또는 폭/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5cm 내지 1.5c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cm 내지 1c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 장치 제조사가 막대형 댐퍼와 막대형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댐퍼 홈을 함께 제조하여 막대형 댐퍼가 구비된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 장치 제조사는 단말의 바디에 적합한 막대형 댐퍼 홈만 만들어서, 막대형 댐퍼 홈이 구비된 단말 장치를 제조하고, 단말 장치 제조사가 아닌, 별도의 댐퍼 제조사가 단말 장치에 구비된 막대형 댐퍼 홈에 대응하는 막대형 댐퍼를 제조하여 이원화된 생산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도 2는 막대형 댐퍼(damper)와 모바일 단말 장치 모서리 부분의 형상 및 둘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막대형 댐퍼 및 이를 수용하는 댐퍼 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는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 장치 바디의 모서리 부분(120)에 안착된다. 이때, 막대형 댐퍼(100)의 슬라이드 끼움을 위해, 바디에는 댐퍼 홈(105)이 구비된다. 댐퍼 홈(105)은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막대형 댐퍼(10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막대형 댐퍼(100)에 대응하는 모양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의 상단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120)에 모서리의 길이방향에 수직항 방향으로 바디로부터 외부를 향해 요철(凸) 형상의 돌출된 부분(130)이 추가되어, 상기 요철 형상의 돌출된 부분(130)에 의해 오목하게 파인 댐퍼 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는 댐퍼 홈(105) 및 상기 돌출된 부분(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대형 댐퍼(100)는 요철(凸) 형상의 빈 공간을 가지며, 이를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
도 2 및 도 3의 하단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120)에 요철(凸)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하게 파인 부분이 댐퍼 홈(105)이 된다. 막대형 댐퍼(100)는 댐퍼 홈(10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철(凸) 형상의 돌출된 부분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을 위한 요철 형상은 凸와 같이 각진 형상으로 표현되었지만, 반드시 각진 형상을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 또는 그 밖의 라운드진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추가적으로, 막대형 댐퍼(100)의 슬라이딩 후 고정된 위치를 사수하기 위해, 댐퍼 홈(10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 역시 댐퍼 홈(105)의 연속된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를 구비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댐퍼(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끼움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막대형 댐퍼(100)는 착탈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할 때 끼워서 사용하다가, 원하지 않을 때 또는 오래되서 교체가 필요할 때는 이를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막대형 댐퍼(100)의 슬라이딩은 모터와 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자동 이동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 홈(105) 내부에 구동 바퀴를 구비하고, 구동 바퀴에 체인(chain)을 연결하여, 막대형 댐퍼(100)가 댐퍼 홈(105)에 수용될 시, 모터를 통해 체인을 회전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막대형 댐퍼(100)를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체인에는 레일(rail)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막대형 댐퍼와 모서리 부분과의 길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는 단말 바디의 모서리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 바디의 모서리의 길이가 5cm 라면, 그에 약 0.2 내지 0.5cm의 마진(margin)을 두어 5.2cm 내지 5.5cm의 길이를 갖도록 막대형 댐퍼(100)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마진 길이는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길이 관계는 긴 쪽 모서리 쌍 부분에 막대형 댐퍼(100)가 적용될 때뿐만 아니라 짧은 쪽 모서리 쌍 부분에 막대형 댐퍼(100)가 적용될 때도 모두 고려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모서리들에만 막대형 댐퍼(100)가 구비되더라도, 막대형 댐퍼(100)가 구비되지 않은 모서리들로 가해지는 충격을 막대형 댐퍼(100)의 마진 부분을 통해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바디의 4개 꼭지점 부분을 두 개의 막대형 댐퍼(100)만으로 모두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버튼 부분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음량 조절을 위한 버튼, 장치 기능의 온/오프 입력을 위한 버튼, 슬라이드 방식의 버튼, 마이크, 전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이 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개구면(140)을 두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을 가함에 있어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개구면(140)은 하나의 댐퍼(100)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면(140)의 형상 및 위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막대형 댐퍼가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는 나사 방식, 억지끼움 방식 및/또는 볼트/너트 방식 등을 통해 단말 장치에 안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접착부직포, 본드, 테이프 등의 접착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을 통해 장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막대형 단말(100)에 슬라이딩 기능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막대형 댐퍼(100)의 일 영역에 탄성을 갖는 갈고리 형태의 부재를 구비하고, 단말 바디에 그에 대응하여 갈고리 형태의 부재가 안착되는 댐퍼 홈(105)을 구비함에 의해 막대형 댐퍼(100)를 댐퍼 홈(105)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형태의 안착 방식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안착 방식을 부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의(a)를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는 나사(150)에 의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는 내부를 향해 나사 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댐퍼 홈'에 대응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에도 상기 나사 홈(105)에 대응하는 위치에 역시 나사 홈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나사(150)가 막대형 댐퍼(100)의 나사 홈을 관통하여 나사 홈(105)에 들어감으로써 막대형 댐퍼(100)가 단말 바디에 안착된다. 이때, 나사 홈의 위치는 단말 바디의 상면, 하면 및 모서리 측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나사 방식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및 너트를 위한 홈이 형성되어 나사 방식이 아니라 볼트/너트 방식으로 막대형 댐퍼(100)가 단말 바디에 안착될 수도 있다.
도 7의(b)를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는 억지끼움에 의해 안착될 수 있다. 억지끼움을 위해, 막대형 댐퍼(100)는 모서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모서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암(arm)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억지끼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암 부분의 종단에 대응하는 위치의 단말 바디 부분에 얕은 높이의 댐퍼 홈(105)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와 같은 억지끼움을 위한 별도의 댐퍼 홈(105) 없이도 막대형 댐퍼(100)의 높이와 모서리 부분의 높이에 약간의 공차를 두고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해 막대형 댐퍼(1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억지끼움을 위한 암 부분(130)이 막대형 댐퍼(100)가 아닌, 단말 바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모서리 부분에 막대형 댐퍼(100)를 수용하기 위해 돌출된 암 부분이 추가로 구비되어, 막대형 댐퍼(1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암 부분(130)의 종단은 막대형 댐퍼(100)의 곡률을 따라 약간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막대형 댐퍼(10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
한편, 도 7의 (b) 및 (c)와 같은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 및 막대형 댐퍼(100)는 막대형 댐퍼(100) 및/또는 단말 바디의 돌출된 형상의 암 부분을 통해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막대형 댐퍼에 포인트형 댐퍼가 부가된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의 양 종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포인트형 댐퍼(102)가 부착되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뿐만 아니라 꼭지점 부분을 추가적으로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포인트형 댐퍼(102)는 적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다각형, 원형, 반원형, 부채꼴형의 댐퍼로, 막대형 댐퍼(100)와 같이, 완충재 역할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와 포인트형 댐퍼(102)의 부착은 나사, 볼트/너트, 접착 및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의 하단의 실시예에서, 막대형 댐퍼(100) 내부로 나사홈(155)이 뚫려 있고, 포인트형 댐퍼(102)가 나사(150)에 의해 막대형 댐퍼(1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의 하단의 실시예에는, 포인트형 댐퍼(102)는 막대형 댐퍼(100)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었지만, 다른 방향으로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즉, 나사홈(155)은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포인트형 댐퍼(102)는 막대형 댐퍼(1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은 단말 바디의 상면 및 하면에 대응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인트형 댐퍼(100)는 상면 및 하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상면 및 하면 모두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하나의 막대형 댐퍼(100)에 두 개의 포인트형 댐퍼(102)가 위아래로 부착될 수도 있다.
포인트형 댐퍼(100)는 꼭지점 부분의 사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사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꼭지점 부분의 3개 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삼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막대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개구면를 형성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입력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슬라이드(slide)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막대형 댐퍼를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추가로 구비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로부터 외측을 향해 요철(凸) 형상의 돌출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댐퍼 홈은 상기 요철 형상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요철(凸)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댐퍼 홈은 상기 요철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요철(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끼움 방식에 따라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는 나사 방식 및 억지끼움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안착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기 위해, 상기 막대형 댐퍼에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형상의 돌출된 암(arm)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막대형 댐퍼를 감싸는 형상의 돌출된 암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포인트 형 댐퍼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완충재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모서리들에 끼워지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가 한 쌍의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한 쌍의 모서리의 길이보다 기설정된 마진(margin)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는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및 연질 플라스틱 중 하나의 재질의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6. 삭제
  17.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막대형 댐퍼(damper)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기 적합하도록,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되,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개구면를 형성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입력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막대형 댐퍼.


KR1020200133318A 2020-10-15 2020-10-15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KR102273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18A KR102273503B1 (ko) 2020-10-15 2020-10-15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PCT/KR2021/000451 WO2022080593A1 (ko) 2020-10-15 2021-01-13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18A KR102273503B1 (ko) 2020-10-15 2020-10-15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503B1 true KR102273503B1 (ko) 2021-07-06

Family

ID=7686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318A KR102273503B1 (ko) 2020-10-15 2020-10-15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444B1 (ko) * 2023-12-04 2024-01-30 센티오 주식회사 손상 및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938A (ja) * 2002-01-09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5963272B2 (ja) * 2011-02-23 2016-08-0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情報端末
JP3206197U (ja) * 2016-06-23 2016-09-01 株式会社ワールド・クリエイト 携帯情報端末用保護カバー
KR20170048634A (ko) * 2015-10-26 2017-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7071A (ko) * 2016-11-21 2018-05-30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938A (ja) * 2002-01-09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5963272B2 (ja) * 2011-02-23 2016-08-0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情報端末
KR20170048634A (ko) * 2015-10-26 2017-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3206197U (ja) * 2016-06-23 2016-09-01 株式会社ワールド・クリエイト 携帯情報端末用保護カバー
KR20180057071A (ko) * 2016-11-21 2018-05-30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444B1 (ko) * 2023-12-04 2024-01-30 센티오 주식회사 손상 및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6358A1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do for assembling the same
US8953338B2 (en) Curve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9232667B2 (en) Display device
US10775849B2 (en) Flexib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30100596A1 (en) Television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lide support mechanism
TWI566074B (zh) 電子裝置
US20120092822A1 (en) Wearable computing module
KR20150076197A (ko) 트림리스 글래스 엔클로저 인터페이스
TW201436691A (zh) 可攜式電子裝置之殼體結構
KR102210861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어셈블링하기 위한 방법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150016036A1 (en) Translucent panel attachment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8489922U (zh) 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CN110572492A (zh) 电子设备
JP4980317B2 (ja) 情報処理装置
KR102273503B1 (ko)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CN102638596B (zh) 一种手机的壳体结构
CN203482537U (zh) 一种电子设备
CN107734096A (zh) 一种移动终端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TWM547790U (zh) 可攜式電子設備保護套構造
KR20120001165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180254791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272176B1 (ko)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CN105530772A (zh) 保护套
CN208386749U (zh) 用于电子设备的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