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176B1 -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176B1
KR102272176B1 KR1020200133319A KR20200133319A KR102272176B1 KR 102272176 B1 KR102272176 B1 KR 102272176B1 KR 1020200133319 A KR1020200133319 A KR 1020200133319A KR 20200133319 A KR20200133319 A KR 20200133319A KR 102272176 B1 KR102272176 B1 KR 10227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type damper
mobile terminal
terminal device
vert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페24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176B1/ko
Priority to PCT/KR2021/000451 priority patent/WO20220805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꼭지점 및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진다.

Description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PORTABLE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SHOCK PREVEN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방지를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 장치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모바일 단말 장치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들의 일례로서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위블 타입 등의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 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거나 장치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의 광폭을 구현하는 추세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단말의 바디가 광폭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단말기의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낙하되는 경우, 단말기의 코너 또는 모서리에 충격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 또는 단말 내부 구성요소에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제작 방법이 간단하고, 모바일 단말 장치의 낙하 시에 디스플레이부 및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충격 방지 가능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꼭지점 및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포인트형 댐퍼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댐퍼홈과 나사, 너트 또는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외주까지의 거리는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상면과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상면의 복수 개의 모서리들, 상기 하면의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하면의 복수 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하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네 개의 모서리들 및 상기 하면의 네 개의 모서리들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 상기 하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의 적어도 한 쌍의 모서리들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들 중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때,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라운드진 형상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바디 상면, 바디 하면 및 모서리 측면을 포함하는 3개 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바디 상면, 바디 하면 및 복수 개의 모서리 측면을 포함하는 4개 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및 연질 플라스틱 중 하나의 재질의 완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꼭지점 및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damper)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포인트형 댐퍼(damper)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기 적합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따르면,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낙하되는 경우, 단말기 바디의 꼭지점 또는 모서리에 파손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꼭지점 또는 모서리에 집중되는 충격력을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통해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포인트형 댐퍼(damper)와 모바일 단말 장치 바디의 꼭지점 또는 모서리와의 크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포인트형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댐퍼 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포인트형 댐퍼가 댐퍼 홈에 안착되는 방식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꼭지점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포인트형 댐퍼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기기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 장치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단말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일면에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열되고, 단말 장치의 바디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놓치는 등의 실수로 인해, 단말 장치가 바닥에 떨어지게 되면, 단말 바디의 테두리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디스플레이부(110)가 깨지는 등의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외부의 충격에서 단말 바디 내의 구성요소들 및 디스플레이부(110)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부재(100)를 바디의 테두리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외부 충격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별도의 케이스(case)를 모바일 단말 장치에 끼워서 사용하는데, 케이스를 별도로 사서 끼우는 것은 그 자체로 번거로우며, 부피 및 무게에서도 상당한 부담을 주어 사용자의 단말 사용시 상당한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또한 미관을 해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완충부재(100)는 단말 장치 자체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충격 방지용 케이스 없이도 단말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포인트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면적을 갖는다. 완충부재(100)는 아주 적은 면적으로 충격 방지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트형 댐퍼(100)는 충격에 취약한 모서리 및/또는 꼭지점(코너(corner)라 부를 수 있음) 부분과 같이, 충격에 특히 취약한 부분에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적은 수로도 단말 장치가 외부 충격에 강인하도록 만든다.
먼저, 이하에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포인트형 댐퍼(100)의 구성은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의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바디와 바디의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부분은 상면 바디와 하면 바디로 형성된다. 상면 바디와 하면 바디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이때, 단말 바디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 바디는 베젤(veze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최근의 추세에 따라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 바디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의 내부에는 회로기판과 스위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단말 장치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 내에는 무선 통신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바디 부분 외측에는 영상/음성 입출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면 바디 상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단말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으로 형성되기에, 외부 충격에 취약하고, 특히, 모서리나 꼭지점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더욱 파손되기 쉽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기타 바디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포인트형 댐퍼(100)를 단말 장치 바디의 모서리 및/또는 꼭지점 부분에 부착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바디 상면과 바디 하면의 2개 면의 모서리 및/또는 꼭지점 부분에 각각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디 상면에 4개의 모서리와 바디 상면의 4개의 꼭지점에 모두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고, 바디 하면의 4개의 모서리와 바디 하면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 모두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다. 총 16개의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보다 적은 수로 효율적으로 충격방지 효과를 내기 위해, 16개의 포인트들 중 일부에만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모서리 쌍 중 짧은 길이의 모서리 쌍에는 포인트형 댐퍼(100)를 배열하지 않을 수 있다. 보통 송수화기 기능을 위해, 바디 상면의 짧은 길이의 모서리 쌍 부근에 마이크 및 스피커가 배열된다. 이에, 포인트형 댐퍼(100)에 의해 마이크 및 스피커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기에, 짧은 길이의 모서리 쌍에는 포인트형 댐퍼(100)를 배열하지 않고, 긴 길이의 모서리 쌍에만 포인트형 댐퍼(100)를 배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면에 6개의 댐퍼(100)가 배열되고, 양 면에 6개씩 배열되는 것을 고려하면, 총 12개의 댐퍼(100)가 배열된다. 경우에 따라, 꼭지점에만 포인트형 댐퍼(100)를 배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때는, 8개의 댐퍼(100)만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충돌로 인하여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충격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공기나 점성 유체를 포함하는 에어댐퍼(완층 버블 형태 포함)나 오일댐퍼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인트형 댐퍼(100)는 실리콘 레진, 에폭시 레진, 고무 재질 및/또는 연성 플라스틱 등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포인트형 댐퍼(100)의 재료는 접착성 및 점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포인트형 댐퍼(100)는 충격 흡수를 위한 최소한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5cm 내지 1.5c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cm 내지 1cm인 것이 좋다.
또한, 포인트형 댐퍼(100)의 크기 역시 충격 흡수를 위한 최소한의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동전 크기만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0.8㎠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면적을 갖는 것이 좋다.
한편, 단말 장치 제조사가 포인트형 댐퍼와 포인트형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댐퍼 홈을 함께 제조하여 포인트형 댐퍼가 구비된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 장치 제조사는 단말의 바디에 적합한 포인트형 댐퍼 홈만 만들어서, 포인트형 댐퍼 홈이 구비된 단말 장치를 제조하고, 단말 장치 제조사가 아닌, 별도의 댐퍼 제조사가 단말 장치에 구비된 포임트형 댐퍼 홈에 대응하는 포인트형 댐퍼를 제조하여 이원화된 생산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도 2는 포인트형 댐퍼(damper)와 모바일 단말 장치 바디의 꼭지점 또는 모서리와의 크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 바디의 테두리는 모서리 및 꼭지점 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포인트형 댐퍼(100)가 꼭지점 부분(120)에 배치될 때, 포인트형 댐퍼(100)는 꼭지점 부분(120)에 대응되게 라운드지게(rounded)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포인트형 댐퍼(100)의 반경(d1)은 상기 포인트형 댐퍼(100)의 중심점(C)으로부터 꼭지점 부분(120)까지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되어 꼭지점 부분(120)이 바닥에 닿기 전에 포인트형 댐퍼(100)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의 꼭지점 부분(120)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때에, 포인트형 댐퍼(100)의 중심점(C)으로부터의 거리가 아니라, 포인트형 댐퍼(100)의 곡률반경 역시 꼭지점 부분(120)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꼭지점 부분(120)의 곡선 부분을 전체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에서, 꼭지점 부분(120)이 라운드지지 않고, 사각형과 같은 형상인 경우에도, 포인트형 댐퍼(100)의 중심점(C)부터 단말의 꼭지점(120)까지의 거리는 포인트형 댐퍼(100)의 반경(d1)보다 작게 형성되어, 포인트형 댐퍼(100)에 의해 꼭지점 부분(120)이 완벽히 커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 부분과의 관계에서도 모서리 부분이 포인트형 댐퍼(100)에 의해 완벽히 커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포인트형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댐퍼 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댐퍼 홈(105)에 수용된다. 댐퍼 홈(105)은 포인트형 댐퍼(100)를 안착시키기 위해 모서리 및/또는 꼭지점에 배열되는 오목한 부분으로, 단말 장치 내에 하나 또는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 홈(105)은 포인트형 댐퍼(1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나사 홈이나, 볼트/너트 홈과 같이 얇고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댐퍼 홈(105)은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되는 위치마다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에 배열될 때와 꼭지점 부분에 배열될 때, 댐퍼 홈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모서리 부분에서도 바디 상면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댐퍼 홈의 형상과 바디 하면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댐퍼 홈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댐퍼 홈과 포인트형 댐퍼(100)의 안착 방식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포인트형 댐퍼가 댐퍼 홈에 안착되는 방식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나사 방식, 억지끼움 방식 및/또는 볼트/너트 방식 등을 통해 장치에 안착될 수 있다. 또는, 포인트형 댐퍼(100)가 탄성을 갖는 갈고리 형태의 부재를 구비하고, 단말 바디에 그에 대응하여 갈고리 형태의 부재가 안착되는 댐퍼 홈(105)을 구비함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를 댐퍼 홈(105)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나사 홈 형상의 댐퍼 홈(105)에 나사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에는 바디 내부로 나사 홈(105)이 뚫려 있고, 포인트형 댐퍼(100)에도 나사 홈이 뚫려 있어, 나사(130)가 포인트형 댐퍼(100)를 통과하여 댐퍼 홈(105)에 끼워짐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를 나사 홈(105)에 안착시킬 수 있다. 나사(130)도 충격 흡수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의 폭보다 약간 적은 폭의 댐퍼 홈(105)을 형성하여, 소폭의 공차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가 댐퍼 홈(105)에 안착될 수 있도록 포인트형 댐퍼(100)와 댐퍼 홈(10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확실한 압착을 위해 프레스 공정이 가해질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의 하부에 억지끼움을 위한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인트형 댐퍼(100)의 하부에 얇은 세장형 부재(102)를 두어 세장형 부재(102)가 그에 대응하는 형상의 댐퍼 홈(105)에 안착되는 형태로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다. 이때도 프레스 공정 등의 별도의 억지끼움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볼트(132)와 너트(13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바디 내부로 볼트(1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댐퍼 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132)와 너트(134)도 충격 흡수 가능하도록 점탄성을 갖는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한 방식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는 댐퍼 홈(105)에 착탈식으로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트형 댐퍼(100)가 오랜 사용으로 인해, 변형이 많이 일어난 경우, 이를 교환하기 위해 포인트형 댐퍼(100)를 댐퍼 홈(105)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새로운 포인트형 댐퍼(100)를 상기 댐퍼 홈(105)에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에서, 점성 또는 접착성을 이용하여 포인트형 댐퍼(100)가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직포를 이용하여 포인트형 댐퍼(100)를 부착할 수도 있고, 본드나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을 통해 부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바디 상면과 바디 하면에 별도의 포인트형 댐퍼(100)를 사용하여 2개의 댐퍼(100)로 충격 방지 효과를 낼 수도 있지만, 바디 상면과 바디 하면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일체형 포인트형 댐퍼(10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면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제 1 완충부(100-1)와 하면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제 2 완충부(100-2)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모서리 부분(122)에 안착되는 포인트형 댐퍼(100)는 상면 보호를 위한 제 1 완충부(100-1)와 하면 보호를 위한 제 2 완충부(100-2)를 포함하고, 이 둘은 연결부(100-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00-3) 역시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완충부(100-1)는 바디 상면 상에, 제 2 완충부(100-2)는 바디 하면 상에, 그리고 연결부(100-3)는 모서리 부분(122)의 측면 상에 배열된다. 이를 통해 모서리 부분(122)을 완벽하게 둘러쌀 수 있고, 이를 통해 모서리 부분(122)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모서리 부분(122)의 삼면에 완충 효과를 제공한다.
모서리 부분(122)에 이러한 포인트형 댐퍼(100)를 고정하기 위해, 억지끼움, 나사 및/또는 볼트/너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포인트형 댐퍼(100)의 제 1 완충부(100-1)와 제 2 완충부(100-2)의 종단에 갈고리 형태의 부재를 포함하고, 바디 상면 및 바디 하면에 그에 대응하는 댐퍼 홈(120)이 형성되어,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한 억지끼움 방식이 도입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100-3)에 나사 홈을 형성하고, 단말 장치 내부에도 이와 대응하는 나사 홈(105)을 형성하여 나사(130)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나사 홈은 반드시 연결부(100-3)에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완충부(100-1) 및 제 2 완충부(100-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꼭지점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꼭지점 부분(120)에 안착되는 포인트형 댐퍼(100)는 바디 상면 보호를 위한 제 1 완충부(100-1)와 바디 하면 보호를 위한 제 2 완충부(100-2)를 포함하고, 이 둘은 연결부(100-3)를 통해 연결되며, 이때, 연결부(100-3)는 두 개의 모서리에 걸쳐 있어, 수직으로 꺽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00-3) 역시 완충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완충부(100-1)는 바디 상면 상에, 제 2 완충부(100-2)는 바디 하면 상에, 그리고 연결부(100-3)는 제 1 모서리 부분과 제 2 모서리 부분의 측면 상에 배열된다. 이를 통해 꼭지점 부분(120)의 사면을 완벽하게 둘러쌀 수 있고, 사면을 통해 가해지는 어떠한 형태의 충격에도 충격 완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꼭지점 부분(120)에 도입되는 포인트형 댐퍼(100)도 억지끼움, 나사 및/또는 볼트/너트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100-3)에 나사 홈을 형성하고, 단말 장치 내부에도 이와 대응하는 나사 홈(105)을 형성하여 나사(130)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나사 홈은 반드시 연결부(100-3)에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완충부(100-1) 및 제 2 완충부(100-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은 포인트형 댐퍼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다각형(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함), 원형, 반원형, 부채꼴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포인트형 댐퍼(100)는 꼭지점 부분(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꼭지점 부분(120)이 사각형상이면, 포인트형 댐퍼(100)의 형상도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좋고, 꼭지점 부분(120)이 라운드진 형상이면, 원형, 또는, 상기 라운드진 형상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반원형 또는 부채꼴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꼭지점 및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갖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바디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별도 케이스(case) 없이 상기 바디에 직접 안착되며,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상기 일정한 면적 중 제 1 부분은 상기 바디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위에 오버랩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보호하고,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상기 일정한 면적 중 제 2 부분은 상기 바디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을 벗어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포인트형 댐퍼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추가로 구비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댐퍼홈과 나사, 너트 또는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고정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외주까지의 거리는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상면과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상면의 복수 개의 모서리들, 상기 하면의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하면의 복수 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하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네 개의 모서리들 및 상기 하면의 네 개의 모서리들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 상기 하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의 적어도 한 쌍의 모서리들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안착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들 중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때,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라운드진 형상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바디 상면, 바디 하면 및 모서리 측면을 포함하는 3개 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바디 상면, 바디 하면 및 복수 개의 모서리 측면을 포함하는 4개 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및 연질 플라스틱 중 하나의 재질의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4.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꼭지점 및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damper)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구비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바디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별도 케이스(case) 없이 상기 바디에 직접 안착되며,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제 1 부분은 상기 바디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위에 오버랩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보호하고,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제 2 부분은 상기 바디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을 벗어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15.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포인트형 댐퍼(damper)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기 적합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되,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별도 케이스(case) 없이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바디에 직접 안착되며,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상기 일정한 면적 중 제 1 부분은 상기 바디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위에 오버랩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보호하고,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상기 일정한 면적 중 제 2 부분은 상기 바디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을 벗어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포인트형 댐퍼.
KR1020200133319A 2020-10-15 2020-10-15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KR10227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19A KR102272176B1 (ko) 2020-10-15 2020-10-15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PCT/KR2021/000451 WO2022080593A1 (ko) 2020-10-15 2021-01-13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19A KR102272176B1 (ko) 2020-10-15 2020-10-15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176B1 true KR102272176B1 (ko) 2021-07-05

Family

ID=7689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319A KR102272176B1 (ko) 2020-10-15 2020-10-15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857B1 (ko) * 2020-12-08 2022-04-21 한나영 휴대폰 범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4358A (ja) * 1998-03-27 1999-10-15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の耐衝撃構造
KR200394704Y1 (ko) * 2005-06-13 2005-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격 방지 쿠션
JP2010067730A (ja) * 2008-09-10 2010-03-25 Canon Electronics Inc 緩衝構造
KR20130015853A (ko) * 2011-08-05 2013-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의 커버 윈도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20130085218A (ko) * 2012-01-19 2013-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86432A (ko) * 2012-01-25 2013-08-02 이진영 휴대기기 케이스
JP2016010035A (ja) * 2014-06-25 2016-01-1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緩衝構造
KR20170063789A (ko) * 2014-12-27 2017-06-08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전자 기기
KR20180022183A (ko) * 2016-08-23 2018-03-06 우현우 모바일폰 보호수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4358A (ja) * 1998-03-27 1999-10-15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の耐衝撃構造
KR200394704Y1 (ko) * 2005-06-13 2005-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격 방지 쿠션
JP2010067730A (ja) * 2008-09-10 2010-03-25 Canon Electronics Inc 緩衝構造
KR20130015853A (ko) * 2011-08-05 2013-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의 커버 윈도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20130085218A (ko) * 2012-01-19 2013-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86432A (ko) * 2012-01-25 2013-08-02 이진영 휴대기기 케이스
JP2016010035A (ja) * 2014-06-25 2016-01-1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緩衝構造
KR20170063789A (ko) * 2014-12-27 2017-06-08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전자 기기
KR20180022183A (ko) * 2016-08-23 2018-03-06 우현우 모바일폰 보호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857B1 (ko) * 2020-12-08 2022-04-21 한나영 휴대폰 범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9131B2 (en) Handheld device enclosure
US8953338B2 (en) Curve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353493B1 (ko) 배터리 팩 실장 구조 및 그것이 적용되는 전자 장치
CN105551383B (zh) 曲面显示器以及包括该曲面显示器的可移动电子设备
US10310625B2 (en) Shel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851363A (zh) 曲面显示器以及包括该曲面显示器的可移动电子设备
CN109495610A (zh) 终端及其组装方法
ES2791287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ortátil y estructura interna del mismo
CN105551384A (zh) 曲面显示器以及包括该曲面显示器的可移动电子设备
WO2014070330A1 (en) New phone construction/lens design to reduce lens borders
US20140339130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272176B1 (ko)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CN203482537U (zh) 一种电子设备
EP2581802A1 (en) Portable terminal
KR20230011224A (ko) 휴대폰 케이스
US9317142B2 (en) Pen dock for electronic device
CN210351250U (zh) 一种防摔手机显示屏
CN113192423B (zh) 缓冲结构、oled显示面板和oled显示屏
TWI555643B (zh) Touch LCD module
KR20110028945A (ko)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용 케이스
CN212969729U (zh) 壳体组件及移动终端
KR200471603Y1 (ko) 스킨부착 보호커버
CN210380944U (zh) 电子设备
WO2015078335A1 (en) Protecting-supporting assembly for tablet electronic product
CN113892251A (zh) 包括支撑构件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