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056U - 보조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보조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056U
KR20140001056U KR2020130001431U KR20130001431U KR20140001056U KR 20140001056 U KR20140001056 U KR 20140001056U KR 2020130001431 U KR2020130001431 U KR 2020130001431U KR 20130001431 U KR20130001431 U KR 20130001431U KR 20140001056 U KR20140001056 U KR 201400010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auxiliary
power
termin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민숙
Original Assignee
양민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민숙 filed Critical 양민숙
Priority to KR2020130001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056U/ko
Publication of KR20140001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5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와 착탈이 가능한 보조전원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메인 배터리가 탑재된 휴대단말기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휴대단말기에 배치된 메인 배터리와 동일한 넓이와 두께의 보조 배터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수납하기 위해 수납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보조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부; 보조 배터리의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보조 배터리에 제공하고,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휴대단말기에 제공하는 제1 전원단자; 및 휴대단말기의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제1 전원단자를 통해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제공받아 휴대단말기에 제공하는 제2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휴대단말기의 백커버의 배면에 탈착되도록 결합 가능하고, 케이스의 측벽은 휴대단말기의 프론트면의 에지를 감싸도록 굴곡된다.

Description

보조전원 공급장치{AUXILIARY POWER PROVIDING DEVICE}
본 고안은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와 착탈이 가능한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장소,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근래 휴대단말기는 통신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무선인터넷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그 사용 분야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애플사의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웹서핑, 동영상 재생 등의 기능을 활용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비디오 녹화, 음성명령, 3차원 그래픽의 게임, 문서 읽기, 전자사전, 지도, MP3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활용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지만, 배터리 용량의 한계로 인해 장시간 사용으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제대로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외부 활동시에 원활한 배터리 충전을 위해 상용 전원이 아닌 리튬이온 전지나 리튬폴리머 전지를 사용하는 휴대용 간이 충전기가 개발되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단말기는 외관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와 배터리의 용량을 일시적으로 개선하여주는 보조 배터리가 개인의 편이성을 위하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의 휴대단말기의 부수적인 장치는 보호용 케이스와 보조 배터리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필요시 두 가지의 장치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6327호 (공개일: 2011년 12월 21일, 발명의 명칭: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단말기 보호용 케이스와 보조 배터리를 결합하여 휴대단말기의 메인 배터리 방전시 해당 메인 배터리를 분리하지 않고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휴대단말기와 착탈이 가능한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메인 배터리가 탑재된 휴대단말기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배치된 메인 배터리와 동일한 넓이와 두께의 보조 배터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수납하기 위해 수납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보조 배터리에 제공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제공하는 제1 전원단자;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제1 전원단자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휴대단말기에 제공하는 제2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커버의 배면에 탈착되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론트면의 에지를 감싸도록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메인 배터리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보조전원 공급장치는,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상기 제2 전원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인 배터리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케이스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케이스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후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에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결합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체결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카메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원 공급장치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에서 분리된 경우 충전기로서 동작하고, 휴대단말기에 결합된 경우 해당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메인 배터리에 직렬 연결되어 해당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므로써, 휴대단말기의 메인 배터리의 방전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전원공급을 종료한 후 휴대단말기의 메인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보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절단선 I-I'으로 절단하여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절단선 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절단선 II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절단선 IV-IV'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와 휴대단말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와 휴대단말기간의 전원 연결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조전원 공급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를 절단선 I-I'으로 절단하여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를 절단선 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를 절단선 II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를 절단선 IV-IV'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는 케이스(110) 및 충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메인 배터리가 탑재된 휴대단말기(미도시)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배치된 메인 배터리와 동일한 넓이와 두께의 보조 배터리(130)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수납하기 위해 수납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장변과 단변으로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배면부(112)와, 상기 배면부(112)의 장변 에지 양측에서 돌출된 측벽부들(114)을 포함한다.
상기 배면부(112)에는 보조 배터리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돌출된 테두리부(1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면부(112)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체결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카메라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부(112)에는 차량 등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결합을 위한 체결홀들(112b)이 더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들(112b) 각각에는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형성된 거치돌기들 각각이 삽입되어 보조전원 공급장치(100)가 체결된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들(114)은 불연속적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보조전원 공급장치(100)에 체결하거나 휴대단말기로부터 보조전원 공급장치(100)에서 분리할 때, 사용자에게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는 상기 측벽들(114)에 사각 형상의 파임부들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원형, U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파임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와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를 분리할 때,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불연속적으로 돌출된 측벽부(114)를 통해 휴대단말기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휴대단말기의 거치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휴대단말기와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는 면대면이 서로 맞닫는 상태에서 눌림 동작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고, 측벽부(114)가 형성되지 않은 단변을 통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부들(114)의 에지부는 보조전원 공급장치(100)의 내측 방향일정 간격 굴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는 체결되는 휴대단말기의 에지부를 감싸므로써, 휴대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케이스(110)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케이스(110)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후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130)는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충전부(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조전원 공급장치(100)의 측벽에는 전원단자 삽입부(120a)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10)에는 제1 전원단자(116) 및 제2 전원단자(1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원단자(116)는 상기 보조 배터리(130)의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충전부(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보조 배터리(130)에 제공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130)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제2 전원단자(118)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제1 전원단자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130)에 충전된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휴대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충전부(120)는 상기 케이스(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보조 배터리(130)에 충전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100)와 휴대단말기(2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배터리(130)가 탑재된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는 메인 배터리(230)를 탑재한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탈착되도록 결합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220은 휴대단말기(200)의 백커버이다. 백커버(220)가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전원 공급장치(100)는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탈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10)에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결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130)는 상기 메인 배터리(230)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보조전원 공급장치(100)와 휴대단말기(200)간의 전원 연결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보조전원 공급장치(100)에 구비되는 충전부(120)는 충전기(122), 제1 절환기(124) 및 제2 절환기(126)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12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보조 배터리(130)에 전압을 충전한다.
상기 제1 절환기(124)는 상기 보조 배터리(130)가 수납되면 상기 충전기(122)의 정극성 출력단자와 상기 보조 배터리(130)의 정극성단자를 연결시켜 상기 보조 배터리(130)를 충전시키는 경로를 제공하고, 휴대단말기 본체(210)와 상기 메인 배터리(230)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결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130)의 정극성 단자와 상기 메인 배터리(230)의 정극성 단자를 연결시킨다.
상기 제2 절환기(126)는 상기 보조 배터리(130)가 수납되면 상기 충전기(122)의 부극성 출력단자와 상기 보조 배터리(130)의 부극성단자를 연결시켜 상기 보조 배터리(130)를 충전시키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230)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결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130)의 부극성 단자와 상기 메인 배터리(230)의 부극성 단자를 연결시킨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조 배터리(130)의 충전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보조전원 공급장치(100)에 상기 보조 배터리(130)를 배치하면, 외부의 전원을 배치된 상기 보조 배터리(13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배터리(230)를 수납하는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상기 보조 배터리(130)를 체결하면, 상기 보조 배터리(130)의 정극성단자와 부극성단자가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메인 배터리(230)의 정극성단자와 부극성단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130)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메인 배터리(2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충전기(122)와 보조 배터리(130)간의 전원경로, 보조 배터리(130)와 메인 배터리(230)간의 전원경로를 설명하였으나, 전원경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충전기(122)와 메인 배터리(230)간에 전원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충전기(122)는 메인 배터리(23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기(122)와 보조 배터리(130) 및 메인 배터리(230)간에 전원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충전기(122)는 보조 배터리(130)와 메인 배터리(230)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보조전원 공급장치가 휴대단말기에서 분리된 경우, 일반적인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충전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전원 공급장치가 휴대단말기에 체결된 경우, 내장된 보조 배터리를 휴대단말기에 공급하므로써,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배터리를 분리하여 보조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단말기 사용상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조전원 공급장치가 휴대단말기에 체결된 경우, 비록 전체적인 휴대단말기의 두께는 증가할 수 있으나,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고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전원 공급장치가 플랫 형상을 가지므로 가방 등에 보관할 때 보다 얇은 주머니에 넣을 수 있다.
100 : 보조전원 공급장치 110 : 케이스
112 : 배면부 112a : 카메라홀
112b : 체결홀 114 : 측벽부
120 : 충전부 122 : 충전기
124 : 제1 절환기 126 : 제2 절환기
130 : 보조 배터리 230: 메인 배터리
200 : 휴대단말기

Claims (8)

  1. 메인 배터리가 탑재된 휴대단말기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배치된 메인 배터리와 동일한 넓이와 두께의 보조 배터리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수납하기 위해 수납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보조 배터리에 제공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제공하는 제1 전원단자;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제1 전원단자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휴대단말기에 제공하는 제2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커버의 배면에 탈착되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프론트면의 에지를 감싸도록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메인 배터리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상기 제2 전원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인 배터리에 직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케이스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케이스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후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결합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체결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카메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원 공급장치.
KR2020130001431U 2013-02-25 2013-02-25 보조전원 공급장치 KR201400010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31U KR20140001056U (ko) 2013-02-25 2013-02-25 보조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31U KR20140001056U (ko) 2013-02-25 2013-02-25 보조전원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821 Division 2012-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56U true KR20140001056U (ko) 2014-02-18

Family

ID=5244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431U KR20140001056U (ko) 2013-02-25 2013-02-25 보조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05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01A1 (ko) * 2013-11-12 2015-05-21 김영조 보조배터리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용 대용량형 배터리 케이스장치
KR20160090187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KR200481425Y1 (ko) * 2016-05-13 2016-09-29 박남태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01A1 (ko) * 2013-11-12 2015-05-21 김영조 보조배터리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용 대용량형 배터리 케이스장치
KR20160090187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KR200481425Y1 (ko) * 2016-05-13 2016-09-29 박남태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7013B2 (en)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8183825B2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KR101892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KR20130097954A (ko) 휴대단말용 케이스
KR20140001056U (ko) 보조전원 공급장치
JP2008112654A (ja) 二次電池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KR20170002571U (ko)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US7248902B2 (en)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KR20190073893A (ko)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KR200478882Y1 (ko)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용 파워팩
US7990104B2 (en) Mobile charger receptacle configured with universal serial bus (USB), cigarette lighter adapter (CLA) plug and control firmware
KR200404743Y1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WO2008007965A1 (en) Battery recharging and supporting device
CN113271809B (zh) 电力屏幕保护装置
US20060152193A1 (en) Rechargeable back-up battery pack
JP5905807B2 (ja) 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器
WO2014067026A1 (zh) 滑轨式后背电源
KR20170000474A (ko)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충전식 스마트폰 케이스
JP4739243B2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JP2011244156A (ja) 携帯端末
KR20170001537U (ko) 카드형 보조 배터리
KR20140137983A (ko)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충전식 스마트폰 케이스
KR20070106843A (ko) 배터리팩을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
KR20100040094A (ko) 다기능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