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187A -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187A
KR20160090187A KR1020150010185A KR20150010185A KR20160090187A KR 20160090187 A KR20160090187 A KR 20160090187A KR 1020150010185 A KR1020150010185 A KR 1020150010185A KR 20150010185 A KR20150010185 A KR 20150010185A KR 20160090187 A KR20160090187 A KR 20160090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power
power supply
display panel
dispos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843B1 (ko
Inventor
김학수
고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8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휴대기기에서 주전원장치가 분리된 경우에도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일정시간 동작시킬 수 있는 보조전원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의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보조전원장치는 표시장치의 표시패널 하부 또는 표시패널의 일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의 표시장치{Display device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장치로 동작되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에서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분리되더라도 일정시간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양산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 및 대화면 구현의 장점으로 인해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무선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액정표시장치 또한 휴대기기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휴대기기는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 등과 같은 2차 전지 형태의 충전식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장치를 통해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되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이 모두 방전되기 전에 재충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재충전은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기기를 충전기에 결합시키는 방식이나, 이러한 충전방식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휴대기기가 충전기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휴대기기의 사용 상에 불편함이 발생된다. 이에, 2개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기에 번갈아 가며 충전하는 충전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2개의 배터리를 이용한 충전방식은 휴대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방전된 배터리를 휴대기기에서 분리시켜 교체하므로, 배터리 교체 시 휴대기기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휴대기기에서 배터리 분리 후, 기 충전된 다른 배터리가 결합되어 휴대기기가 재부팅될 때까지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휴대기기의 사용 편의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휴대기기에서 배터리가 분리되더라도 이를 대신하여 일정시간 동안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가이드패널, 바텀커버 및 바텀커버의 배면에 배치되어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표시패널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가이드패널 및 표시패널의 일측과 가이드패널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어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표시패널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하부 또는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보조전원장치를 구비하고, 휴대기기에서 주전원장치가 방전되거나 분리된 경우에 보조전원장치를 이용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기기의 주전원장치를 교체하는 동안에도 표시장치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전원장치가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보조전원장치의 크기를 표시장치의 수납용기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단전극의 보조전원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의 수납용기를 보조전원장치의 외부 케이스로 이용할 수 있어 보조전원장치의 두께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전원장치가 표시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케이블 형태의 보조전원장치를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표시장치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내에 보조전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휴대기기의 주전원장치의 교체 시 전원을 오프하지 않더라도 표시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어 휴대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표시장치를 Ⅰa ~ Ⅰa'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보조전원장치를 Ⅰb ~ Ⅰ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표시장치를 Ⅲa ~ Ⅲa'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장치를 Ⅲb ~ Ⅲ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표시장치를 Ⅴa ~ Ⅴa'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보조전원장치를 Ⅴb ~ Ⅴ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의 표시장치를 Ⅶa ~ Ⅶa'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보조전원장치를 Ⅶb ~ Ⅶ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로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휴대기기의 표시장치로 유기발광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표시장치를 Ⅰa ~ Ⅰa'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0)는 PMP 또는 모바일 통신기기 등과 같은 휴대기기에서 사용되며, 표시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및 보조전원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하부기판(111), 상부기판(113) 및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으로 구성된 액정패널일 수 있다. 표시패널(11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114a, 114b)이 각각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편광판(114a, 114b)은 표시패널(110)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의 하부기판(111)에는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라인(미도시) 및 데이터라인(미도시)이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고, 각 화소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라인과 접속되는 게이트전극, 데이터라인 및 화소전극(미도시)과 접속되는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의 상부기판(113)에는 하부기판(111)의 화소영역에 대응되는 적, 녹, 청색의 컬러필터(미도시) 및 각 컬러필터를 구분하는 블랙매트릭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패널(110)은 하부기판(111)의 가장자리에 실장된 구동회로(115)에서 제공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구동회로(115)는 연성인쇄회로기판(116)을 통해 외부회로와 연결되어 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구동회로(115)에서 생성되는 구동신호는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표시패널(11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유닛(125), 도광판(124), 반사시트(127) 및 광학시트(126)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유닛(125)은 광원(121), 회로기판(122) 및 케이블(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21)은 백색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22) 상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121)은 케이블(123)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동작될 수 있다. 회로기판(122)에는 케이블(123)을 통해 제공된 전원을 광원(121)으로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배선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124)은 광원유닛(125)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광원(12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표시패널(110)로 가이드할 수 있다. 광원(121)에서 방출된 광은 도광판(124)의 일측으로 입사되며, 내부에서 굴절 및 반사를 반복하면서 타측까지 진행되며 도광판(124)의 상부로 출사될 수 있다.
반사시트(127)는 도광판(124)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광판(124)의 하부로 누설되는 광을 다시 도광판(124)의 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광학시트(126)는 도광판(124)의 상부로 출사된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표시패널(110)의 배면에 제공할 수 있다. 광학시트(126)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시트 및 확산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은 가이드패널(130)에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사이에는 차광테이프(135)가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에서 출광되는 광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패널(130)의 배면에는 보조전원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0)는 가이드패널(13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0)에 의해 가이드패널(13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이 지지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0)는 가이드패널(130)의 배면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반사시트(127)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0)는 도시되지 않은 휴대기기의 주전원장치(미도시), 예컨대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대신하여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휴대기기의 주전원장치가 교체 등의 이유로 분리되는 경우에, 보조전원장치(200)는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휴대기기의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소정시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0)는 휴대기기에서 주전원장치가 분리되더라도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어 휴대기기의 동작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보조전원장치(200)는 휴대기기에서 주전원장치의 연결경로와 동일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조전원장치(200)는 주전원장치와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이 접속되는 접속점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접속점에는 소정의 스위치(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주전원장치 및 보조전원장치(200) 중 하나를 통해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에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보조전원장치를 Ⅰb ~ Ⅰ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보조전원장치(200)는 한 쌍의 케이스(211a, 211b) 내부에 절연필름(213a, 213b)으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양극(+)판(215) 및 음극(-)판(21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전원장치(200)는 제1케이스(211a), 절연필름(213a), 양극판(215), 분리막(216), 음극판(217), 절연필름(213b) 및 제2케이스(211b)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원장치(200)는 제1케이스(211a) 또는 제2케이스(211b) 중 하나가 가이드패널(130)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가이드패널(130)의 배면 및 백라이트 유닛(120)의 반사시트(127)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0)의 양극판(215)은 소정의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주전원장치의 양극이 접속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보조전원장치(200)의 음극판(217)은 소정의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주전원장치의 음극이 접속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패널(13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주전원장치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보조전원장치(200)의 내부에는 하나의 양극판(215) 및 음극판(217)이 분리막(216)을 사이에 두고 적층될 수 있다.
상술한 보조전원장치(200)는 휴대기기에서 주전원장치가 분리되는 경우에, 소정시간 동안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에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전원장치(200)는 사용자가 휴대기기에서 방전된 주전원장치를 분리한 후, 새로운 주전원장치를 연결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에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전원장치(200)는 대략 3.7V의 동작전원을 1~5분 동안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에 공급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0)는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제공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조전원장치(200)에서는 케이스(211a, 211b)의 두께가 보조전원장치(200)의 전체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0)에서는 보조전원장치(200)의 케이스(211a, 211b)가 종래의 바텀커버의 기능을 수행하나, 케이스(211a, 211b) 두께에 의해 표시장치(100) 전체의 두께가 증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표시장치를 Ⅲa ~ Ⅲa'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1)는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표시장치(100)와 바텀커버(140) 및 보조전원장치(201)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101)에서는 도 1의 표시장치(100)와 동일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며,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1)는 표시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및 보조전원장치(201)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하부기판(111), 상부기판(113) 및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114a, 114b)이 각각 배치되어 표시패널(110)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표시패널(11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유닛(125), 도광판(124), 반사시트(127) 및 광학시트(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은 가이드패널(130)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사이에는 차광테이프(135)가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에서 출광되는 광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텀커버(140)는 가이드패널(130)의 배면에 배치되어 가이드패널(13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다. 바텀커버(140)는 소정의 금속물질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텀커버(140)는 가이드패널(130)과 동일한 크기 또는 가이드패널(13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텀커버(140)의 배면에는 보조전원장치(201)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1)는 바텀커버(14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보조전원장치(201)는 바텀커버(140)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전원장치(201)는 휴대기기의 주전원장치가 분리된 경우에,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소정 시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원장치(201)는 주전원장치의 연결경로와 동일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장치를 Ⅲb ~ Ⅲ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보조전원장치(201)는 케이스(211b) 상에 절연필름(213a, 213b)으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양극판(215) 및 음극판(21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전원장치(201)는 케이스(211b) 상에 절연필름(213b), 음극판(217), 분리막(216), 양극판(215) 및 절연필름(213a)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양극판(215)과 음극판(217)은 분리막(216)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원장치(201)는 케이스(211b) 없이 노출된 절연필름(213a)이 바텀커버(140)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바텀커버(14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1)는 휴대기기에서 주전원장치가 분리되는 경우에, 소정시간 동안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에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대략 3.7V의 동작전원을 1~5분 동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조전원장치(201)는 표시장치(101)의 바텀커버(140)를 보조전원장치(201)의 일측 케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보조전원장치(200)와 대비하여 1개의 케이스를 생략할 수 있어 보조전원장치(201)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1)에서는 보조전원장치(201)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앞서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100)보다 전체 두께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표시장치를 Ⅴa ~ Ⅴa'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2)는 앞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표시장치들(100, 101)와 바텀커버(140a, 140b) 및 보조전원장치(202)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102)에서는 도 1 및 도 3의 표시장치들(100, 101)과 동일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며,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2)는 표시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및 보조전원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하부기판(111), 상부기판(113) 및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114a, 114b)이 각각 배치되어 표시패널(110)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표시패널(11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유닛(125), 도광판(124), 반사시트(127) 및 광학시트(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은 가이드패널(130)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사이에는 차광테이프(135)가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에서 출광되는 광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텀커버(140a, 140b)는 가이드패널(130)의 배면에 배치되어 가이드패널(13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다. 바텀커버(140a, 140b)는 가이드패널(130)과 동일한 크기 또는 가이드패널(13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텀커버(140a, 140b)는 2개의 금속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후술될 보조전원장치(202)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텀커버(140a, 140b)는 동일한 크기로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 제1커버(140a) 및 제2커버(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140a)는 가이드패널(130)의 배면에 배치되고, 제2커버(140b)는 보조전원장치(202)를 사이에 두고 제1커버(140a)의 배면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2)는 바텀커버(140a, 140b)의 제1커버(140a) 및 제2커버(14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2)는 바텀커버(140a, 140b)와 동일한 크기 또는 바텀커버(140a, 140b)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2)는 휴대기기의 주전원장치가 분리된 경우에,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소정 시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원장치(202)는 주전원장치의 연결경로와 동일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보조전원장치를 Ⅴb ~ Ⅴ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보조전원장치(202)는 절연필름(213a, 213b)으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양극판(215) 및 음극판(21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전원장치(202)는 한 쌍의 절연필름(213a, 213b) 사이에 양극판(215), 분리막(216) 및 음극판(217)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양극판(215)과 음극판(217)은 분리막(216)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원장치(202)는 한 쌍의 절연필름(213a, 213b)이 바텀커버(140a, 140b)의 제1커버(140a) 및 제2커버(140b)에 각각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제1커버(140a) 및 제2커버(140b)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2)는 휴대기기에서 주전원장치가 분리되는 경우에, 소정시간 동안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에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조전원장치(202)는 표시장치(102)의 바텀커버(140a, 140b)를 보조전원장치(202)의 케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2b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보조전원장치(202)와 대비하여 케이스 전체를 생략할 수 있어 보조전원장치(202)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5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2)에서는 보조전원장치(202)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앞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100, 101)보다 전체 두께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7의 표시장치를 Ⅶa ~ Ⅶa'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3)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표시장치(101)와 보조전원장치(203)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표시장치(103)에서는 도 3의 표시장치(101)과 동일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며,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3)는 표시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및 보조전원장치(20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하부기판(111), 상부기판(113) 및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114a, 114b)이 각각 배치되어 표시패널(110)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표시패널(11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원유닛(125), 도광판(124), 반사시트(127) 및 광학시트(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은 가이드패널(130)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20) 사이에는 차광테이프(135)가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20)에서 출광되는 광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텀커버(140)는 가이드패널(130)의 배면에 배치되어 가이드패널(13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다. 바텀커버(140)는 소정의 금속물질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텀커버(140)는 가이드패널(130)과 동일한 크기 또는 가이드패널(13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3)는 가이드패널(130)과 표시패널(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3)는 케이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전원장치(203)는 케이블 형태로 구성되며, 가이드패널(130)의 내측과 표시패널(110)의 끝단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이드패널(130)의 내측과 표시패널(110)의 끝단은 소정의 간격, 예컨대 2~3mm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보조전원장치(203)는 상기 간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표시패널(11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원장치(203)는 휴대기기의 주전원장치가 분리된 경우에,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소정 시간 구동시킬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3)는 주전원장치의 연결경로와 동일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보조전원장치를 Ⅶb ~ Ⅶb'의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보조전원장치(203)는 원통형의 외피(219) 내부에 절연필름(213)으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양극판(215) 및 음극판(21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전원장치(203)는 원통형의 외피(219) 내부에 절연필름(213), 양극판(215), 분리막(216) 및 음극판(217)의 배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양극판(215)과 음극판(217)은 분리막(216)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외피(219)가 절연물질인 경우에는 그 내부의 절연필름(213)은 생략될 수 있다.
보조전원장치(203)는 휴대기기에서 주전원장치가 분리되는 경우에, 소정시간 동안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에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조전원장치(203)는 가이드패널(130)의 내측과 표시패널(110)의 끝단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3)는 앞서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들(100, 101, 102)과 대비하여 보조전원장치(203)에 의한 두께 증가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103)는 표시패널(110)의 하부, 즉 백라이트 유닛(100)의 하부 또는 표시패널(110)의 일측에 보조전원장치(203)를 구비함으로써, 휴대기기에서 주전원장치가 분리된 경우에 보조전원장치(203)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20)을 일정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기의 주전원장치가 방전되어 교체하는 경우에, 휴대기기의 전원을 오프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101, 102, 103: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30: 가이드패널 140: 바텀커버
140a: 제1커버 140b: 제2커버
200, 201, 202, 203: 보조전원장치

Claims (9)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가이드패널;
    상기 가이드패널을 지지하는 바텀커버; 및
    상기 바텀커버의 배면에 배치되며,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장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에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배치되며, 절연필름으로 둘러싸인 한 쌍의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절연필름이 상기 바텀커버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텀커버에 부착되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커버는,
    상기 가이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접촉되어 지지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제1커버와 대응되어 배치된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장치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사이에 배치된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장치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절연필름으로 둘러싸인 한 쌍의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절연필름이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 각각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부착되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패널에 수납되어 상기 바텀커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장치는 상기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6.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가이드패널; 및
    상기 가이드패널의 내측과 상기 표시패널의 일측 사이에 배치되며,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장치는 케이블 형태로 상기 표시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장치는, 원통형의 외피 내부에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패널에 수납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원장치는 상기 주전원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KR1020150010185A 2015-01-21 2015-01-21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KR10237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185A KR102377843B1 (ko) 2015-01-21 2015-01-21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185A KR102377843B1 (ko) 2015-01-21 2015-01-21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187A true KR20160090187A (ko) 2016-07-29
KR102377843B1 KR102377843B1 (ko) 2022-03-22

Family

ID=5661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185A KR102377843B1 (ko) 2015-01-21 2015-01-21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8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225B1 (ko) * 2006-07-24 2009-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20120090732A (ko) * 2011-02-08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휴대 장치
KR20130064274A (ko) * 2011-12-08 2013-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140001056U (ko) * 2013-02-25 2014-02-18 양민숙 보조전원 공급장치
JP2014123241A (ja) * 2012-12-21 2014-07-03 Nec Personal Computers Ltd 外付けバッテリー取り付け治具、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225B1 (ko) * 2006-07-24 2009-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20120090732A (ko) * 2011-02-08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휴대 장치
KR20130064274A (ko) * 2011-12-08 2013-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JP2014123241A (ja) * 2012-12-21 2014-07-03 Nec Personal Computers Ltd 外付けバッテリー取り付け治具、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01056U (ko) * 2013-02-25 2014-02-18 양민숙 보조전원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843B1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32993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503143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200957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200319395A1 (en) Backlight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JP2010107857A (ja) 液晶表示装置
US20150042904A1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20120243174A1 (en) Electronic book device integrated with a magnetic pen rack
US9360694B2 (en) Liquid crystal panel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05072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olar cell module
KR20140114960A (ko) 액정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KR102116442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60090187A (ko)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KR1020608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022759A1 (en) Display with Radioluminescent Backlight Unit
KR1023674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09590811U (zh) 一种防静电触摸显示装置
JP2003308023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4020432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467144B2 (ja) 端末表示充電装置
KR20120035770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200367072Y1 (ko) 휴대폰 충전 광고 복합기
JP4657610B2 (ja) 携帯端末装置
CN117389047A (zh) 扩增实境显示装置
KR20210124570A (ko) 광 감지 센서
KR20120012905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