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732A - 슬림형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슬림형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732A
KR20120090732A KR1020110033215A KR20110033215A KR20120090732A KR 20120090732 A KR20120090732 A KR 20120090732A KR 1020110033215 A KR1020110033215 A KR 1020110033215A KR 20110033215 A KR20110033215 A KR 20110033215A KR 20120090732 A KR20120090732 A KR 2012009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osed
portable device
main body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9062B1 (ko
Inventor
문정남
백상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67,627 priority Critical patent/US8811012B2/en
Priority to PCT/KR2012/000880 priority patent/WO2012108662A2/en
Priority to AU2012215297A priority patent/AU2012215297B2/en
Priority to CN201210027669.0A priority patent/CN102681614B/zh
Priority to EP12154416.7A priority patent/EP2485115B1/en
Publication of KR2012009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Abstract

본 발명에는 슬림화된 휴대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 장치는 정보 입출력 유닛과, 주기판을 포함하는 전방부; 및 배터리 유닛과,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구비한 휴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본체 내에 배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장치 본체의 슬림화에 매우 유리하다.

Description

슬림형 휴대 장치{SLIM-TYP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피씨(tablet PC)를 포함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휴대 장치는 노트북, MP3, PMP, PDA,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열거한 휴대 장치들 중, 노트북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편화된 노트북은 본체와, 힌지에 의해 본체에서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체 상면에는 다수의 키 배열(QWERTY 키 배열)을 포함하고, 저면에는 배터리 팩이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체 내에 배치되는 주요 유닛의 배치상태를 보면, 주기판을 중심으로 상측에 키패드 유닛이 구비되고, 하측으로 배터리 유닛이 배치되는 상하 적층타입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키패드와 주기판 및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는 두께를 최소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본체 슬림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카메라 유닛이 본체에 구비되는데, 통상적인 카메라 유닛은 촬상 소자와 렌즈 간의 일정 거리가 확보되어야 함으로서, 카메라 유닛은 본체에 구비되는 경우, 본체 저면에서 소정의 두께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주요 유닛을 본체 내에 배치함으로서, 전체적인 노트북의 본체 슬림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구조는 태브릿 피씨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태블릿 피씨 본체 슬림화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에 채용되는 내부 주요 유닛을 본체 적재 적소에 배치하여 슬림화에 유리한 슬림형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배치되는 배터리 유닛을 병렬형으로 배치하여 배터리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두 개의 배터리 유닛 사이에 구비된 개구에 카메라 유닛을 배치하여서, 카메라 유닛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슬림형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스피커 유닛에 두 개의 연결 잭을 완전히 수용한 상태로 각각 일체형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본체 슬림화에 기여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 유닛을 발열체나 금속체와 가장 원거리 배치하여서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본체 슬림화에 기여한 슬림형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슬라이딩 모듈을 주기판 후방쪽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두 개의 배터리 유닛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서, 본체 슬림화에 기여한 슬림형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있어서, 주 기판; 상기 주 기판 상면에 구비된 정보 입출력 유닛;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둘레를 따라 배치된 안테나 유닛; 및 상기 주 기판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배터리 유닛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있어서, 주 기판; 상기 주 기판 상면에 구비된 정보 입출력 유닛;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전방쪽 둘레를 따라 배치된 안테나 유닛; 및 상기 주 기판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배터리 유닛을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서 슬라이딩하거나, 슬라이딩한 후 회전되는 슬라이딩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있어서, 주 기판; 상기 주 기판 상면에 구비된 정보 입출력 유닛; 상기 주 기판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배터리 유닛; 및 상기 배터리 유닛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 카메라 유닛으로 구성된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QWERTY 키 입력부와, 주 기판,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는 본체; 엘씨디 모듈과, 상기 엘씨디 모듈 상에 구비된 터치 창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본체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로 구성된 휴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QWERTY 키 입력부 아래에 상기 주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주 기판과 병렬로 배터리 유닛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있어서, 정보 입출력 유닛;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후방쪽으로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 배터리 유닛; 및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아래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유닛 전방쪽으로 상기 배터리 유닛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 주 기판을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입출력 유닛과, 주기판을 포함하는 전방부; 및 배터리 유닛과,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구비한 휴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는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주요 유닛의 장착 공간 활용도를 최적화함으로서, 본체가 슬림화에 기여하였고, 특히, 사용자의 관점에서, 휴대 장치 전체적인 외관 디자인이 향상되고, 유저의 사용도 편리해지는 효과를 달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열린 슬림형 휴대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다른 닫힌 슬림형 휴대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경사지게 거치된 휴대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주요 유닛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주요 유닛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쥬요 유닛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주요 유닛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에 채용된 제1스피커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에 채용된 제2스피커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슬라이딩 본체에 장착된 주요 유닛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주요 유닛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주요 유닛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주요 유닛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주요 유닛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는 본체(10)에 장착되는 내부 주요 유닛을 본체 적재 적소에 배치하여 상기 본체(10)를 슬림화하는데 있다. 상기 슬림화는 상기 본체의 슬림화 또는 상기 본체의 슬림화에 따른 휴대 장치의 슬림화를 의미한다.
상기 휴대 장치는 태블릿 피씨로서, 본체(10)와, 슬라이딩 본체(20) 및 상기 슬라이딩 본체를 본체 상에서 슬라이딩한 후에 경사지게 거치되게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틸트 모듈)(도 4,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본체(20)는 정보 출력 유닛 또는 정보 입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창과, 엘씨디 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은 터치 스크린으로서, 터치 창(210)과, 엘씨디 모듈(L;도 9에 도시됨)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정보 입력 유닛 또는 정보 입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입력 유닛은 QWERTY 키 배열을 제공하는 키패드(K;도 3에 도시됨)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은 터치 스크린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 상면에 정보 입출력 유닛이 구비되면, 사용자는 터치 동작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본체(20)는 상기 본체(10) 상면에서 본체(10) 후방쪽(화살표방향)으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본체(10) 상면에 배치된 정보 입출력 유닛을 개폐한다. 이어서, 상기 슬라이딩 본체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틸트 모듈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 상에 경사지게 거치된다. 도 2에 상기 슬라이딩 본체가 소정 거리로 슬라이딩한 상태가 도시되었고, 도 3에 상기 슬라이딩 본체가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휴대 장치의 본체(10) 내부에 장착되는 주요 유닛의 장착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본체 (10) 내부에 장착되는 주요 유닛이 개략적으로 도 4에 도시되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X'축은 본체(10) 가로방향, 즉, 본체(10) 양 측방을 의미하는데, 상기 본체(10) 좌측 방향 또는 본체(10)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X'축은 본체(10) 우측 방향을 지칭하고, '-X'축은 본체(10)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Y'축은 본체(10) 세로 방향, 즉 본체(10) 전방 또는 후방(슬라이딩 방향)을 의미한다. '+Y'축은 본체(10) 전방쪽을 의미하고, '-Y'축은 본체(10) 후방쪽을 의미한다. 또한, 'Z'축은 본체(10) 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Z'축은 본체(10) 수직 상방을 의미하고, '-Z'축은 본체(10) 수직 하방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된 '슬림화'란 의미는 상기 본체(10)의 두께를 슬림하게 한 것을 의미하며, 종래의 휴대 장치에 비해서, 'X'축 및 'Y'축 사이즈는 줄지 않으면서, 'Z'축 방향의 사이즈를 줄였다는 의미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안테나 유닛(A1,A2)과, 주 기판(PCB1)과, 입출력 유닛(K1)과, 하드웨어 유닛(HW1)과, 배터리 유닛(B1,B2)과, 카메라 유닛(C1)과, 제1,2슬라이딩 모듈(M1,M2)과, 제1,2보조 모듈(J1,J2;도 8,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본체 전방쪽으로 안테나 유닛(A1,A2)과, 입출력 유닛(K)과, 주기판(PCB)과, 하드웨어 유닛(HW)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 후방쪽으로 배터리 유닛(B1,B2)과, 카메라 유닛(C)과, 제1,2슬라이딩 모듈(M1,M2)과, 제1,2보조 모듈(J1,J2;도 8,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 후방쪽에 배치되는 배터리 유닛(B1,B2)과, 카메라 유닛(C1)과, 제1,2슬라이딩 모듈(M1,M2)은 서로 중첩되지 않게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주기판(PCB1)은 상측에 정보 입출력 유닛(K1)이 배치되고, 하측에 하드웨어 유닛(HW1)이 배치된다.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K1)은 상기 주기판(PCB1)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드웨어 유닛(HW1)은 상기 주기판(PCB1) 저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K1), 주기판(PCB1) 및 하드웨어 유닛(HW1)은 상하 적층된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주기판(PCB1)에 대체적으로(substantially) 평행하게 배터리 유닛(B1,B2)이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B1,B2)은 상기 주기판(PCB1) 세로 방향을 따라서 후방쪽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B1,B2)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병렬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은 상기 주기판(PCB1)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2배터리 유닛(B1,B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배터리 유닛(B1)은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터리 유닛(B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배터리 유닛(B2)은 상기 제1배터리 유닛(B1) 가로 방향을 따라서 우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1,B2)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팩 타입으로 상기 본체(10) 내부 소정 위치에 조립된다.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1,B2)은 박형으로, 서로 대치하면서 대칭으로 배치된다. 기존의 휴대 장치에서는 두 개의 배터리 유닛이 상하 적층형으로 구비되어서, 상하 두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2배터리 유닛(B1,B2)을 서로 대칭으로 평행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슬림화에 기여한다.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1,B2) 사이에 개구가 구비되어서, 상기 개구에 카메라 유닛(C1)이 구비된다. 즉, 상기 카메라 유닛(C1)은 상기 배터리 유닛(B1,B2)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 유닛(C1)은 미도시된 촬상 소자와 렌즈 간의 거리가 확보되어야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유닛의 두께를 슬림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 유닛(C1)은 상기 개구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장착가능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C1)의 상하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기 본체(10)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장착가능하다. 상기 카메라 유닛(C1)은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1,B2)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기존의 휴대 장치에서는 카메라 유닛의 상하(Z방향) 사이즈(두께)가 커서, 본체 저면에 일부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유닛(C1)은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1,B2) 사이의 개구에 완전히 수용되게 배치가능하여, 기존의 카메라 유닛 장착 구조과 비교하여, 상기 본체(10) 상하 두께를 슬림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상기 본체(10) 가로 방향을 따라서 전방쪽 둘레, 즉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K1)의 가로방향을 따라서 전방쪽 둘레에 안테나 유닛(A1,A2)이 배치된다. 상기 안테나 유닛(A1,A2)은 주기판(PCB1) 둘레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러한 안테나 유닛(A1,A2)은 두 개의 박형 안테나 소자(antenna element)가 상기 본체(10)의 전방쪽 천정면에 배치된다. 상기 안테나 유닛(A1,A2)은 발열체인 배터리 유닛(B1,B2) E또는 주기판(PCB1)이나 금속체인 제1,2슬라이딩 모듈(M1,M2)과 가장 원거리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안테나 장치는 발열체나 금속체가 근거리에 있으면, 안테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본체(10) 내에서 정보 입출력 유닛(K1) 전방쪽 둘레(주기판 전방쪽 둘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입출력 유닛(K1)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원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1,M2)은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상기 주기판(PCB1) 세로 방향 후방쪽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1,M2)은 상기 배터리 유닛(B1,B2)의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방향(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중첩되지 않게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1,M2)은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1,B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대치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1,M2)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본체의 제3슬라이딩 모듈(M3;도 10에 도시됨)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본체(20;도 2에 도시됨)의 슬라이딩 및 회전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1,M2) 하측에 각각 제1,2보조 모듈(S1,S2)이 배치된다. 상기 제1,2보조 모듈(S1,S2)은 악세사리 기능의 주변장치로서, 상기 주기판(PCB1) 가로방향 후방쪽으로 배치되고, 특히, 상기 본체(10) 저면 후방 양측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조 모듈(S1)은 제1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 모듈(S2)은 제2스피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보조 모듈(S1,S2)은 서로 대치한다. 상기 제1스피커 모듈(S1)은 제1연결 잭(J1)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피커 모듈(S2)은 제2연결 잭(J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 잭(J1)은 상기 제1스피커 모듈(S1)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특히 상기 제1스피커 모듈(S1)에 완전히 수용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1연결 잭(J1)은 이어폰 연결 잭을 의미한다. 상기 제2연결 잭(J22)은 상기 제2스피커 모듈(S2)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특히, 상기 제2스피커 모듈(S2)에 완전히 수용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2연결 잭(J2)은 아이에프(IF) 연결 잭을 지칭한다. 상기 아이에프 연결 잭은 30핀 타입 연결 잭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스피커 모듈(ㄴ1,S2)과 상기 제1,2연결 잭(J1,J2)의 수용 구조는 본체(10) 슬림화에 기여한다. 즉, 상기 제1,2스피커 모듈(S1,S2)과 상기 제1,2연결 잭(J1,J2)은 상하 적층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슬림화에 기여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본체(20)는 창(210)과, 엘씨디 모듈(L)과, 제3슬라이딩 모듈(M3)을 포함한다. 상기 창(210)은 외부에 노출되는데, 터치 창(touch window)이나 디스플레이 창(display window)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엘씨디 모듈(L) 상면에는 창(210)이 구비되고, 상기 엘씨디 모듈(L) 하측에는 제3슬라이딩 모듈(M3)이 구비된다. 상기 창(210)이 터치 창으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터치 창(210)의 표면에서 터치 동작으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된 정본는 엘씨디 모듈(L)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3슬라이딩 모듈(M3)은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1,M2;도 3에 도시됨)과 결합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본체(20)의 슬라이딩 이동과 회전 이동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는 주요 유닛의 장착 공간 활용도를 최적화하여 본체 슬림화에 유리하고,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의 슬림화에도 유리하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상기 휴대 장치의 본체(10) 내부에 장착되는 주요 유닛의 장착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본체 (10) 내부에 장착되는 주요 유닛이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X'축은 본체(10) 가로 방향, 즉, 본체(10) 양 측방을 의미하는데, 상기 본체(10) 좌측 방향 또는 본체(10)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X'축은 본체(10) 우측 방향을 지칭하고, '-X'축은 본체(10)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Y'축은 본체(10) 세로 방향, 즉 본체(10) 전방 또는 후방을 의미한다. '+Y'축은 본체(10) 전방쪽을 의미하고, '-Y'축은 본체(10) 후방쪽을 의미한다. 또한, 'Z'축은 본체(10) 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Z'축은 본체(10) 수직 상방을 의미하고, '-Z'축은 본체(10) 수직 하방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된 '슬림화'란 의미는 상기 본체(10)의 두께를 슬림하게 한 것을 의미하며, 종래의 휴대 장치에 비해서, 'X'축 및 'Y'축 사이즈는 줄지 않으면서, 'Z'축 방향의 사이즈를 줄였다는 의미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도 1에 도시됨)는 안테나 유닛(A3,A4)과, 주 기판(PCB2)과, 정보 입출력 유닛(K2)과, 하드웨어 유닛(HW2)과, 배터리 유닛(B3,B4)과, 카메라 유닛(C2)과, 제1,2슬라이딩 모듈(M4,M5)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후방부로 구분된다. 상기 전방부에 정보 입출력 유닛(K2)과, 주기판(PCB2)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 후방부에 배터리 유닛(B3,B4)과, 제1,2슬라이딩 모듈(M4,M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방부는 안테나 유닛(A3,A4)과 하드웨어 유닛(HW2)이 더 구성되는데, 상기 안테나 유닛(A3,A4)은 본체 전방쪽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후방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서로 대체적으로 평행한 카메라 유닛(C2)과 제1,2보조 모듈(S3,S4)이 더 구성되는데, 상기 카메라 유닛(C2)은 배터리 유닛(B3,B4)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제1,2보조 모듈(S3,S4)은 상기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다.
상기 본체 전방부는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K2)과, 주기판(PCB2)과, 하드웨어 유닛(HW2)이 상하 적층된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 후방부는 상기 배터리 유닛(B3,B4)과, 카메라 유닛(C2)과, 제1,2슬라이딩 모듈(M4,M5) 및 제1,2보조 모듈(S3,S4)이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고, 특히 서로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서로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이 때, 상기 전방부는 구성하는 유닛들은 상하 적층된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후방부를 구성하는 유닛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서로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주 기판(PCB2)은 상측에 정보 입출력 유닛(K2)이 배치되고, 하측에 하드웨어 유닛(HW2)이 배치된다. 상기 입출력 유닛(K2)은 상기 주기판(PCB2)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하드웨어 유닛(HW2)은 상기 주기판(PCB2) 저면에 구비된다.
상기 주기판(PCB) 또는 정보 입출력 유닛(K2)에 중첩되지 않게, 대체적으로(substantially) 평행하게 배터리 유닛(B3,B4)이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B3,B4)은 상기 주기판(PCB2) 세로 방향을 따라서 후방쪽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B3,B4)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병렬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유닛은 상기 주기판(PCB2)과 중첩되지 않고, 평행하게 배치된 제1,2배터리 유닛(B3,B4)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배터리 유닛(B3)은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터리 유닛(B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배터리 유닛(B4)은 상기 제1배터리 유닛(B3) 가로방향을 따라서 우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팩 타입으로 상기 본체(10) 내부 소정 위치에 조립된다.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은 박형으로, 서로 대치하면서 대칭으로 배치된다. 기존의 휴대 장치에서는 두 개의 배터리 유닛이 상하 적층형으로 구비되거나 기판에 적층형으로 배치되어서, 상하 두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2배터리 유닛(B3,B4)을 서로 대칭으로 평행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슬림화에 기여한다.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 사이에 개구가 구비되어서, 상기 개구에 카메라 유닛(C2)이 구비된다. 즉, 상기 카메라 유닛(C2)은 상기 배터리 유닛(B3,B4)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개구에 완전히 수용되는 구조로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 유닛(C2)은 미도시된 촬상 소자와 렌즈 간의 거리가 확보되어야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유닛의 두께를 슬림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 유닛(C2)은 상기 개구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장착가능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C2)의 상하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기 본체(10)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장착가능하다. 상기 카메라 유닛(C2)은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기존의 휴대 장치에서는 카메라 유닛의 상하(Z방향) 사이즈(두께)가 커서, 본체 저면에 일부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유닛(C2)은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 사이의 개구에 완전히 수용되게 배치가능하여, 기존의 카메라 유닛 장착 구조과 비교하여, 상기 본체 상하 두께를 슬림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상기 본체(10) 가로 방향을 따라서 전방쪽 둘레에 안테나 유닛(A3,A4)이 배치된다. 상기 안테나 유닛(A3,A4)은 정보 입출력 유닛(K2)의 전방쪽 둘레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러한 안테나 유닛(A3,A4)은 두 개의 박형 안테나 소자(antenna element)가 상기 본체(10)의 전방쪽 천정면에 배치된다. 상기 안테나 유닛(A3,A4)은 발열체인 배터리 유닛(B1,B2)이나, 주기판(K2) 및 금속체인 제1,2슬라이딩 모듈(M4,M5)과 가장 원거리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안테나 장치는 발열체나 금속체가 근거리에 있으면, 안테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본체(10) 내에서 본체 전방쪽 둘레(정보 입출력 유닛 전방쪽 둘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입출력 유닛(K)의 전방쪽 상측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원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3,M4)은 틸트 기능을 가진 슬라이딩 모듈로서, 상기 주기판(PCB2) 세로 방향 후방쪽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4,M5)은 상기 배터리 유닛(B1,B2)의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방향으로 각각 중첩되지 않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4,M5)은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대치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4,M5)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본체의 제3슬라이딩 모듈(M3;도 10에 도시됨)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본체(20;도 2에 도시됨)의 슬라이딩 및 회전이동을 가이드하여, 경사지게 거치한다.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4,M5)과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배터리 유닛과 중첩되지 않게 각각 제1,2보조 모듈(S3,S4)이 배치된다. 상기 제1,2보조 모듈(S3,S4)은 악세사리 기능의 주변 장치로서, 상기 주기판(PCB2) 또는 정보 입출력 유닛 후방쪽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4,M5) 후방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보조 모듈(S3)은 제1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 모듈(S4)은 제2스피커 모듈(J2)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보조 모듈(S3,S4)은 서로 대치한다. 상기 제1,2스피커 모듈은 도 8,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미도시된 연결 객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4,M5)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며, 상기 제1,2보조 모듈(S3,S4)도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과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4,M5)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M4,M5)은 전방쪽에 정보 입출력 유닛(K2)과, 주기판(PCB2)과, 하드웨어 유닛(HW2)이 위치하고, 후방쪽에 상기 제1,2보조 모듈(S3,S4)이 각각 위치하며, 측방쪽(좌측 및 우측)으로 상기 제1,2배터리 유닛(B3,B4)이 각각 위치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의 본체는 전방쪽에 정보 입출력 유닛과, 주기판과, 하드웨어 유닛을 상하 적측형으로 구성하고, 후방쪽에 제1,2배터리 유닛과, 제1,2슬라이딩 모듈과, 제1,2보조 모듈 및 카메라 유닛을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서로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본체 슬림화를 구현한다.

Claims (35)

  1. 휴대 장치에 있어서,
    주 기판;
    상기 주 기판 상면에 구비된 정보 입출력 유닛;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둘레를 따라 배치된 안테나 유닛; 및
    상기 주 기판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배터리 유닛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은 상기 주 기판 세로 방향을 따라서 후방쪽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은 병렬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은
    제1배터리 유닛; 및
    상기 제1배터리 유닛 가로 방향을 따라서 일 측방쪽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2배터리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은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판 저면에 하드웨어 유닛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배터리 유닛 사이에서 카메라 유닛이 평행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유닛은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전방쪽으로 본체 테두리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판 세로 방향을 따라서 후방쪽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유닛 가로 방향을 따라서 양 측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1,2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판 후방쪽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 하측에 각각 평행하게 장착된 제1,2보조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모듈은 제1스피커 모듈이고, 상기 제1스피커 모듈에는 제1연결 잭이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연결 잭은 이어폰 연결 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 모듈은 제2스피커 모듈이고, 상기 제2스피커 모듈에는 제2연결 잭이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제2연결 잭은 아이에프 연결 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방쪽으로 상기 안테나 유닛과, 상기 입출력 유닛과, 상기 주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 후방쪽으로 배터리 유닛과,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과, 상기 제1,2보조 모듈이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4. 휴대 장치에 있어서,
    주 기판; 상기 주 기판 상면에 구비된 정보 입출력 유닛;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전방쪽 둘레를 따라 배치된 안테나 유닛; 및 상기 주 기판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배터리 유닛을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서 슬라이딩하거나, 슬라이딩한 후 회전되는 슬라이딩 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본체는
    창;
    상기 창 저면에 배치된 엘씨디 모듈; 및
    상기 엘씨디 모듈 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3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터치 창 또는 디스플레이 창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7. 휴대 장치에 있어서,
    주 기판;
    상기 주 기판 상면에 구비된 정보 입출력 유닛;
    상기 주 기판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배터리 유닛; 및
    상기 배터리 유닛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 카메라 유닛으로 구성된 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전방쪽 둘레를 따라서 상기 본체 전방 테두리쪽으로 안테나 유닛이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병렬형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배터리 유닛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1. QWERTY 키 입력부와, 주 기판, 배터리 유닛을 포함하는 본체;
    엘씨디 모듈과, 상기 엘씨디 모듈 상에 구비된 터치 창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본체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로 구성된 휴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QWERTY 키 입력부 아래에 상기 주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주 기판과 병렬로 배터리 유닛이 평행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은
    제1배터리 유닛; 및
    상기 제1배터리 유닛 가로방향을 따라서 병렬로 배치된 제2배터리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배터리 유닛 사이에 카메라 유닛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2배터리 유닛 가로 방향을 따라서 양 측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게 제1,2슬라이딩 모듈이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판 후방쪽으로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 아래에 각각 제1,2스피커 모듈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2스피커 모듈 각각에 제1,2연결 잭이 수용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QWERTY 키 입력부 전방 둘레쪽으로 안테나 유닛이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6. 휴대 장치에 있어서,
    정보 입출력 유닛;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후방쪽으로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 배터리 유닛; 및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아래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유닛 전방쪽으로 상기 배터리 유닛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 주 기판을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중첩되지 않게 제1,2스피커 모듈이 각각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제1,2스피커 모듈과 각각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 제1,2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은 각각 틸트 슬라이딩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정보 입출력 유닛 후방과, 상기 제1,2스피커 모듈 전방 및 상기 배터리 유닛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과 중첩되지 않게 카메라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제1,2슬라이딩 모듈과 상기 제1,2스피커 모듈과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32. 정보 입출력 유닛과, 주기판을 포함하는 전방부; 및
    배터리 유닛과,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구비한 휴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와 가장 원거리인 상기 본체 전방쪽 테두리를따라서 안테나 유닛이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를 구성하는 유닛들은 상하로 적층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방부를 구성하는 유닛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서로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를 구성하는 유닛들과 중첩되지 않게 카메라 유닛과, 제1,2보조 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과 제1,2보조 모듈은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 장치.
KR1020110033215A 2011-02-08 2011-04-11 슬림형 휴대 장치 KR10182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67,627 US8811012B2 (en) 2011-02-08 2012-02-07 Slim-type portable device
PCT/KR2012/000880 WO2012108662A2 (en) 2011-02-08 2012-02-07 Slim-type portable device
AU2012215297A AU2012215297B2 (en) 2011-02-08 2012-02-07 Slim-type portable device
CN201210027669.0A CN102681614B (zh) 2011-02-08 2012-02-08 纤薄型便携式装置
EP12154416.7A EP2485115B1 (en) 2011-02-08 2012-02-08 Slim-type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1270 2011-02-08
KR1020110011270 2011-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732A true KR20120090732A (ko) 2012-08-17
KR101829062B1 KR101829062B1 (ko) 2018-02-14

Family

ID=4688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215A KR101829062B1 (ko) 2011-02-08 2011-04-11 슬림형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87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WO2018101508A1 (ko) * 2016-11-30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87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기기의 표시장치
WO2018101508A1 (ko) * 2016-11-30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567562B2 (en) 2016-11-30 2020-02-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062B1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2478B (zh) 便携式电子设备
EP3100130B1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10671121B2 (en) Magnetic layout in electronic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for electronic devices
US9007780B2 (en) Electronic apparatus
EP3391175B1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US974688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urved display module
EP2713585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918395B1 (en) Three part foldable housing supporting multiple use posi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AU2012215297B2 (en) Slim-type portable device
TW201305788A (zh) 電子裝置
CN101500400B (zh) 屏蔽罩及电子设备
CN114582228A (zh) 可折叠显示装置
US20140320746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EP2197185A2 (en) Electronic system with a mobile device and an expansion device
US10595604B1 (en) Folio including magnetic hinge for computing device
US20200233462A1 (en) Electronic device
KR20120090732A (ko) 슬림형 휴대 장치
US95354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9261928B2 (en) Electronic device
US928266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210246826U (zh) 电子终端
KR102209041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US20110236726A1 (en) Battery pack
CN116456000A (zh) 折叠式电子设备
TWI400029B (zh) 可攜式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