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893A -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893A
KR20190073893A KR1020170175126A KR20170175126A KR20190073893A KR 20190073893 A KR20190073893 A KR 20190073893A KR 1020170175126 A KR1020170175126 A KR 1020170175126A KR 20170175126 A KR20170175126 A KR 20170175126A KR 20190073893 A KR20190073893 A KR 2019007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mobile terminal
outer circumferential
battery hous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호
Original Assignee
최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주호 filed Critical 최주호
Priority to KR102017017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3893A/ko
Publication of KR2019007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01M2/1066
    • H01M2/10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02J7/005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는, 충전지가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배터리 하우징,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그립 보조부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모바일 단말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AUXILIARY BATTERY COMBINABLE TO MOBILE TERMINAL}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에 결합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은 장소,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통신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그 사용 분야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고 있으나 배터리 용량에는 한계가 있어서 장시간 사용시에는 배터리가 방전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때문에, 실외에서도 모바일 단말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보조 배터리는 모바일 단말과 분리된 상태로 휴대되기 때문에 분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모바일 단말과 함께 휴대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3706호에 개시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가 있다.
선행기술은 모바일 단말을 감싸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와, 보호케이스의 이면에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 및 연결용 잭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와, 보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보호케이스에 보조 배터리가 수납됨에 따라 보조 배터리를 모바일 단말과 함께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보조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의 구성이 요구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지 않을 경우에도 보호케이스가 휴대되므로 모바일 단말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로서,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모바일 단말용 보조 배터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는, 충전지가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배터리 하우징,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그립 보조부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모바일 단말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보조 배터리에 모바일 단말과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보조 배터리를 간편하게 모바일 단말에 결합하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의 배터리 하우징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그립 보조부가 형성됨으로써, 보조 배터리의 그립감을 높이고, 손에서 보조 배터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그립 보조부를 형성함으로써, 보조 배터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가 모바일 단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가 모바일 단말에 결합되는 상황을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보조 배터리의 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연관성이 큰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보조 배터리가 모바일 단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용 보조 배터리(10)는 배터리 하우징(100) 및 그립 보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충전지가 포함될 수 있다. 충전지는 외부전원을 통해 전원이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을 충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충전지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Li-ion) 전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니켈 카드뮴(Ni-Cd) 전지나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Ni-Mh) 전지, 밀폐형 납산(SLA) 전지, 리튬 폴리머(Li-polymer) 전지 등과 같이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충전지는 함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통 막대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되어 방전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보조 배터리(10)에 의해 전원을 충전하는 모바일 단말(20)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또는 PDA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100)에는 전술한 복수의 충전지 중 적어도 하나가 교체 가능하도록 수납되며, 배터리 하우징(100)에 수납된 충전지는 외부전원이나 모바일 단말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배터리 하우징(100)은 수납된 충전지를 모바일 단말 연결시켜서 충전지에 충전된 전원을 모바일 단말에 공급하거나, 충전지를 외부전원에 연결시켜서 충전지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충전지의 수납공간이 마련되면서, 충전지의 전극에 밀착되는 접촉전극이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10)의 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보조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립 보조부(110)는 보조 배터리(10)의 전면 방향으로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립 보조부(110)는 보조 배터리(10)의 전면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10)를 손으로 잡았을 때 손아귀 내부의 공간을 그립 보조부(110)가 채워주어 그립감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돌출된 형상으로 인해 보조 배터리(10)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립 보조부(110)는 배터리 하우징(1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배터리 하우징(100)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립 보조부(110)는 탄성 및 복원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립 보조부(110)가 탄성 및 복원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그립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조 배터리(1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그립 보조부(110)가 물개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그립 보조부(110)가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조 배터리(10)의 배터리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인렛 단자 및 아웃렛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인렛 단자는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이루는 것으로, 배터리 하우징(100) 내부의 접촉전극에 연결된 상태로 배터리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전원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다.
아웃렛 단자는 모바일 단말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이루는 것으로, 배터리 하우징(100)의 내부 접촉전극에 연결된 상태로 배터리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모바일 단말의 충전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아웃렛 단자는 모바일 단말의 종류에 맞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미도시된 젠더가 수납되어 아웃렛 단자에 부착되면서 아웃렛 단자를 모바일 단말에 호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배터리 하우징(100)은 내면에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을 무선 충전시킬 수도 있다.
무선충전모듈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자기유도방식으로 유도전류를 발생시켜서 제공하는 것으로, 배터리 하우징(100)의 접촉전극에 연결되는 유도코일로 구성되어 배터리 하우징(100)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에 대면하면서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충전모듈은 전술한 아웃렛 단자와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아웃렛 단자가 없는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가 모바일 단말에 결합되는 상황을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배터리(10)와 모바일 단말(20)은 결합부(30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부(300)는 금속판(310) 및 자석(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300)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결합부(300)의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부(300)는 거치대(330) 및 거치대 결합부재(3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거치대(330)는 모바일 단말(2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배터리 하우징(100)의 결합부위와 결합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거치대(330)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에 고정되는 고정판(331)과 배터리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체결블록(332)으로 구성되면서 각도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모바일 단말(2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대(330)는 고정판(331)이 모바일 단말(20)의 외주면에 접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별도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거치대(3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는 텔레스코픽 지지봉(333)과 고정판(331)으로 구성되어 모바일 단말(2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로 지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길이의 신축을 통해 모바일 단말(20)의 지지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거치대(330)를 배터리 하우징(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돌기(341) 및 클립홀더(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립돌기(341)는 후크형태를 이루면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배터리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며, 후크형태의 단부를 통해 후술되는 클립홀더(342)에 스냅식으로 걸려 고정된다. 이러한 클립돌기(341)는 한 쌍 중 하나가 가압버튼(341a)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가압에 의해 간격이 오므라지면서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클립홀더(342)는 거치대(330)를 구성하는 체결블록(332)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클립돌기(341)에 스냅식으로 걸려서 고정된다. 즉, 거치대(330)는 모바일 단말(20)에 고정된 상태로 클립홀더(342)를 통해 클립돌기(341)에 고정되면서 배터리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한편,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나사(343) 및 수형나사(3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암형나사(343)는 너트형태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배터리 하우징(100)의 외주면이나 거치대(330)를 구성하는 체결블록(332) 중 하나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수형나사(344)는 볼트형태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배터리 하우징(100)의 외주면이나 체결블록(332) 중 나머지 하나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암형나사(343)에 나사결합된다.
즉, 거치대(330)는 모바일 단말(20)에 고정된 상태로 수형나사(344)를 통해 암형나사(343)에 나사결합되면서 배터리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여기서, 수형나사(344)에는 걸림구슬(344a)이 구비될 수 있고, 암형나사(343)에는 걸림구슬(344a)이 맞물리는 구슬홈(343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형나사(344)는 걸림구슬(344a) 및 구슬홈(343a)의 맞물림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일(345) 및 레일홀더(3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레일(345)은 거치대(330)가 슬라이드되면서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배터리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일측이 개구된 홈형태로 형성되며,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345a)가 돌출형성된다.
레일홀더(346)는 거치대(330)를 구성하는 체결블록(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을 이루면서 연장되며, 슬라이드레일(345)의 가이드돌기(345a)에 끼워져 슬라이드된다.
즉, 거치대(330)는 휴대단말기(20)에 고정된 상태로 슬라이드레일(345)의 개구부를 통해 끼워지며, 레일홀더(346) 및 가이드돌기(345a)를 통해 슬라이드되면서 배터리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한편, 거치대 결합부재(3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30)가 전술한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으로 구성될 경우, 걸림볼(347) 및 볼홀더(34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볼(347)은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의 신축에 따라 승강한다.
볼홀더(348)는 배터리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슬롯형태로 형성되어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을 신축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며, 걸림볼(347)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볼홀더(348)는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에 의해 하강하는 걸림볼(347)이 안착됨에 따라 가압되면서 고정된다.
즉, 배터리 하우징(100)은 볼홀더(348)를 통해 텔레스코픽 지지봉(333)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볼(347)에 의해 가압되어 거치대(330)에 고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10)에 의하면, 충전지가 수납된 배터리 하우징(100)이 결합부(300)에 의해 모바일 단말(2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므로 충전지를 모바일 단말(20)과 함께 휴대함으로써 충전의 필요시 즉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보조 배터리 100: 배터리 하우징
110: 그립 보조부 20: 모바일 단말
300: 결합부

Claims (8)

  1. 모바일 단말용 보조 배터리에 있어서,
    충전지가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배터리 하우징;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그립 보조부;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모바일 단말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보조부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금속판;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금속판에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와 상기 배터리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거치대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결합부재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후크형의 클립돌기; 및
    상기 거치대의 외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클립돌기에 스냅식으로 끼워져 걸리는 클립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결합부재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 및 상기 거치대의 외주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암형나사;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 및 상기 거치대의 외주면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암형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수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결합부재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에 홈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고,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슬라이드레일; 및
    상기 거치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개구부를 통해 끼워지면서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레일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지지하며, 길이가 신축가능하게 구성되어 지지각도를 가변시키는 텔레스코픽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 결합부재는,
    상기 텔레스코픽 지지봉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지지봉의 신축에 의해 승강하는 걸림볼; 및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지지봉을 신축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면서 상기 걸림볼의 안착부위를 이루고, 상기 걸림볼의 하강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볼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KR1020170175126A 2017-12-19 2017-12-19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KR20190073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126A KR20190073893A (ko) 2017-12-19 2017-12-19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126A KR20190073893A (ko) 2017-12-19 2017-12-19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893A true KR20190073893A (ko) 2019-06-27

Family

ID=6705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126A KR20190073893A (ko) 2017-12-19 2017-12-19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38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86B1 (ko) * 2021-06-08 2021-12-21 주식회사 엠포유 모바일 기기용 보조배터리 장치
KR200496958Y1 (ko) 2022-11-21 2023-06-20 주식회사 힉스코리아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KR20240051029A (ko) 2022-10-12 2024-04-19 주식회사 힉스코리아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386B1 (ko) * 2021-06-08 2021-12-21 주식회사 엠포유 모바일 기기용 보조배터리 장치
KR20240051029A (ko) 2022-10-12 2024-04-19 주식회사 힉스코리아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KR200496958Y1 (ko) 2022-11-21 2023-06-20 주식회사 힉스코리아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5542B1 (en) Mobile charger
US20140091766A1 (en) Power bracelet
KR101945842B1 (ko) 단말기 부착형 보조 배터리
EP1589631A3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90073893A (ko)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KR101247570B1 (ko)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전화기 보호케이스
US9520729B2 (en) Charging connector of mobile power pack
CA2608293A1 (en) An energy storage mobile charging adapter
US20110070473A1 (en) Batter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02571U (ko)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130107426A (ko) 스마트폰케이스의 급속충전이 가능한 충전기
US20160365742A1 (en) Portable back-up battery pack
KR20140001056U (ko) 보조전원 공급장치
KR20190073892A (ko) 모바일 단말용 보조 배터리
CN205489710U (zh) 一种新型背夹式移动电源
CN113271809B (zh) 电力屏幕保护装置
CN216162474U (zh) 一种磁吸式无线充
KR20140003508U (ko) 충전케이스 대용 무선 충전 모듈
CN213879346U (zh) 一种便携式充电盒
KR200380561Y1 (ko) 양방향 충전 단자 휴대폰 배터리 전위차 충전기
AU2015271930B2 (en) Mobile charger
US20130038269A1 (en) Handheld mobile electrical assembly
KR200307358Y1 (ko) 충전기능을 갖춘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US2014018520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N204992629U (zh) 一种带后备充电装置及伸缩插头的移动电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