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775B1 -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775B1
KR101495775B1 KR20130154670A KR20130154670A KR101495775B1 KR 101495775 B1 KR101495775 B1 KR 101495775B1 KR 20130154670 A KR20130154670 A KR 20130154670A KR 20130154670 A KR20130154670 A KR 20130154670A KR 101495775 B1 KR101495775 B1 KR 101495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rtable terminal
rechargeable battery
battery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20130154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충전배터리가 위치되는 공간부 내에 충전배터리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가압 고정시키는 제 1 가이드부재와 제 2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제조사마다 크기가 다른 충전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고, 제 1 가이드부재 측에는 제 1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이 제 1 충전단자와 맞닿는 충전배터리 측에는 제 2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제 1 가이드부재를 통한 충전배터리의 가압 고정시 제 1 충전단자 및 제 2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면서 충전이 진행되며, 회전가능한 직결형 충전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휴대단말기로부터 충전배터리를 분리하지 않고도 직접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거치 된 상태로도 충전이 가능해 충전을 하면서도 용이한 휴대단말기 사용이 가능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는 내부에는 충전배터리가 위치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회동식 커버가 설치되며 일측에는 전원공급용 전원코드가 연결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충전배터리의 일면에 가압 고정되되 상기 충전배터리와 면접되는 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가압 고정시 상기 충전배터리 상부면에 구비된 제 2 충전단자와 충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1 가이드부재와,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 가장자리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충전배터리의 타면에 가압 고정되어 상기 충전배터리를 위치고정시키는 제 2 가이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MULTI PURPOSE TYPE CHARGING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 충전배터리가 위치되는 공간부 내에 충전배터리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가압 고정시키는 제 1 가이드부재와 제 2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제조사마다 크기가 다른 충전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고, 제 1 가이드부재 측에는 제 1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이 제 1 충전단자와 맞닿는 충전배터리 측에는 제 2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제 1 가이드부재를 통한 충전배터리의 가압 고정시 제 1 충전단자 및 제 2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면서 충전이 진행되며, 회전가능한 직결형 충전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휴대단말기로부터 충전배터리를 분리하지 않고도 직접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거치 된 상태로도 충전이 가능해 충전을 하면서도 용이한 휴대단말기 사용이 가능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현재의 이동 휴대단말기는 음성 통화 기능, 영상 통화 기능,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기능 등의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때 휴대단말기는 내장되는 충전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이러한 충전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휴대단말기는 별도의 충전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해야 하며 이를 통해, 충전 장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배터리를 충전시킨다.
또한 휴대단말기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배터리를 분리해 내어 충전배터리만 충전하기도 하는데, 이는 여분의 충전배터리를 미리 충전해놓기 위함이며 또한 동시에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도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이 없게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휴대단말기의 제조사는 여러 곳이 존재하고 있고 각각의 제조사마다 휴대단말기의 크기가 상이한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배터리 또한 서로 다른 크기로 제조되고 있다. 따라서 A사의 충전배터리를 B사에서 제공된 충전배터리 충전기로 충전할 수 없고, 마찬가지로 B사의 충전배터리를 A사에서 제공된 충전배터리 충전기로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90667호(2013.08.1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 충전배터리가 위치되는 공간부 내에 충전배터리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가압 고정시키는 제 1 가이드부재와 제 2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제조사마다 크기가 다른 충전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고, 제 1 가이드부재 측에는 제 1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이 제 1 충전단자와 맞닿는 충전배터리 측에는 제 2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제 1 가이드부재를 통한 충전배터리의 가압 고정시 제 1 충전단자 및 제 2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면서 충전이 진행되며, 회전가능한 직결형 충전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휴대단말기로부터 충전배터리를 분리하지 않고도 직접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거치 된 상태로도 충전이 가능해 충전을 하면서도 용이한 휴대단말기 사용이 가능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는 충전배터리가 위치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회동식 커버가 설치되며 일측에는 전원공급용 전원코드가 연결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충전배터리의 일면에 가압 고정되되 상기 충전배터리와 면접되는 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가압 고정시 상기 충전배터리 상부면에 구비된 제 2 충전단자와 충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1 가이드부재와,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 가장자리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충전배터리의 타면에 가압 고정되어 상기 충전배터리를 위치고정시키는 제 2 가이드부재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되어 휴대단말기 내의 충전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젠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케이스 본체의 일측 양단에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의 내부에는 직결형 충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직결형 충전부재에는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 내부에 직접 삽입되되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젠더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 내에 상기 젠더를 삽입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충전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체결돌기 상에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직결형 충전부재와 충전을 위해 결합 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하부 모서리가 상기 직결형 충전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거치홈 상에 거치되며, 거치시 상기 회동식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어 거치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는 휴대단말기 충전배터리가 위치되는 공간부 내에 충전배터리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가압 고정시키는 제 1 가이드부재와 제 2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제조사마다 크기가 다른 충전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고 제 1 가이드부재 측에는 제 1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이 제 1 충전단자와 맞닿는 충전배터리 측에는 제 2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제 1 가이드부재를 통한 충전배터리의 가압 고정시 제 1 충전단자 및 제 2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면서 충전이 진행되며, 회전가능한 직결형 충전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휴대단말기로부터 충전배터리를 분리하지 않고도 직접 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거치 된 상태로도 충전이 가능해 충전을 하면서도 용이한 휴대단말기 사용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의 작동도.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1)는 내부에는 충전배터리(50)가 위치되는 장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11)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회동식 커버(12)가 설치되며 일측에는 전원공급용 전원코드(13)가 연결되는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장착공간(11)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착공간(11)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충전배터리(50)의 일면에 가압 고정되되 상기 충전배터리(50)와 면접되는 측에는 상기 전원코드(13)와 전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충전단자(21)가 구비되어 가압 고정시 상기 충전배터리(50) 상부면에 구비된 제 2 충전단자(51)와 충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1 가이드부재(20)와, 상기 장착공간(11)의 타측 가장자리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착공간(11)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충전배터리(50)의 타면에 가압 고정되어 상기 충전배터리(50)를 위치고정시키는 제 2 가이드부재(3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1)의 구성부재 및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케이스 본체(10)는 충전배터리(50)가 장착되어 충전되거나 휴대단말기(60)가 직접 연결되어 충전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충전배터리(50)가 위치되는 장착공간(11)이 형성되고 이 장착공간(11)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회동식 커버(12)가 설치되며 일측에는 전원공급용 전원코드(13)가 연결된다.
전술한 장착공간(11)은 케이스 본체(10)의 상부면 중앙측에 사각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통상의 충전배터리(50)보다 가로 및 세로길이는 길게 그리고 깊이는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휴대단말기(60) 제조사마다 충전배터리(50)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바 각각 상이한 크기의 충전배터리(50)가 장착공간(11) 내에 모두 수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술한 회동식 커버(12)는 개폐 여부에 따라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충전배터리(5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거치 된 휴대단말기(60)의 후면에 지지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장착공간(11) 내에서 충전배터리(50)의 충전이 진행될 시에는 케이스 본체(10) 측으로 회동되어 장착공간(11)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충전배터리(50)가 보호되도록 하고, 휴대단말기(60)가 추후에 설명될 거치홈(15) 측에 거치된 상태로 충전될 시에는 휴대단말기(60) 후면측으로 회동 및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휴대단말기(60)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회동 된 상태로 위치고정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회동식 커버(12)의 회동 및 고정방법은 종래기술에 따른 그것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원코드(13)는 케이스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전원코드(13)는 추후에 설명될 제 1 충전단자(21) 및 젠더(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케이스 본체(10) 상에는 충전상태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충전중/충전완료가 표시되는 램프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장착공간(1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 1 가이드부재(20)가 수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가이드부재(20)는 장착공간(11) 내에 위치된 충전배터리(50)의 상부면을 가압해 고정해줌과 동시에 제 1 충전단자(21) 및 제 2 충전단자(5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충전배터리(50)가 충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제 1 가이드부재(20)는 장착공간(11)의 상부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방향, 즉 충전배터리(50)의 상부를 향해 탄성 가압 되도록 이동되는데 충전배터리(50)와 면접되는 이 제 1 가이드부재(20) 측에는 제 1 충전단자(21)가 구비되고 제 1 충전단자(21)와 맞닿게 되는 충전배터리(50) 상에는 제 2 충전단자(51)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가이드부재(20)가 충전배터리(50) 측에 가압고정되면 충전배터리(50)의 위치를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부재(20)가 충전배터리(50)를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됨으로써 크기가 다른 충전배터리(50)의 위치고정 및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장착공간(11)의 타측 가장자리에는 제 2 가이드부재(30)가 수평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게 설치되는데, 이 제 2 가이드부재(30)는 장착공간(11) 내에 위치된 충전배터리(50)의 측면을 가압해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제 2 가이드부재(30)는 장착공간(11)의 측면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방향, 즉 충전배터리(50)의 측면을 향해 탄성 가압 되도록 이동되며, 제 1 가이드부재(20)와 마찬가지로 제 2 가이드부재(30)가 충전배터리(50)를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됨으로써 크기가 다른 충전배터리(50)의 위치고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케이스 본체(10) 중 제 1 가이드부재(20)가 구비된 반대편 측 양단에는 각각 체결돌기(14)가 돌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직결형 충전부재(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직결형 충전부재(40)는 휴대단말기(60)가 직접 결합됨으로써 충전배터리(50)가 충전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직결형 충전부재(40)의 중앙 일측에는 전술한 전원코드(13)와 전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된 젠더(4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충전시에는 젠더(41)가 외측을 향하도록 직결형 충전부재(40)를 회전시키고, 충전이 종료된 후에는 젠더(41)가 케이스 본체(10) 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체결돌기(14) 상에는 거치홈(15)이 각각 형성되어 직결형 충전부재(40)와 충전을 위해 결합 된 휴대단말기(60)의 하부 모서리가 직결형 충전부재(40)의 회전각도에 따라 거치홈(15) 상에 거치되며, 이때 회동식 커버(12)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어 거치된 휴대단말기(60)의 후면에 지지된다.
이하에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60) 배터리용 충전장치(1)의 구성부재 및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휴대단말기(60) 내에서 충전배터리(50)를 분리한 다음 케이스 본체(10)의 장착공간(11) 내에 위치시킨다. 이때 충전배터리(50)에 구비된 제 2 충전단자(51)가 제 1 가이드부재(20) 측을 향하도록 한다.
동시에 제 1 가이드부재(20)는 상측에서 제 2 가이드부재(30)는 측면에서 각각 충전배터리(50) 측으로 가압되도록 해 충전배터리(50)를 장착공간(11) 내에서 위치고정 시키는데, 제 1 가이드부재(20)에 구비된 제 1 충전단자(21)는 충전배터리(50)의 제 2 충전단자(51)와 상호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충전배터리(50)의 충전이 시작된다. 충전이 시작되면 회동식 커버(12)를 닫아 충전배터리(50)가 외력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충전이 종료된 후에는 전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충전배터리(50)를 제거해 휴대단말기(60) 내에 결합해 준다.
한편, 충전배터리(50)를 분리하지 않고 휴대단말기(60)를 직접 충전할 경우 직결형 충전부재(40)를 회전시켜 젠더(41)가 휴대단말기(60)의 전원소켓 측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60)가 바닥에 놓여진 상태로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60)의 하단 모서리가 거치홈(15) 측에 안착되고 휴대단말기(60)의 후면부가 회동식 커버(12)에 지지되도록 직결형 충전부재(40)를 회전시킨 상태로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충전이 종료된 후에는 젠더(41)로부터 휴대단말기(60)를 분리하고 젠더(41)가 케이스 본체(10)를 향하도록 직결형 충전부재(40)를 회전시키고 열려있는 회동식 커버(12)는 닫아준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10 : 케이스 본체
11 : 장착공간
12 : 회동식 커버
13 : 전원코드
14 : 체결돌기
15 : 거치홈
20 : 제 1 가이드부재
21 : 제 1 충전단자
30 : 제 2 가이드부재
40 : 직결형 충전부재
41 : 젠더
50 : 충전배터리
51 : 제 2 충전단자
60 : 휴대단말기

Claims (3)

  1. 내부에는 충전배터리가 위치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회동식 커버가 설치되며 일측에는 전원공급용 전원코드가 연결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충전배터리의 일면에 가압 고정되되 상기 충전배터리와 면접되는 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가압 고정시 상기 충전배터리 상부면에 구비된 제 2 충전단자와 충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1 가이드부재;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 가장자리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게 설치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충전배터리의 타면에 가압 고정되어 상기 충전배터리를 위치고정시키는 제 2 가이드부재; 및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되어 휴대단말기 내의 충전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젠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 양단에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의 내부에는 직결형 충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직결형 충전부재에는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 내부에 직접 삽입되되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공급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젠더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 내에 상기 젠더를 삽입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충전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 상에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직결형 충전부재와 충전을 위해 결합 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하부 모서리가 상기 직결형 충전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거치홈 상에 거치되며, 거치시 상기 회동식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어 거치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KR20130154670A 2013-12-12 2013-12-12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KR101495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670A KR101495775B1 (ko) 2013-12-12 2013-12-12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670A KR101495775B1 (ko) 2013-12-12 2013-12-12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775B1 true KR101495775B1 (ko) 2015-02-25

Family

ID=5259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4670A KR101495775B1 (ko) 2013-12-12 2013-12-12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7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708A (ko) * 2016-12-29 2018-07-09 (주)신영프레시젼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20190123868A (ko) * 2018-04-25 2019-11-04 위도현 스마트폰 충전용 보조배터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51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KR20050093197A (ko) *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알파트로닉스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200411025Y1 (ko) 2005-12-27 2006-03-09 (주)정인일렉텍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겸용 휴대 충전기
KR20130090667A (ko) * 2012-02-06 2013-08-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휴대폰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51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KR20050093197A (ko) *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알파트로닉스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200411025Y1 (ko) 2005-12-27 2006-03-09 (주)정인일렉텍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겸용 휴대 충전기
KR20130090667A (ko) * 2012-02-06 2013-08-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휴대폰 충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708A (ko) * 2016-12-29 2018-07-09 (주)신영프레시젼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20190123868A (ko) * 2018-04-25 2019-11-04 위도현 스마트폰 충전용 보조배터리
KR102044770B1 (ko) 2018-04-25 2019-11-15 위도현 스마트폰 충전용 보조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14400A1 (en)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182608B1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RU2529513C2 (ru) Электромонт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ря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возможностью хранени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CN103475834B (zh) 一种智能手机及其外置微投影仪
US20080238366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battery charger and adaptor to set portable terminal device thereon
US20120196658A1 (en)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ith Exchangeable Battery Cell
KR20130079314A (ko) 만능 배터리 충전기
KR20130097954A (ko) 휴대단말용 케이스
CN202495792U (zh) 带旋转插头的移动电源
KR20046909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1495775B1 (ko)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KR200486136Y1 (ko)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56008Y1 (ko) 휴대단말기 통합형 충전장치
KR20120083988A (ko) 풀터치 핸드폰용 태양광 충전장치
JP2011182566A (ja) 充電源装置
KR200411025Y1 (ko)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겸용 휴대 충전기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CN107017677B (zh) 背夹式移动电源
CN213661239U (zh) 具有快速充电功能的便携式移动电源
KR200480607Y1 (ko) 휴대폰 거치 보조 배터리
CN104954517B (zh) 接触式无线充电器用的手机套
KR20130002847U (ko) 거치대 장착용 휴대폰 케이스
CN210093479U (zh) 一种具有充电功能的高保真蓝牙音响
KR20170000026U (ko) 보조 배터리 겸용 충전기
KR20170069827A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보조배터리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